KR101549975B1 - 오징어 낚시 - Google Patents

오징어 낚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975B1
KR101549975B1 KR1020140030169A KR20140030169A KR101549975B1 KR 101549975 B1 KR101549975 B1 KR 101549975B1 KR 1020140030169 A KR1020140030169 A KR 1020140030169A KR 20140030169 A KR20140030169 A KR 20140030169A KR 101549975 B1 KR101549975 B1 KR 10154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inding
binding port
squid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기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석기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기,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석기
Priority to KR1020140030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4Fish-hooks with special gripping 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01K83/02Expanding fish-hook assemb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어획량 증가가 가능하고 제조원가절감이 가능하도록, 오징어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체와, 강철선을 구부려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바늘을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유인체의 한쪽 끝부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의 낚시바늘과, 탄성을 보유하고 유인체와 낚시바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와, 유인체와 낚시바늘, 완충부재를 결속시키도록 설치되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오징어 낚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징어 낚시 {Squid Fishing Tool}
본 발명은 오징어 낚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 및 구조개선을 통한 어획량 증대 및 제조원가절감이 가능한 오징어 낚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징어는 채낚시를 이용하여 포획하며, 낚싯줄을 이용하여 다수의 오징어 낚시를 순차적으로 길게 연결하여 바다에 투하한 다음 끌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오징어를 낚는다.
한편, 오징어를 낚을 때 낚싯줄을 감고 풀어주는 자동 조산기를 이용하는 경우 통상 낚싯줄에 일정 간격으로 80∼100개 정도의 오징어 낚시를 매어 달아 놓고 낚시를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낚싯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어 단 오징어 낚시는 조류의 흐름과 파도에 의해 흔들거릴 수 있게 함으로서 오징어를 유인하여 포획한다.
종래 오징어 낚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징어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체(2)와, 강철선을 구부려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바늘(3a)을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인체(2)의 한쪽 끝부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낚시바늘(3)과, 상기 유인체(2)와 낚시바늘(3)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4)와, 상기 유인체(2)와 낚시바늘(3), 완충부재(4)를 결속시키도록 설치되는 결속구(5)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구(5)는 상기 낚시바늘(2)이 상기 완충부재(4)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한쪽 끝부분이 서로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외부로 각각 노출된 상태로 상기 유인체(2)와 낚시바늘(3), 완충부재(4)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결속링크(6)와, 상기 결속링크(6)의 외부로 노출된 다른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링(8)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속링크(6)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철선을 "U"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된 몸체(6a)와 상기 몸체(6a)의 양쪽 끝부분을 안쪽으로 굽힘 가공하여 상기 연결링(8)이 연결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고리부(6b)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상기 결속링크(6) 중 상기 낚시바늘(3)의 내부에 위치하는 결속링크(6)의 외측에는 원통 형상의 지지통(7)이 조립된다.
상기 지지통(7)은 여러 개의 낚시바늘(3)이 다단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전후좌우로 유동하지 않고 부동자세가 유지되도록 상기 낚시바늘(3)의 중심부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오징어 낚시는 결속링크(6)와 더불어 지지통(7)을 필요로 하고 결속링크(6)와 지지통(7) 간에 조립공정이 추가되므로, 부품수 및 조립공정의 증가로 인해 제조원가의 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야기한다.
그리고 낚시바늘(3)의 중공 및 지지통(7)의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낚시바늘(3)에 걸린 오징어가 유동시 낚시바늘(3)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인접하는 다른 낚시바늘(3)에 걸린 오징어를 밀어내면서 포획된 오징어가 이탈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오징어 낚시의 결속구(6) 제조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벤딩기 등을 이용한 벤딩공정을 통해 상기 몸체(6a) 및 고리부(6b)를 1차 굽힘 가공한 후 수작업으로 상기 고리부(6b)의 굽힘 각도를 증가시키는 공정을 최종적으로 거쳐야 완성되므로, 제조공정의 증가 및 인력비 증가, 생산성 저하 등으로 인한 제조원가의 절감이 어려운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조감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낚시바늘의 회전 및 유동이 억제되고 부품이 감소하며 간편한 공정으로 제조 가능하므로 오징어의 포획량을 증가시키고 제조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오징어 낚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오징어 낚시는 오징어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체와, 강철선을 구부려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바늘을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인체의 한쪽 끝부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축선상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낚시바늘과, 탄성을 보유하고 상기 유인체와 낚시바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유인체와 낚시바늘, 완충부재를 결속시키도록 설치되는 결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속구는 띠모양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양쪽 끝부분에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을 굽힘 가공하여 "U(유자)"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중심축선상을 따라 다단으로 배치된 상기 낚시바늘의 중심부에 끼워져서 낚시바늘의 부동자세를 유지시키는 제1결속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결속구의 연결구멍에 연결되고 상기 유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결속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속구의 굽힘 가공된 중앙 부분 및 제2결속구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연결고리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결속구에는 굽힘 가공된 중앙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 부분이 서로 평행상태를 유지하도록 양쪽 부분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에 한 쌍의 간격유지돌기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결속구는 강철선을 "U"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쪽 끝부분을 안쪽으로 다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고리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에 의하면, 결속구에 의해 낚시바늘의 회전 및 유동현상이 억제되므로 포획된 오징어의 이탈을 최소화하여 어획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에 의하면, 결속구를 구성하는 부품이 감소하고 부품의 제조가 용이하므로 제조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에 있어서 결속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에 있어서 제1결속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에 있어서 제1결속구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에 있어서 제1결속구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 오징어 낚시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 오징어 낚시에 있어서 결속링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종래 오징어 낚시에 있어서 결속링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측면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 오징어 낚시에 있어서 결속링크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평면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 오징어 낚시의 결속링크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낚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징어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체(10)와, 낚시바늘(20)과, 탄성을 보유하고 상기 유인체(10)와 낚시바늘(2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30)와, 상기 유인체(10)와 낚시바늘(20), 완충부재(30)를 결속시키도록 설치되는 결속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인체(10)는 대략 긴 타원구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인체(10)에는 중심축선상을 따라 중공(12)이 형성된다.
상기 낚시바늘(20)은 강철선을 구부려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바늘(21)을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인체(10)의 한쪽(하부) 끝부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유인체(10)와 동일 중심축선상을 따라 복수개가 다단으로 연이어 설치된다.
상기 낚시바늘(20)의 한쪽 끝부분 둘레에는 원통형의 커버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부재(30)는 고무,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대략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유인체(10)와 낚시바늘(20) 사이 구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되거나 전후좌우로 유연하게 휘었다가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속구(4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결속구(41) 그리고 제2결속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속구(41)는 대략 집게형상으로서, 띠모양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중앙을 굽힘 가공하여 "U(유자)"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낚시바늘(2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22)에 끼워짐에 따라 낚시바늘(20)의 부동자세를 유지시킨다.
상기 제1결속구(41)는 띠모양의 금속판을 중앙(42)을 기준으로 양쪽 부분(43)을 대략 90˚씩 굽힘 가공하여 "U(유자)"형상을 갖도록 반으로 접어서 형성되고 양쪽 끝부분(굽힘 가공된 반대쪽 끝부분)에는 상기 제2결속구(6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멍(4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결속구(41)의 양쪽 부분(43)(수직 부분)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공(22)에 끼워짐에 따라 단면이 대략 "11(십일자)"모양이 되면서 상기 낚시바늘(20)의 중공(22) 내면과 간섭을 일으키며 낚시바늘(20)의 회전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결속구(60)는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결속구(41)의 연결구멍(44)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유인체(10)의 다른쪽 끝부분으로 노출되도록 유인체(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제2결속구(60)는 강철선을 "U"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몸체(61)와 상기 몸체(61)의 양쪽 끝부분을 안쪽으로 다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고리부(6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결속구(41)의 굽힘 가공된 중앙 부분(42) 및 제2결속구(60)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각각 원형의 연결고리(50), (70)가 연결된다.
상기 제1결속구(41)의 굽힘 가공된 중앙 부분(42)에 설치되는 연결고리(50)와 낚시바늘(20) 사이에는 와셔(80)가 더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징어 낚시는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결속구(41)의 양쪽 부분(43) 내면에는 한 쌍의 간격유지돌기(46)가 대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간격유지돌기(46)는 복수의 상기 낚시바늘(20) 중심부에 제1결속구(41)가 삽입된 상태에서 양쪽 부분(43)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고 서로 일정 간격만큼 벌어진 상태를 유지시키므로 복수의 상기 낚시바늘(20)이 조립위치에 상관없이 부동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간격유지돌기(46)는 펀칭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1결속구(41)의 양쪽 부분(43)을 각각 외면쪽에서 내면쪽으로 펀칭하여 내면쪽으로 간격유지돌기(46)를 볼록하게 돌출시켜서 형성한다.
상기 간격유지돌기(46)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결속구(41)의 양쪽 부분(43)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씩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10 : 유도체 12, 22 : 중공
20 : 낚시바늘 21 : 바늘
30 : 완충부재 40 : 결속구
41 : 제1결속구 44 : 연결구멍
46 : 간격유지돌기 50, 70 : 연결고리
60 : 제2결속구 80 : 와셔

Claims (5)

  1. 오징어를 유인하기 위한 유인체와,
    강철선을 구부려 갈고리형상으로 형성한 다수의 바늘을 원주방향으로 방사상으로 배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인체의 한쪽 끝부분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축선상을 따라 다단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낚시바늘과,
    탄성을 보유하고 상기 유인체와 낚시바늘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유인체와 낚시바늘, 완충부재를 결속시키도록 설치되는 결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구는 띠모양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양쪽 끝부분에 연결구멍이 각각 형성된 상태에서 중앙을 굽힘 가공하여 "U(유자)"형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상기 낚시바늘의 중심부에 끼워져서 낚시바늘의 부동자세를 유지시키는 제1결속구와,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결속구의 연결구멍에 연결되고 상기 유인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제2결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속구는 복수의 상기 낚시바늘 중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쪽 부분의 간격이 좁아지지 않고 서로 일정 간격만큼 벌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양쪽 부분 내면에 한 쌍의 간격유지돌기를 대향으로 각각 설치하는 오징어 낚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돌기는 펀칭에 의해 형성하는 오징어 낚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결속구는 강철선을 "U(유자)"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쪽 끝부분을 안쪽으로 다시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는 한 쌍의 고리부로 이루어지는 오징어 낚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구의 굽힘 가공된 중앙 부분 및 제2결속구의 다른쪽 끝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고리를 더 포함하는 오징어 낚시.
KR1020140030169A 2014-03-14 2014-03-14 오징어 낚시 KR10154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69A KR101549975B1 (ko) 2014-03-14 2014-03-14 오징어 낚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0169A KR101549975B1 (ko) 2014-03-14 2014-03-14 오징어 낚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975B1 true KR101549975B1 (ko) 2015-09-03

Family

ID=54247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169A KR101549975B1 (ko) 2014-03-14 2014-03-14 오징어 낚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9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924A (ko) 2022-09-29 2024-04-05 김봉수 두족류 낚시용 채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003Y1 (ko) 2001-03-02 2001-07-03 김석기 오징어 낚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003Y1 (ko) 2001-03-02 2001-07-03 김석기 오징어 낚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4924A (ko) 2022-09-29 2024-04-05 김봉수 두족류 낚시용 채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895913T3 (da) Flettet sutur med modhager
CA2762491A1 (en) Line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CA2906797C (en) Protective device for animal breeding, such as the breeding of fish, mussels or molluscs
KR20210081727A (ko) 줄 꼬임 방지용 낚시채비
KR101549975B1 (ko) 오징어 낚시
PL1812729T3 (pl) Taśma lub pas z osadzonym na jego końcu łącznikiem haczyków drucianych
KR101872513B1 (ko) 다중도래 낚시채비
US20170071175A1 (en) Resin closed eye on a fishing hook
JPWO2013069062A1 (ja) 釣り針用ガード、およびそのガードを取り付けたガード付き釣り針
US8245437B1 (en) Fishing lure
USD759783S1 (en) Hook protection device
JP2008187907A (ja) 疑似餌用スカート及び疑似餌
KR20210034399A (ko) 도래가 조밀하게 배치된 낚시채비
JP3212240U (ja) ルアー用コネクタ及びルアー
KR200471412Y1 (ko) 걸림구가 구비된 낚시바늘
US20080155884A1 (en) Fishing Lure Apparatus and Method
JP2019017296A (ja) 釣り用ルアー
JP6961169B2 (ja) ルアー
USD874085S1 (en) Cross with angled fish swivel ends
USD846060S1 (en) Fishing lure
KR20210152904A (ko) 미끼 모양의 복합 낚시채비
US20190141974A1 (en) Transparent fishing umbrella rig for trolling and casting
CN204599067U (zh) 双层钓鱼线及具有鱼钩之双层钓鱼线
USD901824S1 (en) Cross with rounded fish swivel ends
WO2015085331A1 (en) Fishing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