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738B1 -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 - Google Patents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9738B1 KR101549738B1 KR1020130054076A KR20130054076A KR101549738B1 KR 101549738 B1 KR101549738 B1 KR 101549738B1 KR 1020130054076 A KR1020130054076 A KR 1020130054076A KR 20130054076 A KR20130054076 A KR 20130054076A KR 101549738 B1 KR101549738 B1 KR 1015497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balloon catheter
- stenosis
- balloon
- cathe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는, 단면적이 증가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되는 풍선도자 및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풍선도자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풍선도자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하는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풍선도자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안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은, 상기 도관의 상기 안내부 및 상기 돌출부를 상기 혈관의 제1협착부위와 제2협착부위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풍선도자를 제1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풍선도자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고, 상기 도관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돌출부를 제2협착부위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풍선도자를 제2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를 사용하는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은, 상기 도관의 상기 안내부 및 상기 돌출부를 상기 혈관의 제1협착부위와 제2협착부위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풍선도자를 제1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풍선도자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고, 상기 도관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돌출부를 제2협착부위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풍선도자를 제2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혈관의 협착 부위를 확장시키는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복수의 협착 부위를 일 회의 시술로 확장시킬 수 있는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 에 관한 것이다.
혈관 등 체액이 유동되는 관 형태의 신체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협착이 발생되는 경우에 카테터(CATHETER)라 불리는 시술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테터는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가 존재하며, 협착 부위의 확장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풍선도자가 구비된 풍선 카테터가 많이 사용된다.
특히 신부전증 환자의 경우, 혈액 투석을 통해 체내에 쌓인 독성 물질을 인위적으로 배출시키게 되며, 이때 혈액을 효과적으로 투석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태의 인조 혈관(v)을 설치하여 양단을 각각 동맥 및 정맥에 연결시켜 피부 내측에 심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혈액 투석 과정을 반복하게 될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인조 혈관이 손상되고 협착 부위가 여러 곳에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여 협착 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진다. 이때, 협착 부위의 위치에 따라 시술 방법이 다소 달라지게 된다.
도 1의 경우 인조 혈관(v)의 양측에 협착이 발생한 혈관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 혈관(v)의 양측에 두 군데의 협착 부위(m1, m2)가 발생한 경우, 종래에는 이에 대한 시술을 1회로 단축시키기 위해 도면과 같이 인조 혈관(v)의 절곡된 부분에 풍선 카테터의 도관(10)을 삽입시킨다.
그리고 먼저 일측 협착 부위(m1)에 풍선도자(20)를 위치시킨 뒤 확장하여 시술하고, 이를 다시 풍선 카테터의 삽입위치로 복귀시킨 뒤 타측 협착 부위(m2) 측을 시술하게 된다.
이와 같이 풍선 카테터를 인조 혈관(v)의 절곡된 부분에 삽입하게 될 경우에는 복수 개의 협착 부위가 발생하더라도 일 회의 시술만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협착 부위가 인조 혈관(v)의 절곡된 부분에 발생한 경우, 일 회의 시술만으로는 모든 협착 부위를 시술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조 혈관(v)의 두 군데 협착 부위(n1, n2) 중 타측 협착 부위(n2)가 인조 혈관(v)의 절곡된 부분에 발생하였을 경우, 먼저 도관(10)을 혈관에 삽입하여 풍선도자(20)를 일측 협착 부위(n1)에 위치시키고, 확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타측 협착 부위(n2)를 확장시키기 위해 혈관에 다시 도관(10)을 찔러 넣어 풍선도자(20)를 타측 협착 부위(n2)에 위치시키고, 확장시키게 된다.
즉 종래의 경우 협착 부위가 인조 혈관(v)의 절곡된 부분, 즉 풍선 카테터의 삽입 위치에 인접한 부분에 발생할 경우에는 시술이 2회에 걸쳐 수행되므로 혈관이 쉽게 손상되며, 시술 시간이 매우 길어지게 된다. 또한 이는 의료비의 상승을 초래해 환자에게 큰 부담을 주게 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은 인조 혈관의 절곡부에 협착 부위가 발생하더라도 일 회의 시술만으로 각 협착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는, 단면적이 증가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되는 풍선도자 및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풍선도자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풍선도자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하는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풍선도자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안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조작부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안내부의 후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조작부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안내부의 후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조작부의 전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안내부의 후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영역 및 상기 제2영역은 서로 만곡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은, 상기 도관의 상기 안내부 및 상기 돌출부를 상기 혈관의 제1협착부위와 제2협착부위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풍선도자를 제1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풍선도자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고, 상기 도관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돌출부를 제2협착부위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풍선도자를 제2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은 일 회의 시술만으로 복수의 협착 부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삽입 부위에 인접한 협착 부위도 시술이 가능해 환자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시술 소요시간 및 시술 비용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조작이 간편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사용이 용이하며, 시술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양측에 협착이 발생한 인조 혈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절곡부에 협착이 발생한 인조 혈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풍선 카테터를 협착 부위에 삽입하여 확장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풍선 카테터를 또 다른 협착 부위에 재삽입하여 확장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제1협착부위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팽창시켜 제1협착부위를 확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돌출부 및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제2협착부위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팽창시켜 제2협착부위를 확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절곡부에 협착이 발생한 인조 혈관의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풍선 카테터를 협착 부위에 삽입하여 확장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풍선 카테터를 또 다른 협착 부위에 재삽입하여 확장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제1협착부위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팽창시켜 제1협착부위를 확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돌출부 및 안내부를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제2협착부위에 삽입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팽창시켜 제2협착부위를 확장시킨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100)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100)는 풍선도자(120) 및 도관을 포함한다.
풍선도자(120)는 단면적이 증가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협착 부위의 단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풍선도자(120)의 팽창 및 수축은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풍선도자(120)는 도관 후방에 연결된 별도의 공기주입장치에 의해 단면적이 증가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관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풍선도자(12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풍선도자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관 역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내측에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관 및 시술을 위한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시킬 수 있는 삽입관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도관은 구간 별로 조작부(112), 돌출부(116) 및 안내부(114)를 포함한다.
조작부(112)는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는 별도의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조작부(112)는 시술자가 수동 혹은 자동으로 조작하여 도관의 타 부분들을 시술 부위 내에서 의도대로 조작할 수 있다.
안내부(114)는 도관의 최전방에 위치되며, 풍선도자(120)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안내부(114)의 둘레에 풍선도자(120)의 내측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흡입할 수 있도록 도관 내측의 유동관과 연통된 유동홀이 형성된다.
돌출부(116)는 상기 조작부(112)의 전단, 안내부(114)의 후단에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돌출부(116)는 조작부(112)와 안내부(114) 사이에 위치되며, 도관의 소정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조작부(112) 및 안내부(114)는 돌출부(116)의 형성 위치에 따라 그 길이가 결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돌출부(116)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영역(116a)과, 상기 제1영역(116a)에 연결되며, 상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영역(116b)을 포함한다. 즉 돌출부는 제1영역(116a)과 제2영역(116b)의 연결 부분이 어느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영역(116a) 및 상기 제2영역(116b)은 서로 만곡된 형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시술 시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116)가 형성됨에 따라 인조 혈관의 절곡부에 협착 부위가 발생하더라도 시술자는 일 회의 시술만으로 모든 협착 부위의 시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돌출부(116)와 안내부(114), 돌출부(116)와 조작부(112)는 각각 다양한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안내부(114)와 조작부(112)는 돌출부(116)에 직선 형태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굽혀진 상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 안내부(114)는 돌출부(116)에 직선 형태로 연결되고, 조작부(112)는 돌출부(116)에 굽혀진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안내부(114)와 조작부(112)는 각각 돌출부(116)에 다양한 각도로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사용하여 협착 부위를 시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술이 이루어지는 대상은 신부전증 환자의 인조혈관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부위에 시술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관의 안내부(114) 및 돌출부(116)를 인조혈관(v)의 제1협착부위(n1)와 제2협착부위(n2)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안내부(114)의 전단을 제2협착부위(n2)의 인접한 위치에 찔러 안내부(114), 풍선도자(120) 및 돌출부(116)를 인조혈관(v)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시술자는 조작부(112)를 조작하여 풍선도자(120)를 제1협착부위(n1)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선도자(120)의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 의해 제1협착부위(n1)의 내측 공간이 확장된다.
이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선도자(120)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고, 상기 도관의 조작부(112)를 조작하여 상기 돌출부(116)를 인조 혈관(v)의 절곡부에 형성된 제2협착부위(n2)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시술자는 조작부(112)를 제2협착부위(n2)의 반대 측으로 조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돌출부(116), 안내부(114) 및 풍선도자(120)는 제2협착부위(n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돌출부(116)가 형성됨에 따라 풍선 카테터를 혈관 내측에서 어느 방향으로도 진행시킬 수 있으며, 풍선 카테터의 삽입 위치에 인접한 곳에 발생한 협착 부위도 시술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돌출부(116)가 그 형상에 의해 다른 부분들을 가이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경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풍선도자(120)를 제2협착부위(n2)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돌출부(116)에 의해 풍선도자(120)는 제2협착부위(n2)로 안내되고, 제2협착부위(n2)의 내측 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풍선 카테터는 인조 혈관(v)의 절곡부에 형성된 협착 부위도 일 회의 시술만으로 확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협착 부위를 시술하였으나, 돌출부에 의해 풍선 카테터를 어느 방향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므로 더 많은 개수의 협착 부위는 물론 풍선 카테터의 삽입 위치에 인접한 협착 부위를 시술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여 시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200)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200)는 풍선도자(220), 안내부(214), 제1영역(216a)과 제2영역(216b)을 포함하는 돌출부(216) 및 조작부(216)를 포함한다는 것은 제1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나, 안내부(214)가 돌출부(216)에 연결되는 각도가 제1실시예와 다르다.
즉 제1실시예에서 안내부는 돌출부에 직선 형태로 연결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안내부(214)는 돌출부(216)에 굽혀진 형태로 연결된다. 따라서 안내부(214)와 조작부(216)는 모두 돌출부(216)와 굽혀진 형태로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연결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300)의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풍선 카테터(300) 역시 풍선도자(320), 안내부(314), 제1영역(316a)과 제2영역(316b)을 포함하는 돌출부(316) 및 조작부(316)를 포함한다는 것은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안내부(314)와 조작부(316)가 모두 돌출부(216)에 직선 형태로 연결된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들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은 돌출부가 형성되어 풍선 카테터를 어느 방향으로도 조작할 수 있게 형성되며, 안내부와 조작부는 돌출부에 어느 각도로도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풍선 카테터 112: 조작부
114: 안내부 116: 돌출부
116a: 제1영역 116b: 제2영역
120: 풍선도자 v: 인조 혈관
n1: 제1협착부위 n2: 제2협착부위
114: 안내부 116: 돌출부
116a: 제1영역 116b: 제2영역
120: 풍선도자 v: 인조 혈관
n1: 제1협착부위 n2: 제2협착부위
Claims (7)
- 단면적이 증가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되는 풍선도자; 및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상기 풍선도자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풍선도자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하는 도관;
을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사용자가 조작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전단에 연결되고, 제1방향으로 연장된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U자형으로 연결되는 제2방향으로 연장된 제2영역을 포함하는 돌출부; 및
상기 제2영역에 연결되고, 상기 풍선도자의 내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안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에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풍선도자는 혈관 내에서 돌출부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조작부에 상기 돌출부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상기 풍선도자는 상기 돌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선 카테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조작부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를 가지는 풍선 카테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안내부의 후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를 가지는 풍선 카테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조작부의 전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를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안내부의 후단으로부터 소정 각도 굽혀진 형태를 가지는 풍선 카테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조작부의 전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2영역은 상기 안내부의 후단으로부터 직선 형태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풍선 카테터. - 삭제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풍선 카테터를 사용하는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혈관 협착 부위 시술방법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상기 안내부 및 상기 돌출부를 상기 혈관의 제1협착부위와 제2협착부위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풍선도자를 제1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
상기 풍선도자의 단면적을 축소시키고, 상기 도관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상기 돌출부를 제2협착부위 사이로 통과시키는 단계; 및
상기 풍선도자를 제2협착부위에 위치시키고, 단면적을 확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4076A KR101549738B1 (ko) | 2013-05-14 | 2013-05-14 |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54076A KR101549738B1 (ko) | 2013-05-14 | 2013-05-14 |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4369A KR20140134369A (ko) | 2014-11-24 |
KR101549738B1 true KR101549738B1 (ko) | 2015-09-11 |
Family
ID=5245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54076A KR101549738B1 (ko) | 2013-05-14 | 2013-05-14 |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973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6226A (ja) | 2005-05-30 | 2006-12-07 | Nipro Corp | 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 |
-
2013
- 2013-05-14 KR KR1020130054076A patent/KR1015497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26226A (ja) | 2005-05-30 | 2006-12-07 | Nipro Corp | 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34369A (ko) | 2014-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826065B2 (en) | Infusion catheter and method of use | |
US3635223A (en) | Embolectomy catheter | |
US20220401705A1 (en) | Sheath | |
JP5074502B2 (ja) | 分岐した損傷のための自己拡張型ステントシステム | |
JP2010533052A (ja) | 血管および前立腺の治療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WO2011148626A1 (en) | Catheter apparatus | |
CN108495594A (zh) | 取回系统 | |
JP2017534326A (ja) | 尿管カテーテルの送達のためのカテーテルシステム | |
CN105726098A (zh) | 可双向穿刺的穿刺鞘 | |
KR101534820B1 (ko) | 전립선 비대증 치료용 임플란트 | |
KR101549738B1 (ko) | 돌출부가 형성된 도관이 구비된 풍선 카테터 및 이를 사용한 혈관 협착 부위 확장 시술방법 | |
CN116269637A (zh) | 一种鞘管组件及血管鞘 | |
CN203539386U (zh) | 双腔动脉鞘管 | |
US2016005897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catheter | |
KR101041183B1 (ko) | 스텐트 그래프트 로딩용 시술장치 | |
JP5977291B2 (ja) | 側孔付き導入補助器具 | |
CN203694366U (zh) | 医用导管 | |
CN209809267U (zh) | 主动脉与左侧颈内动脉颅内转流的装置 | |
CN106691649A (zh) | 一种单手操作的编织血管支架输送系统及其使用方法 | |
US10737069B2 (en) | Retro access vascular sheath and related methods | |
US20120029525A1 (en) | Medical device and method for vascular access | |
CN219461305U (zh) | 一种鞘管组件及血管鞘 | |
JP2016116926A (ja) | ダブルルーメンダイレータ | |
JP2017018218A (ja) | 医療用管状体 | |
CN117084837A (zh) | 输送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