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582B1 -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582B1
KR101549582B1 KR1020140094442A KR20140094442A KR101549582B1 KR 101549582 B1 KR101549582 B1 KR 101549582B1 KR 1020140094442 A KR1020140094442 A KR 1020140094442A KR 20140094442 A KR20140094442 A KR 20140094442A KR 101549582 B1 KR101549582 B1 KR 10154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vehicle
fixed
warning
warn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움
Priority to KR102014009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to be attached to overhanging loads or extending parts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고용 문구나 표지가 표시되는 경고시트; 상기 경고시트의 가장자리에 끝단이 착탈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고, 다수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경고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고정대를 상기 차량에 지지되도록 하는 부착유닛;을 포함하도록 한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펼쳐진 경고시트의 설치로 인해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정차된 차량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2차 사고 방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차량에 대한 고정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파손에도 불구하고 응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Attachable emergency signal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정차된 차량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2차 사고 방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도로 및 고속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고장나거나, 긴급 사항으로 인해 주행이 어려운 경우, 2차 사고의 방지를 위해 가급적 차량을 갓길로 이동시켜야 한다. 그런 다음 고장 차량의 비상등을 점멸하고, 고장 차량의 후방에 고장 차량임을 알리기 위한 비상 표시판을 설치하여야 한다.
고장 차량의 후방에 비상 표시판을 설치하는 이유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비상 표시판을 확인하고, 전방의 차량이 고장 등으로 인해 정차해 있음을 확인하여 차량 충돌 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고장 차량용 비상 표시판은 대개 삼각대 형태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삼각대 이외에도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26809호의 "고장차량표시구명튜브"가 있으며, 이는 삼각 원뿔형인 몸체와: 튜브화된 삼각 원뿔 형 상단에 연결된 로프방식과; 정면에 후방 차량이 인지 할 수 있도록 한 삼각형 초 고휘도 반사지와; 이를 보호하는 투명합성수지비닐과; 반사를 보충하는 점멸등과; 풍력(수평 방향의 힘)에 견딜 수 있도록 하부에 몸체의 무게중심이 되도록 한 오뚝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른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08118호의 "비상주차 알림 구조"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차량의 후방을 개폐하는 후방도어의 상단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결합하여 안전표시부를 감아 저장하거나 배출하는 알림부재와; 상기 안전표시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배출고리와; 상기 배출고리와 결합하는 끈의 끝단이 감겨지도록 후방도어의 하방에 형성되는 고정고리판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그 구조 및 크기로 인해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정차된 차량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차량 2차 사고의 방지 효과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정차된 차량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2차 사고 방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경고용 문구나 표지가 표시되는 경고시트; 상기 경고시트의 가장자리에 끝단이 착탈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고, 다수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경고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고정대를 상기 차량에 지지되도록 하는 부착유닛;을 포함하는,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경고시트는,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모서리마다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는 고정팁이 상기 경고시트에서 대각선 방향의 고정홀 각각에 고정되며,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부착유닛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경고시트는, 상기 고정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상기 고정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상기 삽입홀의 테두리에 아일렛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고정팁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휨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팁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가 상기 고정홀 측으로 이동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경고시트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경고시트는, 바람의 저항을 완화시키도록 저항완화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분할되어 서로 간에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대가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트링에 의해 일렬로 배열되도록 연결됨으로써 각각이 지그재그로 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착유닛은, 상기 고정대가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차량에 진공 흡착으로 고정되는 흡착판; 및 상기 흡착판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흡착판의 끝단을 당기도록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흡착판이 마련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회전몸체 각각에 상기 고정대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대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의 외측에 여유를 가지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고정대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정대에서 과도하게 꺾임으로써 파손된 부위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수선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고시트는, 상기 경고용 문구나 표지를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LED;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FPCB; 상기 FPCB를 통해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 의하면, 펼쳐진 경고시트의 설치로 인해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정차된 차량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2차 사고 방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차량에 대한 고정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설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파손에도 불구하고 응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서 경고시트와 고정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서 고정대의 폴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서 분할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의 고정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서 수선파이프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의 경고시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100)는 경고시트(110), 고정대(120) 및 부착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고시트(110)는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한 재질, 예컨대 합성섬유나 천연섬유로 이루어지거나, 고무나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면 또는 양면에 경고용 문구나 표지가 표시되는데,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는 "DANGER"의 경고문구(111)가 표시됨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경고 문구(111)나 경고를 나타내는 위험 내지 긴급의 표지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고정대(120)는 경고시트(110)의 가장자리, 예컨대 모서리에 끝단이 착탈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고, 다수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텐션에 의해 경고시트(11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경고시트(110)는 본 실시례에서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짐을 나타내나, 이에 한하지 않고, 삼각형을 비롯한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경우, 모서리마다 고정홀(113; 도 3에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대(12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는 고정팁(121; 도 3에 도시)이 경고시트(110)에서 대각선 방향의 고정홀(113; 도 3에 도시) 각각에 고정될 수 있으며,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부착유닛(13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경고시트(110)는 고정홀(113)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고정홀(113)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삽입홀(112)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홀(113)과 삽입홀(112)의 테두리에 아일렛(eyelet; 114)이 고정될 수 있다. 아일렛(114)은 고정대(120)에 의해 고정홀(113)과 삽입홀(112) 주위의 경고시트(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대(120)는 고정팁(121)이 삽입홀(112)에 삽입되어, 휨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고정팁(121)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122)가 고정홀(113) 측으로 이동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경고시트(110)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고정대(12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분할되어 서로 간에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대(123)로 이루어지고, 분할대(123)가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트링(125)에 의해 일렬로 배열되도록 연결됨으로써 각각이 지그재그로 폴딩(folding)되도록 한다. 도 5에서는 고정대(120)가 부착유닛(130)을 사이에 두고 그 양단이 지그재그로 폴딩된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에서와 같이, 분할대(123)는 중공으로 이루어져서 내측에 신축이 가능한 탄성스트링(125)이 설치되되, 서로의 마주보는 끝단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삽입부(124)가 다른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길이방향으로의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탄성스트링(125)은 분할대(123) 중에서 양단에 각각 위치하는 분할대(125)에 양쪽 끝단이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부착유닛(130)은 고정대(120)에 고정되어 차량(1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고정대(120)를 차량(10; 도 1에 도시)에 지지되도록 한다. 부착유닛(130)은 차량(10)에서 차체, 윈도우, 램프 커버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위치에 부착되도록 하고, 흡착판에 의한 진공 흡착, 부착젤에 의한 부착, 자석에 의한 자력 부착 등의 방식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며, 차량(10)의 후면은 물론, 필요에 따라 전면이나 측면 등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부착유닛(130)은 예컨대 흡착에 의해 차량(10; 도 1에 도시)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일례로 고정대(120)가 고정되는 몸체(131)와, 몸체(131)에 마련되고, 차량에 진공 흡착으로 고정되는 흡착판(132)과, 흡착판(132)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흡착판(132)의 끝단을 당기도록 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레버(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31)는 고정대(120)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고정대(120)의 개수에 상응하는 개수의 결합홀(131a)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홀(131a)은 본 실시례에서 고정대(120)가 관통함을 나타내나, 고정대(120)가 몸체(131)를 관통하여 그 양단이 경고시트(110)에 고정되는 구성이 아니라, 다른 예로서 몸체(131)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대(120)가 설치됨으로써 고정대(120)의 일단이 몸체(131)에 고정되고, 고정대(120)의 타단이 고정시트(110)에 고정되는 경우, 이러한 고정대(120)의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몸체(131)는 흡착판(132)이 마련되는 고정몸체(131b)와, 고정몸체(13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몸체(131c)를 포함하고, 고정몸체(131b)와 회전몸체(131c) 각각에 결합홀(131a)을 이용하여 고정대(120; 도 2에 도시)가 고정됨으로써 고정몸체(131b)로부터 회전 가능한 회전몸체(131c)에 의해 고정대(120)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대(120)가 폴딩된 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고정대(120) 간의 각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고정몸체(131b)와 회전몸체(131c)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각각에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링형태의 돌기(131d)와 외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링 형태의 돌기(131e) 각각이 서로 물리도록 결합됨으로써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다양한 구조 및 방식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흡착판(132)은 연질의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제작되고, 차량(10; 도 1에 도시)의 부착위치(11), 예컨대 차체, 윈도우, 램프커버 등에 부착되는 압력에 의해 부착위치(11)와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도록 하여 부착되도록 하는데,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단(132a)이 당김레버(133)의 결합축(133a)에 고정된다.
당김레버(133)는 고정축(133a)이 몸체(131), 예컨대 고정몸체(131b)에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홀(131f) 내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몸체(131b)dp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흡착판(132)을 당기도록 고정축(133a)이 슬라이딩홀(131f)을 따라 이동하기 위하여, 일측에 가압부(133b)가 형성된다. 따라서 당김레버(133)는 회전시 가압부(133b)가 고정몸체(131b)에 형성된 지지부(131g)에 지지됨으로써 고정축(133a)이 슬라이딩홀(131f)을 따라 이동하면서 흡착판(132)이 부착위치(11)에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당겨지고, 이로 인해 흡착판(132)과 부착위치(11) 사이의 진공 흡착력을 높이도록 한다. 한편 가압부(133b)는 당김레버(133)가 회전하여 흡착판(132)을 당길 경우, 쉽게 복귀하지 않도록 지지부(131g)에 안정적으로 밀착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당김레버(133)에서 고정축(133a)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1g)는 가압부(133b)에 각각 대응하도록 고정몸체(131b)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200)는 제 1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100)와 동일하되, 경고시트(210)는 바람의 저항을 완화시키도록 저항완화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항완화홀(211)은 일례로 경고시트(210)에서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바람이 경고시트(210)의 중심부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현재의 자세 유지력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저항완화홀(211)은 경고시트(210)에서 중심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에서 수선파이프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는 이전의 실시례들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와 동일하되, 고정대(320)에는 수선파이프(340)가 설치된다.
수선파이프(340)는 고정대(320)의 외측에 여유를 가지도록 삽입되어 고정대(320)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고정대(3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어 고정대(320)에서 과도하게 꺾임으로써 파손된 부위(325)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파손된 부위(325)는 고정대(320)가 꺾임에 의해 외부의 힘에 의하지 않고서는 경고시트(210)를 제대로 고정시키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하고, 외측을 감싸는 수선파이프(340)에 의해 응급 조치가 가능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수선파이프(340)는 일단에 형성되는 암나사부(341)가 고정대(320)의 일단에 형성되는 수나사부(322)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평소 사용시 고정대(320)에 고정되며, 도 11에서와 같이, 고정대(320)의 파손된 부위(325)에 사용시 고정대(320)로부터 나사 결합을 해제하여, 고정대(320)의 파손된 부위(325)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대(320)가 경고시트의 펼쳐짐에 의해 발생되는 텐션에 의해 휘게 되더라도, 적정 범위에서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의 경고시트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례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는 이전의 실시례들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와 동일하되, 경고시트(410)에서 경고용 문구(411)나 표지 등에 상응하게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경고시트(410)는 경고용 문구(411)나 표지를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LED(412)와, LED(41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FPCB(413)와, FPCB(413)를 통해 LED(412)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배터리(414)와, 배터리(414)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FPCB(413)는 다수의 LED(412)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경고시트(410)의 일면에 부착되고, 휨이 가능함으로써 경고시트(410)와 함께 접힘과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한다. 배터리(414)는 경고시트(410)의 일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배터리하우징(416)에 장착될 수 있다. 스위칭부(41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배터리(414)로부터 LED(41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스위칭부(415) 및 배터리하우징(416)은 경고시트(410)를 접는 과정에서 접힘 라인을 벗어나도록 마련됨으로써, 경고시트(410)를 접을 때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운전자가 고정대(120)의 폴딩 및 경고시트(110)의 접힘에 의해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100)를 휴대한 상태에서, 차량에 고장이 발생시 또는 응급 상황으로 인해 정차가 필요한 경우,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고정대(120)를 펼쳐서 고정대(120) 각각의 양단을 경고시트(110) 모서리의 고정홀(113)에 각각 고정시켜서, 경고시트(110)가 펼쳐지도록 한 다음, 부착유닛(130)을 차량의 적정한 위치, 예컨대 전방이나 후방의 차체, 윈도우, 램프커버 등에 부착시킴으로써, 경고시트(110)가 원하는 방향으로 펼쳐진 상태로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펼쳐진 경고시트(110)의 설치로 인해, 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전방에 정차된 차량의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차량의 2차 사고 방지 효과를 높이도록 하고, 부착유닛(130)의 흡착판(132)과 당김레버(133)의 조작에 의해 차량에의 고정력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고정대(120)의 폴딩 구조 및 탄성스트링(125)의 연결 구조, 그리고 회전몸체(131c)에 의한 고정대(120)의 각도 조절 기능으로 인해,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경고시트(210)에 형성된 저항완화홀(211)에 의해 바람의 저항을 줄이도록 하여 안정적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고정대(320)의 파손에도 불구하고 수선파이프(340)에 의한 응급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LED(412)의 발광에 의해 경고 문구(411) 등에 의한 야간 식별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야간에서의 사고 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경고시트 111 : 경고 문구
112 : 삽입홀 113 : 고정홀
114 : 아일렛 120 : 고정대
121 : 고정팁 122 : 목부
123 : 분할대 124 : 삽입부
125 : 탄성스트링 130 : 부착유닛
131 : 몸체 131a : 결합홀
131b : 고정몸체 131c : 회전몸체
131d,131e : 링 형태의 돌기 131f : 슬라이딩홀
131g : 지지부 132 : 흡착판
132a : 고정단 133 : 당김레버
133a : 고정축 133b : 가압부
210 : 경고시트 211 : 저항완화홀
320 : 고정대 321 : 고정단
322 : 수나사부 325 : 파손된 부위
340 : 수선파이프 341 : 암나사부
410 : 경고시트 411 : 경고 문구
412 : LED 413 : FPCB
414 : 배터리 415 : 스위칭부
416 : 배터리하우징

Claims (7)

  1. 경고용 문구나 표지가 표시되는 경고시트;
    상기 경고시트의 가장자리에 끝단이 착탈 가능하게 각각 고정되고, 다수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휨에 대한 복원력을 가짐으로써 상기 경고시트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고정되어 차량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고정대를 상기 차량에 지지되도록 하는 부착유닛;
    상기 고정대의 외측에 여유를 가지도록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고, 상기 고정대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정대에서 과도하게 꺾임으로써 파손된 부위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수선파이프를 포함하는,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시트는,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모서리마다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대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서, 각각의 양단에 마련되는 고정팁이 상기 경고시트에서 대각선 방향의 고정홀 각각에 고정되며, 서로 교차되는 부분에 상기 부착유닛이 고정되는,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경고시트는,
    상기 고정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상기 고정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과 상기 삽입홀의 테두리에 아일렛이 고정되며,
    상기 고정대는,
    상기 고정팁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어, 휨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팁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목부가 상기 고정홀 측으로 이동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경고시트에 고정되는,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시트는,
    바람의 저항을 완화시키도록 저항완화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로 분할되어 서로 간에 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다수의 분할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분할대가 내측에 설치되는 탄성스트링에 의해 일렬로 배열되도록 연결됨으로써 각각이 지그재그로 폴딩되도록 하는,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착유닛은,
    상기 고정대가 고정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차량에 진공 흡착으로 고정되는 흡착판; 및
    상기 흡착판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흡착판의 끝단을 당기도록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당김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흡착판이 마련되는 고정몸체; 및
    상기 고정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몸체와 상기 회전몸체 각각에 상기 고정대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대 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시트는,
    상기 경고용 문구나 표지를 따라 다수로 배열되는 LED;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FPCB;
    상기 FPCB를 통해 상기 LED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KR1020140094442A 2014-07-25 2014-07-25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KR10154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442A KR101549582B1 (ko) 2014-07-25 2014-07-25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442A KR101549582B1 (ko) 2014-07-25 2014-07-25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582B1 true KR101549582B1 (ko) 2015-09-02

Family

ID=5424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442A KR101549582B1 (ko) 2014-07-25 2014-07-25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9197A (en) * 2017-01-31 2018-08-01 Signsafe4U Ltd Method for attaching a road traffic safety sign to a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524B2 (ja) 1998-11-24 2001-01-15 株式会社ニコン 走査露光方法、走査型露光装置、及び素子製造方法
KR100670207B1 (ko) 2005-11-23 2007-01-16 김영광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524B2 (ja) 1998-11-24 2001-01-15 株式会社ニコン 走査露光方法、走査型露光装置、及び素子製造方法
KR100670207B1 (ko) 2005-11-23 2007-01-16 김영광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9197A (en) * 2017-01-31 2018-08-01 Signsafe4U Ltd Method for attaching a road traffic safety sign to a vehicle
GB2559197B (en) * 2017-01-31 2021-10-06 Signsafe4U Ltd Method for attaching a road traffic safety sign to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959B1 (ko)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101519839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101660939B1 (ko) 경광등 겸용 우산형 안전삼각대
KR101549582B1 (ko)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EP2028636B1 (en) Reminding device
KR20120036112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KR20120031663A (ko) 차량용 비상경고등
US20160090034A1 (en) Illuminated Emergency Warning Device
KR101982496B1 (ko) 우산형 안전표시기구
KR20170085669A (ko) 다양한 설치구조와 표시기능을 갖는 차량용 위험 알림장치
KR101646758B1 (ko) 차량 부착용 사고 표시 장치
KR101528744B1 (ko) 비상주차 표시풍선
KR20180031563A (ko) 차량용 자동 펼침 긴급 알림 장치와 그 방법
KR101948087B1 (ko) 차량용 긴급 알림 장치
KR101617397B1 (ko) 휴대용 비상표지판
KR101823654B1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ITMI990807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stradale
KR200473742Y1 (ko) 텐트용 스트링 표시기
KR20040028891A (ko) 휴대용 안전표시형광깃발
CN103453411B (zh) 一种天花灯
CN216040803U (zh) 一种建筑施工智能警示装置
KR20160054378A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CN220416698U (zh) 一种led显示屏控制报警装置
KR200302478Y1 (ko) 릴타입 라인 윙커
KR101743178B1 (ko) 차량 사고 알리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