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207B1 -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 Google Patents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207B1
KR100670207B1 KR1020050112452A KR20050112452A KR100670207B1 KR 100670207 B1 KR100670207 B1 KR 100670207B1 KR 1020050112452 A KR1020050112452 A KR 1020050112452A KR 20050112452 A KR20050112452 A KR 20050112452A KR 100670207 B1 KR100670207 B1 KR 100670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unting member
suction
fixing bol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2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광
Original Assignee
김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광 filed Critical 김영광
Priority to KR1020050112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3Frames or housings to hold sig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47Brackets to grip the sign boar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suspended, e.g. secured to the cei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피장착물에 고정 설치되며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폴대연결구가 형성되고, 고정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볼트관통구멍을 가지는 본체; 상기 피장착물과 밀착하는 흡착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관통구멍에 통과될 수 있는 고정볼트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키는 흡착식장착부재; 일측은 상기 본체의 폴대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은 소정의 거치물이 걸리는 복수개의 폴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볼트관통구멍에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의 상기 고정볼트를 통과시킨 후,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를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에 고정시키는 암나사;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벽면에 탈부착이 용이한 다양한 종류의 선전물 및 현수막 등을 거치할 수 있는 고정식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다.
거치대, 흡착판, 현수막

Description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APPARATUS FOR VACUUM FIXER-TYPE AND STATIONARY HANGER USING THE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의 분해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고정식 거치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1의 Ⅱ-Ⅱ선에 따른 결합단면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에 채용된 폴대의 응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에 채용된 걸이부재의 응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에 채용된 흡착식장착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장착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310:본체
111,311:폴대연결구 112,312:제1볼트관통구멍
113:폴대가이드홀 314,314':돌기
120,120':흡착식장착부재
121,121':흡착면 122,122':고정볼트
130:폴대
131:장착단 132:연결단
140:연결관 150:암나사
460:가압부재
461:제2볼트관통구멍
170,670:걸이부재
171,671:걸림부
본 발명은 고정식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 벽면 또는 유리창을 이용하여 현수막, 포스터 등과 같이 얇고 넓은 거치물을 탈부착이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는 고정식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현수막, 포스터 등은 현대 광고매체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그 용도 또한 다양하여 각 분야에 광고용도로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광고용 현수막은 대부분 천으로 이루어져 광고문구가 인쇄되어 있다.
종래 일반적인 장방형의 현수막은 천 양 끝단에 지지대를 부착한 다음 설치 장소에 로프 등을 이용하여 설치되고 있었기 때문에 설치의 어려움이 있고, 또한 설치 장소의 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30625호(발명의 명칭 : 현수막 거치대, 이하 '인용기술1'이라 한다)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87230호(발명의 명칭 : 현수막 걸이대, 이하 '인용기술2'라 한다)등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술이 제시되어 지고 있다.
상기한 인용기술1에 따른 현수막 거치대는, 현수막을 보다 짧게 구성하고, 이를 별도로 세워 설치할 수 있는 스탠드 타입 현수막 설치대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의 후단부위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대의 단부에 Y자 타입으로 벌어져 설치되며 끝단부위에 현수막의 모서리가 고정되는 복수개의 탄성 폴대 들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탄성 폴대 들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현수막이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기술 1에 따른 스탠드 타입의 현수막 거치대는 탄성 폴대에 거치할 수 있는 현수막 사이즈가 제한되고, 규격화된 현수막만을 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현수막을 거치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그 활용성이 떨어지고, 통상 도로 가장자리 또는 상가 앞에 이동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에 지장을 초래하며,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경우에는 현수막 거치대가 쉽게 넘어져 도로의 미관을 해칠뿐더러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함을 끼친다. 또한 현수막 거치대를 사용 하지 아니할 경우 (유통 또는 보관 시) 베이스, 지지대 및 폴대 등을 분해하여 보관하여야 하는데, 베이스가 크고, 지지대나 폴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지 못하며, 다양한 각도로 현수막을 거치시킬 수는 없고 획일화된 현수막의 거치만이 가능할 뿐이었다.
한편, 인용기술2에 따른 현수막 걸이대는, 피고정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서 돌출된 상태로 위치하여 현수막을 고정 설치 할 수 있는 설치부재와, 현수막이 고정된 고정대의 수나사부가 나사 결합되어 현수막을 다양한 각도로 설치 할 수 있도록, 상기 설치부재에 뚫려지는 다수의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용기술2에 따른 현수막 걸이대는, 항상 피고정물의 저면(하부, 예를 들면 실내공간의 천정이나 간판의 저면)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밖에 없고, 현수막의 끝단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 등에 의해 현수막이 접히거나 흔들림으로써, 실제 광고 등의 목적으로 현수막을 설치하기 위한 거치대로써 상용화되기가 곤란한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87697호(발명의 명칭 : 고정식 거치대, 이하 '인용기술3'이라 한다)를 제시한 바 있다. 인용기술3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본체, 장착부재, 폴대 및 암나사를 포함하여 피장착물에 장착부재를 고정시키고, 본체에 폴대를 결합하여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현수막 등을 걸어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탈부착이 용이하여 공간 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용기술3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의 실시예들을 살펴보면, 장착부재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벽면에 박거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야 하는데, 그에 따라 벽면에 스크류가 박혔던 흠집이 남거나, 접착제의 흔적이 남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착판의 원리를 이용하여 현수막 등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광고물을 천정, 벽면 또는 유리창 등에 보다 견실하고 안정적이며 탈부착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고정식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피장착물에 고정 설치되며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폴대연결구가 형성되고, 고정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볼트관통구멍을 가지는 본체; 상기 피장착물과 밀착하는 흡착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관통구멍에 통과될 수 있는 고정볼트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키는 흡착식장착부재; 일측은 상기 본체의 폴대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은 소정의 거치물이 걸리는 복수개의 폴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볼트관통구멍에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의 상기 고정볼트를 통과시킨 후,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를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에 고정시키는 암나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를 상기 암나사로 조일 시,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돌기가 상기 본체 또는 흡착식장착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흡착식장착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제2볼트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를 조일 시,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흡착식장착부재는, 상기 흡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장착부재는, 피장착물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3볼트관통구멍을 가지는 본체; 상기 피장착물과 밀착하는 흡착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볼트관통구멍에 통과될 수 있는 고정볼트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키는 흡착부재; 상기 본체의 상기 제3볼트관통구멍에 상기 흡착부재의 상기 고정볼트를 통과시킨 후,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를 상기 흡착부재에 고정시키는 암나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를 상기 암나사로 조일 시, 상기 흡착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돌기가 상기 본체 또는 흡착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흡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고정식 거치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1의 Ⅱ-Ⅱ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본체(110), 흡착식장착부재(120), 폴대(130) 및 암나사(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피장착물에 고정 설치되며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폴대연결구(111)가 형성되고, 고정볼트(122)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볼트관통구멍(112)을 가진다. 여기서, 피장착물이란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가 설치되는 벽면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는 대략 원반형상으로 제작 될 수 있다. 폴대연결구(111)들은 폴대(130)들이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인접하는 폴대연결구(111)들 사이가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 될 수 있다.
본체(110)의 대략 중앙부위에는 이후 서술할 흡착식장착부재(120)에 형성된 고정볼트(122)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볼트관통구멍(112)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볼트관통구멍(112)을 통하여 흡착식장착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다.
흡착식장착부재(120)는 피장착물과 밀착하는 흡착면(121)이 일측에 형성되고, 제1볼트관통구멍(112)에 통과될 수 있는 고정볼트(122)가 타측에 형성되어 본체(110)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킨다. 본체(110)의 제1볼트관통구멍(112)에 통과된 고정볼트(122)는 이후 서술할 암나사(150)와 결합됨으로써, 본체(110)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거치물의 각도 조절이 필요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암나사(150)를 풀어 본체(110)를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거치 각도를 사용자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흡착식장착부재(120)를 이용한 고정식거치대가 설치되는 곳은 표면이 매끈한 벽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폴대(130)는, 일측은 본체(110)의 폴대연결구(1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에는 소정의 거치물이 걸린다. 본체(110)의 폴대연결구(111)의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폴대연결구(111)에 삽입되는 폴대(130)의 일측은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수나사로 형성되면, 폴대(130)와 본체(110)를 더욱 효과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폴대(130)에 거치되는 거치물의 하중과, 폴대(130)가 연결되는 폴대연결구(111)가 본체(110)에서 위치하는 각도를 감안하여 본체(110)를 흡착식장착부재(120)에 결합시키면, 폴대연결구(111)에 폴대(130)를 끼워 넣는 것만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각 폴대연결구(111)의 입구 주위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폴대가이드홀(113)이 더 형성되어 각 폴대(130)의 원활한 삽입을 안내할 수도 있다.
한편 폴대(13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5는 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폴대(130)는 일측이 본체(110)의 폴대연결구(111)에 장착되는 장착단(131) 및 장착단(131)의 타측에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단(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장착단(131) 및 하나 이상의 연결단(132)을 각각 연결시키는 연결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에 거치되는 거치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폴대(130)를 장착단(131) 및 다단의 연결단(132)으로 구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폴대(130)는 탄성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치물을 팽팽하게 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폴대(130)의 타측에 결합되어 소정의 거치물을 걸어 고정하는 걸이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폴대(130)의 타측에 거치물을 묶는 등의 방식에 의하여 거치물을 거치시킬 수도 있겠지만, 폴대(130)의 타측에 결합되는 걸이부재(170)를 더 포함함으로써, 걸이부재(170)의 걸림부(171)에 거치물을 보다 더 쉽게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걸이부재(170)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도6은 다수의 걸림부(671)가 형성된 걸이부재(670)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걸림부가 파손되어 그 기능이 상실 되더라도 여분의 걸림부를 이용하여 걸이부재(670)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있는 것이다.
암나사(150)는 본체(110)의 제1볼트관통구멍(112)에 흡착식장착부재(120)의 고정볼트(122)를 통과시킨 후, 본체(1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122)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서 본체(110)를 흡착식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킨다.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피장착물에 흡착식장착부재(120)의 흡착면(121)을 밀착하고, 흡착식장착부재(120)의 대략 중앙부를 눌러 흡착면(121)과 피장착물 사이의 공기를 빼낸다. 흡착식장착부재(120)는 흡착판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흡착면(121)과 피장착물 사이를 진공상태로 만들고, 암나사(150)를 조일수록 흡착면(121)과 피장착물 사이의 진공도가 높아지며, 따라서 흡착식장착부재(120)를 피장착물에 단단히 결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체(110)에 형성된 제1볼트관통구멍(112)에 흡착식장착부재 (120)에 형성된 고정볼트(122)를 끼워 넣은 후 본체(110) 전 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122)의 전단에 암나사(150)를 결합시킴으로써 본체(110)를 흡착식장착부재(120)에 고정시킨다. 그 후, 본체(110)의 폴대연결구(111)에 폴대(130)의 일측(폴대(130)가 다수의 장착단(131) 및 연결단(132)으로 구성되었을 경우 장착단(131)의 일측)을 조립한다. 이때 폴대연결구(111)에 삽입되는 폴대(130)는 거치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수개가 장착되되, 통상 4개의 폴대(130)면 충분하나, 용도에 따라 폴대(130)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본체(110)에 폴대(130)가 안정적으로 조립되면, 거치하고자 하는 거치물, 예를 들면, 현수막의 모서리를 본체(110)에 결합 된 각 폴대(130)들의 타측의 걸이부재(170)의 걸림부(171)에 걸어서 최종적으로 현수막을 거치대에 거치시키는 것이다. 이때, 거치되는 현수막에 의해 폴대(130)들이 탄성적으로 휘면서 현수막을 팽팽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사용예는 그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사용자 임의로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를 암나사(150)로 조일 시, 흡착식장착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돌기가 본체 또는 흡착식장착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도3a은 본체(310)에 돌기(314)가 형성 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3b는 흡착식장착부재(120')에 돌기(314')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이다.
먼저 도3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체(310)는 흡착식장착 부재(120)와 마주하는 측에 돌기(314)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310)에 형성된 돌기(314)는, 본체(310)와 흡착식장착부재(120)를 결합할 시, 즉 본체(3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122)를 암나사(150)로 조일 시, 흡착식장착부재(120)의 가장자리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암나사(150)를 조이면 조일수록 본체(310)에 형성된 돌기(314)에 의해 흡착식장착부재(120)의 가장자리는 피장착물에 더욱 밀착하여 공기가 새어들어 가는 틈이 거의 완벽하게 차단되며, 따라서 흡착식장착부재(120)를 피장착물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 놓을 수 있다. 또한, 돌기는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볼트(122') 및 흡착면(121')이 형성된 흡착식장착부재(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효과는 동일하다. 한편, 암나사(150)를 제한 없이 조이다 보면 흡착식장착부재(120)가 파손될 수도 있으며, 이를 제한하도록 고정볼트(122)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의 형성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으며, 고정볼트(122)의 일 지점에 걸림턱을 형성시켜 걸림턱을 본체(310)에 걸리도록 하여 암나사(150)를 무한히 조이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를 나타낸 도3a는 폴대연결구(311) 및 제1볼트관통구멍(312)이 형성된 본체(310)에 돌기(314)가 더 형성된 것이며, 돌기(31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여 중복된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또한 도3b는 흡착면(121') 및 고정볼트(122')가 형성된 흡착식장착부재(120')에 돌기(314')가 더 형성된 것이며, 돌기(314')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흡착면(721)이 형성되고, 타측에 고 정볼트(722)가 형성된 흡착식장착부재(720)는, 흡착면(7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돌기(7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흡착식장착부재(720)의 가장자리가 찢어지거나 하는 파손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흡착면(721)과 피장착물 사이에 공기가 새어 들어가는 틈을 더욱 완벽히 차단할 수 있다. 도7에 도시된 흡착식장착부재(720)는 흡착식장착부재(72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돌기(714)가 흡착식장착부재(720)에 형성된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3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에 가압부재(460)를 더 포함한 것이다. 가압부재(460)는 본체(110)와 흡착식장착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며, 고정볼트(122)가 관통되는 제2볼트관통구멍(461)이 형성되고, 암나사(150)를 조일 시, 흡착식장착부재(120)의 가장자리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암나사(150)를 조이면 조일수록 가압부재(460)에 의해 흡착식장착부재(120)의 가장자리는 피장착물에 더욱 밀착하여 공기가 새어들어 가는 틈이 거의 완벽하게 차단되며, 따라서 흡착식장착부재(120)를 피장착물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 놓을 수 있다. 즉, 제2실시예의 본체(310)에 형성된 돌기(314)의 역할을 제3실시예에서는 가압부재(460)를 더 포함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에 가압부재(460)를 더 포함한 것으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며, 중복된 설명은 피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는,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것으로, 흡착식장착부재만으로도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도8은 본체(810), 흡착부재(820) 및 암나사(850)를 포함하는 흡착식장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체(810)는 피장착물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볼트(822)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3볼트관통구멍(812)을 가진다.
흡착부재(820)는 피장착물과 밀착하는 흡착면(821)이 일측에 형성되고, 제3볼트관통구멍(812)에 통과될 수 있는 고정볼트(822)가 타측에 형성되어 본체(810)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킨다.
암나사(850)는 본체(810)의 제3볼트관통구멍(812)에 흡착부재(820)의 고정볼트(822)를 통과시킨 후, 본체(8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822)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서 본체(810)를 흡착부재(820)에 고정시킨다.
도8에 도시된 흡착식장착부재는, 본체(810)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고정볼트(822)를 암나사(850)로 조일 시, 흡착부재(820)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돌기(824)가 흡착부재(820)에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돌기(824)는 본체(810)에 형성 될 수도 있다. 또한 도8에 도시된 흡착식장착부재의 본체(810)는 흡착식장착부재에 의해 피장착물에 고정될 수 있는 모든 대상물들을 대표한다.
또한, 흡착부재(820)는, 흡착면(821)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돌기(도8에는 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화 한 일예들에 불과한 것일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져서는 아니 된다. 즉 본 발명은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러한 내용의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는 기술 사상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식 거치대에 의하면 현수막 등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광고물을 천정, 벽면 또는 유리창 등에 흡착판의 원리를 이용하여 보다 견실하고 안정적이며 탈부착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Claims (7)

  1. 피장착물에 고정 설치되며 외면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폴대연결구가 형성되고, 고정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1볼트관통구멍을 가지는 본체;
    상기 피장착물과 밀착하는 흡착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볼트관통구멍에 통과될 수 있는 고정볼트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키는 흡착식장착부재;
    일측은 상기 본체의 폴대연결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타측은 소정의 거치물이 걸리는 복수개의 폴대;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볼트관통구멍에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의 상기 고정볼트를 통과시킨 후,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를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에 고정시키는 암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식장착부재는,
    상기 흡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를 상기 암나사로 조일 시,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돌기가 상기 본체 또는 흡착식장착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거치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흡착식장착부재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볼트가 관통되는 제2볼트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를 조일 시, 상기 흡착식장착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거치대.
  4. 삭제
  5. 피장착물에 고정 설치되며, 고정볼트를 관통시키기 위한 제3볼트관통구멍을 가지는 본체;
    상기 피장착물과 밀착하는 흡착면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볼트관통구멍에 통과될 수 있는 고정볼트가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피장착물에 고정시키는 흡착부재;
    상기 본체의 상기 제3볼트관통구멍에 상기 흡착부재의 상기 고정볼트를 통과시킨 후,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서 상기 본체를 상기 흡착부재에 고정시키는 암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흡착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보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장착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상기 고정볼트를 상기 암나사로 조일 시, 상기 흡착부재의 가장자리를 가압하는 돌기가 상기 본체 또는 흡착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장착부재.
  7. 삭제
KR1020050112452A 2005-11-23 2005-11-23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KR100670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52A KR100670207B1 (ko) 2005-11-23 2005-11-23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2452A KR100670207B1 (ko) 2005-11-23 2005-11-23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207B1 true KR100670207B1 (ko) 2007-01-16

Family

ID=3801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2452A KR100670207B1 (ko) 2005-11-23 2005-11-23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82B1 (ko) 2014-07-25 2015-09-02 주식회사 리움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3919A (ja) * 1999-09-17 2001-03-30 Koshin Kako Kk フラッグポールの吸着盤組立装置
KR100487697B1 (ko) * 2004-08-26 2005-05-10 김영광 고정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3919A (ja) * 1999-09-17 2001-03-30 Koshin Kako Kk フラッグポールの吸着盤組立装置
KR100487697B1 (ko) * 2004-08-26 2005-05-10 김영광 고정식 거치대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4876970000
1308391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582B1 (ko) 2014-07-25 2015-09-02 주식회사 리움 부착식 차량 비상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4749A (en) Adjustable sign holders
US6889458B2 (en) Flexible artwork display system
US7814692B2 (en) Outrigger
KR101144959B1 (ko) 간판용 테두리 마감재
US6802145B2 (en) Hanging sign assembly
US8653364B2 (en) Frame for graphic images
US9683589B2 (en) Shelf display
US20130105642A1 (en) Magnetic apparatus for securing an object and method for magnetically securing an object
KR100670207B1 (ko) 흡착식장착부재 및 흡착식장착부재를 이용한 고정식 거치대
US20080196287A1 (en) Light box display
KR20160044188A (ko) 배너 광고대
KR20060012338A (ko) 상부 구조물에 지탱하여 사용하는 현수막 거치대
KR102275102B1 (ko) 실내 장식물 고정장치
JP2006236126A (ja) 自動販売機用商品広告物支持具
KR200323257Y1 (ko) 광고지 거치대
KR200297373Y1 (ko) 광고용 간판
JP3230173U (ja) 設置具付き装飾・展示用品
KR100367206B1 (ko) 간판
KR200404960Y1 (ko) 광고판 지지대의 각도조절용 받침대 지지판 구조
CN215341836U (zh) 一种pop框发光灯箱
CN213177834U (zh) 一种立体光效景观装置
KR20130059012A (ko) 광고판 고정용 스크류 유닛
JP3020370U (ja) 支持具
KR200187730Y1 (ko) 현수막고정구
JP4629327B2 (ja) 幟旗等の掲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