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502B1 -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502B1
KR101549502B1 KR1020130165687A KR20130165687A KR101549502B1 KR 101549502 B1 KR101549502 B1 KR 101549502B1 KR 1020130165687 A KR1020130165687 A KR 1020130165687A KR 20130165687 A KR20130165687 A KR 20130165687A KR 101549502 B1 KR101549502 B1 KR 10154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ower
platform
central position
low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941A (ko
Inventor
임인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50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8On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을 타워 내부의 중앙 위치에 수직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하기 어려운 타워 내부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수직 고정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APPARATUS FOR EQUIPPING A CABLE OF AN AEROGENERATOR}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을 타워 내부의 중앙 위치에 수직 고정하기 위한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풍력 발전기는 크게 로터, 나셀 및 타워를 포함한다.
로터에는 블레이드가 결합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된다. 로터는 회전축이 결합된 허브가 설치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회전 운동 에너지를 나셀에 전달한다.
나셀은 로터의 회전에 의해 얻어지는 회전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기 위한 각종 부품들을 포함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타워는 지면 또는 해상에 설치되어 로터 및 나셀을 지지한다. 이러한 타워 내부에는 나셀에 의해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케이블이 설치된다.
풍력 발전기용 케이블은 풍력 발전기의 설비 크기에 대응하여 길고 무거우며, 이로 인해 케이블을 타워 내부에서 들어올려 나셀과 연결한 후 타워 내부에 수직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더더욱, 타워 내부로 케이블을 들어올릴 리프트 장비를 진입하는 어렵고, 케이블의 처짐 현상 때문에 케이블의 운송 시 케이블이 손상될 위험 요소 또한 존재한다.
이와 같은 요인들로 인하여, 풍력 발전기용 케이블은 풍력 발전기의 설치 현장에서 작업자가 위험을 감수하고 일일이 타워 내부에 대한 케이블 설비를 수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9850(2011.12.0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을 타워 내부의 중앙 위치에 수직 고정하기 위한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는 상기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상기 타워의 내부에 설비된 와이어 연결 구조로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까지 들어올린 후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설치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치 수단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후 상기 케이블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까지 상기 케이블을 들어올리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와, 상기 다수의 와이어를 이루는 각 와이어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지그와,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에 도달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플랫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와이어는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타워의 내부 천장 면까지 수직 이동한 후 상기 타워의 축을 따라 상기 타워의 외부로 이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와이어를 상기 타워의 외부로 끌어당기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랫폼은 상기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블 가이드부로 상기 케이블이 수용된 이후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는 상기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상기 타워를 굴려서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플랫폼이 구비된 설치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랫폼은 상기 타워의 내부 직경과 대응하고, 상기 타워의 내부 중 아래 벽면에 놓여 져 있던 상기 케이블이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이미 상기 개구 영역 초입에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블의 진입 이후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워의 내부에 설비된 와이어 연결 구조를 지지하면서, 상기 타워를 굴려서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따른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는 상기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제1 플랫폼 위치에서 제2 플랫폼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의 수용을 위한 초기 상태를 완료한 후 상기 타워를 굴려서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까지 상기 케이블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플랫폼이 구비된 설치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플랫폼 위치는 상기 타워의 내부 중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상기 케이블이 상기 플랫폼에 수용되기 전에 대응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 플랫폼 위치는 상기 타워의 내부 중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상기 케이블이 상기 플랫폼의 개구 영역으로 초입될 수 있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을 타워 내부의 중앙 위치에 수직 고정하기 위한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작업하기 어려운 타워 내부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수직 고정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랫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케이블 설치 장치에 의한 설치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의 수직 고정 수단을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직 고정 수단의 구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플랫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플랫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케이블 설치 장치의 다른 동작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 발전기는 로터의 회전에 의해 얻어지는 회전 운동 에너지를 수용하는 나셀(100) 및 타워(200)를 포함하며, 타워(200) 내부에는 나셀(100)에 의해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로 송출하기 위한 케이블(300)이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설치 장치는 타워(200)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케이블(300)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케이블 설치 장치는 타워(200)와,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로 들어올린 후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설치 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설치 수단은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들어올리기 위한 다수의 와이어(600), 타워(200) 내부에서 각 와이어(600)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각 와이어(600) 별로 구비되는 지그(500),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도달한 케이블(300)을 수용하여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의 케이블(300)을 고정하는 다수의 플랫폼(400)을 포함한다.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와이어(600)를 이용하여 들어올릴 경우, 와이어(600)의 이동 방향은 케이블(300)과 연결된 상태에서 타워(200) 내부의 천장 면까지 이동한 후 타워(200) 축을 따라 타워(200) 외부로 이동한다.
즉, 와이어(600)는 타워(200) 외부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전술한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이러한 와이어(600)의 이동을 통해 와이어(600)의 끝단에 연결 중인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케이블 설치 장치는 와이어(600)를 타워(200) 외부로 끌어당기기 위한 구동력을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그(500)는 타워(200) 내부의 천장 면에 설치되어 케이블(300)과 구동 모터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600)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며, 타워(200) 내부의 천장 면에 설비됨으로써 타워(200) 내부의 아래 면에 놓여 져 있는 케이블(300)을 타워(200) 외부의 구동 모터에 의해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케이블(300) 지지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랫폼(4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400)은 워 내 중앙 위치에 도달한 케이블(300)을 수용하여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의 케이블(300)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갖춘다.
즉, 플랫폼(400)은 타워(200) 내부의 아래 면에 놓여 져 있던 상태에서 타워(200) 내 중앙 위치를 향하여 상측 이동하는 케이블(300)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부(410) 및 케이블(300)의 진입 이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도달할 시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의 케이블(300)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부(420)를 포함한다.
케이블 홀더부(420)는 케이블(300)이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 작업자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는 오픈형 구조로 구비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타워(200) 내부의 다수 플랫폼(400)으로 구비된 각 구간별로 와이어(600) 및 지그(500)를 이용한 케이블(300) 이동을 완료하여 케이블(300)이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에서 플랫폼(400)의 홀더 구조를 통해 체결 완료하는 경우, 작업자의 수고를 최소화하면서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부의 중앙 위치로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케이블의 수직 고정 수단을 일 실시예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수직 고정 수단의 구체적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워(200) 내부의 중앙 위치로 케이블(300)을 이동시켜 고정하는 것 외에, 눕혀 진 상태의 타워(200)를 지평선에 수직 하도록 바로 세울 경우 케이블(3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추가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나셀(100)과 타워(200)가 접하는 영역에서 케이블(300)의 수직 고정을 강화하고 케이블(300)의 흘러 내림을 방지하기 이한 케이블(300)의 수직 고정 수단(70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고정 수단(700)은 다수의 고정 부재(720)로 구비되며, 각 고정 부재(720)에는 다른 고정 부재(720)와 맞닿았을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710)을 구비한다.
즉, 수직 고정 수단(700)은 다수의 고정 부재(720) 중간 중간에 구비된 각 결합 홀 내로 케이블(300)이 배치된 후, 헐거워져 있는 상태로 있는 다수의 고정 부재(720)를 압착하여 다수의 고정 부재(720) 사이에 대한 틈새 폭을 줄이고, 다수의 고정 부재(720)에 대한 압착을 완료한 상태를 지속하는 구조를 통해 케이블(300)의 수직 고정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설치 장치는 타워(200)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케이블(300)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타워(200)와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로 이동한 후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에서 고정하기 위한 플랫폼(400-1)을 포함한다.
즉, 플랫폼(400-1)은 타워(200)의 내부 직경과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도 8을 참조로, 플랫폼(400-1)은 타워(200) 내부의 아래 면에 놓여 져 있던 케이블(300)이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기 전에 이미 진입 초입에서 케이블(300)을 수용하고 있는 케이블 가이드부(400-1-1) 및 케이블(300)의 진입 이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도달할 시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의 케이블(300)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부(400-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블 가이드부(400-1-1)의 진입 초입에 놓여 져 있는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은 케이블 가이드부(400-1-1)의 진입 초입에 케이블(300)이 이미 놓여 진 상태에서 눕혀 진 상태의 타워(200) 자체를 굴려서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 가이드부(400-1-1)의 진입 초입에 놓여 져 있던 케이블(300)이 케이블 가이드부(400-1-1)에 형성된 가이드 경로를 따라 중력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워(200) 내 중앙 위치로 도달하는 방식으로 갖춰진다.
또한, 케이블 홀더부(400-1-2)는 케이블(300)이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 작업자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는 오픈형 구조로 구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설치 장치는 타워(200)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케이블(300)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타워(200)와,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을 타워(200) 자체의 회전을 이용하여 타워(200) 내 중앙 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기 위한 설치 수단을 포함한다.
설치 수단은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을 수용하여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의 케이블(300)을 고정하는 다수의 플랫폼(400-2), 각 플랫폼(400-2)의 개구 영역 중 일 측에 형성된 지그(500) 및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과 지그(500) 간을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즉, 상기 설치 수단을 통해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에 대한 와이어 연결을 한 상태에서 눕혀 진 상태의 타워(200) 자체를 굴려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로 이동시킨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플랫폼(400-2)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400-2)은 타워(200)의 내부 직경에 비해 기 정해진 비율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을 상기 설치 수단을 통해 와이어 연결을 한 후 타워(200) 자체의 굴림 이동을 통한 회전으로 플랫폼(400-2)의 개구 영역 초입에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방안이다.
또한, 플랫폼(400-2)은 타워(200) 자체의 굴림 이동을 통한 회전으로 접해지는 케이블(300)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부(400-2-1) 및 케이블(300)의 진입 이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도달할 시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의 케이블(300)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부(400-2-2)를 포함한다.
케이블 홀더부(400-2-2)는 케이블(300)이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 작업자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는 오픈형 구조로 구비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설치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설치 장치는 타워(200)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케이블(300)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로서, 타워(200)와,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이 수용 가능한 정 위치에 있을 경우 제1 플랫폼 위치에서 제2 플랫폼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케이블(300)의 수용을 위한 초기 상태를 완료한 후 타워(200) 자체의 회전을 통해 타워(200) 내 중앙 위치로 케이블(300)이 이동한 상태가 되면 이 상태를 고정하는 플랫폼(400-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플랫폼 위치는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을 수용하기 전 단계의 플랫폼 위치를 일컫는 것이고, 제2 플랫폼 위치는 타워(200) 내부의 아래 벽면에 놓여 진 케이블(300)을 플랫폼(400-3)의 개구 영역 초입에 위치시킨 단계의 플랫폼 위치를 일컫는다.
또한, 도 12를 참조로, 플랫폼(400-3)은 제1 플랫폼 위치에서 제2 플랫폼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위치 가변부, 제2 플랫폼 위치에서 타워(200) 내부의 아래 면에 놓여 져 있던 케이블(300)이 타워(200) 중앙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이미 진입 초입에서 케이블(300)을 수용하고 있는 케이블 가이드부 및 이블의 진입 이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도달할 시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놓여 진 상태의 케이블(300)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부를 포함한다.
케이블 가이드부의 진입 초입에 놓여 져 있는 케이블(300)을 타워(200) 내 중앙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은 제2 플랫폼 위치로 이동한 케이블 가이드부의 진입 초입에 케이블(300)이 이미 놓여 진 상태에서 눕혀 진 상태의 타워(200) 자체를 굴려서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 가이드부의 진입 초입에 놓여 져 있던 케이블(300)이 케이블 가이드부에 형성된 가이드 경로를 따라 중력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워(200) 내 중앙 위치로 도달하는 방식으로 갖춰진다.
또한, 케이블 홀더부는 케이블(300)이 타워(200) 내 중앙 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 작업자에 의해 열고 닫을 수 있는 오픈형 구조로 구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옆으로 눕힌 상태에서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을 타워 내부의 중앙 위치에 수직 고정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나셀 200: 타워
300: 케이블 400, 400-1, 400-2, 400-3: 플랫폼
410, 400-1-1, 400-2-1: 케이블 가이드부
420, 400-1-2, 400-2-2: 케이블 홀더부
500: 지그 600: 와이어
700: 수직 고정 수단 710: 홈
720: 고정 부재

Claims (10)

  1.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상기 타워의 내부에 설비된 와이어 연결 구조로 상기 타워의 내부 아래 벽면에 놓여진 케이블을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까지 들어올린 후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에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설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설치 수단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후 상기 케이블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까지 상기 케이블을 들어올리는 다수의 와이어,
    상기 다수의 와이어를 구성하는 각 와이어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지그, 및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에 도달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플랫폼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와이어는 상기 케이블과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타워의 내부 천장 면까지 수직 이동한 후 상기 타워의 축을 따라 상기 타워의 외부로 이동하는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와이어를 상기 타워의 외부로 끌어당기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은,
    상기 타워의 내부 아래 벽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블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블 가이드부로 상기 케이블이 수용된 이후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홀더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6.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상기 타워를 굴려서 상기 타워의 내부 아래 벽면에 놓여진 케이블을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에 놓여진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플랫폼이 구비된 설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은 상기 타워의 내부 직경과 대응하고,
    상기 타워의 내부 아래 벽면에 놓여진 케이블이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플랫폼의 개구 영역 초입에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블의 진입 이후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홀더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의 내부에 설비된 와이어 연결 구조를 지지하면서, 상기 타워를 굴려서 상기 케이블의 위치를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9.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의 타워를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제1 플랫폼 위치에서 제2 플랫폼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타워의 내부 아래 벽면에 놓여진 케이블의 수용을 위한 초기 상태를 완료한 후 상기 타워를 굴려서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까지 상기 케이블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에 놓여진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플랫폼이 구비된 설치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플랫폼은,
    상기 타워의 내부 아래 벽면에 놓여진 케이블이 상기 타워의 내부 중앙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플랫폼의 개구 영역 초입에서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케이블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블의 진입 이후 상기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홀더부를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랫폼 위치는 상기 타워의 내부 아래 벽면에 놓여진 상기 케이블이 상기 플랫폼에 수용되기 전에 대응하는 위치이고, 상기 제2 플랫폼 위치는 상기 타워의 내부 아래 벽면에 놓여진 상기 케이블이 상기 플랫폼의 개구 영역 초입에서 수용될 수 있는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인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KR1020130165687A 2013-12-27 2013-12-27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KR10154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687A KR101549502B1 (ko) 2013-12-27 2013-12-27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687A KR101549502B1 (ko) 2013-12-27 2013-12-27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941A KR20150076941A (ko) 2015-07-07
KR101549502B1 true KR101549502B1 (ko) 2015-09-03

Family

ID=5378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687A KR101549502B1 (ko) 2013-12-27 2013-12-27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5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549A (ja) * 2005-02-28 2006-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のケーブル敷設方法およびケーブル敷設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風力発電装置
JP2010268595A (ja) 2009-05-14 2010-11-25 Furukawa Denko Sangyo Densen Kk 風力発電装置及び風力発電装置への電力ケーブル布設方法
JP2012076622A (ja) * 2010-10-01 2012-04-19 Daiichi Kensetsu Kiko Co Ltd 甲板昇降式作業台船及び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JP2013508224A (ja) 2009-10-27 2013-03-07 ウィンドフリップ アーエス 部分的に浸水可能な風力タービン輸送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549A (ja) * 2005-02-28 2006-09-14 Mitsubishi Heavy Ind Ltd 風力発電装置のケーブル敷設方法およびケーブル敷設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風力発電装置
JP2010268595A (ja) 2009-05-14 2010-11-25 Furukawa Denko Sangyo Densen Kk 風力発電装置及び風力発電装置への電力ケーブル布設方法
JP2013508224A (ja) 2009-10-27 2013-03-07 ウィンドフリップ アーエス 部分的に浸水可能な風力タービン輸送船
JP2012076622A (ja) * 2010-10-01 2012-04-19 Daiichi Kensetsu Kiko Co Ltd 甲板昇降式作業台船及び洋上風力発電施設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941A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8709B1 (en) Maintenance system for wind turbine equipment
AU2003276272B2 (en) Method for mounting a rotor blade of a wind energy installation without using a crane
US8528735B2 (en) Transport frame for nacelle/rotor hub unit of a wind turbine, method of transporting and mounting a nacelle/rotor hub unit
KR20140002751A (ko) 풍력발전용 터빈 타워의 외측 표면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20130223964A1 (en) Tower-based platform system for lifting components atop a wind turbine tower
JP2006009596A (ja) 変電開閉設備を内蔵した風力発電装置およびその施工方法
EP3168465A1 (en) Method for constructing offshore wind turbine, offshore wind turbine, and offshore wind power generating equipment
US8171614B2 (en) Systems and method of assembling a tower section
WO2014154653A1 (en) Wind turbine tower section, a wind turbine having such tower section and method for forming such tower section
TW202113227A (zh) 風力渦輪機及用於建造渦輪機的方法
CN110168221A (zh) 风力涡轮机的标准化平台布置结构
CN110192025B (zh) 具有线缆支撑结构的风轮机
CN110691905B (zh) 具有拉索的多转子风力涡轮机
KR101549502B1 (ko) 풍력 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장치
KR20120114981A (ko) 이동수단을 구비한 풍력발전기
KR101206248B1 (ko) 풍력발전기의 케이블 설치 방법
EP2865891B1 (en) Equipment lift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and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EP3690235B1 (en) Lifting apparatus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JP7271795B2 (ja) 風車タワーへのケーブルおよび他の構成要素の取り付け
KR101324962B1 (ko) 풍력터빈, 블레이드 설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블레이드 설치방법
CN110637156A (zh) 用于组装风力涡轮机的第一风力涡轮机部件和风力涡轮机的第二风力涡轮机部件的组装系统以及用于通过使用该组装系统来组装风力涡轮机的方法
KR101581771B1 (ko) 풍력발전기의 나셀의 내부 기계 교체 및 보수 시스템
KR102656133B1 (ko) 풍력발전기의 유지보수 장치
CN215564866U (zh) 一种搭载气象监测设备的四角铁塔装置
KR101422749B1 (ko) 풍력 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