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440B1 -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440B1
KR101549440B1 KR1020090029802A KR20090029802A KR101549440B1 KR 101549440 B1 KR101549440 B1 KR 101549440B1 KR 1020090029802 A KR1020090029802 A KR 1020090029802A KR 20090029802 A KR20090029802 A KR 20090029802A KR 101549440 B1 KR101549440 B1 KR 10154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exhaust
exhaust grill
sealing
g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7475A (ko
Inventor
전경희
김탁수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584,224 priority Critical patent/US8187355B2/en
Priority to EP09012808.3A priority patent/EP2189095B1/en
Priority to RU2009138760/12A priority patent/RU2009138760A/ru
Publication of KR20100057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7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유로 상에 설치된 배기그릴; 상기 배기그릴에 장착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배기그릴 및 필터부재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기그릴 및 필터부재 사이를 실링하는 가스켓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29802
진공청소기, 배기그릴, 필터, 실링, 기밀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Filter assembly for vaccum cleaner}
본 발명은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진공청소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최종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포함한 공기를 진공흡입한 후, 먼지백 또는 사이클론 챔버를 통과시켜 공기로부터 큰 먼지를 분리하고, 최종적으로 필터조립체를 거치면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진공청소기 본체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필터조립체는, 통상 진공청소기 본체에 장착되며 다수의 배기구멍을 형성한 배기그릴 및 배기그릴에 삽입되는 필터를 구비하였다. 이 경우 필터와 배기그릴 간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배기그릴과 필터가 상호 접하는 면에 에폭시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해 상호 접착하였다. 이와 함께 별도의 실링재를 사용하여 배기그릴과 진공청소기 본체 간의 기밀을 유지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필터조립체는 접착제를 사용해야 하므로 접착제를 건조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접착제를 배기그릴과 필터 사이 에 도포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으므로 전체적인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더욱이 접착제와 함께 실링재를 동시에 사용해야 했으므로 사용 재료의 증가에 따른 제품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일 가스켓부재를 사용하여 배기그릴과 필터부재, 배기그릴과 진공청소기 본체 간의 2곳의 실링을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고, 아울러 조립 및 필터부재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유로 상에 설치된 배기그릴; 상기 배기그릴에 장착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배기그릴 및 필터부재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기그릴 및 필터부재 사이를 실링하는 가스켓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배기그릴과 상기 배기그릴에 접하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일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강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켓부재 및 실링강화부는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링강화부는 상기 배기그릴 측으로 이동하는 배기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가스켓부재를 상기 배기그릴 및 필터부재 사이로 가압하여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실링강화부는, 상기 가스켓부재 일주변을 따라 연장 형성된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와 상기 가스켓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배기를 수용하기 위한 배기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배기그릴과 진공청소기 본체의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외곽을 따라 부착된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을 덮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배기그릴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배기그릴에 스냅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가스켓부재의 외곽을 따라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기그릴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스냅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배기그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배기그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그릴은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필터부재의 일단부와 밀착되며, 밀착된 상기 배기그릴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홈에 함께 삽입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배기그릴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삽입홈 의 내면 사이에 밀봉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삽입홈 내면 중 적어도 두 면과 접촉되도록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밀봉부재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배기그릴과 상기 배기그릴에 접하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일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강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실링강화부와 반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재는 상기 가스켓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외곽을 따라 부착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프레임부 측면 및 상면을 동시에 실링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진공청소기 외부로 배출되기 전 배출공기를 이용하여 단일의 가스켓부재를 통해 필터조립체 자체는 물론이고 필터조립체 주변 까지 동시에 2곳을 실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그릴에 필터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 사용을 생략할 수 있어, 필터조립체의 조립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사용되는 재료를 줄여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더욱이, 양산 시 필터부재의 프레임부가 다소 비틀어진 상태로 제작되고, 이 필터부재를 배기그릴에 장착하는 경우, 가스켓부재를 통해 2중 실링구조에 의해 배기그릴과 필터부재 간의 기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표시된 Ⅲ방향에서 필터조립체를 바라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필터조립체의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표시된 Ⅴ부분을 확대하여 가스켓부재의 실링강화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제1 실시예의 필터조립체(1)는 배기그릴(10), 필터부재(30) 및 가스켓부재(50)를 포함한다.
배기그릴(10)은 진공청소기 본체(200)로부터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유로 상에 해당하는 소정 위치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배기를 위한 다수의 배기통공(210)이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본체(200)의 일측의 장착부(220)에 설치된다(도 6 참고). 이와 같은 배기그릴(10)은 진공청소기 본체(200)와 마주하는 일측에 필터부재(30)의 삽탈이 가능하도록 개방되고, 타측에는 필터부재(30)를 통과한 공기가 필터조립체(1)로부터 배출되도록 다수의 그릴공(11)이 형성된다.
또한 배기그릴(10)은 가스켓부재(50)가 삽입되는 요홈(16)을 확보하기 위해 개방된 일측의 제1 외곽(13)이 타측의 제2 외곽(15) 보다 돌출 형성된다(도 5 참 고). 배기그릴(10)은 제1 외곽(13) 내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결합홈(17)이 형성되며, 요홈(16)의 일부를 이루는 격벽(18)에는 다수의 고정홈(18a)이 형성된다.
필터부재(30)는 필터(31) 및 프레임부(33)를 포함한다. 필터(31)는 주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배기그릴(10)의 내측에 삽입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한다. 프레임부(33)는 필터(31)의 외곽을 따라 부착되며, 필터(31)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필터부재(30)를 배기그릴(10)에 삽입할 경우, 도 5와 같이, 프레임부(33)는 상단이 배기그릴(10)의 격벽(18) 보다 높고 제1 외곽(13) 보다는 낮은 레벨로 위치한다. 이는 격벽(18)과 단차를 둠으로써 가스켓부재(50) 및 프레임부(33)와 접촉면적을 늘려 기밀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함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가스켓부재(50)는 배기그릴(10) 및 필터부재(3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기그릴(10) 및 필터부재(30) 사이를 실링한다.
가스켓부재(50)는 루프형상으로 형성되며,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스켓부재(50)는 도 5와 같이, 배기그릴(10)의 요홈(16)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51)를 구비하며, 일면에 배기그릴(10)의 격벽(18) 및 프레임부(33)의 일면(33a)에 접촉하는 다단접촉면(53)이 형성된다.
더욱이 가스켓부재(50)는 프레임부(33)의 끝단(33b)을 덮을 수 있도록 다단접촉면(53)에 연장 형성된 돌기부(57)를 포함한다. 이러한 돌기부(57)는 다단접촉면(53)과 함께 프레임부(33)와의 접촉면적을 늘림으로써, 배기그릴(10)의 격벽(18)과 필터부재(30)의 프레임부(33) 간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스켓부재(50)는 삽입부(51)의 반대 측으로 실링강화부(55)를 구비한다. 실링강화부(55)는 가스켓부재(50)의 일주변을 따라 연장 형성된 날개부(55a)와, 날개부(55a) 및 가스켓부재(50)의 사이에 형성되어 진공청소기 본체(200) 내측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중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배기수용홈(55b)을 포함한다.
더욱이 가스켓부재(50)는 배기그릴(10)의 다수의 고정홈(18a)에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돌기(59)를 구비한다. 다수의 고정돌기(59)와 고정홈(18a) 간의 결합을 통해, 가스켓부재(50)는 측면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좀 더 안정적으로 배기그릴(1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가스켓부재(50)는 진공청소기 본체(200)의 배기에 의해 배기그릴(10) 및 필터부재(30) 사이의 기밀은 물론이고, 배기그릴(10)과 진공청소기 본체(200) 간의 기밀을 동시에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6과 같이, 필터조립체(1)가 진공청소기 본체(200)의 장착부(22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기가 이루어지기 전, 실링강화부(55)의 날개부(55a)가 돌기부(57) 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다.
이어서,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면, 진공청소기로 유입된 오물이 포함된 공기가 먼지백(미도시) 또는 사이클론 챔버(미도시)를 통과하면서 큰 먼지와 분리된 후, 도 7과 같이, 진공청소기 본체(200) 내부로부터 필터조립체(1)를 향해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공기는 다수의 배기통공(210)을 통해 필터(31), 배기그릴(10)의 그릴공(1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필터조립체(1)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기통공(210)을 통과한 일부 공기는 실링강화부(55)의 배기수용 홈(55b)으로 유입되면서 배기압력이 가스켓부재(50) 전반에 걸쳐 작용하게 되며 가스켓부재(50)를 배기그릴(10)과 필터부재(30) 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다단접촉면(53) 및 돌기부(57)가 배기그릴(10)의 격벽(18)과 필터부재(30)의 일면(33a) 및 끝단(33b)에 강하게 밀착되면서 배기그릴(10)과 필터부재(30)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날개부(55a)는 배기수용홈(55b)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배기그릴(10)의 제1 외곽(13)의 내측으로 밀려나면서 배기그릴(10)의 제1 외곽(13) 내측면(13a)과 진공청소기 본체(200)의 일부(221)에 밀착됨에 따라 배기그릴(10)과 진공청소기 본체(200) 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필터조립체(1)는 필터부재(30)를 유지보수할 때 가스켓부재(50)를 배기그릴(10)의 반대 측으로 잡아당겨 다수의 결합돌기(58)를 배기그릴(10)의 결합홈(17)으로부터 분리시키면, 간단하게 필터부재(30)를 배기그릴(10)로부터 인출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Ⅸ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11은 가스켓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2 실시예의 필터조립체는(100)는 배기그릴(110), 필터부재(130) 및 가스켓부재(150)를 포함한다.
배기그릴(110)은 제1 실시예의 배기그릴(10)과 마찬가지로 진공청소기 본체(200)로부터 외부로 배기되는 배기유로 상에 해당하는 소정 위치에 분리 가능하 게 장착된다. 이와 같은 배기그릴(110)은 일측에 필터부재(130)가 삽입되는 필터수용부(112)가 형성되고 수용부(112) 내측에는 필터부재(13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12a) 및 지지리브(112b)가 형성된다. 또한 배기그릴(110)은 타측에 필터부재(130)를 통과한 공기가 필터조립체(100)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공(111)이 형성된다. 또한 배기그릴(110)은 가스켓부재(150)가 삽입되는 삽입홈(116)을 확보하기 위해 개방된 일측의 제1 외곽(113)이 타측의 제2 외곽(115) 보다 돌출 형성된다(도 9 참고).
필터부재(130)는 필터(131) 및 프레임부(133)를 포함한다. 필터(131)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주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필터링한다. 프레임부(133)는 필터(131)의 외곽을 따라 부착되며, 필터(131)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은 필터부재(130)는 배기그릴(110)의 필터수용공간(112)에 삽입할 경우, 도 9와 같이, 프레임부(133)는 상단이 배기그릴(110)의 격벽(118)과 동일한 높이로 설정된다. 이는 프레임부(133)의 상단이 후술하는 배기그릴(110)의 격벽(118)과 함께 가스켓부재(150)의 삽입홈(153, 도 11 참고)으로 수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가스켓부재(150)는 배기그릴(110) 및 필터부재(130) 사이를 실링하도록 배기그릴(110) 및 필터부재(130) 사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가스켓부재(150)는 루프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가스켓부재(150)는 배기그릴(110)의 요홈(116)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51)를 구비하며, 삽입부(151) 일측에는 배기그릴(110)의 격벽(118)과 필터부재(130)의 프레임부(133) 상단을 감싸는 결합부(152)가 연장 형성된다.
결합부(152)는 배기그릴(110)과 필터부재(130) 간의 실링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131) 측을 향해 절곡 형성됨에 따라 프레임부(133)의 상단과 배기그릴(110)의 격벽(118)이 삽입되는 삽입홈(153)이 형성된다.
삽입홈(153)은 내측에 제1 내지 제3 밀착면(153a153b,153c)이 형성된다. 제1 밀착면(153a)에는 프레임부(133)의 제1 접촉부(152a)와 격벽(118)의 제3 접촉부(118a)가 동시에 밀착되고, 제2 밀착면(153b)에는 프레임부(133)의 제2 접촉부(152b)가 밀착되며, 제3 밀착면(153c)에는 격벽(118)의 제4 접촉부(118b)가 각각 밀착된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밀착면(153a,153b,153c)과 제1 내지 제4 접촉부(152a,152b;118a,118b) 사이의 실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홈(153)에 액체 또는 반고체인 접착성 물질, PVC 및 고무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소정의 밀봉부재(160)를 배치한 상태에서 프레임부(133)의 상단과 가스켓부재(150)의 격벽(118)을 결합한다. 밀봉부재(160)는 PVC나 강도가 높은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삽입홈(15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굴곡된 형상을 이룬다. 제2 실시예에서는 밀봉부재(160)가 삽입홈(153)의 제1 내지 제3 밀착면(153a,153b,153c)에 모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지만,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내지 제3 밀착면(153a,153b,153c) 중 적어도 어느 2곳의 밀착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부재(150)는 삽입부(151)의 반대 측으로 실링강화부(155)를 구비한다. 실링강화부(155)는 가스켓부재(150)의 일주변을 따라 연장 형성된 날개부(155a)와, 날개부(155a) 및 가스켓부재(150)의 사이에 형성되어 진공청소기 본체 내측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중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배기수용홈(155b)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실링강화부(155)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필터조립체(1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 배기수용홈(155b)로 유입되면서 날개부(155a)가 제1 외곽(113) 측으로 젖혀지면서 제1 외곽(113)의 내측면(113a)에 밀착되면서, 배기가 진행되는 동안 배기그릴(110)과 가스켓부재(150) 사이에 임시적으로 실링이 이루어진다.
한편, 가스켓부재(150)는 외주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기그릴(110)의 결합홈(117)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158)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는 실링강화부(155)를 통해 배기그릴(110)과 가스켓부재(150)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지고 또한, 결합부(152)를 통해 배기그릴(110), 필터부재(130) 및 가스켓부재(150) 사이에서 실링이 이루어짐에 따라, 전체적으로 2중 실링구조를 이룬다.
이에 따라, 양산 시 필터부재(130)의 프레임부(133)가 다소 비틀어지더라도 배기그릴(110)과 필터부재(130) 간의 기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 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표시된 Ⅲ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표시된 Ⅳ-Ⅳ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에 표시된 Ⅴ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표시된 Ⅸ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의 가스켓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00: 필터조립체 10,110: 배기그릴
16,116: 요홈 17,117: 결합홈
30,130: 필터부재 31,131: 필터
33,133: 프레임부 50,150: 가스켓부재
51,151: 삽입부 53: 다단절곡면
152: 결합부 153: 삽입홈
55,155: 실링강화부 55a,155a: 날개부
55b,155b: 배기수용홈 58,158: 결합돌기

Claims (19)

  1. 진공청소기 본체의 배기유로 상에 설치된 배기그릴;
    상기 배기그릴에 장착되는 필터부재; 및,
    상기 배기그릴 및 필터부재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스켓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배기그릴의 일부분 및 상기 배기그릴의 일부분에 인접한 상기 필터부재의 일부분에 동시에 밀착함에 따라 상기 배기그릴 및 상기 필터부재 사이를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배기그릴과 상기 배기그릴에 접하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일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강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재 및 실링강화부는 연질의 고무재 또는 합성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강화부는
    상기 배기그릴 측으로 이동하는 배기를 수용함으로써, 상기 가스켓부재를 상기 배기그릴 및 필터부재 사이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강화부는,
    상기 가스켓부재 일주변을 따라 연장 형성된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와 상기 가스켓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배기를 수용하기 위한 배기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배기그릴과 진공청소기 본체의 사이를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외곽을 따라 부착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의 끝단을 덮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필터부재를 상기 배기그릴에 지지하기 위해 상기 배기그릴에 스냅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돌기는 상기 가스켓부재의 외곽을 따라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기그릴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스냅결합되는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배기그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필터부재 및 상기 배기그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그릴의 적어도 일단부는 상기 필터부재의 일단부와 밀착되며, 밀착된 상기 배기그릴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삽입홈에 함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그릴 및 상기 필터부재의 일단부와 상기 삽입홈의 내면 사이에는 밀봉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상기 삽입홈 내면 중 적어도 두 면과 접촉되도록 굴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접착성을 가지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배기그릴과 상기 배기그릴에 접하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일부 사이를 실링하는 실링강화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상기 실링강화부와 반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그릴은 상기 가스켓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외곽을 따라 부착된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켓부재는 상기 프레임부 측면 및 상면을 동시에 실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필터조립체.
KR1020090029802A 2008-11-21 2009-04-07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 KR101549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84,224 US8187355B2 (en) 2008-11-21 2009-09-02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EP09012808.3A EP2189095B1 (en) 2008-11-21 2009-10-09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RU2009138760/12A RU2009138760A (ru) 2008-11-21 2009-10-20 Фильтр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ылесос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6394 2008-11-21
KR1020080116394 2008-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75A KR20100057475A (ko) 2010-05-31
KR101549440B1 true KR101549440B1 (ko) 2015-09-03

Family

ID=4228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9802A KR101549440B1 (ko) 2008-11-21 2009-04-07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9440B1 (ko)
RU (1) RU20091387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12A1 (en) * 2019-12-23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05B1 (ko) 2003-02-21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05B1 (ko) 2003-02-21 2005-04-28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집진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3012A1 (en) * 2019-12-23 2021-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11904266B2 (en) 2019-12-23 2024-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assembly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7475A (ko) 2010-05-31
RU2009138760A (ru)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7355B2 (en) Filter assembly for vacuum cleaner
US8094853B2 (en) Speaker system and fitting device
EP2241760B1 (en) Fan motor casing
KR101549440B1 (ko) 진공청소기용 필터조립체
CN216122656U (zh) 显示装置
JP5426557B2 (ja) 2つの中空セクション部品端接続用コネクタ
KR100861241B1 (ko) 편차극복 및 기밀유지수단을 갖는 용기뚜껑
KR200479274Y1 (ko) 진공팩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10151166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어셈블리
KR20040056525A (ko) 송풍 진공청소기
US6862773B2 (en) Dust cover seal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200427792Y1 (ko) 압축 비닐팩용 밸브
US20130228982A1 (en) Sealing structure for compressor
EP2025276A3 (de) Staubsauger mit einem darin angeordneten Filterbeutel sowie Filterbeutel hierzu
JP6542820B2 (ja) 車両用のヘルムホルツ型吸音構造
KR200287457Y1 (ko) 패킹의 장착 수단을 개선한 용기 뚜껑
CN212616375U (zh) 真空气阀
US20030177604A1 (en) Discharging duct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KR20030032492A (ko) 진공청소기 본체
KR100409127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실 밀폐구조
CN111425611A (zh) 真空气阀
JP3026072B2 (ja) 電気掃除機
CN118145088A (zh) 一种真空盖及真空包装机
CN110014449A (zh) 一种双层式海绵真空吸盘
KR200310232Y1 (ko) 송풍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