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232B1 -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232B1
KR101549232B1 KR1020140085431A KR20140085431A KR101549232B1 KR 101549232 B1 KR101549232 B1 KR 101549232B1 KR 1020140085431 A KR1020140085431 A KR 1020140085431A KR 20140085431 A KR20140085431 A KR 20140085431A KR 101549232 B1 KR101549232 B1 KR 101549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igment
fabric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순필
Original Assignee
센스메이드텍스타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스메이드텍스타일(주) filed Critical 센스메이드텍스타일(주)
Priority to KR1020140085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8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reactive dyes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자외선 감응안료를 포함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공지된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로서 옐로우ㆍ오렌지ㆍ레드ㆍ바이올렛ㆍ블루ㆍ그린 중 하나의 피그먼트 50-60중량%, 바인더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40중량%, 용제로서 톨루엔 또는 메칠에틸케톤 10-20중량%로 이루어진 피그먼트 혼합물과;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폴리우레탄 30-50중량부; 고착제로서 알키드수지ㆍ폴리부타디엔수지ㆍ실리케이트수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합물 60-80중량부; 분산제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5-10중량부; 소포제로서 스테아린산프로판올아미드 2-4중량부; 투습방수제로서 디-라우릴 설파이드 2-4중량부; 금속산화물로서 ZnO 또는 MgO 중 하나를 1-2중량부; 광경화제로서 폴리아미드아크릴레이트 10-20중량부; 항균제로서 인산지르코늄 5-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조나 편조방식으로 구현하지 않고 단지 코팅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자외선 감응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편리하고 생산성이 높으며, 고착력이 우수하여 쉽게 탈거되지 않고, 다양한 변색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 미감 창출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Ultraviolet embossed fabric for discolora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의 특정 부분을 자외선 감응안료로 나염한 다음 그 부분을 돌출되게 하여 입체감이 향상되고 자외선 노출시 변색되게 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특정 부분이 일정 조건에서 감응하여 색깔이 변하게 함으로써 다양하면서도 독특한 디자인성을 갖도록 하여 여러가지 안료들이 개시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로, 등록특허 제1009051호에는 시온안료 혹은 시온잉크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특정 범위의 온도에서 감응하여 색깔이 변하게 함으로써 색상 구분을 통해 무엇인가를 표출하거나 표시하도록 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데, 이를 테면 장난감, 팬시용품 등에서 미감 향상을 위해 사용되거나 혹은 프라이팬, 드라이기 등에서 특정 온도에 이르면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도 활용되고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제0939303호, 공개특허 제2014-0073159호에는 자외선에 감응하는 직물을 개시하여, 이를 통해 팬시용품에 특정형상을 자외선에 감응하는 실로 짜서 심미감이 표출되도록 제조할 수도 있고, 혹은 의복을 만들되 특정 문양이 자외선에 감응케 하여 변색되게 함으로써 독특하고 신비로운 느낌을 주도록 제조할 수도 있다.
그런데, 개시된 예들은 감응사를 응용하여 특정 모양이나 형상을 갖도록 구현한 예들에 관한 것이고, 감응할 수 있는 안료, 특히 자외선 감응안료에 관한 구체적인 조성은 나타나 있지 않다,
나아가, 개시된 감응사들은 반응성이 늦어 변색성이 떨어지고, 직물로 만들기 위해서는 직조 등 여러가지 불편함 때문에 원하는 형태로 자유롭게 만들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자외선 감응력이 우수하여 변색성이 좋고, 고착성이 높아 쉽게 탈거되지 않으면서 입체적 표현이 가능하여 미감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직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자외선 감응안료를 포함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공지된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로서 옐로우ㆍ오렌지ㆍ레드ㆍ바이올렛ㆍ블루ㆍ그린 중 하나의 피그먼트 50-60중량%, 바인더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40중량%, 용제로서 톨루엔 또는 메칠에틸케톤 10-20중량%로 이루어진 피그먼트 혼합물과;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폴리우레탄 30-50중량부; 고착제로서 알키드수지ㆍ폴리부타디엔수지ㆍ실리케이트수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합물 60-80중량부; 분산제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5-10중량부; 소포제로서 스테아린산프로판올아미드 2-4중량부; 투습방수제로서 디-라우릴 설파이드 2-4중량부; 금속산화물로서 ZnO 또는 MgO 중 하나를 1-2중량부; 광경화제로서 폴리아미드아크릴레이트 10-20중량부; 항균제로서 인산지르코늄 5-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온안정제로 0.1-0.5㎛의 입도를 갖는 이트리안 분말을 2-4중량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약품성 및 표면광택성 향상을 위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우레탄바니쉬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0.5-1.5중량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양각롤러와 제1실리콘롤러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사이로 직물을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양각롤러에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를 묻혀 상기 직물 표면에 나염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가 나염된 직물을 건조기에 통과시켜 자외선 감응안료를 건조 고착시키는 단계;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가 건조 고착된 직물을 음각롤러와 제2실리콘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엠보부를 형성하여 직물 표면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제조방법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조나 편조방식으로 구현하지 않고 단지 코팅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자외선 감응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어 편리하고 생산성이 높으며, 고착력이 우수하여 쉽게 탈거되지 않고, 다양한 변색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 미감 창출에 기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감응안료의 도포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제조예를 보인 예시적인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은 기존의 자외선 감응사를 직조하거나 편조하여 형성하던 방식과 완전히 다른 단순 도포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사항은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을 제조할 때 자외선에 감응하는 실, 즉 감응사를 사용하지 않고 자외선 감응안료를 구성하여 이를 도포함으로써 특정 무늬나 문양, 글씨 등을 형성하도록 한 것에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자외선 감응안료가 입체감을 갖도록 표현됨으로써 미감을 더욱 더 향상시키고, 독특한 디자인을 현출시킴으로써 독창적인 직물 디자인이 가능토록 하여 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직물(100)의 표면에 자외선 감응안료(200)가 도포된 후 고착되며, 그 상태에서 엠보처리됨으로써 엠보싱이 형성되어 입체감을 갖는 자외선 변색부위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자외선 감응안료(200)가 직물(100) 표면에 단순히 도포되고, 그 상태로 완전히 굳혀져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고착되며, 고착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정, 즉 양각롤러(R1)와 음각롤러(R2)를 통과하면서 엠보싱처리되어 독특한 문양의 입체감을 갖는 직물로 제조되게 된다.
이때, 직물(100)은 양각롤러(R1)와 제1실리콘롤러(S1) 사이를 통과한 다음 건조기(300)에서 건조되고, 이어 다시 음각롤러(R2)와 제2실리콘롤러(S2)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외선 감응안료(200)가 도포된 부위만이 엠보싱처리되며, 이를 통헤 엠보부가 형성되어 입체감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자외선 감응안료(200)는 직물(100) 표면에 나염되는데, 나염이란 안료를 이용하여 물들이는 것을 통칭하는 용어이며, 본 발명에서는 도포되는 것이지만 사실상 포괄적인 개념인 나염에 포함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감응안료(200)가 매우 중요한데,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200)는 다음과 같이 조성된다.
즉, 자외선 감응안료는, 공지된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로서, 옐로우ㆍ오렌지ㆍ레드ㆍ바이올렛ㆍ블루ㆍ그린 중 하나의 피그먼트 50-60중량%, 바인더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40중량%, 용제로서 톨루엔 또는 메칠에틸케톤 10-20중량%로 이루어진 피그먼트 혼합물과;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폴리우레탄 30-50중량부; 고착제로서 알키드수지ㆍ폴리부타디엔수지ㆍ실리케이트수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합물 60-80중량부; 분산제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5-10중량부; 소포제로서 스테아린산프로판올아미드 2-4중량부; 투습방수제로서 디-라우릴 설파이드 2-4중량부; 금속산화물로서 ZnO 또는 MgO 중 하나를 1-2중량부; 광경화제로서 폴리아미드아크릴레이트 10-20중량부; 항균제로서 인산지르코늄 5-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온안정제로 0.1-0.5㎛의 입도를 갖는 이트리안 분말을 2-4중량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이트리아 분말은 고온에서의 열간 안정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성도 매우 낮아 열충격에 강하다. 때문에, 건조 과정에서 직물과 자외선 감응안료를 열로부터 보호하여 변형을 방지하게 되는데, 과량 첨가하게 되면 감응안료의 직물상 고착력을 떨어뜨리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 첨가해야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약품성 및 표면광택성 향상을 위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우레탄바니쉬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0.5-1.5중량부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는 표면 광택성을 높이고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나 유해물질이므로 최소한 작게 첨가되어야 하며, 우레탄바니쉬는 우레탄 변성 알키드를 주성분으로 한 일종의 도료로서 부착력, 고착력을 증대시키고 내수성 및 내약품성이 우수하므로 직물을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는데, 과량 첨가시 점도를 증가시켜 혼합성을 떨어뜨리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 첨가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성분들의 수치한정 사유와 첨가이유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주 성분인 피그먼트 혼합물을 구성하는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의 물질로서, 등록특허 제1064642호를 참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때문에,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성분 조성은 생략하며, 다만 분류된 것들 중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것들만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피그먼트 옐로우의 경우에는 1, 3, 42, 74, 83, 106, 108, 117, 126, 139, 185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피그먼트 오렌지의 경우에는 5, 67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피그먼트 레드의 경우에는 3, 48:1, 48:4, 101, 112, 123, 169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피그먼트 바이올렛의 경우에는 23, 27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피그먼트 블루의 경우에는 1, 15:1, 15:3, 61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고; 피그먼트 그린의 경우에는 7, 36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는 50-60중량% 첨가되어야 하는데, 5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변색 특성이 떨어지고, 60중량%를 초과하면 분산성이 떨어져 뭉침현상이 나타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그리고, 바인더는 상기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가 다른 성분들과의 원활하고 용이한 분산성 및 결합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40중량를 사용해야 한다.
이때,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이유는 결합성도 좋지만, 내마찰성과 내굴곡특성이 있어 직물을 표면을 변형시키지 않으면서 도포된 자외선 감응안료가 제 형태를 갖도록 유지하는 보지력을 갖추기 위함이다.
때문에, 30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결합성은 물론 내마찰성과 보지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점도를 높여 혼합성을 저해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아울러, 용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용도 그대로이므로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주 성분인 피그먼트 혼합물을 기준으로 100중량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첨가되는 상대적 첨가물로서 폴리우레탄은 가교제로 사용된다.
상기 폴리우레탄은 도포 후 건조되는 과정에서 직물의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감응안료를 고착되게 하는 가교기능을 수행하는데, 반응성과 가교성이 가장 바람직한 범위이므로 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우레탄을 30-50중량부 첨가해야 하는데, 50중량부를 초과하면 분산성이 떨어지고, 30중량부에 미달하면 가교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해야 한다.
또한, 알키드수지ㆍ폴리부타디엔수지ㆍ실리케이트수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합물 60-80중량부는 고착제로 사용되는데, 직물 표면에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감응완료가 완전히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여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용도이다.
이는 가교제인 상기 폴리우레탄과 상보적 관계를 유지하는데, 폴리우레탄은 응집성 가교기능이 있기 때문에 과량 첨가되면 고르고 균일한 도포형성을 저해하지만, 상기 고착제는 응집성은 낮고 부착력을 우수하므로 고착성 확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상기 고착제는 가교제인 폴리우레탄 보다 많이 첨가되어야 하며, 바람직한 비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아울러, 폴리프로필렌글리콜 5-10중량부는 분산제로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물의 균일한 분산성을 유도하고, 나아가 젖음성, 레벨링성, 침강방지성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선택적으로 첨가되어야 한다.
다만, 5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되면 분산성이 급격히 떨어지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고착력을 방해하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 첨가되어야 한다.
또한, 스테아린산프로판올아미드 2-4중량부는 소포제로 첨가되는 것으로, 혼합 후 건조과정에서 열을 받을 때 기포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스테아린산프로판올아미드는 과량 첨가되면 점도를 증대시켜 혼합물 형성 후 도포시 불리하며, 소량 첨가되면 소포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디-라우릴 설파이드 2-4중량부는 투습방수제로 첨가되는 것으로서, 예시와 같이 소량 첨가되어야 하며, 이는 적절한 투습력과 방수성을 함께 갖추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ZnO 또는 MgO 중 하나를 1-2중량부 첨가하는 것은 촉매 기능과 알카리성 유지를 위한 것이다.
또한, 폴리아미드아크릴레이트 10-20중량부는 광경화제로 첨가되는 것으로, 자외선에 의해 경화도막을 형성하도록 반응을 유도하여 안정적인 도막 형성이 되도록 첨가되는 성분이다.
이러한 광경화제는 10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광경화 속도가 현저히 느려져 생산속도를 떨어뜨리고, 2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도막에 크랙이 발생하고 내충격성을 떨어뜨리므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인산지르코늄 5-10중량부는 무기계 항균제로서,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는 작용인 정균작용을 통해 번식을 막아 항균기능을 수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직물 표면에서 도막 주변에 생기는 균 번식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과량 첨가된다고 해서 나쁠 것은 없지만 점성 측면과 혼합성, 분산성을 고려하여 상기 범위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술한 성분들 중에서 분말은 모두 0.1-0.5㎛의 입도를 갖도록 유지해야 하는데, 이는 분산성을 극대화시키고 반응성을 증대시켜 고르고 균일한 도포면, 즉 도막 형성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으로 이루어진 자외선 감응안료를 이용하여 엠보직물을 제조할 수 있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먼저 양각롤러(R1)와 제1실리콘롤러(S1)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사이로 직물(100)을 통과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어, 상기 양각롤러(R1)에 상술한 자외선 감응안료(200)를 묻혀 상기 직물(100) 표면에 나염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런 다음,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200)가 나염된 직물(100)을 건조기(300)에 통과시켜 자외선 감응안료(200)를 건조 고착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렇게 하여, 건조가 완료되면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200)가 건조 고착된 직물(100)을 음각롤러(R2)와 제2실리콘롤러(S2) 사이로 통과시켜 엠보싱을 형성하여 직물(100) 표면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되면 본 발명이 목적하는 입체감을 갖는 자외선 감응형 엠보직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도포형 자외선 감응안료를 사용하였을 때 기존 감응사로 직조 혹은 편조하여 형성한 예와 동일하게 자외선에 감응하여 변색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으며, 또한 도포된 도막이 감응사로 직조나 편조한 예에 버금가는 부착력, 즉 고착력을 유지하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조성물 범주 내에서 자외선 감응안료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고, 이를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샘플을 제조하였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서 사용된 자외선 감응안료는 피그먼트 옐로우 74를 54중량%,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2중량%, 메칠에틸케톤 14중량%로 혼합한 피그먼트 혼합물과;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우레탄 45중량부; 폴리부타디엔수지 70중량부; 폴리프로필렌글리콜 7중량부; 스테아린산프로판올아미드 4중량부; 디-라우릴 설파이드 3중량부; ZnO 1중량부; 폴리아미드아크릴레이트 13중량부; 인산지르코늄 8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샘플에 자외선 감응안료가 충분히 건조된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변색되는지 확인한 결과, 자외선 조사 후 3초가 지난 시점부터 변색이 발생하였다. 이로써, 변색 가능성을 명확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막의 부착력, 즉 고착성을 확인키 위해 샘플 도막을 90°각으로 박리시키면서 강도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부착력(N/㎟)은 0.18로서 요구수준의 부착강도(부착력) 0.12N/㎟을 상회하는 결과로서, 우수한 고착력을 확보하고 있어 직조나 편조하지 않고도 도막을 통해서도 자외선 감응에 따른 변색성 직물을 구현할 수 있음을 최종 확인하였다.
100: 직물 200: 자외선 감응안료
300: 건조기

Claims (4)

  1. 직물의 표면에 도포되는 자외선 감응안료를 포함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공지된 자외선 감응 피그먼트로서 옐로우ㆍ오렌지ㆍ레드ㆍ바이올렛ㆍ블루ㆍ그린 중 하나의 피그먼트 50-60중량%, 바인더로서 폴리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40중량%, 용제로서 톨루엔 또는 메칠에틸케톤 10-20중량%로 이루어진 피그먼트 혼합물과;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제로서 폴리우레탄 30-50중량부;
    고착제로서 알키드수지ㆍ폴리부타디엔수지ㆍ실리케이트수지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합물 60-80중량부;
    분산제로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5-10중량부;
    소포제로서 스테아린산프로판올아미드 2-4중량부;
    투습방수제로서 디-라우릴 설파이드 2-4중량부;
    금속산화물로서 ZnO 또는 MgO 중 하나를 1-2중량부;
    광경화제로서 폴리아미드아크릴레이트 10-20중량부;
    항균제로서 인산지르코늄 5-10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고온안정제로 0.1-0.5㎛의 입도를 갖는 이트리안 분말을 2-4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는, 상기 피그먼트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내약품성 및 표면광택성 향상을 위해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와 우레탄바니쉬를 1:2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0.5-1.5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4.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양각롤러와 제1실리콘롤러가 서로 맞물려 돌아가는 사이로 직물을 통과시키는 단계;
    상기 양각롤러에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개시된 자외선 감응안료를 묻혀 상기 직물 표면에 나염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가 나염된 직물을 건조기에 통과시켜 자외선 감응안료를 건조 고착시키는 단계;
    상기 자외선 감응안료가 건조 고착된 직물을 음각롤러와 제2실리콘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엠보부를 형성하여 직물 표면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제조방법.
KR1020140085431A 2014-07-08 2014-07-08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49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431A KR101549232B1 (ko) 2014-07-08 2014-07-08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431A KR101549232B1 (ko) 2014-07-08 2014-07-08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232B1 true KR101549232B1 (ko) 2015-09-02

Family

ID=5424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431A KR101549232B1 (ko) 2014-07-08 2014-07-08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2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37B1 (ko) 2009-07-08 2010-04-29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광감응 직물재료 및 그 제조용 광감응 접착필름과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237B1 (ko) 2009-07-08 2010-04-29 주식회사 비 에스 지 광감응 직물재료 및 그 제조용 광감응 접착필름과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07573B (zh) 一种紫外线变色印花织物的制备方法
JP2017062271A (ja) コア−シェル粒子を含む膜及び物品
CN108468235B (zh) 一种长耐候微胶囊化光致变色粉及其制备方法
JPS6048169A (ja) 植毛処理方法
WO2001027220A1 (fr) Procede de production d'un pigment lumineux resistant a l'eau
KR101061478B1 (ko) 입체적 무늬가 형성된 자동차 시트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CN107629612A (zh) 一种绿色生态湿敏变色功能型干粉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549232B1 (ko) 자외선 변색이 가능한 엠보직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587358A (zh) 一种磨砂绒感呼吸革制造方法
CA1179466A (en) Method of manufacturing luminous textiles
EP1254985B1 (en) Water-discoloring printed matter and water-discoloring toy employing the same
KR101771328B1 (ko) 감온변색 디자인 전사물 제조방법
KR101190084B1 (ko) 온도에 따라 변색하는 피혁의 제조방법
CN204738168U (zh) 紫外线感光变色印花防晒布料
KR20110009309A (ko) 감온 염료 날염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17520A (zh) 一种布带丝网印刷tpu图案的拉链及其制作方法
KR20090022411A (ko) 광변색 잉크수지를 이용한 날염방식에 따른 광변색 섬유제조방법
CN107761415A (zh) 一种纺织用染色剂
KR101401629B1 (ko) 기능성 변색 의류 및 그 제조방법
CN101250839A (zh) 温变艺术充皮纸的生产方法
KR20010045214A (ko) 광호변성 의류 코팅재
CN104775313B (zh) 一种兼具隐形防伪与单向湿传导功能的纺织品及其制备方法
KR20130008904A (ko) 내구성이 향상된 시광원단
KR20130008905A (ko) 내구성이 향상된 시온원단
CN104452350A (zh) 一种光致变色服装面料的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