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34B1 -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34B1
KR101549134B1 KR1020120153700A KR20120153700A KR101549134B1 KR 101549134 B1 KR101549134 B1 KR 101549134B1 KR 1020120153700 A KR1020120153700 A KR 1020120153700A KR 20120153700 A KR20120153700 A KR 20120153700A KR 101549134 B1 KR101549134 B1 KR 101549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model
model review
result
re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3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3669A (ko
Inventor
윤재로
안재순
박수일
안호상
조승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3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3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3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3/00Control of nuclear power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는 간섭결과가 추출된 플랜트의 컴포넌트에 대해 설계분야별, 키별 및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간섭결과를 분석하는 간섭결과 분석부; 상기 간섭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컴포넌트에 대한 모델검토사항을 생성 및 수정하는 모델검토사항 생성부; 및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상기 모델검토사항과 대응하는 담당부서로 통보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조회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하는 모델검토사항 관리부; 상기 간섭결과, 상기 모델검토사항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agement of interference result for Model Review}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 등의 플랜트에 대해 3차원 모델을 이용한 설계검토 결과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플랜트의 각 컴포넌트에 대한 설계 검토를 수행하고 검토결과 나타나는 간섭 및 문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추적관리 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간섭사항 및 설계검토사항에 대하여 리스트를 이용하여 관리하였으며 2D 도면을 이용한 평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근래에 들어 3차원 모델이 설계검토 도구로 활용되면서 간섭사항 해결 및 관리를 상용프로그램의 리스트 추출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체 관리하는 방식에 머물러 있거나 엑셀과 같이 연동하여 파일을 만들어 내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렇게 개별적으로 관리되는 간섭 리스트나 파일들은 설계변경이 발생하거나 설계자 담당자가 교체되는 경우 사용자 간의 정보 전달이 쉽지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플랜트 설계 과정 중 설비의 접근성, 운전성 및 배치 설계 최적화 관점에서 3차원 모델을 활용하여 설계 검토를 수행하고 검토결과 나타나는 간섭 및 문제점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추적관리 함으로써 설계 오류를 최소화하고 부적절한 시공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는 간섭결과가 추출된 플랜트의 컴포넌트에 대해 설계분야별, 키별 및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간섭결과를 분석하는 간섭결과 분석부; 상기 간섭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컴포넌트에 대한 모델검토사항을 생성 및 수정하는 모델검토사항 생성부; 및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상기 모델검토사항과 대응하는 담당부서로 통보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조회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하는 모델검토사항 관리부; 상기 간섭결과, 상기 모델검토사항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는 상기 컴포넌트에 대해 상기 설계분야별, 상기 키별 및 상기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는 간섭이 발생한 상기 컴포넌트의 위치를 좌표값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는 간섭이 발생한 상기 컴포넌트와 일정 거리 이내의 간섭들을 그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는 상기 컴포넌트에 대한 이전 간섭결과와 현재의 간섭결과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는 상기 간섭결과 및 상기 간섭결과의 분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상기 담당부서로서 상기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주관분야 및 협조분야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상기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드(Grid) 좌표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상기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 형태를 결정하고, 상기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상기 콤퍼넌트의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이미지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생성 및 수정된 상기 모델검토사항 및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이미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상기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상기 담당부서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이 결정되면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상기 담당부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상기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호기별, 건물별, 층별, 구역별, 주관분야별로 분류하여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상기 담당부서의 변경 필요 여부, 해결 방안 입력, 모델 변경 필요 여부 및 담당자 서명을 위함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표시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관련구역의 모델을 액세스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방법은 간섭결과가 추출된 플랜트의 컴포넌트에 대해 설계분야별, 키별 및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간섭결과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간섭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컴포넌트에 대한 모델검토사항을 생성 및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상기 모델검토사항과 대응하는 담당부서로 통보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조회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델검토사항의 추적 관리를 수행함으로써 원자력 발전소 등의 플랜트 건설을 위한 설계결과물의 완성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용프로그램의 기능과 모델검토사항 관리를 병행 사용함으로써 작업자에게 쉽게 모델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 정량적인 작업시간의 절감을 통한 비용절감과 함께 컴퓨터를 이용한 데이터의 중앙화 및 공유화를 통해 실시간 설계를 구현하고, 데이터 구축을 위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추출된 간섭결과의 발생항목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3은 주관분야 및 협조분야 결정표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4는 간섭 결과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의 간섭 관련정보 중 그리드 좌표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5는 간섭 결과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의 간섭 관련정보 중 간섭 형태,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 등의 정보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6은 간섭 결과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의 간섭 관련정보 중 입력된 간섭 내용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7은 기 생성한 모델검토사항을 조회하여 관리번호를 자동 부여한 결과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8은 모델검토사항의 발송 담당자가 모델검토사항 항목 내용을 검토한 후 서명하기 위한 메뉴바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9는 모델검토사항의 발송 최종 책임자가 모델검토사항 항목 내용을 최종 검토한 후 서명하기 위한 메뉴바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10은 모델검토사항에 대해 담당부서로의 메일을 통보하기 위한 메뉴바(124)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11은 분류 방식에 의해 조회된 모델검토사항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아서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12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해결방안 및 모델 변경 여부의 입력을 위한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13은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담당 책임자의 서명을 위한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간섭결과 분석부(100),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 데이터베이스(130) 및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간섭결과가 추출된 플랜트의 컴포넌트에 대해 설계분야별, 키별 및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간섭결과를 분석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상기 컴포넌트에 대해 상기 설계분야별, 상기 키별 및 상기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한다.
도 2는 추출된 간섭결과의 발생항목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2의 (a)는 선택된 간섭결과 발생항목의 3차원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간섭결과 발생항목이 나열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추출된 간섭결과에 대해 설계분야별, 키별 및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 처리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간섭이 발생한 컴포넌트의 위치를 좌표값을 이용하여 검색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간섭결과로 간섭이 발생한 위치좌표와 간섭프로그램이 부여한 고유 번호를 통해 컴포넌트의 위치를 추출해 낸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추출된 모든 위치좌표에 십자모양의 3D 형상을 만들고 3D형상에 추출된 고유번호를 이름으로 부여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의 간섭 리스트를 선택하게 되면,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십자모양의 3D 형상을 찾아 색상을 바꾸고 화면 중앙의 위치를 십자모양의 3D로 옮긴 후 화면을 확대해 표시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간섭이 발생한 컴포넌트와 일정 거리 이내의 간섭들을 그룹화한다.
그레이팅과 같은 철골 구조물은 하나의 컴포넌트이지만 수백개의 3차원 육면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레이팅과 배관이 간섭을 발생할 경우 배관과 근접한 모든 육면체는 간섭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그 위치도 배관의 원주를 중심으로 여러개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이 대별되는 두 개의 컴포넌트가 근접한 위치에 여러 개의 간섭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간섭만을 남겨 두어야 한다.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판별하기 위하여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특정 좌표의 간섭을 지정하여 주간섭으로 설정하고, 주간섭으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거리의 간섭들은 주간섭에 종속된 부간섭들로 구분하여 주간섭 리스트를 만든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주간섭 리스트를 선택하면 주간섭과 부간섭들을 리스트로 보여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간섭들을 무효화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간섭결과 및 간섭결과의 분석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하도록 한다. 간섭검토는 설계가 진행되는 동안 전 건물에 걸쳐 대략 4000번 이상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간섭검토 후 간섭결과 및 분석정보에서 좌표, 간섭 여부 및 발생 파일들의 분야를 저장해 놓는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컴포넌트에 대한 이전 간섭결과와 현재의 간섭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간섭을 수행한 파일은 간섭 및 설계오류의 문제의 해결 과정을 거치면서 계속 변경된다. 이러한 파일의 변경을 인지하기 위하여 파일명은 변경번호를 포함하고 있다. 파일의 이름이 변경된 이유로 간섭검토 프로그램은 파일내에 변경되지 않는 컴포넌트에 대해서도 또다시 간섭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간섭의 결과는 파일로 저장되기 때문에 파일의 크기에 따라 관리가 되지 않기도 하고 간섭을 수행하는 사람이 여러 사람인 이유로 한 개의 파일로 유지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간섭결과 분석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 기능을 이용하여 저장된 이전 간섭기록을 활용하게 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새로이 간섭검토를 수행하게 되면 가장 먼저 간섭의 위치와 분야를 추출하고 추출된 간섭의 분야 및 위치를 저장된 이전 간섭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비교 결과 데이터베이스(130)와 좌표가 일치하고 분야가 일치하다면 동일 간섭으로 인식하고,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된 이전 분석결과를 조회하여 실제간섭이 아니라고 기록되어 있다면 추출된 간섭 리스트에 “간섭 Yes”를 기록한다.
또한, 간섭결과 분석부(100)는 비교 결과 데이터베이스(130)와 좌표가 일치하지 않거나 분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좌표와 분야는 일치하지만 데이터베이스(130)에 기록된 분석결과가 실제 간섭인 경우에는 추출된 간섭리스트에 “간섭 No"를 기록한다.
간섭결과 분석부(100)의 간섭 필터로 “간섭 Yes”를 선택하면 “간섭 Yes”인 간섭리스트만 나타나고 사용자는 모든 리스트의 분석사항에 실제 간섭이 아님을 동시에 기록하게 된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간섭결과를 이용하여 컴포넌트에 대한 모델검토사항을 생성 및 수정한다. 이를 위해,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담당부서로서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주관분야 및 협조분야를 결정한다.
도 3은 주관분야 및 협조분야 결정표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설계 절차서에 정의된 간섭 발생시 도 3의 결정표를 참조하여 주관분야와 협조분야를 결정한다. 도 3에서 A, B, C, ...Z까지는 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회사절차이다. 예를 들어, A는 건축모델, B는 매설 배관, C는 콘크리트, D는 HVAC 덕트, E 는 전기 기기, F는 일반기기, G는 소구경 지지대, H는 대구경지지대, J는 계측기기, N은 공급자 모델, P 는 대구경 배관 Q는 소구경 배관, T는 트레이를 의미하며 S 내지 Z는 철골 구조물을 의미한다.
한편, 도표 내부의 문자는 절차에 명시된 설계 분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P의 경우 배관분야, A의 경우 건축분야, M은 기계분야, E는 전기 분야 및 C는 토목분야임을 의미한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구조화된 매트릭스를 통하여 자동으로 간섭사항에 대한 주관분야와 협조분야를 설정한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드(Grid) 좌표를 산출한다. 그리드 좌표는 설계가 진행되는 동안 모든 설계참여자들이 가로와 세로의 좌표를 인지하기 쉽게 일정 간격을 갖는 그리드로 분할한 번호체계로 위치의 좌표값 텍스트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그리드 좌표를 사용함으로써, 설계자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간섭검토 결과의 좌표를 읽어들여 기구축된 빌딩별 X축과 Y축의 그리드를 이용하여 X의 경우“12 : 2‘ 3”“”,Y의 경우 “AB : -2’”와 같은 형식으로 변환하여 보여준다.
도 4는 간섭 결과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의 간섭 관련정보 중 그리드 좌표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표" 항목(111)에는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이용해 그리드 좌표로 변환한 값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 형태를 결정하고,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콤퍼넌트의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을 결정한다.
도 5는 간섭 결과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의 간섭 관련정보 중 간섭 형태,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 등의 정보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모델검토사항의 간섭의 형태로서는 간섭, 연결불일치, 모델링 오류,배치 적합성, 시공 건설성, 운전 보수 접근성, 설계요건, 설계 개선으로 분류하고, 이렇게 분류된 간섭 형태 중 대응하는 형태를 결정한다. 간섭의 경우 자동으로 결정되며, 기타 형태의 경우에 설계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간섭이 발생한 콤퍼넌트에 대한 정확한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을 결정한다.
또한,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모델검토사항을 이미지로 변환한다. 도 3, 도 4, 도 5에 각각 도시된 이미지 화면들은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가 해당 모델검토사항의 간섭결과에 대해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 것을 디스플레이한 것이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생성 및 수정된 모델검토사항 및 모델검토사항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이때,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설계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간섭에 대한 설명 내용을 함께 저장한다.
도 6은 간섭 결과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의 간섭 관련정보 중 입력된 간섭 내용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의 간섭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 내용이 표시되어 있다.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모델검토사항을 모델검토사항과 대응하는 담당부서로 통보하고, 모델검토사항의 조회 및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한다.
이를 위해,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관리번호를 자동부여한다. 도 7은 기 생성한 모델검토사항을 조회하여 관리번호에 해당하는 제목(121)을 자동 부여한 결과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담당부서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이 결정되면 모델검토사항을 담당부서로 전송한다.
도 8은 모델검토사항의 발송 담당자가 모델검토사항 항목 내용을 검토한 후 서명하기 위한 메뉴바(122)를 예시한 참조도이고, 도 9는 모델검토사항의 발송 최종 책임자가 모델검토사항 항목 내용을 최종 검토한 후 서명하기 위한 메뉴바(123)을 예시한 참조도이다. 또한, 도 10은 모델검토사항에 대해 담당부서로의 메일을 통보하기 위한 메뉴바(124)를 예시한 참조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의 발송 담당자 및 발송 책임자가 발송을 위한 서명을 하게 되면,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메일 내용을 자동 생성한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메뉴바(124)를 선택하게 되면,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해당 모델검토사항의 담당부서로 해당 메일을 발송처리한다.
한편,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호기별, 건물별, 층별, 구역별, 주관분야별로 분류하여 조회한다. 또한,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표시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관련구역의 모델을 액세스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가 1호기, 32건물, 1층, 01 구역, 배관분야의 모델 검토사항을 보고자 할 경우 Unit="1", Building="32", Level="1",D-Area="01",발행분야=“P"로 설정한 후 ”Retrieve" 버튼을 누르면 선택한 조건과 일치하는 모델검토사항 항목들이 목록에 나타나며, “Model View" 버튼을 누르면 1호기, 32건물, 1층의 검토 모델이 파일 서버로부터 사용자 컴퓨터로 내려 받아지며 모델 검토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또한 검토대상 항목을 모델검토사항 목록에서 선택한 후 “Model View" 버튼을 누르면 모델 검토 프로그램에서 간섭 발생 위치 주변의 모델을 자동으로 확대하여 보여줌으로써 사용자가 간섭 검토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도 11은 분류 방식에 의해 조회된 모델검토사항에 대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공받아서 디스플레이한 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또한,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담당부서의 변경 필요 여부, 해결 방안 입력, 모델 변경 필요 여부 및 담당자 서명을 위한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2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해결방안 및 모델 변경 여부의 입력을 위한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한 일 예의 참조도이고, 도 13은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담당 책임자의 서명을 위한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한 일 예의 참조도이다. 담당자가 모델검토사항을 검토하여 해결 방안 및 모델변경여부를 입력하고, 담당 책임자가 서명을 입력하면,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이러한 해결 방안, 모델 변경 여부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30)는 간섭결과, 모델검토사항 및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130)에서 관리하는 항목은 MRIMS_NO, MRIMS_TYPE, IOF_NAME, INT_ID, INT_STATUS, INT_TYPE, UNIT_NO, BLDG_NO, LEVEL_NO, C_AREA_NO, D_AREA_NO, SEQ_ID, PRI_DISP, SEC_DISP, PRI_FILE, SEC_FILE, PRI_TAG, SEC_TAG, REVIEW_COMMENT, SOLVE_COMMENT, REF_COL, REF_ROW, REF_EL, COORDX, COORDY, COORDZ, MRN_NO, INSERT_DATE, ISSUE_PREPARE_NAME, ISSUE_PREPARE_DATE, ISSUE_CHECK_NAME, ISSUE_CHECK_DATE, RESOL_PREPARE_NAME, RESOL_PREPARE_DATE, RESOL_CHECK_NAME, RESOL_CHECK_DATE, MODEL_INCORP_NAME, MODEL_INCORP_DATE, DUE_DATE, MRIMS_STATUS, MODEL_INCORP_NAEM_R, MODEL_INCORP_DATE_R, PRI_FTYPE, SEC_FTYPE, MODEL_INCORP_YN, INSERT_DISP 등 이며, 주요 항목을 예를 들면 관리번호 MRIMS_NO=“1-321-00001”, 간섭의 형태로 연결 불일치인 경우 MRIMS_TYPE=“MM”, 간섭과 관련된 모델은 Pri_file="M1321P210-00.JSM", Sec_file="M1321B210-00.JSM", 관련 Tag No는 Pri_Tag="9-461-L-CC001-BB", Sec_tag="9-461-L-CC001-BB", 검토의견 Review_Comment="대구경배관과 Plumbing 불일치", 해결 방안 Solve_comment="모델 수정.", 간섭 발생위치 coordX="3567.727", coordY="6643.356", coordZ="816", Grid 기준 간섭 발생 위치 Ref_col="24 : -6' 8 1/4"",Ref_row=“AB : 5' 3 3/8"”,Ref_el=“EL : 68' 0"”등의 항목을 저장하고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간섭결과 분석부(100),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간섭결과 분석부(100),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 및 데이터베이스(13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연산 처리, 데이터 해독, 컨트롤 프로세싱 처리를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이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간섭결과가 추출된 플랜트의 컴포넌트에 대해 설계분야별, 키별 및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간섭결과를 분석한다(제200 단계). 간섭결과 분석부는 간섭이 발생한 컴포넌트의 위치를 좌표값을 이용하여 검색한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간섭결과로 간섭이 발생한 위치좌표와 간섭프로그램이 부여한 고유 번호를 통해 컴포넌트의 위치를 추출해 낸다. 추출된 모든 위치좌표에 십자모양의 3D 형상을 만들고 3D형상에 추출된 고유번호를 이름으로 부여한다. 간섭 리스트를 선택하게 되면, 고유번호에 해당하는 십자모양의 3D 형상을 찾아 색상을 바꾸고 화면 중앙의 위치를 십자모양의 3D로 옮긴 후 화면을 확대해 표시한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간섭이 발생한 컴포넌트와 일정 거리 이내의 간섭들을 그룹화한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특정 좌표의 간섭을 지정하여 주간섭으로 설정하고, 주간섭으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거리의 간섭들은 주간섭에 종속된 부간섭들로 구분하여 주간섭 리스트를 만든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주간섭 리스트를 선택하면 주간섭과 부간섭들을 리스트로 보여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간섭들을 무효화한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간섭검토 후 간섭결과 및 분석정보에서 좌표, 간섭 여부 및 발생 파일들의 분야를 저장해 놓는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컴포넌트에 대한 이전 간섭결과와 현재의 간섭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한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새로이 간섭검토를 수행하게 되면 가장 먼저 간섭의 위치와 분야를 추출하고 추출된 간섭의 분야 및 위치를 저장된 이전 간섭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한다. 간섭결과 분석부는 비교 결과 데이터베이스와 좌표가 일치하고 분야가 일치하다면 동일 간섭으로 인식하고,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이전 분석결과를 조회하여 실제간섭이 아니라고 기록되어 있다면 추출된 간섭 리스트에 “간섭 Yes”를 기록한다. 한편, 간섭결과 분석부는 비교 결과 데이터베이스와 좌표가 일치하지 않거나 분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또는 좌표와 분야는 일치하지만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된 분석결과가 실제 간섭인 경우에는 추출된 간섭리스트에 “간섭 No"를 기록한다. 간섭결과 분석부의 간섭 필터로 “간섭 Yes”를 선택하면 “간섭 Yes”인 간섭리스트만 나타나고 사용자는 모든 리스트의 분석사항에 실제 간섭이 아님을 동시에 기록하게 된다.
제200 단계 후에,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간섭결과를 이용하여 컴포넌트에 대한 모델검토사항을 생성 및 수정한다(제202 단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설계 절차서에 정의된 간섭 발생시 도 3의 결정표를 참조하여 주관분야와 협조분야를 결정한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구조화된 매트릭스를 통하여 자동으로 간섭사항에 대한 주관분야와 협조분야를 설정한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드(Grid) 좌표를 산출한다. 그리드 좌표를 사용함으로써, 설계자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위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간섭검토 결과의 좌표를 읽어들여 기구축된 빌딩별 X축과 Y축의 그리드를 이용하여 X의 경우“12 : 2‘ 3”“”,Y의 경우 “AB : -2’”와 같은 형식으로 변환하여 보여준다.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 형태를 결정하고,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콤퍼넌트의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을 결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모델검토사항의 간섭의 형태로서는 간섭, 연결불일치, 모델링 오류,배치 적합성, 시공 건설성, 운전 보수 접근성, 설계요건, 설계 개선으로 분류하고, 이렇게 분류된 간섭 형태 중 대응하는 형태를 결정한다. 간섭의 경우 자동으로 결정되며, 기타 형태의 경우에 설계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 생성부(110)는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기반으로 간섭이 발생한 콤퍼넌트에 대한 정확한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을 결정한다.
또한,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모델검토사항을 이미지로 변환하며, 또한, 생성 및 수정된 모델검토사항 및 모델검토사항의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설계자 또는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간섭에 대한 설명 내용을 함께 저장한다.
제202 단계 후에,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모델검토사항을 모델검토사항과 대응하는 담당부서로 통보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조회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한다(제204 단계).
이를 위해,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관리번호를 자동부여한다.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담당부서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이 결정되면 모델검토사항을 담당부서로 전송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델검토사항의 발송 담당자 및 발송 책임자가 발송을 위한 서명을 하게 되면, 모델검토사항 관리부(120)는 메일 내용을 자동 생성한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메뉴바를 선택하게 되면,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해당 모델검토사항의 담당부서로 해당 메일을 발송처리한다.
한편,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호기별, 건물별, 층별, 구역별, 주관분야별로 분류하여 조회한다. 또한,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표시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관련구역의 모델을 액세스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담당부서의 변경 필요 여부, 해결 방안 입력, 모델 변경 필요 여부 및 담당자 서명을 위한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한다. 데이터베이스는 간섭결과, 모델검토사항 및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에서 관리하는 주요 항목을 예를 들면 관리번호 MRIMS_NO=“1-321-00001”, 간섭의 형태로 연결 불일치인 경우 MRIMS_TYPE=“MM”, 간섭과 관련된 모델은 Pri_file="M1321P210-00.JSM", Sec_file="M1321B210-00.JSM", 관련 Tag No는 Pri_Tag="9-461-L-CC001-BB", Sec_tag="9-461-L-CC001-BB", 검토의견 Review_Comment="대구경배관과 Plumbing 불일치", 해결 방안 Solve_comment="모델 수정.", 간섭 발생위치 coordX="3567.727", coordY="6643.356", coordZ="816", Grid 기준 간섭 발생 위치 Ref_col="24 : -6' 8 1/4"",Ref_row=“AB : 5' 3 3/8"”,Ref_el=“EL : 68' 0"”등의 항목을 저장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 발명은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코드/명령들(instructions)/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명령들/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마그네틱 테이프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간섭결과 분석부
110: 모델검토사항 생성부
120: 모델검토사항 관리부
130: 데이터베이스
140: 제어부

Claims (16)

  1. 간섭결과가 추출된 플랜트의 컴포넌트에 대해 설계분야별, 키별 및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간섭결과를 분석하는 간섭결과 분석부;
    구조화된 매트릭스를 통하여 상기 간섭결과의 간섭사항에 대한 주관분야와 협조분야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드(Grid) 좌표를 산출하고, 간섭이 발생한 컴포넌트에 대한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을 결정하며, 상기 간섭결과의 간섭 사항에 대한 간섭 형태를 결정하여 상기 컴포넌트에 대한 모델검토사항을 생성 및 수정하는 모델검토사항 생성부; 및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상기 모델검토사항과 대응하는 담당부서로 통보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조회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하되, 상기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호기별, 건물별, 층별, 구역별, 주관분야별로 분류하여 조회할 수 있게 하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관련구역의 모델을 액세스하여 표시하는 모델검토사항 관리부;
    상기 간섭결과, 상기 모델검토사항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섭결과분석부는 특정 좌표의 간섭을 지정하여 주간섭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간섭으로부터 일정거리의 간섭들은 상기 주간섭에 종속된 부간섭들로 구분하여 주간섭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주간섭 리스트를 선택하면 상기 주간섭과 상기 부간섭들을 리스트로 보여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간섭들을 무효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는,
    간섭이 발생한 상기 컴포넌트의 위치를 좌표값을 이용하여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는,
    상기 컴포넌트에 대한 간섭의 위치와 분야를 추출하고 추출된 간섭의 위치와 분야를 이전 간섭분석결과, 상기 이전 간섭분석결과의 간섭의 위치 및 분야를 저장한 간섭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간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이전 간섭분석결과의 간섭의 위치 및 분야, 상기 이전 간섭분석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컴포넌트에 대한 간섭을 분류하는 간섭 필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결과 분석부는 상기 간섭결과 및 상기 간섭결과의 분석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검토사항 생성부는 생성 및 수정된 상기 모델검토사항 및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이미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상기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상기 담당부서로 전송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전송이 결정되면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상기 담당부서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상기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호기별, 건물별, 층별, 구역별, 주관분야별로 분류하여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상기 담당부서의 변경 필요 여부, 해결 방안 입력, 모델 변경 필요 여부 및 담당자 서명을 위함 메뉴바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델검토사항 관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조건과 일치하는 모델검토사항 항목들을 목록으로 보여주고, 사용자에 의해 모델검토사항 목록에서 검토대상 항목이 선택되고 모델뷰(Model View) 버튼이 눌러지면, 사용자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모델 검토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간섭 발생 위치 주변의 모델을 자동으로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16. 간섭결과 분석부가, 간섭결과가 추출된 플랜트의 컴포넌트에 대해 설계분야별, 키별 및 라이브러리별 데이터로 분류하여 상기 간섭결과를 분석하고, 간섭이 발생한 상기 컴포넌트와 일정 거리 이내의 간섭들을 그룹화하되, 특정 좌표의 간섭을 지정하여 주간섭으로 설정하고, 상기 주간섭으로부터 일정거리의 간섭들은 상기 주간섭에 종속된 부간섭들로 구분하여 주간섭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주간섭 리스트를 선택하면 상기 주간섭과 상기 부간섭들을 리스트로 보여주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부간섭들을 무효화하는 단계;
    모델검토사항 생성부가, 구조화된 매트릭스를 통하여 상기 간섭결과의 간섭사항에 대한 주관분야와 협조분야를 자동으로 결정하고, 상기 간섭결과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설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드(Grid) 좌표를 산출하고, 간섭이 발생한 컴포넌트에 대한 시공구역 및 설계구역을 결정하며, 상기 간섭결과의 간섭 사항에 대한 간섭 형태를 결정하여 상기 컴포넌트에 대한 모델검토사항을 생성 및 수정하는 단계; 및
    모델검토사항 관리부가, 상기 모델검토사항을 상기 모델검토사항과 대응하는 담당부서로 통보하고,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조회 및 상기 담당부서의 검토의견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되, 상기 모델검토사항에 대하여 호기별, 건물별, 층별, 구역별, 주관분야별로 분류하여 조회할 수 있게 하며, 3차원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모델검토사항의 관련구역의 모델을 액세스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방법.
KR1020120153700A 2012-12-26 2012-12-26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 KR101549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700A KR101549134B1 (ko) 2012-12-26 2012-12-26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3700A KR101549134B1 (ko) 2012-12-26 2012-12-26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669A KR20140083669A (ko) 2014-07-04
KR101549134B1 true KR101549134B1 (ko) 2015-09-11

Family

ID=5173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3700A KR101549134B1 (ko) 2012-12-26 2012-12-26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838B1 (ko) * 2015-09-14 2016-03-22 주식회사 두올테크 Bim 환경에서 문제점 해결 및 협업을 지원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272A (ja) 2006-09-15 2008-03-27 Toshiba Corp Camシステム及びcam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1272A (ja) 2006-09-15 2008-03-27 Toshiba Corp Camシステム及びcam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utodesk Nvisworks Manage 2012 사용자 안내서’, 2011.04.11.*
‘Clash Manager User Guide’, 2007.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3669A (ko) 2014-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9996B1 (ko)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Goedert et al. Integrating construction process documentation in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US201500191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hanges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s
CN105550758A (zh) 基于gis的地下管线运维系统
US20020107674A1 (en) Video-supported planning of equipment installation and/or room design
JP5323103B2 (ja) 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Ivson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visualization i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US20090125352A1 (en) Progress status management method, program, and progress status management device
US11648621B2 (en) Systems and methods to design part weld processes using media libraries
Zolfagharian et al. Current trends in construction site layout planning
JP4473893B2 (ja) 作業項目抽出装置、作業項目抽出方法、および、作業項目抽出プログラム
US10296626B2 (en) Graph
JP6884435B2 (ja) 協力会社サプライチェーンリスク分析方法
Samphaongoen A visual approach to construction cost estimating
Singh et al. BIM-based approach for automatic pipe systems installation coordination and schedule optimization
JP2019075062A (ja) 設計支援装置および設計支援方法
Xiaer et al. Design for safety (DFS) and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 review
Yin et al. An automated layer classification method for converting CAD drawings to 3D BIM models
CN112567476A (zh) 原子能发电厂的总体布置图的表示和利用装置
KR101549134B1 (ko) 모델검토사항에 대한 간섭결과 관리장치 및 방법
Oxstrand et al. Design Guidance for Computer-Based Procedures for Field Workers
JP2015088141A (ja) 工程計画支援装置及び工程計画支援方法
JP6519901B1 (ja) プラント機器情報管理システム
Li et al. The Application of BIM in the AECO Industry
CN113065179A (zh) 一种基于bim技术的垃圾焚烧发电厂工艺设备库构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