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28B1 -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 Google Patents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28B1
KR101549128B1 KR1020130122666A KR20130122666A KR101549128B1 KR 101549128 B1 KR101549128 B1 KR 101549128B1 KR 1020130122666 A KR1020130122666 A KR 1020130122666A KR 20130122666 A KR20130122666 A KR 20130122666A KR 101549128 B1 KR101549128 B1 KR 10154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clamp
fixing
dril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3805A (ko
Inventor
전정기
곽경철
이정훈
정희석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2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3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8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8Drill jig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3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다이어프램 측면에 안착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클램핑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 고정축과 상기 제1 고정축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2 고정축에 체결된 각도조절볼트의 길이 가변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고 드릴 장치가 안착되는 드릴안착부를 마련하여 드릴안착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드릴 장치가 자성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고, 조정볼트에 의해 지그와 다이어프램과의 간격을 조정함은 물론 조절볼트에 의해 드릴 장치의 위치를 조절하여 드레인 홀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Jig for Drill Fixed of Diaphragm}
본 발명은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프램에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드릴 장치를 원하는 각도로 장착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은 물, 가스, 증기 등의 유체를 노즐로 내뿜게 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얻는 원동기로, 유체의 종류에 따라 증기터빈, 가스터빈, 수력터빈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터빈은 고압, 중압, 저압의 삼압 차실로 구성되고, 발전기가 동일 축 선상에 유압 커플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때 터빈의 회전날개(bucket) 사이에 장착되어 터빈 각 단의 압력차를 유지하기 위한 격판으로서, 상기 회전날개의 열과 함께 단을 형성하고, 각 단의 기밀을 유지하는 다이어프램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어프램에는 터빈의 기동 시 발생되는 수분(물방울)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배수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다이어프램의 배수구멍은 유니버셜 드릴 장비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배수구멍은 다이어프램의 원주상에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다수개가 형성된다.
즉, 유니버셜 드릴 장비에는 로터리 테이블이 없으므로, 다이어프램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하나의 배수구멍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나의 배수구멍이 형성된 다이어프램은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배수구멍을 형성하고자 하는 위치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유니버셜 드릴 장비 및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다이어프램에 배수구멍을 형성하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안전사고 발생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그'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그는 공작기계의 베드 위에 설치되는 베이스와 공작물을 고정하는 클램프로 구성된 지그로서, 상기 베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공작물이 얹히는 테이블, 상기 베이스의 정면 양쪽에 형성되는 끼움홈, 상기 끼움홈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블록, 상기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이 끼워지는 조절나사, 상기 테이블의 정면 양쪽에 형성되는 슬롯, 상기 슬롯에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조절나사의 타단과 나사식으로 관통 체결되어 상기 조절나사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승강하여 테이블의 각도조절을 가이드 하는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12423호(2010년 2월 8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각도 조절이 가능한 지그는 공작기계의 베드에 각도 조절이 되는 테이블을 구비함으로써, 경사진 구멍을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대형 원판으로 된 다이어프램을 안정되게 올려 놓을 수 없고, 다이어프램의 원주면에 경사진 배수구멍을 형성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어프램에 고정된 지그에 드릴 장치를 장착하여 원하는 각도로 드레인 홀을 형성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이어프램의 형상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드릴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는 다이어프램 측면에 안착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클램핑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 고정축과 상기 제1 고정축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2 고정축에 체결된 각도조절볼트의 길이 가변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고 드릴 장치가 안착되는 드릴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핑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클램프 브라켓트,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램프 베이스,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의 타측에 체결되어 길이 조절되는 클램프 볼트, 상기 클램프 볼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램프 블록, 상기 클램프 블록의 일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클램프 브라켓트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정볼트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되는 면에 패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에는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과 대응되는 고정홈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의 고정핀을 결합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드릴안착부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트, 상기 고정 브라켓트에 고정되는 눈금지시판, 상기 고정핀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지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지시계)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눈금지시판에는 20~60°사이의 각도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브라켓트, 상기 제1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고정축, 상기 드릴안착부의 가이드 플레이트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 브라켓트, 상기 제2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제2 고정축, 상기 제1 고정축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멍과 상기 제2 고정축에 형성되는 제2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각도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체결구멍은 왼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멍은 오른나사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볼트는 상기 제1 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왼나사부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오른나사부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볼트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는 스프링 핀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릴안착부는 일정 크기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드릴 베이스, 상기 드릴 베이스에 고정된 베이스 브라켓트에 체결되어 상기 드릴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조절볼트, 상기 드릴 베이스 상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릴 베이스에는 상기 드릴 장치의 드릴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조절볼트의 걸림부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볼트에는 상기 끼움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릴 베이스 저면에는 양측에 각각 가이드 블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에 의하면, 다이어프램의 측면에 드릴 장치를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고, 지그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드릴 장치의 각도 조정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다이어프램의 드레인 홀을 원하는 각도로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에 의하면, 드릴안착부가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어 드릴 장치가 자성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고정되고, 조정볼트에 의해 지그와 다이어프램과의 간격을 조정함은 물론 조절볼트에 의해 드릴 장치의 위치를 조절하여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드레인 홀을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클램핑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회전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드릴안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드릴안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드릴안착부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드릴안착부가 결합된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에 드릴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가 다이어프램에 밀착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가 다이어프램에 이격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는 다이어프램 측면에 안착되는 클램핑부(100), 상기 클램핑부(1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200), 상기 클램핑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 고정축(320)과 상기 제1 고정축(320)으로부터 소정 거리(길이)만큼 이격된 제2 고정축(340)에 체결된 각도조절볼트(350)의 길이 가변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각도조절부(300), 상기 각도조절부(300)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고 드릴 장치가 안착되는 드릴안착부(400)를 포함한다.
도 3를 참조하여 클램핑부(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클램핑부(1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0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클램프 브라켓트(110),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램프 베이스(120),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타측에 체결되는 클램프 볼트(130), 클램프 볼트(130)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램프 블록(140), 클램프 블록(140)의 일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패드(150)를 포함한다.
클램프 브라켓트(110)는 다이어프램에 안정되게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에는 클램프 베이스(120)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클램프 패드(150)가 고정된 클램프 볼트(130)에 의해 다이어프램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이를 위해 클램프 브라켓트(110) 일측에는 클램프 베이스(120)가 고정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홈(111)이 형성된다. 고정홈(111)은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또 클램프 브라켓트(110) 일측에는 회전부(200)가 결합되도록 고정구멍(112)이 형성되며, 고정구멍(112)에는 회전부(200)의 고정핀(210, 도 4 참조)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고정핀(210)은 제1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타측에는 안착홈(114)이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이러한 안착홈(114)에는 클램프 볼트(130)에 고정된 클램프 블록(140)의 일부분이 끼워진다.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안착홈(114)에는 클램프 볼트(130)가 체결되는 제2 체결구멍(115)이 형성된다.
클램프 브라켓트(110)에는 고정홈(111)과 안착홈(114) 사이에 간격조정볼트(160)가 체결되는 제3 체결구멍(116)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간격조정볼트(16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와 다이어프램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간격조정볼트(16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클램프 브라켓트(110)와 다이어프램의 거리(길이)가 멀어지게 된다.
이와 달리 간격조정볼트(160)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클램프 브라켓트(10)와 다이어프램의 거리(길이)가 짧아지게 된다. 즉, 간격조정볼트(16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와 다이어프램과의 거리(간격)를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간격조정볼트(160)의 볼트 머리에는 핀(미도시) 등을 끼울 수 있는 다수의 핀 구멍(161)이 형성된다. 이는 간격조정볼트(160)의 회전 시 핀 등을 끼워 용이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클램프 베이스(120)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고정홈(111)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를 위해 클램프 베이스(120)의 양 측면에는 각각 볼트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 클램프 베이스(120) 일면에는 다이어프램과 접하는 면에 다이어프램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패드(122)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타측에는 클램프 볼트(130)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있으며, 클램프 볼트(130)의 일측 즉, 클램프 베이스(120)와 마주보는 쪽에는 클램프 블록(140)이 고정된다.
클램프 볼트(130)에는 클램프 블록(140)과 클램프 패드(150)가 고정되며, 클램프 볼트(13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나선부(131)의 일측으로 연장된 고정부(132)가 형성된다. 또 고정부(132)에는 고정부(13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된 스냅링 홈(133)이 형성된다.
클램프 볼트(130)의 나선부(131)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에 체결되고, 고정부(132)에는 클램프 블록(140)과 클램프 패드(150)가 고정된다. 클램프 블록(140)은 클램프 패드(15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클램프 블록(140)에는 고정부(132)와 동일한 직경의 제1 구멍(141)이 형성되고, 제1 구멍(141) 보다 직경이 큰 제2 구멍(142)이 형성된다. 클램프 블록(140)은 고정부(132)의 스냅링 홈(133)에 고정되는 스냅링(144)에 의해 클램프 볼트(130)의 고정부(132)에 고정된다.
또 제2 구멍(142)의 외측에는 클램프 패드(150)가 고정되도록 등각도로 다수의 체결홈(143)이 형성된다.
클램프 패드(150)에는 클램프 블록(140)의 제2 구멍(142)에 끼워지는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클램프 블록(140)의 체결홈(143)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볼트 구멍(152)이 형성된다.
한편 클램프 볼트(130)의 고정부(132)에는 클램프 블록(140)을 끼운 다음 스냅링 홈(133)에 스냅링을 고정한다. 이에 따라 클램프 블록(130)은 고정부(132)에 고정된다. 또한 클램프 블록(140)의 제2 구멍(142)에는 클램프 패드(150)의 돌출부(151)를 끼운 다음 볼트 구멍(152) 및 체결홈(143)에 볼트를 체결하여 클램프 블록(140)에 클램프 패드(150)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클램프 볼트(130)에는 클램프 블록(140) 및 클램프 패드(1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클램프 볼트(13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일측에 고정된 클램프 베이스(120)와 대향되게 체결된다.
즉,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제2 체결구멍(115)에 체결된 클램프 볼트(130)는 클램프 볼트(130)를 회전시킴에 따라 클램프 베이스(120)와의 거리(길이)가 조절된다. 이는 다이어프램의 높이가 다른 경우, 클램프 볼트(130)를 회전시켜 다이어프램에 클램핑부(100)를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회전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20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고정구멍(112)에 고정되는 고정핀(210), 고정핀(2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트(220), 고정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눈금지시판(230), 고정핀(210)에 고정되는 지시계(240)를 포함한다.
고정핀(210)은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고정구멍(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일 측면에는 지시계(240)를 고정하는 다수의 제1 고정홈(2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1 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제2 고정홈(212)이 형성된다. 고정핀(210)은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고정구멍(112)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양측에 각각 고정 브라켓트(220)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 브라켓트(220)에는 고정핀(210)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구멍(221)이 형성되고, 일측에 다수의 체결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브라켓트(220)는 드릴안착부(400, 도 6 참조)의 측면에 체결구멍(222)을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브라켓트(220)는 고정핀(2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드릴안착부(400)의 가이드 플레이트(410)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이에 따라 고정 브라켓트(220)는 드릴안착부(400)의 회전 중심점이 된다.
눈금 지시판(230)에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핀(210)에 헐겁게 끼워지는 구멍(231)이 형성되고, 측면에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눈금(232)이 새겨져 있다. 각도눈금(232)은 20~60°를 1°단위로 나타내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또 눈금 지시판(230)은 고정 브라켓트(220)의 측면에 용접으로 고정되어 고정 브라켓트(220)와 함께 회전된다. 즉, 고정 브라켓트(220) 및 눈금 지시판(230)은 드릴안착부(400)가 고정핀(210)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드릴안착부(400)와 함께 회전된다.
지시계(240)는 고정핀(210)의 제1 체결구멍(211)에 볼트 체결로 고정되고, 각도눈금(232)을 가리키도록 일측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각도 조절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조절부(30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양측 각각에 고정되는 제1 브라켓트(310), 제1 브라켓트(31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고정축(320), 드릴안착부(400, 도 6 참조)의 가이드 플레이트(410)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 브라켓트(330), 제2 브라켓트(330) 사이에 고정되는 제2 고정축(340),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에 체결되어 이들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의 가변 되는 거리(길이)에 따라 드릴안착부(4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볼트(350)를 포함한다.
제1 브라켓트(310)에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에 고정되도록 저면에 다수의 제1 체결홈(311)이 형성되고, 체결홈(311)의 상측에 제1 고정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결합구멍(3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브라켓트(31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제3 체결구멍(116)에 볼트로 각각 고정된다.
이들 제1 브라켓트(310)의 결합구멍(312)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고정축(32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고정축(320)에는 양측에 각각 결합구멍(3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돌기(321)가 형성되고, 그 중간에는 각도조절볼트(350)가 체결되는 제1 체결구멍(322)이 형성된다.
제2 브라켓트(330)에는 드릴안착부(400)가 고정되도록 상면에 다수의 제2 체결홈(331)이 형성되고, 일측에 제2 고정축(340)이 억지 끼움되는 고정구멍(332)이 형성된다.
제2 고정축(340)은 제1 고정축(320)과 동일한 것으로, 양측에는 각각 고정구멍(332)에 억지 끼움되는 결합돌기(341)가 형성되고, 그 중간에는 제2 체결구멍(342)이 형성된다.
제1 고정축(320)의 제1 체결구멍(322)은 왼나사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하고, 제2 고정축(340)의 제2 체결구멍(342)은 오른나사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형성한다. 각도조절볼트(350)는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의 거리(길이)를 가변시키면서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각도조절볼트(350)에는 제1 고정축(320)의 제1 체결구멍(322)에 체결되는 왼나사부(351)와 제2 고정축(340)의 제2 체결구멍(342)에 체결되는 오른나사부(352)가 형성된다.
오른나사부(352)는 왼나사부(351)에 볼트 체결됨과 함께 스프링 핀(353)으로 고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드릴안착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드릴안착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드릴안착부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드릴안착부가 결합된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안착부(400)는 각도조절부(300)의 제2 브라켓트(330)에 고정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10), 가이드 플레이트(410)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릴 베이스(420), 드릴 베이스(420) 상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410)에는 양측에 각각 제2 브라켓트(330)가 대응되게 고정되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41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조정볼트(430)의 끝단이 끼워지는 끼움구멍(412)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회전부(200)의 고정 브라켓트(220)가 볼트 체결되는 볼트홈(413)이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드릴 장착용 지그는 고정핀(210)과 제1 고정축(320),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 및 제2 고정축(340)과 고정핀(210)을 잇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고정핀(210)과 제1 고정축(320)의 거리(길이)는 가변 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고, 고정핀(210)과 제2 고정축(340)의 거리(길이)도 가변 되지 않게 고정되어 있으며,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은 각도조절볼트(350)에 의해 거리(길이)가 가변 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도조절볼트(350)에 의해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의 거리(길이)가 가변됨에 따라 고정핀(210)을 중심으로 고정 브라켓트(220)가 회전된다. 이와 함께 제1 고정축(320) 제2 고정축(340)의 거리(길이)가 달라지게 됨에 따라 드릴안착부(400)의 각도가 변하게 된다.
즉, 삼각형의 한 변의 길이가 달라지게 됨에 따라 드릴안착부(400)의 각도가 변하게 된다.
또 가이드 플레이트(410) 양 측면에는 각각 가이드 블록(414 415)이 구비된다. 이들 가이드 블록(414 415)에는 드릴 베이스(420)가 고정되도록 볼트구멍(416)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볼트구멍(416)은 수직으로 형성됨은 물론 수평으로도 다수개 형성된다.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양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가이드 볼록(414 415)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드릴 베이스(420)는 드릴 장치(1, 도 10 참조)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하여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드릴 베이스(420)에는 일측에 제1 볼트홈(421)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양측에 각각 일정 깊이의 고정홈부(422)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가이드 블록(414, 415)의 상면이 끼워지는 가이드 홈부(423)가 형성된다.
이들 가이드 블록(414, 415)은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드릴 베이스(420)의 가이드 홈부(423)에 끼운 상태에서 볼트구멍(416)에 볼트를 체결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드릴 베이스(420)를 결합한다.
이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410)는 드릴 베이스(420)와 가이드 블록(414, 415) 사이에 낀 형태로 결합되며, 드릴 베이스(420)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드릴 베이스(420)의 상면 및 측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제2 볼트홈(424)이 다수개 형성되며, 드릴 베이스(420) 타측에는 드릴 장치(1, 도 10 참조)의 드릴(미도시)이 관통하는 관통구멍(425)이 형성된다.
제1 볼트홈(421)에는 베이스 브라켓트(426)가 볼트로 고정되며, 베이스 브라켓트(426)에는 조정볼트(430)가 체결되는 체결구멍(427)이 형성된다.
조정볼트(430)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끼움구멍(412)에 걸리는 걸림부(431)가 형성되고, 조정볼트(430)는 베이스 브라켓트(426)의 체결구멍(427)에 체결된다. 조정볼트(430)는 가이드 플레이트(410) 상면에 지지되는 드릴 베이스(4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즉, 조정볼트(430)는 걸림부(431)가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끼움구멍(412)에 이탈되지 않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조정볼트(430)를 회전시킴에 따라 드릴 베이스(420)에 고정된 베이스 브라켓트(426)가 이동되어 드릴 베이스(420)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드릴 베이스(420)의 상면에는 다수의 스토퍼가 구비된다. 제1 스토퍼(441)는 드릴 베이스(420)의 고정홈부(422)에 볼트로 고정되고, 제2 볼트홈(424)에는 제2 스토퍼(442) 및 제3 스토퍼(443)가 볼트로 고정된다. 이들 제1 스토퍼(441), 제2 스토퍼(442) 및 제3 스토퍼(443)에는 각각 볼트구멍이 수직 및 수평으로 형성된다.
이들 스토퍼(441, 442, 443)는 드릴 장치의 안착 시 드릴 장치의 각 측면에 밀착되어 드릴 장치를 보조적으로 안착되게 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에 드릴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가 다이어프램에 밀착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가 다이어프램에 이격되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드릴 장착용 지그에 드릴 장치(2)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1 및 도 12는 드릴 장착용 지그가 다이어프램(1)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부(100)의 클램프 브라켓트(110)에는 클램프 베이스(120)를 고정하며, 클램프 블록(140) 및 클램프 패드(150)가 고정된 클램프 볼트(130)를 제2 체결구멍(115)에 체결한다. 이러한 클램핑부(100)는 다이이어프램(1)의 측면에 지그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고정홈(111)에는 클램프 베이스(120)를 끼워 볼트 등을 체결하여 고정한다. 클램프 베이스(120)는 고정홈(111)에 끼워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구멍(121)에 볼트를 체결하여 안정되게 고정한다.
또 클램프 베이스(120)에는 다이어프램이 손상되지 않도록 연질의 고무 재질로 된 패드(122)를 부착한다.
클램프 볼트(13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제2 체결구멍(115)에 나선부(131)를 체결한다. 클램프 볼트(130)의 고정부(132)에는 클램프 블록(140)을 끼운 다음 스냅링(144)을 고정한다. 즉, 스냅링(144)은 클램프 블록(140)의 제2 구멍(142)에 밀착되어 클램프 블록(140)을 클램프 볼트(130)에 고정하게 된다.
또 클램프 패드(150)는 돌출부(151)를 제2 구멍(142)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클램프 블록(140)의 체결홈(143)과 클램프 패드(150)의 볼트 구멍(152)을 일치시켜 볼트로 고정한다.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제3 체결구멍(116)에는 간격조정볼트(160)를 체결한다. 간격조정볼트(160)는 다이어프램(1)과 클램핑 브라켓트(110)의 간격을 조정한다. 즉, 간격조정볼트(16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내측으로 돌출시키면, 다이어프램(1)과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고, 외측으로 돌출시키면, 다이어프램(1)과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간격은 가까워지게 된다.
또한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고정구멍(112)에는 고정핀(210)을 회전되지 않게 고정한다. 고정핀(210)의 양측에는 각각 고정 브라켓트(220)의 회전구멍(221)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 고정 브라켓트(220)의 체결구멍(222)은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볼트홈(413)에 볼트로 고정한다.
즉, 고정핀(210)은 고정구멍(112)에 억지끼움으로 고정됨과 함께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제1 체결구멍(미도시)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는 고정핀(210)의 제1 고정홈(211)에 고정되어 있는 지시계(24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고정핀(210) 및 지시계(240)는 각도조절부(300) 및 드릴안착부(400)의 회전 시 회전 각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준점이 되도록 고정한다.
또한 고정핀(210)에는 눈금지시판(230)의 구멍(231)을 헐거운 끼움 형태로 결합한다. 아울러 눈금지시판(230)의 일측은 고정 브라켓트(220)의 일면에 용접으로 고정한다. 이는 각도조절부(300) 및 드릴안착부(400)의 회전 시 눈금지시판(230)이 일체로 회전되어 회전 각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즉, 고정핀(210) 및 지시계(240)는 회전되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각도조절볼트(350)에 의해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의 가변되는 거리(길이)에 따라 각도조절부(300) 및 드릴안착부(400)의 회전과 함께 고정 브라켓트(220)에 고정된 눈금지시판(230)이 회전한다.
이때 눈금지시판(230)은 클램프 브라켓트(110)에 대하여 20°로 기울어진 상태가 회전 기준 각도 즉, 0°로 설정되며, 드릴안착부(400)는 클램프 브라켓트(110)에 대하여 20°기울어진 상태로 결합되며, 이는 회전 기준 각도가 된다.
클램프 브라켓트(110)의 양측에는 제3 체결구멍(116)에 각도조절부(300)의 제1 브라켓트(310)를 고정한다. 제1 브라켓트(310)는 제3 체결구멍(116)과 제1 체결홈(311)을 일치시켜 볼트로 고정한다.
또 2개의 제1 브라켓트(310)의 결합구멍(312)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고정축(320)의 결합돌기(321)를 헐거운 끼움으로 끼워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즉, 제1 고정축(310)은 각도조절부(300)의 각도 조절에 따라 제1 고정축(320)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한다.
아울러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체결공(411)에는 제2 브라켓트(330)의 제2 체결홈(331)과 일치시켜 제2 브라켓트(330)를 볼트로 고정한다. 제2 브라켓트(330)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양측에 각각 고정한다.
이들 제2 브라켓트(330)의 고정구멍(332)에는 제1 고정축(310)과 동일한 제2 고정축(340)를 억지 끼움으로 고정한다. 한편 제1 고정축(310)의 제1 체결구멍(322)은 왼나사로 형성되어 있고, 제2 고정축(330)의 제2 체결구멍(342)은 오른나사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에는 각도조절볼트(350)를 체결한다. 각도조절볼트(350)의 왼나사부(351)는 제1 고정축(320)의 제1 체결구멍(322)에 체결되고, 오른나사부(352)는 제2 고정축(340)의 제2 체결구멍(342)에 각각 체결된다.
이러한 오른나사부(352)는 왼나사부(351)에 체결된 다음 스프링 핀(353)으로 고정한다. 이러한 스프링 핀(353)은 통상의 고정핀 등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 제2 브라켓트(330)의 고정구멍(332)에는 제2 고정축(340)의 결합돌기(341)를 회전되지 않도록 억지끼움으로 끼워 고정한다. 또 제2 브라켓트(330)의 제2 체결홈(331)에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체결공(411)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고정한다.
아울러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볼트홈(413)에는 고정 브라켓트(220)의 체결구멍(222)을 일치시켜 볼트로 고정 브라켓트(220)를 고정한다.
가이드 플레이트(410) 양 측면에는 각각 가이드 블록(414, 415)이 장착된다. 가이드 블록(414, 415)은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측면과 동일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맞댄 상태에서 드릴 베이스(420)에 볼트를 체결하여 드릴 베이스(420)를 안정되게 고정한다.
한편 드릴 베이스(420)의 제1 볼트홈(421)에는 베이스 브라켓트(426)를 볼트로 고정하고, 베이스 브라켓트(426)의 체결구멍(427)에는 조정볼트(430)를 체결한다.
즉, 조정볼트(430)는 체결구멍(427)에 체결되고, 조정볼트(430)의 걸림부(431)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끼움구멍(412)에 끼워진다. 걸림부(431)는 끼움구멍(41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조정볼트(430)를 회전시킴에 따라 베이스 브라켓트(426)가 이동하게 되고, 베이스 브라켓트(426)의 이동에 따라 드릴 베이스(420)는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드릴 베이스(420)는 드릴 베이스(420)에 장착된 드릴 장치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따라 이동된다.
드릴 베이스(420)의 고정홈부(422)에는 제1 스토퍼(441)를 볼트로 고정하고, 제2 볼트홈(424)에는 제2 스토퍼(442) 및 제3 스토퍼(443)를 볼트로 고정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다이어프램(1)에 드레인 홀을 가공하기 위하여 먼저 다이어프램(1)에 드릴 장착용 지그를 장착하게 된다. 드릴 장착용 지그의 고정은 클램프 베이스(120)를 다이어프램(1)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클램프 브라켓트(110)에 체결되어 있는 클램프 볼트(130)를 조이게 된다.
이에 따라 클램프 볼트(130)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 블록(140) 및 클램프 패드(150)가 상승되어 다이어프램(1)의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클램프 베이스(120)의 패드(122) 및 클램프 패드(150)는 다이어프램(1)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밀착되므로, 다이어프램(1)의 표면 손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1에서와 같이, 간격조정볼트(160)는 다이어프램(1)과 클램프 브라켓트(110)가 근접하게 하거나 도 12에서와 같이, 다이어프램(1)과 클램프 브라켓트(110)가 떨어지게 회전된다. 이에 따라 간격조정볼트(160)는 다이어프램(1)과 클램프 브라켓트(110)와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클램핑부(100)가 다이어프램(1)에 안정되게 고정되면, 각도조절부(300)의 각도조절볼트(350)를 회전시켜 드릴안착부(40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작업자는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에 체결되어 있는 각도조절볼트(350)를 회전시킨다. 이에 각도조절볼트(350)는 제1 고정축(320)의 제1 체결구멍(322)과 제2 고정축(340)의 제2 체결구멍(342)에서 회전되어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의 거리(길이)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각도조절볼트(350)의 왼나사부(351)는 제1 체결구멍(322)에 체결되어 있고, 각도조절볼트(350)의 오른나사부(352)는 제2 체결구멍(342)에 체결되어 있어 일종의 스터드 볼트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즉, 각도조절볼트(350)는 제1 고정축(320)과 제2 고정축(340)의 거리(길이)를 조절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2 고정축(340)은 제1 고정축(320)으로부터 초기 거리(길이) 보다 짧거나 길어지게 됨에 따라 제2 고정축(340)의 각도가 조정된다.
이에 따라 드릴안착부(400)는 고정핀(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각도 조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작업자는 고정핀(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눈금지시판(230)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회전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드릴안착부(400)의 회전각도는 각도조절볼트(350)를 적절하게 조이거나 풀어주면서 작업하고자 하는 각도만큼 드릴안착부(40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드릴안착부(400)의 각도 조정을 마무리하게 된다.
각도조절이 완료된 드릴안착부(400)에는 드릴 장치(2)를 안착하게 되는데, 자성체로 이루어진 드릴안착부(400)에 드릴 장치(2)를 올려놓게 되면, 드릴 장치(2)는 자성에 의해 드릴안착부(400)에 안착된다.
이와 함께 드릴 장치(2)는 드릴 베이스(420)에 고정된 제1 내지 제3 스토퍼(441, 442, 443)가 드릴 장치(2)의 측면에 밀착되어 드릴 장치(2)를 고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안착된 드릴 장치(2)는 드릴을 드릴베이스(420)의 관통구멍(425)으로 끼운 상태에서 다이어프램(1)의 측면에 드레인 홀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클램핑부 110: 클램프 브라켓트
120: 클램프 베이스 130: 클램프 볼트
140: 클램프 블록 150: 클램프 패드
160: 조정볼트 200: 회전부
210: 고정핀 220: 고정 브라켓트
230: 눈금지시판 240: 지시계
300: 각도조절부 310: 제1 브라켓트
320: 제1 고정축 330: 제2 브라켓트
340: 제2 고정축 350: 각도조절볼트
400: 드릴안착부 410: 가이드 플레이트
420: 드릴 베이스 430: 조정볼트

Claims (17)

  1. 다이어프램의 측면에 장착되는 클램핑부,
    상기 클램핑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클램핑부에 고정된 제1 고정축과 상기 제1 고정축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제2 고정축에 체결된 각도조절볼트의 길이 가변에 따라 각도 조절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의 길이 가변에 따라 각도 조절되며 드릴 장치가 안착되는 드릴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부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클램프 브라켓트,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램프 베이스,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의 타측에 체결되어 길이 조절되는 클램프 볼트,
    상기 클램프 볼트의 일측에 고정되는 클램프 블록,
    상기 클램프 블록의 일면에 고정되는 클램프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의 간격을 조정하는 간격조정볼트가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는 상기 다이어프램과 접촉되는 면에 패드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에는 상기 클램프 베이스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과 대응되는 고정홈이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부의 고정핀을 결합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핀을 고정하기 위한 제1 체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고정핀,
    상기 고정핀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드릴안착부의 가이드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트,
    상기 고정 브라켓트에 고정되는 눈금지시판,
    상기 고정핀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지시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에는 상기 지시계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지시판에는 20~60°사이의 각도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클램프 브라켓트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브라켓트,
    상기 제1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고정축,
    상기 드릴안착부의 가이드 플레이트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2 브라켓트,
    상기 제2 브라켓트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제2 고정축,
    상기 제1 고정축에 형성되는 제1 체결구멍과 상기 제2 고정축에 형성되는 제2 체결구멍에 체결되는 각도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구멍은 왼나사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멍은 오른나사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볼트는 상기 제1 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왼나사부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멍에 대응되는 오른나사부가 일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볼트의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는 스프링 핀으로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안착부는 일정 크기를 갖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자성체로 이루어진 드릴 베이스,
    상기 드릴 베이스에 고정된 베이스 브라켓트에 체결되어 상기 드릴 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조정볼트,
    상기 드릴 베이스 상면에 고정되는 다수의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베이스에는 상기 드릴 장치의 드릴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조정볼트의 걸림부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볼트에는 상기 끼움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 베이스 저면에는 양측에 각각 가이드 블록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KR1020130122666A 2013-10-15 2013-10-15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KR101549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666A KR101549128B1 (ko) 2013-10-15 2013-10-15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2666A KR101549128B1 (ko) 2013-10-15 2013-10-15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805A KR20150043805A (ko) 2015-04-23
KR101549128B1 true KR101549128B1 (ko) 2015-09-02

Family

ID=53036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2666A KR101549128B1 (ko) 2013-10-15 2013-10-15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506B1 (ko) * 2018-02-14 2018-10-18 조성은 플라즈마 용융로의 용탕배출구 드릴링 머신
CN110549137B (zh) * 2018-06-02 2021-03-30 深圳市友创智能设备有限公司 仰角调整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805A (ko)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90286B (zh) 使用工件固定工具的工件固定方法
KR101795106B1 (ko) 플랜지상의 보링 툴
US10010995B2 (en) Valve seat machining device, and valve seat machining method using said valve seat machining device
KR101549128B1 (ko) 다이어프램의 드릴 장착용 지그
JP5572640B2 (ja) 位置調整可能なプレート要素を備えた機械工具
CN102574277B (zh) 台钳或卡盘处的装置
KR101569621B1 (ko) 브러시 홀더 조립용 공구장치
KR102169824B1 (ko) 스틱 블레이드의 반경방향의 조정기능을 가진 기어 커터
US20150306721A1 (en) Workpiece Holder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a Workpiece in a Workpiece Holding Device
US8696411B1 (en) Setup platform apparatus for bench and pedestal grinders
CN103674951B (zh) 一种刀具实时检测装置
US20050074305A1 (en) Micro-adjustable boring bar
JP2007009644A (ja) マンホール内壁切断機の固定装置
US10717161B2 (en) Rotating axis supporting device
EP3059048B1 (en) Adjustable grinding jig
CN204135478U (zh) 可调节刀具的倒角机
CN106346280A (zh) 具平衡夹紧力大小和方向功能的钻削定位夹具
CN103213039B (zh) 一种用于单刃枪钻的刃磨夹具
JP4841493B2 (ja) ねじ類の締付工具
KR101827217B1 (ko) 밸브 바디 압력 씰 밀봉부 래핑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CN206029680U (zh) 角度可调式夹具
CN213163905U (zh) 一种焊接夹具
KR20130066252A (ko) 가스터빈엔진의 위치조정 고정장치
KR101299100B1 (ko) 앵글부재의 모서리절단용 지그장치
KR101311129B1 (ko) 내경 확장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