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102B1 - 스마트 안전문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102B1
KR101549102B1 KR1020130047098A KR20130047098A KR101549102B1 KR 101549102 B1 KR101549102 B1 KR 101549102B1 KR 1020130047098 A KR1020130047098 A KR 1020130047098A KR 20130047098 A KR20130047098 A KR 20130047098A KR 101549102 B1 KR101549102 B1 KR 10154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uide portion
inner guide
piec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571A (ko
Inventor
전정희
Original Assignee
전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정희 filed Critical 전정희
Priority to KR1020130047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102B1/ko
Publication of KR20140128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2Wings made completely of g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리가 외측프레임과 내측프레임 사이에 삽입되어지고, 상기 유리가 삽입된 상하부에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결합된 스마트 안전문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은 일측으로 형성된 개구부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인너가이드부가 형성되어지고, 아우터가이드부가 상기 인너가이드부가 커버되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아우터가이드부는 수평패널의 일측 단부가 개구부를 향하여 벤딩되어 만곡부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만곡부의 끝이 다시 개구부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지며, 상기 아우터가이드부의 타측 단부는 스페이서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너가이드부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이드부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스프링 삽입가이드가 형성되어 판스프링이 삽입 고정되어지며,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된 인너가이드부에 모헤어가 삽입된 손보호구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이드부의 내측에 보강부재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보강부재는 관통홀을 갖는 찬넬형 삽입편의 개방된 양측에 외측으로 플랜지편이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플랜지편의 외측 끝에 다수개의 슬릿홈이 형성된 웹부편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웹부편이 상부프레임 또는 하부프레임의 단부에 삽입되어지고, 나사가 인너가이드부 및 관통홀을 관통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문{Smart security door}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외측 프레임 사이로 삽입된 유리의 상하부에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맞대어져 보강부재와 나사로 결합되어지는 가운데 내측프레임의 내부로 모헤어가 구비된 손보호구가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입출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가나 학교, 관공서 등과 같이 사람들의 출입이 많은 곳에 주로 설치되는 여닫이식 유리문은 주로 강화유리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화유리문은 사람들의 출입이 많은 관계로 본인도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쉬워 출입문을 통과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각자의 안전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된다.
출입문을 통과시 발생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합성고무등을 유리문에 부착하거나 합성고무가 부착된 별도의 고정체를 유리문의 일측면에 끼워 결합시키는 보호구가 제안되어지고 있으나, 보호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변색되면서 강도면에서도 그 기능이 약화되어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 미관상 좋지 않으며 그에 따른 교체작업의 필요성과 또 다른 안전상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한편, 강화유리문은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사각형태로 결합된 내부에 강화유리가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의 표면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미관을 저해함과 동시에 수명이 단축되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가로프레임과 세로프레임이 각각 맞대어져 단순하게 볼트 또는 나사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모서리 보강이 어려우며 이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 뒤틀림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유리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지는 상하부 프레임과 내외측 프레임 의 모서리 결합강도를 높여 스마트 안전문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상하부 및 내외측 프레임의 표면에 커버가 씌워지도록 하여 미관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손보호구가 내측프레임의 내부에서 외측을 향하여 일정 길이 만큼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입출되어지도록 하고, 인출되어진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리(10)가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 사이에 삽입되어지고, 상기 유리(10)가 삽입된 상하부에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이 결합된 스마트 안전문(A)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30)은 일측으로 형성된 개구부(31)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31)를 향하여 돌출되는 인너가이드부(32)가 형성되어지고, 아우터가이드부(33)가 상기 인너가이드부(32)가 커버되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아우터가이드부(33)는 수평패널(331)의 일측 단부가 개구부(31)를 향하여 벤딩되어 만곡부(3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만곡부(332)의 끝이 다시 개구부(31)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지며, 상기 아우터가이드부(33)의 타측 단부는 스페이서부(34)가 형성되어 상기 인너가이드부(32)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스프링 삽입가이드(321)가 형성되어 판스프링(60)이 삽입 고정되어지며, 상기 판스프링(60)이 삽입된 인너가이드부(32)에 모헤어(74)가 삽입된 손보호구(7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내측에 보강부재(90)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보강부재(90)는 관통홀(911)을 갖는 찬넬형 삽입편(91)의 개방된 양측에 외측으로 플랜지편(92)이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플랜지편(92)의 외측 끝에 다수개의 슬릿홈(931)이 형성된 웹부편(93)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웹부편(93)이 상부프레임(40) 또는 하부프레임(50)의 단부에 삽입되어지고, 나사(S)가 인너가이드부(32) 및 관통홀(91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손보호구(70)는 찬넬형 보호부재(71)의 개방된 입구측 내부면이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외부면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개방된 입구측 외부면에 스토퍼(72)가 돌출되어지며, 상기 찬넬형 보호부재(71)의 폐쇄된 외부면에 모헤어 삽입홈(7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판스프링(60)은 V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인너가이드(32)의 스프링 삽입가이드(321)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되어 나사(S)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측프레임(30)의 아우터가이드부(33)는 양측에 요철걸림돌기(351)를 갖는 찬넬형 마감편(35)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부(34)에 형성된 삽입홈(341)에 각각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의 외부에 구비된 커버(41)(51)의 끝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외측 프레임 사이로 삽입된 유리의 상하부에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이 맞대어져 보강부재에 의하여 나사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모서리 결합강도를 높여 스마트 안전문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수명을 더 연장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하부 및 내외측 프레임의 표면에 별도의 커버가 씌워지도록 함으로써, 미관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측프레임의 내부로 모헤어가 구비된 손보호구가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입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이용객의 손가락 등이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모헤어에 의하여 내외부가 차단된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공기의 유출입이 방지되어짐으로써, 열손실과 소음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아울러 내측프레임의 개구부 양측 내부로 손보호구의 스토퍼가 거의 맞물려진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손보호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문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문의 내외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문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문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안전문(A)은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10)가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 사이에 삽입되어지고, 상기 유리(10)가 삽입된 상하부에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유리(10)는 외부 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정 두께를 갖는 강화유리로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은 각각 내측면에 소정 깊이를 갖는 홈이 형성되어 유리(10)의 가장자리가 용이하게 삽입 고정될 수 있게 길이방향으로 압출되어진 것을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사용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각각의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의 외부에는 스텐레스로 형성된 별도의 프레임커버(80)가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표면에 도색 및 코팅 등이 형성되어지도록 할 경우, 외부 미관을 더 미려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측프레임(30)은 유리(10)의 내측이 안정되게 지지됨과 동시에 스마트 안전문(A)이 닫이거나 열리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끼이면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일측으로 형성된 개구부(31)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31)를 향하여 돌출되는 인너가이드부(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일측에 아우터가이드부(33)가 스페이서부(34)에 의하여 상기 인너가이드부(32)를 커버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4)의 사이로 위치된 인너가이드부(32)의 내측으로 유리(10)가 삽입되어지게 된다.
상기 아우터가이드부(33)는 수평패널(331)의 외측단부가 개구부(31)를 향하여 벤딩된 만곡부(3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만곡부(332)의 끝이 다시 개구부(31)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짐으로써, 후술하는 손보호구(70)가 평상시 판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인출된 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손보호구(70)가 강제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30)을 형성하는 아우터가이드부(33)는 길이방향 양측에는 요철걸림돌기(351)를 갖는 찬넬형 마감편(35)이 결합되어 손보호구(70)가 길이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외측 모서리에는 스프링 삽입가이드(321)가 각각 마주보게 형성되어 판스프링(60)이 삽입된 상태에서 나사(S)로 고정되어지고, 상기 판스프링(60)이 삽입된 인너가이드부(32)에는 모헤어(74)가 삽입된 손보호구(70)가 결합되어 외측방향으로 손보호구(70)가 슬라이드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스프링삽입가이드(321)의 하부에는 T형멈춤편(360이 압입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부(34)는 내측이 인너가이드부(32)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직각되게 형성되어지며, 외측이 상기 아우터가이드부(33)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 삽입홈(34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341)에 상부프레임(40) 또는 하부프레임(50)의 표면에 맞대어지는 커버(41)(51)의 양끝단이 삽입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가이드부(33)의 외측과 스페이서부(34)의 외측에 각각 프레임커버(80)가 감싸여지게 결합되어 미관을 높임과 동시에 이물질 등이 붙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판스프링(60)은 V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인너가이드(32)의 스프링 삽입가이드(321)에 절곡된 가운데 부분이 일정간격으로 삽입되어지고,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나사홀을 통해 나사(S)로 체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보호구(70)는 내측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 찬넬형 보호부재(71)의 개방된 입구측 내부면이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외부면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개방된 입구측 외부면 양측에 스토퍼(72)가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찬넬형 보호부재(71)의 폐쇄된 외부면에 모헤어 삽입홈(73)이 형성되어모헤어(74)가 삽입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스마트 안전문(A)을 구성하는 상기 유리(10)의 가장자리 좌우 양측으로 결합된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 및 가장자리 상하 양측으로 결합된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은 각각 맞대어지는 부분에 보강부재(90)가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나사(S)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즉, 인너가이드부(32)의 내측에 보강부재(90)가 삽입되어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30)이 맞대어지게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S)가 보강부재(90)를 관통하여 상부프레임(40) 또는 하부프레임(50)의 단부에 결합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재(90)는 관통홀(911)을 갖는 찬넬형 삽입편(91)의 개방된 양측에 외측으로 플랜지편(92)이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플랜지편(92)의 외측 끝에 다수개의 슬릿홈(931)이 형성된 웹부편(93)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홈(931)이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의 내면에 형성된 미도시한 보강돌기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스마트 안전문은 먼저, 유리(10)의 가로폭 만큼 절단된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이 각각 유리(10)의 세로길이 만큼 절단된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의 양측단부 내측에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때, 각각의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 및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 사이로 유리(10)가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하고,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의 양측단이 맞대어지는 내측프레임(30) 및 외측프레임(20)에 보강부재(90)의 찬넬형 삽입편(91)이 삽입되어진 상태에서 웹부편(93)이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의 단부에 삽입되어지도록 하고, 이어 나사(S)가 내측프레임(30)의 인너가이드부(32) 및 관통홀(91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다음, 내측프레임(30)에 형성된 인너가이드부(32)의 스프링 삽입가이드(321)에 다수개의 판스프링(60)이 삽입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일정 간격으로 위치되어지도록 하고, 이어 나사(S)를 이용하여 판스프링(60)이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인너가이드부(32)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모헤어(74)가 구비된 손보호구(70)의 찬넬형 보호부재(71)가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이때, 판스프링(60)이 펼쳐지도록 하여 판스프링(60)의 끝이 찬넬형 보호부재(71)의 내측면에 맞대어져 가압된 상태 즉, 손보호구(70)가 개구부(31)를 향하여 소정길이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내측프레임(3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프레임 커버(41)가 삽입되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손보호구(70)와 프레임커버(80)를 갖는 내측프레임(30)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이때, 프레임커버(80)의 양측단은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에 맞대어지는 커버(41)의 폭 또는 길이 만큼 절단되어지도록 하여 내측프레임(30)에 형성된 삽입홈(341)이 노출되도록 한다.
다음, T형태를 갖는 멈춤편(36)이 스프링 삽입가이드(321)의 길이방향 하부에 압입됨으로써, 손보호구(70)와 프레임커버(80)가 하부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어 찬넬형 마감편(35)의 요철걸림돌기(351)가 외측프레임(20)의 수평패널(331) 내측으로 삽입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의 외측면에 커버(41)의 내측면이 서로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커버(41)의 양끝단부가 내측프레임(30)에 형성된 삽입홈(341)에 각각 삽입되어지도록 하고, 이어 나사(S)를 조이는 것으로 조립이 마무리된다.
A:스마트 안전문 10:유리
20:외측프레임 30:내측프레임
31:개구부 32:인너가이드부
33:아우터가이드부 34:스페이서부
40:상부프레임 50:하부프레임
60:판스프링 70:손보호구
74:모헤어 80:프레임커버
321:스프링 삽입가이드 331:수평패널
332:만곡부 341:삽입홈

Claims (5)

  1. 유리(10)가 외측프레임(20)과 내측프레임(30) 사이에 삽입되어지고, 상기 유리(10)가 삽입된 상하부에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이 결합된 스마트 안전문(A)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30)은 일측으로 형성된 개구부(31)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31)를 향하여 돌출되는 인너가이드부(32)가 형성되어지고, 아우터가이드부(33)가 상기 인너가이드부(32)가 커버되도록 형성되어지되, 상기 아우터가이드부(33)는 수평패널(331)의 일측 단부가 개구부(31)를 향하여 벤딩되어 만곡부(332)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만곡부(332)의 끝이 다시 개구부(31)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지며, 상기 아우터가이드부(33)의 타측 단부는 스페이서부(34)가 형성되어 상기 인너가이드부(32)와 연결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외측 모서리에 각각 스프링 삽입가이드(321)가 형성되어 판스프링(60)이 삽입 고정되어지며, 상기 판스프링(60)이 삽입된 인너가이드부(32)에 모헤어(74)가 삽입된 손보호구(70)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내측에 보강부재(90)가 삽입되어지되, 상기 보강부재(90)는 관통홀(911)을 갖는 찬넬형 삽입편(91)의 개방된 양측에 외측으로 플랜지편(92)이 절곡되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플랜지편(92)의 외측 끝에 다수개의 슬릿홈(931)이 형성된 웹부편(93)이 일체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웹부편(93)이 상부프레임(40) 또는 하부프레임(50)의 단부에 삽입되어지고, 나사(S)가 인너가이드부(32) 및 관통홀(91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보호구(70)는 찬넬형 보호부재(71)의 개방된 입구측 내부면이 상기 인너가이드부(32)의 외부면에 슬라이드되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개방된 입구측 외부면에 스토퍼(72)가 돌출되어지며, 상기 찬넬형 보호부재(71)의 폐쇄된 외부면에 모헤어 삽입홈(73)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판스프링(60)은 V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 인너가이드(32)의 스프링 삽입가이드(321)에 일정간격으로 삽입되어 나사(S)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프레임(30)의 아우터가이드부(33)는 양측에 요철걸림돌기(351)를 갖는 찬넬형 마감편(35)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34)에 형성된 삽입홈(341)에 각각 상부프레임(40)과 하부프레임(50)의 외부에 구비된 커버(41)(51)의 끝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문.
KR1020130047098A 2013-04-29 2013-04-29 스마트 안전문 KR10154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098A KR101549102B1 (ko) 2013-04-29 2013-04-29 스마트 안전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098A KR101549102B1 (ko) 2013-04-29 2013-04-29 스마트 안전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71A KR20140128571A (ko) 2014-11-06
KR101549102B1 true KR101549102B1 (ko) 2015-09-02

Family

ID=5245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098A KR101549102B1 (ko) 2013-04-29 2013-04-29 스마트 안전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62A (ko) * 2018-01-22 2019-07-31 조우집 단열 안전 도어
KR20190089261A (ko) * 2018-01-22 2019-07-31 조우집 수동 안전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29Y1 (ko) 2005-04-04 2005-06-17 김희일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129Y1 (ko) 2005-04-04 2005-06-17 김희일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9262A (ko) * 2018-01-22 2019-07-31 조우집 단열 안전 도어
KR20190089261A (ko) * 2018-01-22 2019-07-31 조우집 수동 안전 도어
KR102045299B1 (ko) * 2018-01-22 2019-11-15 조우집 수동 안전 도어
KR102045303B1 (ko) * 2018-01-22 2019-12-02 조우집 단열 안전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571A (ko)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94234A (en) Finger guard for swinging doors
KR200475150Y1 (ko) 창틀용 창호 방풍부재
KR200488790Y1 (ko) 문틈 안전 커버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20180044917A (ko) 여닫이 문용 손가락 보호 장치
KR101549102B1 (ko) 스마트 안전문
KR200457465Y1 (ko) 출입문 안전장치
KR200387129Y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손 보호구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1212248B1 (ko) 손 끼임에 의한 부상 방지기능을 갖는 문짝과 문틀 또는 창과 창틀
KR200287636Y1 (ko) 유리도어 안전장치
KR200492022Y1 (ko) 슬라이딩 문짝용 수직패널 구조
KR20220000650U (ko) 완전 방풍을 위한 푸쉬 프레임의 마감커버
KR20090112775A (ko) 미닫이문용 방풍부재 및 그 장착구조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KR101043128B1 (ko) 도어용 몰딩
KR20210017712A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200341288Y1 (ko) 강화유리문용 손 보호대
KR200382025Y1 (ko) 도어의 안전부재
KR200490948Y1 (ko) 도어의 손끼임 방지구
KR200497703Y1 (ko) 푸쉬 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 프레임 및 푸쉬 프레임 스토퍼
KR20210128581A (ko) 여닫이문의 손끼임 방지 및 기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