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482B1 -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 - Google Patents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482B1
KR101548482B1 KR1020150044701A KR20150044701A KR101548482B1 KR 101548482 B1 KR101548482 B1 KR 101548482B1 KR 1020150044701 A KR1020150044701 A KR 1020150044701A KR 20150044701 A KR20150044701 A KR 20150044701A KR 101548482 B1 KR101548482 B1 KR 101548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ing
space
garlic
forming body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익호
Original Assignee
엄익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익호 filed Critical 엄익호
Priority to KR102015004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214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23L1/012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흑마늘 제조방법은, 밀폐 가능한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에 구비된 숙성공간에 마늘을 넣고 숙성용기의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숙성공간의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하되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과 차단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하면서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흑마늘 제조방법은, 마늘이 과도한 수분에 노출되어 뭉그러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숙성공간 내의 물에 마늘이 잠기면서 유익한 성분이 빠져나오는 것도 방지되어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고 품질이 우수한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BLACK GARLIC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흑마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늘은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식품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성분과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특유의 매운맛과 강한 향은 마늘을 요리의 재료가 아닌 기호성 식품으로 만드는데 해소해야 할 문제점이었다.
이러한 마늘 특유의 매운맛과 강한 향을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마늘을 일정한 습도와 온도에서 장기간 숙성하는 흑마늘 제조기술이 안출되었다.
흑마늘은 생마늘보다 유리당의 함량이 증가되고 산도가 낮아져 새콤하면서 달콤한 맛을 갖게되며, 갈변반응에 의해 점차 검은색으로 변한 것이다.
마늘을 일정한 온도와 습도에서 숙성하면 갈변반응이 진행되면서 S-알릴-시스테인(S-allyl-cysteine, SAC)과 같은 수용성의 유황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마늘에 비해 항산화력이 증가된다
이러한 흑마늘을 제조할 때 일정 형상의 용기에 마늘을 넣고 숙성하게 되는데 기존의 흑마늘 숙성용 용기는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밀폐용기 형태이거나 밀폐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개방형으로 되어 있었다.
밀폐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개방형 숙성용기는 주로 껍질이 그대로 있는 통흑마늘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으며, 완전한 밀폐가 가능한 숙성용기는 껍질을 제거한 깐흑마늘의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실정이었다.
밀폐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는 숙성용기를 사용할 때 습도를 맞추기 위해서 숙성용기가 위치되는 넓은 공간에 물을 뿌리거나 가습기를 가동하는 방법 등으로 습도를 맞추는데 숙성공간이 넓기 때문에 습도가 높은 지점에 위치된 숙성용기 내의 통흑마늘은 숙성이 원활하지 못하고 흑마늘이 뭉그러지는 등 불량률이 높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숙성용기의 위치를 수시로 바꾸어 주기도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칠 경우 흑마늘의 품질이 전체적으로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완전한 밀폐가 이루어지는 숙성용기를 사용하는 경우 숙성용기 내에 다량의 물이 발생되어 온전한 형태를 갖지 못하는 흑마늘의 비율이 상당히 높게 될 뿐 아니라 유익한 성분이 상당량 흘러나온 것이어서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낮은 문제점까지 발생되었다.(유익한 성분이 적을수록 흑마늘의 단맛이 적음)
즉, 숙성용기 내에서 발생되는 물에 숙성중인 마늘이 잠기면서 마늘의 유익한 성분이 물로 상당량 흘러나와 최종 숙성된 흑마늘의 유익한 성분은 적어지는 것이다.
또, 숙성용기 내의 숙성공간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외부로 전혀 배출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까지 발생되어 품질도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밀폐형의 숙성트레이는 한 변의 길이가 30cm 이하의 소형 숙성트레이에 한정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마늘이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유익한 성분이 빠져나오는 것도 방지되어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고 품질이 우수한 흑마늘 제조방법과 그것에 의해 제조된 흑마늘 및 그것을 위한 숙성용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숙성용기의 숙성공간에 숙성대상 마늘을 넣고, 숙성용기의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숙성공간의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하되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과 차단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하면서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함으로써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고 품질이 우수하도록 한다.
또,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은 숙성을 위해 가해지는 열에 의해 숙성공간의 압력이 숙성공간을 밀폐시키는 힘보다 강해져 밀폐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발생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는, 내용물이 투입되는 숙성공간을 형성하는 숙성공간형성체를 갖는다.
또, 숙성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차단하는 덮개를 갖는다.
또, 숙성공간형성체와 덮개 사이에 위치되어 숙성공간형성체와 덮개에 의해 가압될 때 숙성공간의 개방된 부분이 차단되어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을 갖는다.
또, 숙성공간형성체와 덮개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밀폐력발생구를 갖는다.
상기 밀폐력발생구는 숙성공간형성체의 외측면에 걸리는 형성체걸림부를 가지며, 덮개의 외측면에 걸리는 덮개걸림부를 갖고, 형성체걸림부와 덮개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되 덮개걸림부와 형성체걸림부 사이의 간격이 연결부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고 좁아져 있는 부분이 벌어진 후 원상태로 회복되려는 탄성을 갖는 탄성가압부를 가지며, 탄성가압부가 숙성공간형성체와 덮개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패킹이 가압되면서 밀폐력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흑마늘 제조방법은, 밀폐형의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에 구비된 숙성공간에 마늘을 넣고 숙성용기의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숙성공간의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하되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과 차단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하면서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하는 것이므로 마늘이 과도한 수분에 노출되어 뭉그러지는 현상이 방지되어 품질이 우수한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다.
또, 가스와 수증기의 순간적인 배출이 이루어져 숙성공간 내에 다량의 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숙성중인 마늘이 물에 잠기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하여 마늘이 숙성공간내의 물에 잠기면서 숙성되는 경우보다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은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은 숙성을 위해 가해지는 열에 의해 숙성공간의 압력이 숙성공간을 밀폐시키는 힘보다 강해져 밀폐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발생되는 것이고,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어 숙성공간의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숙성공간이 다시 밀폐되어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이 차단되는 구조인 경우 마늘의 수분함량, 마늘이 숙성되어 가는 정도 등에 따라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이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품질이 더욱 우수한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상, 하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숙성용기가 위치되어 있도록 하고, 숙성용기와 숙성용기의 사이로 열풍이 통과하도록 하여 흑마늘을 제조하는 경우 흑마늘의 고른 숙성이 가능한 특징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 중 숙성공간형성체, 덮개, 패킹, 다수 개의 밀폐력발생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밀폐력발생구는 숙성공간형성체와 덮개에서 완전히 분리 가능하고 탄성가압부를 통해 밀폐력이 발생되도록 된 숙성용기는 밀폐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마늘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흑마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숙성용기에 있어서 밀폐력발생구가 결합된 상태
A : 밀폐력발생구가 숙성용기의 전, 후, 좌, 우에 결합된 형태
B : 밀폐력발생구가 밀폐용기의 전, 후에 결합된 형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숙성용기의 구성요소인 밀폐력발생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사시도
B :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숙성용기의 밀폐력발생구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밀폐력발생구의 결합 직전
B ; A의 과정 후 밀폐력발생구의 형성체걸림부와 덮개걸림부의 일부가 용기와 덮개에 각각 걸린상태
C : B의 과정 후 밀폐력발생구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밀폐력발생구를 숙성공간형성체와 덮개에서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숙성공간형성체 중 덮개와 결합되는 부분의 외형 크기가 덮개보다 작아 밀폐력발생구의 결합시 숙성공간형성체의 외측면과 밀폐력발생구 사이에 틈새가 발생된 구조
B ; 숙성공간형성체의 하부면에서 덮개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보다 연결부의 높이가 커서 덮개의 상부면과 연결부의 끝부분 사이에 큰 공간이 발생되는 구조
도 6은 숙성공간형성체의 하부면과 덮개의 상부면이 평평하여 밀폐력발생구를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폐력발생구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패킹설치홈과 패킹 및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A ; 덮개의 가장자리가 패킹설치홈 방향으로 구부러져 가이드가 형성됨으로써 가이드가 패킹의 외측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돌출된 형태인 구조
B : 덮개 중 패킹설치홈을 형성하는 부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부가 가압되어 돌출된 형태의 가이드를 갖는 구조
도 8은 도 1의 구조를 갖는 숙성용기가 체크밸브를 갖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가스배출구와 압력배출밸브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흑마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형의 숙성용기를 사용한 흑마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흑마늘이 온전한 형태를 유지하고, 유익한 성분이 빠져나오는 것도 방지되어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높고 품질이 우수한 흑마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오랜 연구와 노력을 통해 숙성공간 내의 가스와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배출되면 숙성공간 내에 다량의 물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알게되었다.
즉,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구조는 숙성공간 내에 다량의 물이 발생하고, 마늘이 과도하게 건조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과 차단이 반복되면 마늘이 과도하게 건조되지도 않고, 숙성공간 내에 다량의 물이 발생되지도 않는다.
물론,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은 기준치를 초과할 때 배출되어야 고품질의 흑마늘을 제조할 수 있다.(흑마늘의 숙성상태 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흑마늘의 숙성과정에서 숙성공간의 압력이 대기압의 1.1배~1.5배 정도일 때 숙성공간의 압력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을 얻었다.)
숙성공간 내에 다량의 물이 발생되지 않으면 마늘이 물에 잠기지 않게 되고, 마늘이 물에 잠기거나 포화증기 또는 포화상태에 가까운 증기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유익한 성분이 다량 빠져나오는 현상도 방지되어 숙성된 흑마늘의 맛이 좋아지며, 흑마늘이 뭉그러지는 현상도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흑마늘 제조방법은, 밀폐형의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100)에 구비된 숙성공간(11)에 숙성대상 마늘을 넣고 숙성용기(100)의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숙성공간(11)의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또, 숙성공간(11)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과 차단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하면서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한다.
그런데 숙성공간 내의 가스와 수증기를 작업자가 일일이 배출시키는 것은 상당한 불편함이 발생되고, 가스와 수증기가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도 쉽지 않다.
또, 숙성공간(11)의 가스와 수증기 배출을 위해 숙성용기(100)의 덮개(20)를 개방하는 것은 숙성공간(11)의 온도를 급격히 저하시켜 숙성공간(11)에 다량의 물이 발생되게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숙성공간(11)의 가스와 수증기는 최대한 신속하게 배출되고, 숙성공간(11)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숙성공간에 연결된 가스배출구를 형성하고, 가스배출구의 개방은 타이머에 의해서 설정된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그러나 이러한 구조와 방식은 마늘의 건조상태, 숙성상태 등을 고려하여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없는 단점과 가스와 수증기가 기준치 이하일 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됨에 있어, 숙성을 위해 가해지는 열에 의해 숙성공간(11)의 압력이 숙성공간(11)을 밀폐시키는 힘보다 강해져 밀폐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이루어지는 방식을 안출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어 숙성공간(11)의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숙성공간(11)이 다시 밀폐되어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이 차단된다.
즉, 숙성용기의 숙성공간(11) 압력이 설정된 수치를 초과하면(숙성공간(11)을 밀폐시키는 힘보다 강한 압력이 발생하면) 밀폐력이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숙성공간(11) 내의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고, 숙성공간(11) 내의 가스가 배출되어 숙성공간(11) 내의 압력이 설정된 수치 이하로 낮아지면 다시 숙성공간의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은 숙성공간(11)에서 상당히 강한 압력이 발생될 경우에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흑마늘의 숙성에 적합한 양을 초과하는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도 1 내지 도 7과 같은 구조의 숙성용기를 안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숙성대상 마늘이 투입되는 숙성공간(11)을 형성하는 숙성공간형성체(10)를 갖는다.
또, 숙성공간(11)의 개방된 부분을 차단하는 덮개(20)를 갖는다.
또,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 사이에 위치되어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에 의해 가압될 때 숙성공간(11)의 개방된 부분이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30)을 갖는다.
또, 덮개(20)와 숙성공간형성체(10)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덮개(20)와 숙성공간형성체(10) 사이의 패킹(30)이 가압되어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 즉, 밀폐력을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밀폐력발생구(40)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만으로는 숙성공간(11)의 압력이 높아질 때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밀폐력발생구(40)를 구현함에 있어 숙성공간형성체(10)의 외측면에 걸리는 형성체걸림부(41)를 가지며, 덮개(20)의 외측면에 걸리는 덮개걸림부(42)를 갖고, 형성체걸림부(41)와 덮개걸림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갖는 형태로 구현한다.(이러한 형태는 전체적으로 ,ㄷ,자의 모양을 가지게 된다.)
또, 덮개걸림부(42)와 형성체걸림부(41) 사이의 간격이 연결부(43)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고 좁아져 있는 부분이 벌어진 후 원상태로 회복되려는 탄성을 갖는 탄성가압부(44)를 갖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또, 탄성가압부(44)가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의 외측으로 삽입될 때 패킹(30)이 가압되면서 밀폐력이 발생되도록 하며,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도 있는 밀폐력발생구(40)가 되도록 한다.
도 4는 밀폐력발생구(40)를 체결하는 예들 도시한 것으로서 도 4의 A와 같은 형태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도 4의 B와 같은 형태로 변형되면서 도 4의 C와 같은 형태로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숙성용기는 밀폐력발생구(40)를 몇 개 결합하는지, 몇 개의 밀폐력발생구(40)를 어느 지점에 결합하는지, 밀폐력발생구(40) 간의 간격은 어떠한지의 여부에 따라 밀폐력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밀폐용기가 첨부된 도면과 같이 6면체 형태가 된다고 할때 도 2의 A와 같이 밀폐력발생구(40)를 밀폐용기의 전, 후, 좌, 우 4면에 각각 2개씩 총 8개를 설치하면 밀폐용기는 완전한 밀폐형태가 될 수 있으며,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당히 높아도 밀폐력이 유지되는 매우 높은 밀폐력이 확보된다.
그러나 도 2의 B와 같이 밀폐력발생구(40)를 밀폐용기의 전, 후에만 각각 2개씩 설치할 경우 도 2의 A 보다는 밀폐력이 약해져 숙성공간형성체(10) 내에서 강한 압력이 발생되면 숙성공간형성체(10)의 좌, 우측 부분이 살짝 들리면서 숙성공간형성체(10)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어 압력이 다시 낮아지고, 숙성공간형성체(10)는 다시 밀폐 상태가 된다.
밀폐력발생구(40)를 밀폐용기의 전, 후에만 각각 2개씩 설치하더라도 밀폐력발생구(40)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도 6참조) 도 2의 B와 같은 상태보다는 밀폐력이 약해져 숙성공간형성체(10) 내부의 압력에 견디는 힘은 약해지므로 숙성공간형성체(10) 내부의 가스와 수증기는 더 낮은 압력에서도 배출되는 것이다.(가스와 수증기의 배출로 인해 숙성공간(11)의 압력이 낮아지면 탄성가압부(44)의 탄성력으로 다시 밀폐됨)
물론, 밀폐력발생구(40)의 결합 숫자를 더욱 적게 하여 숙성공간형성체(10) 내부에서 더욱 더 약한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자연스럽게 가스가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의 숙성용기는 밀폐력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조의 밀폐력발생구(40)를 결합한 상태에서 밀폐력발생구(40)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도 5의 B와 같이 숙성공간형성체(10)의 하부면에서 덮개(20)의 상부면까지의 거리보다 연결부(43)의 높이가 커서 덮개(20)의 상부면과 연결부(43)의 끝부분 사이에 큰 공간(H)이 발생되는 구조는 숙성용기를 트레이나 소형 숙성기 등에 투입하는데 어려움을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숙성공간형성체(10) 중 덮개(20)와 결합되는 부분의 외형 크기가 덮개(20)의 외형보다 작아 밀폐력발생구(40)의 결합시 숙성공간형성체(10)의 외측면과 밀폐력발생구(40) 사이에 틈새(T)가 발생되도록 하는 구조를 안출하였다.(도 5의 A 참조)
즉, 상기와 같은 틈새(T)에 손가락이나 도구를 삽입하여 밀폐력발생구(40)를 끌어당김으로써 밀폐력발생구(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결합된 밀폐력발생구(40)를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특징이 있다.
전술한 숙성공간형성체(10)의 하부면과 덮개(20)의 상부면이 평평하여 밀폐력발생구(40)를 결합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밀폐력발생구(40)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도 6참조)는 밀폐력을 매우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마늘의 건조상태, 숙성상태 등 다양한 조건에 맞게 사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
즉, 밀폐력발생구(40)를 결합시켜 놓을 수 있는 지점이 매우 많아지는 것이어서 밀폐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덮개(20)에는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 간격형성체(21)에 의해 패킹설치홈(22)이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또, 패킹(30)은 패킹설치홈(22)에 억지끼워맞춤 형태로 끼워져 있도록 할 수 있다.(억지끼워맞춤이란 패킹설치홈(22)보다 패킹(30)의 크기가 커서 패킹(30)이 가압된 상태로 패킹설치홈(22)에 위치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구조는 패킹설치홈(22)으로 삽입되는 숙성공간형성체(10)의 끝부분이 패킹(3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될 경우에 발생되는 밀폐력 저하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숙성공간형성체(10)의 끝부분이 패킹(30)을 안정적으로 가압해야 밀폐력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음)
그러나 패킹설치홈(22)으로 삽입되는 숙성공간형성체(10)의 끝부분이 패킹(30)의 외측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패킹설치홈(22)으로 삽입되는 숙성공간형성체(10)의 끝부분이 패킹(30)의 외측 가장자리로 향하지 못하도록 패킹(30)의 외측 가장자리 앞쪽에서 돌출되어 있는 가이드(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23)는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의 A와 같이 덮개(20)의 가장자리가 패킹설치홈(22) 방향으로 구부러져 형성됨으로써 가이드(23)가 패킹(30)의 외측 가장자리를 가리도록 돌출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패킹설치홈(22)으로 삽입되는 숙성공간형성체(10)의 끝부분이 가이드(23)에 의해 패킹(30)의 외측 가장자리 안쪽에 접촉될 뿐 패킹(3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접촉되지 못한다.
가이드(23)의 또 다른 형성방법으로서, 도 7의 B와 같이 덮개(20) 중 패킹설치홈(22)을 형성하는 부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일부가 가압되어 돌출된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숙성용기는 숙성공간형성체(10), 덮개(20), 밀폐력발생구(40)가 금속일 경우, 특히 스테인레스일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또, 한 변의 길이가 40cm 이상인 밀폐형의 대형 숙성용기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밀폐상태의 숙성용기(100)가 냉각됨에 따라 발생되는 숙성공간(11)의 흡입력에 대응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것이 좋다.
즉, 밀폐상태의 숙성용기가 냉각되면 숙성공간(11)에 흡입력이 발생되면서 숙성공간은 진공상태가 되며, 이러한 진공력은 숙성용기를 파손시킬 정도로 강할 수 있다.
따라서 숙성공간(11)이 냉각되어 숙성공간(11)에 진공력이 발생될 때 외부의 공기가 숙성공간(11)으로 유입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숙성공간의 가스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숙성공간에서 흡입력이 작용할 때 외부의 공기가 숙성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는 체크밸브(50)를 전술한 숙성용기의 덮개(20) 등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체크밸브(50)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순간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또 다른 방식으로서, 패킹 등에 의해 밀폐되는 숙성공간에 연결된 가스배출구(60)를 형성하고, 이러한 가스배출구(60)에 연결된 압력배출밸브(70)를 구비해 놓음으로써 숙성공간에 설정된 압력이 발생될 때 가스배출구(60)를 통한 가스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숙성용기가 위치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과 열풍의 흐름 등에 영향을 적게 주도록 압력배출밸브(70)를 매우 작게 구현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숙성용기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또, 숙성대상 마늘의 상태, 숙성되어 가는 상태 등을 고려하여 압력배출 조건을 일일이 설정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도 있으며, 압력배출밸브(70)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어 숙성용기의 부피가 커지므로 동일한 크기의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는 숙성용기의 수가 적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가스배출구(60)를 갖는 숙성용기도 전술한 구조의 숙성용기와 같이 숙성공간형성체, 덮개, 패킹을 가지며, 밀폐력을 발생시키는 매미고리 등을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매미고리 등을 사용하여 밀폐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는 매미고리로 인해 부피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10. 숙성공간형성체
11. 숙성공간
20. 덮개
21. 간격형성체
22. 패킹설치홈
23. 가이드
30, 패킹
40. 밀폐력발생구
41. 형성체걸림부
42. 덮개걸림부
43. 연결부
44. 탄성가압부
50. 체크밸브
60. 가스배출구
70. 압력배출밸브
100. 숙성용기

Claims (6)

  1. 흑마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밀폐 가능한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에 구비된 숙성공간에 마늘을 넣고 상기 숙성용기의 외부에서 열을 가하여 숙성공간의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하되 상기 숙성공간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과 차단되는 것이 반복되도록 하면서 마늘을 흑마늘로 제조하고,
    상기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는 마늘이 투입되는 숙성공간(11)을 형성하는 숙성공간형성체(10);
    상기 숙성공간(11)의 개방된 부분을 차단하는 덮개(20);
    상기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 사이에 위치되어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에 의해 가압될 때 숙성공간(11)의 개방된 부분이 차단되어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30); 및
    상기 숙성공간형성체(10)의 외측면에 걸리는 형성체걸림부(41)를 가지며, 덮개(20)의 외측면에 걸리는 덮개걸림부(42)를 갖고, 형성체걸림부(41)와 덮개걸림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갖되 덮개걸림부(42)와 형성체걸림부(41) 사이의 간격이 연결부(43)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고, 좁아져 있는 부분이 벌어진 후 원상태로 회복되려는 탄성을 갖는 탄성가압부(44)를 가지며, 탄성가압부(44)가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패킹(30)이 가압되면서 밀폐력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밀폐력발생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공간(11)의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는 것은 숙성을 위해 가해지는 열에 의해 숙성공간(11)의 압력이 숙성공간(11)을 밀폐시키는 힘보다 강해져 밀폐상태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발생되는 것이고,
    가스와 수증기가 배출되어 숙성공간(11)의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숙성공간(11)이 다시 밀폐되어 가스와 수증기의 배출이 차단되도록 하는,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가 상, 하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위치되어 있도록 하고,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와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의 사이로 열풍이 통과하도록 하면서 흑마늘을 제조하는,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의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흑마늘.
  5. 흑마늘 제조에 사용되는 숙성용기에 있어서,
    마늘이 투입되는 숙성공간(11)을 형성하는 숙성공간형성체(10);
    상기 숙성공간(11)의 개방된 부분을 차단하는 덮개(20);
    상기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 사이에 위치되어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에 의해 가압될 때 숙성공간(11)의 개방된 부분이 차단되어 밀폐되도록 하는 패킹(30);
    상기 숙성공간형성체(10)의 외측면에 걸리는 형성체걸림부(41)를 가지며, 덮개(20)의 외측면에 걸리는 덮개걸림부(42)를 갖고, 형성체걸림부(41)와 덮개걸림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를 갖되 덮개걸림부(42)와 형성체걸림부(41) 사이의 간격이 연결부(43)에서 멀어질수록 점차 좁아지고, 좁아져 있는 부분이 벌어진 후 원상태로 회복되려는 탄성을 갖는 탄성가압부(44)를 가지며, 탄성가압부(44)가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의 외측으로 삽입되어 패킹(30)이 가압되면서 밀폐력이 발생되도록 하거나 숙성공간형성체(10)와 덮개(20)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밀폐력발생구(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용 숙성용기.
  6. 삭제
KR1020150044701A 2015-03-31 2015-03-31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 KR101548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01A KR101548482B1 (ko) 2015-03-31 2015-03-31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701A KR101548482B1 (ko) 2015-03-31 2015-03-31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482B1 true KR101548482B1 (ko) 2015-08-28

Family

ID=5406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701A KR101548482B1 (ko) 2015-03-31 2015-03-31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4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610B1 (ko) * 2010-09-13 2012-08-30 김성룡 흑마늘 제조용 수용용기 및 이를 이용한 마늘 숙성장치
JP2013085499A (ja) 2011-10-15 2013-05-13 Nagamine:Kk 黒にんにく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8610B1 (ko) * 2010-09-13 2012-08-30 김성룡 흑마늘 제조용 수용용기 및 이를 이용한 마늘 숙성장치
JP2013085499A (ja) 2011-10-15 2013-05-13 Nagamine:Kk 黒にんにく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655Y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US20190293342A1 (en) A crisper
JP2000238856A (ja) 農産物のガス抜き式容器
CN105455671A (zh) 压力烤箱
JPH0538395A (ja) 布団加熱乾燥器
KR101548482B1 (ko) 고품질의 흑마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 제조된 흑마늘
CN109956082A (zh) 一种卤烤鸡爪包装方法
US6609354B1 (en) Method for long term storage of a bulk biologically active commodity
CN208447197U (zh) 一种可抽真空的果汁杯组件及果汁杯
CN201254339Y (zh) 自动排气盖
KR101586174B1 (ko) 기능성 영양소의 함량이 높은 숙성양파의 안정적 생산을 위한 양파의 저온숙성 방법 및 그것에 의해 생산된 숙성양파를 원료로 한 양파즙의 생산방법
JP2808238B2 (ja) 電子レンジでの加熱調理による殺菌状態のまま密閉できる通気栓付き密閉容器
CN211911301U (zh) 提供限压排气的锅盖及微压力锅
CN211324323U (zh) 一种蒸制箱
CN208897406U (zh) 一种双用真空封口机
CN212591683U (zh) 一种粽子安全高效自加热装置
CN201789883U (zh) 果蔬二氧化碳脱水罐恒温装置
JPH07298982A (ja) 通気栓付き密閉容器での加圧調理と保存をする方法
CN219846070U (zh) 烹饪设备
KR200440102Y1 (ko) 김치냉장고용 옹기
CN219460290U (zh) 一种用于水果成熟调控处理的实验型气密箱
CN205197763U (zh) 一种压力烹调器的调压装置
CN104627506B (zh) 具有盖子的容器尤其是存储容器
CN108887625A (zh) 黄桃罐头加工工艺
CN221654081U (zh) 一种手动拉杆排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