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542B1 -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542B1
KR101547542B1 KR1020130151514A KR20130151514A KR101547542B1 KR 101547542 B1 KR101547542 B1 KR 101547542B1 KR 1020130151514 A KR1020130151514 A KR 1020130151514A KR 20130151514 A KR20130151514 A KR 20130151514A KR 101547542 B1 KR101547542 B1 KR 101547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ack
impact
display
uni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221A (ko
Inventor
이경모
Original Assignee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스콘 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1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54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8Cells or batteries combined with indicating means for external visualization of the condition, e.g. by change of colour or of light den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 사용 중 충격 감지 시 배터리 팩 운용에 대한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의 배터리 팩을 운용하면서 충격감지부(340)에서 충격을 감지하면(S130) 제어부(370)는 충격량을 카운트하고, 셀편차와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S190); 상기 제어부(370)는 셀편차에 이상이 감지되고(S230), 상기 카운트된 충격량이 설정값 이상이라면 제어부(370)는 상기 배터리 팩 운용을 중지하는 단계(S250);및 상기 제어부(370)는 표시부(320)와 알람발생부(360)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팩의 이상을 알리는 단계(S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System for managing battery pack damage managenent system for electric bycycle and method for sencing damage thereof}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팩 사용 중 충격 감지 시 배터리 팩 운용에 대한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배터리 셀과 충방전 회로 등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팩은 휴대폰 및 캠코더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소형 전자 기기에 사용되거나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출퇴근 수단 및 취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자전거가 오르막 길 등에서 사람들의 무리한 체력을 요구하고 속도를 떨어뜨린다는 이유로, 전기 자전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전기 자전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며, 이에 따라 전기 자전거 모터의 구동용 전원으로도 배터리팩이 채용되고 있다.
배터리팩은 충전기를 통해 변환된 DC 전원을 저장한다. 이를 위하여 배터리팩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도록 셀(Cell)을 여러 개로 묶어 만드는 배터리 모듈과 배터리 모듈을 관리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배터리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로 구성된다.
초기에는 전동자건거의 비정상 동작시 리셋을 위한 스위치가 없어 불편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비정상 동작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리셋할 수 있도록 리셋 회로를 구성하였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이러한 배터리 셀에 대한 편차 발생 시 셀 밸런싱(Cell balancing 동작을 통해 Cell 편차를 줄이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41844호(2010년 11월 16일)인 전지셀 전압 밸런싱 장치 역시 전지모듈을 이루는 다수의 전지셀들을 병렬 연결하여 전지셀들 상호간의 전압차를 최소화하여 전지모듈 성능을 최적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셀 밸런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첫째, 배터리 팩(Battery Pack) 모듈이 손상이 가해져 셀(Cell)편차가 일정범위를 초과 했을 때에는 셀 밸런싱(Cell Balancing)의 의미가 없어지는데, 배터리 팩(Battery Pack)사용 시 외부 충격에 의해 배터리 모듈에 영향이 미쳐 셀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없었다.
둘째, 부하가 많이 받게 되는 셀(Cell)이 발생하는 경우 배터리 팩(Battery Pack) 사용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팩 사용 중 충격 감지 시 배터리 팩 운용에 대한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 셀(310)을 충전시키는 충전기(100)와, 상기 배터리 셀(310)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기자전거(200) 및 상기 배터리 셀(31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30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300)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20);
상기 표시부(320)에 상기 배터리 팩(300)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디게이터 스위치(330);
상기 배터리팩(300)에 발생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340);
상기 배터리팩(300)에 발생한 충격을 메모리하는 메모리부(350);
상기 배터리팩(300) 이상 발생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 발생부(360); 및
상기 충격감지부(340)로부터 센싱된 충격량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하고, 상기 배터리 셀(310)의 셀 편차 발생 시 셀 편차 정도를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며, 상기 표시부(320)와 상기 알람 발생부(360)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팩(300)의 이상을 경고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320)는 상기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 표시, 건상 상태 표시, 충전횟수 표시, 배터리 팩 충전진행상태 표시, 배터리 총 충전량 표시, 배터리 팩 방전량 표시, 배터리 팩 사용 가능 시간 표시, 배터리 팩 경고 표시, 배터리 팩 에러 표시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며,
상기 인디게이터 스위치(330)는 상기 배터리 팩 건상 상태 표시, 배터리 팩 충전진행상태 표시, 배터리 총 충전량 표시, 배터리 팩 방전량 표시, 배터리 팩 사용 가능 시간 표시 중 하나이상이 표시부(320)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370)는 누적값이 설정값 이상이면서 상기 셀 편차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상기 배터리 팩(300)의 이상을 경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370)는 충격감지부(340)에서 감지한 충격에 대해 기준값과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에도 누적하여 카운트하고, 높은 경우에도 누적하여 카운트하여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자전거의 배터리 팩을 운용하면서 충격감지부(340)에서 충격을 감지하면(S130) 제어부(370)는 충격량을 카운트하고, 셀편차와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S190);
상기 제어부(370)는 셀편차에 이상이 감지되고(S230), 상기 카운트된 충격량이 설정값 이상이라면 제어부(370)는 상기 배터리 팩 운용을 중지하는 단계(S250);및
상기 제어부(370)는 표시부(320)와 알람발생부(360)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팩의 이상을 알리는 단계(S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량과 셀 편차를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충격량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50)와, 상기 충격량이 기준값보다 크지 않다면 셀편차와 충격을 카운트하고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S170)와 상기 충격량이 기준값보다 크다면 셀편차와 이상충격을 카운트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S1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배터리 팩(Battery Pack) 모듈이 손상이 가해져 셀(Cell)편차가 일정범위를 초과해 셀 밸런싱(Cell Balancing)의 의미가 없어지는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전기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다.
둘째, 더 많은 배터리 셀이 부하가 발생하기 전에 A/S를 받게 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A/S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기(100), 전기자저거(200) 및 배터리 팩(3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기(100)는 배터리 팩(300)의 배터리 셀(310)을 충전시킨다.
전기자전거(200)는 배터리 팩(300)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배터리 팩(300)은 배터리 셀(310), 표시부(320), 인디게이터 스위치(330), 충격감지부(340), 메모리부(350), 알람 발생부(360) 및 제어부(MCU)(370)로 구성된다.
여기서, 배터리 셀(310)은 충전기(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저장한다.
표시부(320)는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 표시, 건상 상태 표시, 충전횟수 표시, 배터리 팩 충전진행상태 표시, 배터리 총 충전량 표시, 배터리 팩 방전량 표시, 배터리 팩 사용 가능 시간 표시, 배터리 팩 경고 표시, 배터리 팩 에러 표시 중 하나 이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인디게이터 스위치(330)는 배터리 팩 건상 상태 표시, 배터리 팩 충전진행상태 표시, 배터리 총 충전량 표시, 배터리 팩 방전량 표시, 배터리 팩 사용 가능 시간 표시 중 하나이상이 표시부(320)에 표시되도록 한다.
충격감지부(340)는 배터리팩(300)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한다.
메모리부(350)는 배터리팩(300)에 발생한 충격을 메모리한다.
알람 발생부(360)는 배터리팩(300) 이상 발생 시 경고음을 출력한다. 스피커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충격감지부(340)로부터 센싱된 충격량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다음 이를 카운터하여 메모리부(350)에 저장하고, 셀 편차 발생 시 셀 편차 정도를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며, 누적값이 설정 값 이상이면서 셀 편차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표시부(320)를 통해 배터리 팩 이상을 경고하거나, 알람 발생부(360)를 통해 배터리 팩의 이상을 경고한다. 다시 말하면 배터리 팩(300)에 충격(손상)에 의한 이상 발생 시에는 셀 밸런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 기준 값과 비교하여 설정 값보다 낮은 경우에도 누적하여 카운트하고, 높은 경우에도 누적하여 카운트한다. 다시 말하면 설정 값보다 낮더라도 셀 편차에는 이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방법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자전거를 이용하면서 배터리 팩을 운용하게 된다(S110).
그리고 충격감지부(340)에서 충격을 감지하면(S130) 제어부(370)는 충격량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다(S150).
비교결과(S150) 충격량이 기준값보다 크지 않다면 셀편차와 충격을 카운트하고 이를 메모리부(350)에 저장한다(S170).
그러나 비교결과(S150) 충격량이 기준값보다 크다면 셀편차와 이상충격을 카운트하고 이를 메모리부(350)에 저장한다(S190). 즉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이상충격을 카운트하는 것이다.
그 다음 배터리 팩을 운용하면서(S210), 제어부(370)는 셀편차에 이상이 감지하였는가를 판단한다(S230).
판단결과(S230) 셀 편차에 이상이 감지하고, 충격이나 이상 충격이 설정값 이상이라면 제어부(370)는 배터리 팩 운용을 중지한다(S250). 그에 따라 전기자전거는 운용을 중지하거나 수동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 다음 제어부(370)는 표시부(320)와 알람발생부(360)를 통해 배터리 팩의 이상을 알린다(S270).
그에 따라 사용자는 전기자전거의 배터리 팩(Battery Pack) 모듈이 손상이 가해진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경고를 표시함으로써 안전하게 전기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고, 더 많은 배터리 셀이 부하가 발생하기 전에 A/S를 받게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A/S가 가능하다.
100 : 충전기 200 : 전기자전거
300 : 배터리 팩 310 : 배터리 셀
320 : 표시부 330 : 인디게이터 스위치
340 : 충격감지부 350 : 메모리부
360 : 알람 발생부 370 : 제어부

Claims (7)

  1. 배터리 셀(310)을 충전시키는 충전기(100)와, 상기 배터리 셀(310)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기자전거(200) 및 상기 배터리 셀(310)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30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팩(300)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20);
    상기 표시부(320)에 상기 배터리 팩(300)의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디게이터 스위치(330);
    상기 배터리팩(300)에 발생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340);
    상기 배터리팩(300)에 발생한 충격을 메모리하는 메모리부(350);
    상기 배터리팩(300) 이상 발생 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알람 발생부(360); 및
    상기 충격감지부(340)로부터 센싱된 충격량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하고, 상기 배터리 셀(310)의 셀 편차 발생 시 셀 편차 정도를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며, 상기 표시부(320)와 상기 알람 발생부(360)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팩(300)의 이상을 경고하는 제어부(370)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320)는 상기 배터리 팩의 충전 상태 표시, 건상 상태 표시, 충전횟수 표시, 배터리 팩 충전진행상태 표시, 배터리 총 충전량 표시, 배터리 팩 방전량 표시, 배터리 팩 사용 가능 시간 표시, 배터리 팩 경고 표시, 배터리 팩 에러 표시 중 하나 이상이 표시되며,
    상기 인디게이터 스위치(330)는 상기 배터리 팩 건상 상태 표시, 배터리 팩 충전진행상태 표시, 배터리 총 충전량 표시, 배터리 팩 방전량 표시, 배터리 팩 사용 가능 시간 표시 중 하나이상이 표시부(320)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370)는 누적값이 설정값 이상이면서 상기 셀 편차에 이상이 감지된 경우 상기 배터리 팩(300)의 이상을 경고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370)는 충격감지부(340)에서 감지한 충격에 대해 기준값과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낮은 경우에도 누적하여 카운트하고, 높은 경우에도 누적하여 카운트하여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2. 전기자전거의 배터리 팩을 운용하면서 충격감지부(340)에서 충격을 감지하면(S130) 제어부(370)는 충격량을 카운트하고, 셀편차와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S190);
    상기 제어부(370)는 셀편차에 이상이 감지되고(S230), 상기 카운트된 충격량이 설정값 이상이라면 제어부(370)는 상기 배터리 팩 운용을 중지하는 단계(S250);및
    상기 제어부(370)는 표시부(320)와 알람발생부(360)를 통해 상기 배터리 팩의 이상을 알리는 단계(S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충격량과 셀 편차를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충격량을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는 단계(S150)와, 상기 충격량이 기준값보다 크지 않다면 셀편차와 충격을 카운트하고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S170)와 상기 충격량이 기준값보다 크다면 셀편차와 이상충격을 카운트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350)에 저장하는 단계(S1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51514A 2013-12-06 2013-12-06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 KR101547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514A KR101547542B1 (ko) 2013-12-06 2013-12-06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514A KR101547542B1 (ko) 2013-12-06 2013-12-06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21A KR20150066221A (ko) 2015-06-16
KR101547542B1 true KR101547542B1 (ko) 2015-08-27

Family

ID=53514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514A KR101547542B1 (ko) 2013-12-06 2013-12-06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44B1 (ko) * 2016-12-22 2021-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충격 보호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744A (ja) 2007-10-29 2009-05-21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衝撃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0744A (ja) 2007-10-29 2009-05-21 Sony Corp 電池パックおよび衝撃検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221A (ko) 201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7537B2 (ja) 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駆動方法
JP5282789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電池容量検出装置
US8274260B2 (en) Battery pack
US9873393B2 (en) On-vehicle electrical storage apparatus
JP6757137B2 (ja) 直列接続された電池素子における例外的充電事象の定常状態検出
US20130020970A1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 Bicycle
JP6898294B2 (ja) 直列接続された電池素子における過放電事象検出に対する応答
KR20140046069A (ko)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 내의 배터리 모니터링
WO2015196641A1 (zh) 电池充电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285145B1 (ko) 전기 이동 수단 및 그 제어 방법
JP2010032412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US10124693B2 (en)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5304661B2 (ja) 蓄電装置の状態判別システムおよび状態判別方法
WO2015019875A1 (ja) 電池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システム
KR101757969B1 (ko) 배터리 유닛의 전류차단장치의 개방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4375021B (zh) 一种锂电池组保护板检测装置和方法
US201101309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ximizing a Battery Pack Total Energy Metric
JP2010164510A (ja) 組電池の異常検出装置
KR101547542B1 (ko)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팩 충격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충격 감지 방법
WO2018088084A1 (ja) 電池容量表示装置及び電池容量表示方法
KR20180073764A (ko) 배터리 팩 충격 보호방법 및 장치
KR102197409B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보호 방법
CN109038756B (zh) 电池包控制方法、装置、系统和电池包
JP5334546B2 (ja) 電池の残容量の算出方法
JP2019103361A (ja) Soc表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