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494B1 -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494B1
KR101547494B1 KR1020130139316A KR20130139316A KR101547494B1 KR 101547494 B1 KR101547494 B1 KR 101547494B1 KR 1020130139316 A KR1020130139316 A KR 1020130139316A KR 20130139316 A KR20130139316 A KR 20130139316A KR 101547494 B1 KR101547494 B1 KR 101547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molten slag
ramp
discharge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6370A (ko
Inventor
전관옥
강경호
Original Assignee
전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관옥 filed Critical 전관옥
Priority to KR102013013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49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Steel Or Casting Steel Manufacturing (AREA)
  • Furnace Detail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발생하는 용융 슬래그를 아토마이징 처리하여 산업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슬래그 볼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를 받아내는 슬래그 포트와, 상기 슬래그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를 비산시키는 에어 블로우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래그 포트는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를 직접 받아내면서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담아져 있는 용융 슬래그를 일정량씩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출부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는 측벽(111)과 제1경사로를 구성하는 바닥면 및 상기 제1경사로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부는 저장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측벽(111)에 고정되는 후두부와, 상기 후두부에 연하여 제2경사로를 구성하는 배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slag ball using the direct air-injection}
본 발명은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발생하는 용융 슬래그를 아토마이징(Atomizing) 처리하여 산업용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슬래그 볼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을 제련하는 제철과정중에 발생되는 찌꺼기인 슬래그는, 용광로로부터 발생되는 것으로서 철분이 포함되지 않은 고로 슬래그와 제강단계에서 전기로 또는 전로로에서 발생되는 제강 슬래그로 나누어지며, 고로 슬래그는 종래부터 시멘트의 첨가제 또는 도로의 골재용으로 재활용되어 왔으나, 제강 슬래그는 거의 대부분이 매립되어 왔다.
그러나 근래에는 이러한 제강 슬래그를 적극적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는, 전기로 또는 전로 공정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를 슬래그 포트에 받아 이를 제강공장 외부의 야적장으로 이송하여 쏟아 부은 후, 용융 슬래그가 냉각 응고되면 파쇄기에 투입한 후 20~40mm 크기로 파쇄하여 철 산화물은 자석으로 선별하여 제강 철원으로 재활용하고, 나머지의 순수 슬래그는 도로의 포장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슬래그 포트를 운반하는 공정, 야적 및 냉각시키는 공정, 파쇄시키는 공정, 선별하는 공정으로 인하여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분진 등의 발생으로 대기가 오염되는 요인으로 작용되고, 큰 규모의 야적장을 확보해야 하는 등의 공간적인 제약 조건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제강 슬래그를 입자화하여 연마재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으로서, 2012. 10. 18.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94277호의 '아토마이징된 슬래그로 이루어진 연마재,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등록번호 10-1194277호의 선행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1)를 슬래그 포트(2)에 담은 후, 상기 슬래그 포트를 캐리어(미도시)로 이동시켜 별도로 구비된 턴디시(3)에 쏟아 붇고, 턴디시(3)를 통해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1)는 턴디시(3) 전방 하부에 위치한 상하 가스노즐(4, 5)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하여 미세한 크기로 분쇄되면서 상부로 비산되어 일정 크기의 입자를 지닌 슬래그 볼(1')로 생산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생산된 슬래그 볼(1')은 피가공면에 고속으로 분사되어 충돌함으로써, 피가공면을 연마하거나 페인트 또는 녹층을 벗겨내어 청정화하는 블라스트 크리닝 등에 연마재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슬래그 포트(2)를 캐리어를 이용하여 턴디시(3)가 설치된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는 과정을 반드시 거처야 할 뿐 아니라, 입도가 고른 슬래그 볼(1')을 형성하기 위하여, 용융 슬래그(1)가 얕은 깊이로 균일하게 흐르도록 턴디시(3)의 길이를 적어도 1m 이상으로 길게 설치해야 한다.
한편, 슬래그 볼(1')의 내마모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슬래그 볼(1')의 형성 단계에서 급냉되는 온도가 가급적 클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슬래그 포트(2)가 이동되는 동안 용융 슬래그(1)는 외부 공기에 노출되어 있을 뿐 아니라, 더욱이 턴디시(3)의 상면에서 용융 슬래그가 얇고 넓게 펼쳐진 상태로 자중에 의해 1m이상 천천히 흘러가면서 외부 공기에 계속하여 노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용융 슬래그는 분사 가스에 의해 세립화되기도 전에 이미 많은 냉각이 이루어져 온도 차이에 의한 급냉의 효과를 그다지 크게 기대할 수 없게 된다. 이와 함께 용융 슬래그(1)가 긴 길이의 턴디시(3)를 거치면서 서서히 계속하여 냉각되기 때문에 이러한 서냉에 의해 슬래그 볼(1')의 내마모성 및 강도가 저하될 염려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가스노즐(4, 5)을 통하여 용융 슬래그(1)를 분쇄 및 냉각하나, 가스노즐(4, 5)에서 공급되는 가스 만으로는 용융 슬래그(1)의 온도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크지 않아 슬래그 볼(1')의 입도가 불량하며 용융 슬래그(1)의 응고로 인한 뭉침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턴디시(3)에서 낙하하는 용융 슬래그(1) 하부에서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분쇄되는 슬래그 볼(1')이 전방 상부로 비산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비산되어 낙하되는 슬래그 볼(1')의 이동 반경이 길어 작업장의 규모가 필요 이상으로 요구되고, 실내 온도가 상승할 염려가 있으며, 먼지가 많이 날려 작업장 환경을 악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선행기술에서는 슬래그 포트(2)로 부터 용융 슬래그(1)를 턴디시(3)에 쏟아 부을 때, 상기 턴디시(3) 바닥면의 일부에 집중적으로 부어지는 용융 슬래그(1)에 의해 상기 바닥면에 열변형이 발생되어 턴디시의 내구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상기 바닥면과 부딪친 용융 슬래그(1)가 사방으로 비산되면서 턴디시 측면에 응고 부착되어 용융 슬래그(1)의 이동통로를 축소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용융 슬래그가 냉각단계에 이르기 전까지의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시킴으로서 냉각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슬래그 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래그 볼 제조장치 내에 용융 슬래그가 응고되어 달라붙는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융 슬래그의 투하에 의한 변형이 쉽게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구성이 증대된 슬래그 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시켜 경제적이면서도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슬래그 볼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 슬래그를 아토마이징(Atomizing) 처리하여 슬래그 볼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를 받아내는 슬래그 포트와, 상기 슬래그 포트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를 비산시키는 에어 블로우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래그 포트는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를 직접 받아내면서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에 담아져 있는 용융 슬래그를 일정량씩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출부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는 측벽과 제1경사로를 구성하는 바닥면 및 상기 제1경사로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통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통공에는 개구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는 저장부의 직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측벽에 고정되는 후두부와, 상기 후두부에 연하여 제2경사로를 구성하는 배출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블로우어에 의해 비산된 용융 슬래그를 2차로 냉각하기 위하여 슬래그 포트 및 에어 블로우어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슬래그가 비산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하방으로 미세물을 분무하는 루프형 분사기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에어 블로우어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물을 분사시켜 비산된 용융 슬래그를 급냉시키는 워터 스프레이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통공을 통해 흘러내리는 용융 슬래그의 후면에서 화염이 방사될 수 있도록 배출부의 후두부에 화염분사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부는 후두부의 일단부가 저장부의 측벽(111)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저장부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2경사로를 구성하는 배출면은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은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발생한 용융 슬래그에 대하여 슬래그 포트에 담아 캐리어로 운반시키는 과정을 생략시키고, 전기로 또는 전로의 측면에 고정 설치된 슬래그 포트를 통해,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배출되고 있는 용융 슬래그에 대하여 곧 바로 에어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을 절감시키고, 장소적 제약요건을 완화시켜 경제적으로 슬래브 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용융 슬래그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시켜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냉각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내마모성 및 강도가 향상된 고품질의 슬래그 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용융 슬래그의 이동과정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산 응고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용융 슬래그가 어느 한 곳으로 집중 투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슬래그 볼 제조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슬래그 볼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볼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슬래그 포트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볼 제조장치에서 화염분사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볼 제조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융 슬래그(1)를 아토마이징(Atomizing) 처리하여 슬래그 볼(1')을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로 또는 전로(500)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1)를 받아내는 슬래그 포트(100)와, 상기 슬래그 포트(10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1)를 비산시키는 에어 블로우어(200)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의 슬래그 볼 제조장치는, 외부에 슬래그 포트와는 별도로 설치된 턴디시로 운반된 용융 슬래그(1)를 비산시키는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1)에 대하여 에어를 직접 분사시켜 용융 슬래그(1)가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정도 및 시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중요한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로 또는 전로(500)에서 발생된 용융 슬래그(1)가 에어 블로우어(200)에 의해 입상화되기 전까지 외부 공기에 노출되는 범위 및 시간을 최소화시키는 것은, 급냉의 효과를 최대화시켜 내마모성 및 강도의 향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하며, 슬래그 볼(1')의 제작시간을 줄여 주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이와 더불어 용융 슬래그(1)를 얇고 균일하게 흐르도록 하기 위한 턴디시의 설치공간을 줄여주고, 턴디시를 통과하는 동안 용융 슬래그(1)가 식으면서 발산하는 열에 의해 작업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환경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슬래그 포트는 전기로 또는 전로의 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슬래그 포트는 전기로 또는 전로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를 일시 저장하면서 외부로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슬래그 볼 제조장치는 상기 에어 블로우어(200)에서 분사되는 공기만으로는 냉각의 효과가 부족한 경우에는 급냉의 정도를 보다 크게 하기 위한 워터 스프레이(3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래그 볼 제조장치는 상기 에어 블로우어(200)에 의하여 비산되고 워터 스프레이(300)에 의해 1차 냉각된 용융 슬래그(1)를 2차 냉각시키기 위한 루프형 분사기(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루프형 분사기(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그 포트(100) 및 에어 블로우어(200)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슬래그가 비산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산되는 슬래그 볼(1')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미세물을 분무하여 슬래그 볼(1')을 2차로 냉각시키면서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하게 한다.
그러므로 루프형 분사기(400)는, 슬래그 볼(1')의 급냉효과를 극대화시켜 강도 및 내마모성을 보다 크게 향상시킬 뿐 아니라, 슬래그 볼(1')이 비산되는 거리를 줄일 수 있어 작업장의 규모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으며, 실내 온도를 저감시키고 슬래그의 비산에 의한 먼지의 발생을 최소화시켜 작업장의 환경을 보다 양호하게 개선할 수 있게 하는 또 다른 긍정적인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한다.
다음으로는 용융 슬래그(1)의 급냉효과를 극대화하고 작업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게 하는 본 발명에서의 슬래그 포트(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슬래그 포트(100)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슬래그 포트(100)는 도 3에 각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로 또는 전로(500)에서 발생된 용융 슬래그(1)를 받아내어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에 담아져 있는 용융 슬래그(1)를 일정량씩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한 배출부(120)가 구분되어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110)는 측벽(111)과, 제1경사로를 구성하는 바닥면(112) 및 상기 제1경사로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통공(1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부(120)는 저장부(110)의 직하부에 위치하면서, 측벽(111)에 고정되는 후두부(121)와, 상기 후두부(121)에 연하여 제2경사로를 구성하는 배출면(122)으로 이루어져 있다.
저장부(110)의 제1경사로는, 저장부(110) 내의 용융 슬래그(1)가 제1경사로의 하단에 형성된 연통공(113)으로 흐르도록,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경사로를 구성하는 바닥면(112)은 전기로 또는 전로(500)로부터 쏟아지는 용융 슬래그(1)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그 두께를 측벽(111)에 비해 두껍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공(113)을 통과한 용융 슬래그(1)는 배출부(120)의 배출면(122)을 통해 슬래그 포트(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면(122) 역시 일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의 제2경사로를 구성하되, 제1경사로의 경사방향과는 반대방향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연통공(113)은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1)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연통공(113)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111)과 바닥면(112)이 만나는 바닥면(112)에 설치될 수도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것 처럼 측벽(111)과 바닥면(112)이 만나는 측벽(1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연통공(113)에는 용융 슬래그(1)의 배출량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개구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도어(1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14)는 힌지에 의한 회전방식으로 구성(미도시)될 수도 있고, 도 3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방식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회전이나 슬라이딩 등 도어(114)를 작동시키는 구체적인 수단은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지는 아니하나, 유압실린더 등 공지기술을 이용하여 구현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출부(120)는 후두부(121)를 통해 저장부(110)와 일체로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부(120)는 저장부(110)의 바닥면(112) 하부에 위치하면서 후두부(121)의 일단부가 저장부(110)의 측벽(111)에 고정됨으로써 저장부(110)와 일체로 구성된다.
배출부(120)가 저장부(110)의 바닥면(112) 하부에 위치되도록 한 구성은, 배출부(120)의 제2경사로를 구성하는 내부공간이 외부 공기와 접촉하는 부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하고, 일시 저장되는 용융 슬래그(1)의 열에 의해 축열된 바닥면(112)의 열을 이용하여, 후술하는 화염분사장치(130)와 함께 제2경사로를 흐르는 용융 슬래그(1)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후두부(121)와 측벽(111)의 고정은, 바람직하게 핀고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핀고정에 의한 힌지결합은 배출부(120)의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을 줄여줌과 아울러 슬래그 포트(100)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후두부(121)에는 화염분사장치(130)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염분사장치(130)는 화염의 분사방향이 상하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화염분사장치(130)는 후두부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으나,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탈착식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상기한 화염분사장치(130)가 사용되고 있는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의 화염분사장치(130)는 시간 경과에 따라 용융 슬래그(1)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저장부(110)의 바닥면(112)과 배출부(120)의 배출면(122)에 접한 용융 슬래그(1)는 마찰에 의해 유동속도가 저하되면서 배출시간이 길어지는 바, 이로 인하여 배출면(122)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응고현상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또한 상기의 화염분사장치(130)는 연통공(113)을 통과한 용융 슬래그(1)가 배출면(122)의 어느 한 부위에 집중 투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출면(122)이 국부적으로 열변형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배출면(122) 위의 용융 슬래그(1)가 배출면(122) 위에서 더 빨리 넓게 퍼지면서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게 한다.
이와 더불어 제1경사로로부터 제2경사로로 흘러가게 하는 연통공(113)은 좁은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응고된 슬래그에 의해 쉽게 막힐 우려가 있는 바, 화염분사장치(130)는 상기의 응고 슬래그를 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슬래그 포트(100)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내구성을 증대시킨다.
슬래그 포트(100)에 담아진 용융 슬래그(1)는 연통공(113)에 의해 배출되는 양이 조절되고, 제2경사로를 따라 흐르면서 넓고 고르게 펴지면서 제2경사로의 하단을 통해 슬래그 포트(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용융 슬래그(1)는 에어 블로우어(200) 및 워터 스프레이(300)에 의해 공중으로 비산되면서 입상화되고 냉각된다.
따라서 제2경사로를 구성하는 배출면(122)은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통공(113)에 의해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1)의 양을 설정하고 에어 블로우어(200)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의 온도와 분사 압력, 워터 스프레이(300)에 의해 분사되는 물의 온도 및 루프형 분사기(400)에 의해 분무되는 미세물의 온도 등을 조절함으로써 슬래그 볼(1')의 크기와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슬래그 볼 제조장치는, 연통공(113)에 의한 용융 슬래그(1)의 배출량 조절과 더불어 에어 블로우어(200) 및 워터 스프레이(300)를 선택적으로 또는 함께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규모와 강도를 가지는 슬래그 볼을 제조할 수 있게 하여 슬래그 볼 사용처의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슬래그 포트가 전기로 또는 전로의 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슬래그 포트를 전기로 또는 전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슬래그 포트 110: 저장부
111: 측벽 112: 바닥면
113: 연통공 114: 도어
120: 배출부 121: 후두부
122: 배출면 130: 화염분사장치
200: 에어 블로우어 300: 워터 스프레이
400: 루프형 분사기 500: 전기로 또는 전로

Claims (7)

  1. 용융 슬래그(1)를 아토마이징(Atomizing) 처리하여 슬래그 볼(1')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전기로 또는 전로(500)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1)를 받아내는 슬래그 포트(100)와, 상기 슬래그 포트(100)로부터 배출되는 용융 슬래그(1)를 비산시키는 에어 블로우어(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슬래그 포트(100)는 전기로 또는 전로(500)에서 발생되는 용융 슬래그(1)를 직접 받아내면서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저장부(110)와, 상기 저장부(110)에 담아져 있는 용융 슬래그(1)를 일정량씩 외부로 방출시키는 배출부(120)로 구분되어 형성되고; 상기 저장부(110)는 측벽(111)과 제1경사로를 구성하는 바닥면(112) 및 상기 제1경사로의 하단에 형성되는 연통공(11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연통공(113)에는 개구면적을 조절하기 위한 도어(114)가 설치되고, 상기 배출부(120)는 저장부(110)의 직하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측벽(111)에 고정되는 후두부(121)와, 상기 후두부(121)에 연하여 제2경사로를 구성하는 배출면(12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블로우어(200)에 의해 비산된 용융 슬래그(1)를 2차로 냉각하기 위하여 슬래그 포트(100) 및 에어 블로우어(200)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고 슬래그가 비산되는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설치되어 하방으로 미세물을 분무하는 루프형 분사기(4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블로우어(200)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물을 분사시켜 비산된 용융 슬래그(1)를 급냉시키는 워터 스프레이(30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113)을 통해 흘러내리는 용융 슬래그(1)의 후면에서 화염이 방사될 수 있도록 배출부(120)의 후두부(121)에 화염분사장치(13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20)는 후두부(121)의 일단부가 저장부(110)의 측벽(111)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저장부(110)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경사로를 구성하는 배출면(122)은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7. 삭제
KR1020130139316A 2013-11-15 2013-11-15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KR101547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316A KR101547494B1 (ko) 2013-11-15 2013-11-15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316A KR101547494B1 (ko) 2013-11-15 2013-11-15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70A KR20150056370A (ko) 2015-05-26
KR101547494B1 true KR101547494B1 (ko) 2015-08-26

Family

ID=5339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316A KR101547494B1 (ko) 2013-11-15 2013-11-15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4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370A (ko)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772B1 (ko) 슬래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14951B1 (ko) 슬래그볼 제조 장치
KR20140112080A (ko) 응고 슬래그 제조 장치, 콘크리트용 조골재의 제조 장치, 응고 슬래그 제조 방법 및 콘크리트용 조골재의 제조 방법
KR101547494B1 (ko) 직접 에어 분사식 슬래그 볼 제조장치
KR101727300B1 (ko) 슬래그 안정화 처리 시스템
KR20150084789A (ko) 금속 슬래그를 가공하는 방법 및 기기
JP2003207281A (ja) スラグの連続凝固装置の操業方法
KR20140011193A (ko) 폐열에 의한 습증기 활용구조를 갖춘 제강 슬래그 아토마이징 처리시스템
KR101942563B1 (ko) 금속편 연속 제조장치의 용탕 공급장치 및 용탕 공급방법
KR101379456B1 (ko) 기류 집적화 기능이 가능한 슬래그 볼 아토마이징 처리시스템
KR101945380B1 (ko) 금속편 연속 제조장치의 몰드부 냉각장치
JPS598383B2 (ja) コ−クスの急冷方法
CN114410857A (zh) 一种电炉渣粒化处理装置及其处理工艺
JP2735675B2 (ja) 鋳銑機における冷却方法
JP3945261B2 (ja) スラグの鋳造方法および装置
JP4357981B2 (ja) スラグ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100931354B1 (ko) 고로 출선구 연삭장치
KR20140001635A (ko) 제강 환원슬래그 볼 조재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79457B1 (ko) 아토마이징용 분사공기 예열장치를 갖춘 제강 슬래그 아토마이징 처리 시스템
KR101514433B1 (ko) 고밀도의 균일한 그래뉼을 성형하기 위한 연속식 그래뉼 성형장치
KR102127566B1 (ko) 용융 슬래그 입상화 장치 및 방법
KR101340577B1 (ko) 연속 주조용 몰드 파우더 투입장치
KR100905592B1 (ko) 분사력 조절이 가능한 냉각수 분사장치
KR20140005032A (ko) 슬래그 처리장치용 분사장치의 분사노즐 송풍압력 조절에 따른 슬래그 볼의 입도 제어방법
KR101902860B1 (ko) 타이어 금형 제작용 원료분말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