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242B1 -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242B1
KR101547242B1 KR1020140135709A KR20140135709A KR101547242B1 KR 101547242 B1 KR101547242 B1 KR 101547242B1 KR 1020140135709 A KR1020140135709 A KR 1020140135709A KR 20140135709 A KR20140135709 A KR 20140135709A KR 101547242 B1 KR101547242 B1 KR 101547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rminal
key
url
command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민
홍근은
Original Assignee
최영민
홍근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민, 홍근은 filed Critical 최영민
Priority to PCT/KR2015/0026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94742A1/ko
Priority to JP2015088853A priority patent/JP5939602B2/ja
Priority to CN201510214054.2A priority patent/CN10620128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가 임의의 소유자 정보와 숫자 및 해당 소유자에 의하여 지정된 임의의 URL을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는 입력수단을 통하여 상기 숫자 이용 URL접속을 위한 임의의 앱 실행요청이 입력되면 스마트 단말기의 표시부 상에 다이얼 키 패드를 출력하는 과정, 다이얼 키 패드를 통해서 숫자와 URL매칭을 위한 특수키의 입력이 있으면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는 숫자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해당 숫자와 매칭되는 URL을 검색하여 스마트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가 전송된 URL을 이용하여 해당 웹페이지로 접속하도록 웹접속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Smart device using the dial keypad command execution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얼 키 패드의 특수기호 및 숫자키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앱을 다운로드하거나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임의의 프로그램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등 스마트 단말기 동작을 위한 임의의 명령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 통화시도와 혼돈이 발생하지않도록 함과 아울러, 스마트 단말기를 통한 웹이나 앱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임의의 정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은 초기 단순한 음성통화 기능만을 제공하던데 비해 최근에는 단문메시지 서비스를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 기능이 추가되어 이용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ME(Mobile Explorer) 등으로 대표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급속도로 발전하여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스마트TV 등의 스마트단말기를 이용한 무선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어, 이러한 무선 인터넷 및 무선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앱이라 함)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최대한 빠르고 효율적으로 무선인터넷 또는 응용프로그램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서 공개특허 특2003-0034879 호에서는 각 사이트에 할당된 대표 전화번호나 개인 홈페이지에 연결된 휴대 전화번호 또는 유선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음성 통화 연결 버튼 대신에 무선 인터넷 단말기에 탑재되어 있는 무선 인터넷 연결 버튼이나 무선 인터넷 단말기 내부에 프로그램 되어 있는 무선 인터넷 연결 명령을 입력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무선 인터넷 사이트의 URL을 생성하여 무선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해주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 특2001-0090118호는 회원 가입자(개인 또는 회사)의 유무선 전화번호, 이름(개인, 상호, 법인명), 고유번호(주민번호, 사업자번호, 법인번호), 및 이메일 및/또는 웹사이트 주소를 링크하여 저장하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상기 회원 가입자의 이메일 및/또는 웹사이트 주소를 검색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 특2003-0034879호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무선 인터넷 단말기에 전용 버튼이 존재해야 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무선 인터넷 단말기의 특정키를 조합하여 만든 펑션키나, 무선 인터넷 단말기 내부에 설치된 무선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는 과정을 시작할 수 있어서 전용 단말기에서만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전화번호 입력단계까지로는 스마트 단말기에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는 것인지 통화를 요청하는 것인지 판단할 수 없고 전화번호 입력 이후에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통화 혹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해당 기능이 수행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전화번호 입력후에는 통화버튼을 눌러서 사용하였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무의식적으로 전화번호 입력 후 통화버튼을 누름으로서 불필요한 전화연결이 이루어져 비용부담이 발생되었고, 사용자는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요청하는 도중에는 입력이 맞는지 틀린지 확인이 불가하고 전화번호와 무선 인터넷 서비스 요청을 위한 특정키 혹은 펑션키등을 모두 누른 후에야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서 잘못된 전화번호 입력에 의한 잘못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수행의 불편이 있었다.
그리고, 공개특허 특2001-0090118호는 단지 이메일 또는 웹사이트를 제공할 뿐 실제로 해당 사이트에 접속되도록 프로그램을 제어하지는 않으므로 사용자는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접속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제공된 웹사이트 주소 등을 다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한편, 최근 무선 인터넷의 발달로 각종 제품정보나 서비스의 정보를 QR코드 등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QR코드로 제공되는 정보에는 제품의 원산지, 품질 설명, 이용방법 설명 등이나, 영화의 줄거리나 출연자 정보, 또는 관광지의 지도나 설명자료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QR코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해당 스마트 단말기에 QR코드 확인용 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이를 실행시킨 후 QR코드가 스캔범위에 들어가도록 카메라를 조정하여 QR코드가 인식될 경우 스마트 단말기에서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로 바로 접속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QR 코드에 익숙하지 않은 노인 등의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해당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전화번호 입력을 통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나 QR코드 등의 사용시 이들은 미리보기 기능이 없어서 어떠한 웹페이지로 이동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확인없이 접속할 경우 이상한 동영상이나 웹페이지로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과 당혹감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단말기에서 다이얼 키 패드를 팝업화면으로 실행시켜 특수기호키(이하 특수키라 함)와 숫자키를 웹페이지의 URL과 매칭시키거나 앱 다운로드 명령과 매칭시키거나, 스마트 단말기의 임의의 프로그램 또는 기능 실행 명령과 매칭시키는 것과 같이 스마트 단말기의 임의의 명령실행을 위한 데이터와 매칭시켜 사용자가 간단한 버튼 조작으로 웹페이지에 접근하고 앱을 다운로드 할 수 있으며, 스마트 단말기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어떠한 스마트단말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누구나 무선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이용 및 프로그램 실행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특수키와 숫자키 조합을 통하여 기존 통화시도와 혼돈이 발생하지않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특수키와 숫자키의 조합을 상품에 부여하고, 해당 특수키와 숫자키 조합과 매칭되는 웹페이지에는 해당 상품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기존 상품 정보 설명을위한 QR코드 등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용이하게 상품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웹페이지를 접속함에 있어서, URL 혹은 앱 소유자는 숫자와 매칭된 URL혹은 앱을 자신이 희망하는 임의의 URL혹은 앱으로 변경할 수 있어서 이벤트나 웹페이지 변동 등의 경우에도 새로운 숫자와 매칭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홍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 단말기에 포함된 국가코드가 상기 숫자와 특수키 전송시에 함께 전송되도록 하여 동일한 숫자라 하더라도 각 국별로 다른 URL과 매칭되어 짧은 자리수의 숫자를 전세계 URL과 매칭시키더라도 중복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많은 수의 URL과 매칭시에도 숫자열이 과도하게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서버가 숫자와 URL주소 혹은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실행 혹은 스마트 단말기내 임의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데이터(이하 명령 실행용 데이터라 함)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이얼 키 패드를 통해서 숫자와 특수키 조합 및 상기 숫자와 특수키조합 뒤에 입력되는 통화키로 구성된 기 설정된 조합의 키 입력(이하 명령 실행용 키 입력이라 함)이 있으면,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해당 숫자에 따른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숫자키는 URL매칭 혹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또는 스마트 단말기내 임의의 프로그램이나 기능을 포함한 명령 실행용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며,
상기 특수키는 숫자와 통화키가 입력되더라도 통화를 수행하지 않고 그 종류 및 위치에 따라 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명령 실행을 요청하는 것이고,
상기 통화키는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특수키와 숫자키 입력이 있는 경우 통화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동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숫자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앱 또는 프로그램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에있다.
상기에서 명령 실행용 숫자와 특수키 조합은 상품에 표시되고, 해당 상품에 표시된 숫자와 특수키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하면 해당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다이얼 키패드는 모든 스마트 단말기상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다이얼 키패드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명령 실행용 키 입력을 위하여 별도로 제작된 다이얼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을 위한 임의의 앱을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한 후 해당 앱이 실행될 경우 기존 다이얼 키패드 혹은 별도로 제작된 다이얼 키패드가 출력되어 사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숫자와 임의의 URL 혹은 앱을 매칭시켜 기록하는 과정에서 해당 URL 혹은 앱 소유자 정보를 함께 해당 숫자와 매칭시켜 기록하고, 이후 상기 소유자는 해당 숫자와 매칭된 URL 혹은 앱을 다른 URL 혹은 앱으로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는 서버로 숫자에 매칭된 URL 검색 등의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을 요청하기 위해서, 숫자키와 특수키 외에 통화버튼이 입력될 경우 검색을 요청하고, 이 과정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는 서버로 숫자외에 해당 단말기에 기록된 국가코드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는 명령 실행용 데이터와 숫자 매칭이 각 국별로 별도로 기록 및 관리되어 입력되는 국가코드에 따라 검색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는 숫자와 매칭된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스마트 단말기로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해당 스마트 단말기로 광고페이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 요청을 위한 키입력 중 입력되는 숫자와 대응되는 명령(URL명칭, 앱 명칭, 프로그램 명칭 등)을 해당 스마트 단말기로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정확하게 입력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숫자와 특수키조합을 입력하면 이에 매칭된 URL에 접근되거나 프로그램이 실행되므로, 종래 스마트 단말기를 통한 웹페이지 접근이나 앱실행에 어려움을 겪었던 노인 등의 사용자를 포함하여 누구나 용이하게 숫자를 이용하여 URL혹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있게 되어 정보이용 및 프로그램 이용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고, 웹페이지 접속을 위하여 홈페이지주소, 웹페이지 주소 등을 외울 필요가 없이 간단한 숫자만 외우면 되므로 웹페이지 접속 과정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숫자를 이용하더라도 희망하는 명령 실행을위하여 기 설정된 특수키를 숫자입력과정에서 입력하여야 하므로, 기존 숫자키입력후 통화버튼을 누르는것이 익숙한 사용자라 할지라도 불필요한 통화시도를 하지 않게되어 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각종 제품이나 영화, 책 등의 상품에 해당 상품의 정보(예를들면, 생산지, 유통기한, 품질의 특성, 해당 상품의 이용방법, 해당 상품에 포함된 이벤트 등)를 숫자와 특수키 입력만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서, 기존 QR코드 등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해당 상품의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광고효과 및 구매만족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URL 운영자 혹은 앱 운영자는 자신이 운영하는 임의의 URL 또는 앱에 별도의 숫자를 매칭시켜 소유하고, 이후 자신이 운영하는 홈페이지나 앱이 변경되거나 특별한 이벤트가 발생될 경우 변경된 해당 웹페이지 혹은 앱을 자신이 보유한 숫자에 매칭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이벤트 발생시 웹페이지 접속 후 팝업이 활성화되거나 별도의 메뉴를 통하여 이벤트 페이지로 접속하던 것을 한번에 접속할 수 있게 되고 별도의 홈페이지 제작시 해당 홈페이지를 홍보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나 이러한 불편이 제거되므로 홍보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URL과 숫자의 매칭이 각 국별로 별도로 기록 및 관리되고 사용자가 상기 국가코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국가코드를 발송하므로 동일한 숫자라하더라도 각국별로 다른 URL에 매칭되어 사용되어 작은 자릿수의 수조합으로도 전세계 어떠한 URL과도 매칭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URL 요청과 전송과정에서 광고가 가능하게되므로 서버 운영자는 광고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URL서비스외에 프로그램 실행을위한 단축키로서 사용도 가능하므로, 스마트 단말기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에서 앱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의 실시를 위해서는, 명령 실행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또는 스마트TV 등의 스마트 단말기 중에서 택일되는 사용자 단말기, 웹페이지 또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소유자가 사용하며 스마트 단말기 또는 통상의 컴퓨터 등으로부터 택일되는 소유자 단말기, 상기 소유자 정보와 URL 또는 프로그램 명령 실행용 데이터 및 숫자를 매칭시켜 기록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숫자별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요청에 대하여 검색을 통하여 해당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은, 서버가 임의의 소유자 정보와 숫자 및 해당 소유자에 의하여 지정된 임의의 URL 혹은 프로그램을 매칭시켜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이얼 키 패드를 통해서 숫자와 특수키 조합으로 이루어진 명령 실행용 키입력이 있으면 숫자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해당 숫자와 매칭되는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검색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가 전송된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웹페이지로 접속하도록 웹접속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거나,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서버에 기록되는 임의의 소유자 정보는 소유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또는 서버관리자가 서버에 연결된 입력수단을 통해서 입력하는 소유자 정보 중에서 택일되어 기록되는데, 상기 소유자 단말기를 통해서 정보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는 웹페이지를 운영하고, 상기 웹페이지에 소유자 단말기가 접속되면 회원가입을 포함한 인증절차를 거쳐 소유자 정보를 전송하도록 메뉴를 제공하며, 서버관리자가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 소유자 단말기로 해당 소유자의 인증정보를 전송하여 이후 해당 소유자별 명령 실앵용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소유자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에서 서버는 현재까지 명령 실행용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숫자 중 하나를 해당 명령 실행용 데이터와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데, 이 과정에서 숫자의 지정은 서버가 임의로 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숫자 중 사용되지 않은 숫자로 결정할 수 있으며, 숫자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6자리 이하의 숫자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이상의 숫자열 사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는 다이얼 키 패드를 통해서 숫자와 특수키 조합의 명령 실행용 키 입력이 있으면 입력된 숫자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해당 숫자와 매칭되는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검색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숫자와 특수키를 포함한 기 설정된 조합의 키 입력시 숫자를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서 스마트 단말기상에는 숫자를 이용한 명령 실행을 위한 별도의 전용 앱 즉 해당 서버 운영자에 의하여 제작되어 제공되는 전용 앱이 설치되거나, 이러한 숫자를 이용한 명령 실행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다른 앱(예를 들면, 게임앱, 물건 구매를 위한 앱 등) 즉, 해당 기능을 갖는 소스코드가 포함되어있는 다른 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한편, 상기한 숫자 등의 키입력을 위해서는 다이얼 키 패드가 요구되고 이러한 다이얼 키패드는 모든 스마트 단말기 상에 기본적으로 구비된 다이얼 키패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고, 서버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을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할 경우 해당 앱에서 제공하는 전용 다이얼 키패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다이얼 키패드를 통해서 사용자가 숫자를 이용하여 웹페이지 접속 등의 명령을 실행하고자 하는 경우 전용앱을 실행하거나, 기존의 다이얼 키패드를 선택하면,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는 표시부상에 다이얼 키 패드를 출력하는데 상기한 다이얼 키 패드는 통상의 숫자 '0~9'와 '*', '#' 및 '통화','종료'등이 표시되는 것으로, 추가로 숫자입력시에 해당 숫자와 매칭되는 URL정보 혹은 프로그램 정보가 출력되는 영역이 더 표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다이얼 키 패드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알고있는 명령 실행용 키입력 즉, 숫자와 특수키 및 통화버튼을 순차적으로 눌러서 해당 숫자에 대응되는 명령실행을 요청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숫자와 특수키 및 통화버튼을 순차적으로 누를 경우 상기 앱(ITEM Soft Ware)에의하여 스마트단말기 제어부는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 요청 신호를 서버로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검색된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전달받게된다.
즉, 상기한 통화버튼은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특수키와 숫자키 입력이 있는 경우 통화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이동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특수키 입력 없이 숫자키와 통화버튼만 입력될 경우 앱에 의하여 스마트 단말기 제어부는 해당 번호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숫자와 특수키 조합을 통하여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는 서버로 숫자외에 해당 단말기에 기록된 국가코드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는 명령 실행용 데이터와 숫자매칭이 각 국별로 별도로 기록 및 관리되어 입력된 국가코드에 따른 국가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숫자에 매칭된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검색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소유자는 특허청이 되고, 특허청이 운영하는 'www.kipo.go.kr'의 URL에 대응하는 숫자는 8080으로서,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앱을 실행하면, (a)와 같이 다이얼 키 패드가 표시되어 "#8080"을 누르면 스마트 단말기상에 해당 "#8080"이 'www.kipo.go.kr'의 URL임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고, 이후 "통화"버튼을 누르면 (b)와 같이 #8080에 매칭된 URL을 서버가 찾아서 전송해주고 이 과정에서 임의의 광고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앱은 서버로부터 URL을 전송받은 후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를 통해서 웹접속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웹페이지로 접속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명령 실행용 숫자와 특수키 조합은 상품에 표시되고, 해당 상품에 표시된 숫자와 특수키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하면 해당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상품의 종류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트등에서 판매되는 제품, 도 4와 같이 책, 도 5의 공공기관 및지자체의 홍보 상품, 도 6 및 도 7과 같이 연극, 뮤지컬, 영화 등의 공연 등 유/무형의 어떠한 상품이나, 정책홍보 등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명령 실행용 숫자와 특수키 조합은 임의의 앱을 홍보하는 전단지 혹은 배너 등에 표시되고, 해당 숫자와 특수키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해서 입력하면 해당 앱을 즉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른 예로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명령 실행용 숫자와 특수키 조합으로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실행하는데, 그 예로 노래방 앱을 실행하여 노래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제시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 즉, 통신을 통하여 임의의 기능이 실행되는 스마트 프로덕트 제품은 그 실행시 일단 통신을 위하여 스마트폰에서 NFC기능을 활성화하여야 하나, 스마트폰의 기능에 대한 이해가 낮은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NFC활성화가 매우 어렵게 느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특수키와 숫자키의 조합 및 통화버튼을 포함하는 명령실행용 키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는 해당 앱이 실행되면서 스마트 단말기가 스마트 프로덕트 제품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에서 해당 명령실행용 키입력이 있는 경우, 스마트 프로덕트 제품을 실행하기 위한 앱이 실행되는데, 이때 상기 앱에는 스마트 단말기의 통신설정을 변경하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어 스마트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통신설정이 변경되도록 하거나, 서버에 해당 앱의 다운 및 실행명령과 함께 스마트 단말기의 통신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상기 명형실행용 키와 매칭시켜 기록하여 명령실행용 키입력이 있을 경우 제어부에서 앱의 다운로드 및 실행과 함께 통신설정을 변경하는 명령도 함께 전송하거나, 명령실행용 키입력을 하기 전에 스마트 단말기내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다른 숫자키와 특수키조합 예를 들면 '1234*'과 같은 키입력을 별도로 안내하여 사용자가 두 번에 걸쳐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여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명령 실행용 숫자와 특수키 조합의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스마트 단말기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번호로 통화를 실행할지, 아니면 URL과 매칭시킬지를 스마트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주고, 그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는데,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 URL매칭 즉 앱 실행을 한번으로 그칠지 계속해서 실행할지를 물어서 그에 따른 기능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숫자와 특수키 조합을 통하여 웹페이지에 접속하는 예를 살펴보았으며, 이외에 상기 숫자키와 특수키 조합을 달리하여, 즉 웹페이지 접속시에는 특수키로 "#"을 사용하였으나, "*", "+" 등의 다른 특수키와 숫자를 입력할 경우 스마트 단말기에 기록된 임의의 프로그램이 검색 또는 실행되도록 하거나, 다른 명령이 실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 예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050'을 입력력한 후 통화키를 누르면, 쿠팡의 판매제품 중 금일 40-50% 세일상품을 검색하도록 하여, 그 결과를 표시해준다.
또한, 상기 특수키의 위치에 따라 다른 명령이 실행되는데,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숫자 앞에 입력되면 URL이나 앱 실행명령이고, '#'이 숫자뒤에 입력되면 기 설정된 명령을 실행하게 되는데, 그 예로 '#112'와'통화'키는 경찰청 홈페이지로 이동하고, '112#'와'통화'키는 스마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여 가까운 지구대로 SOS,요청을 하며, '118#'와'통화'키는 가까운 소방서로구조요청이되도록 하는 것이고, 다른 예로서 '3082#'와 '통화'키는 가까운 ㅍ피자집을 찾아주고, '3082#'와 '통화'키는 해당 피자집 홈페이지로 접속해준다.
그리고, 상기한 특수 키와 숫자를 이용하여 해당 URL접속 중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버는 스마트 단말기에 현재 접속하고자 하는 URL주소의 명칭과 함께 포털사이트명을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해당 포털사이트명 혹은 해당포털사이트명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터치할 경우 해당 포털사이트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URL주소명칭과 관련된 검색화면을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별도의 검색입력과정없이 해당 URL 주소와 대응되는 검색 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검색은 URL매칭을 위한 특수키와 숫자키 조합 외에 별도의 위치에 기 설정된 별도의 특수키 입력이 있는 경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자동으로 포털사이트에서 해당 URL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해준다.
이외에도 설정에 따라, '*1'은 이메일프로그램 실행, '*2'는 카메라실행등과 같이 스마트 단말기의 각종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단축키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축키사용시 단축키조합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기로 전용 앱 실행시 1회 내지 수회표시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숫자에 따른 정보는 서버로부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될 수도 있고, 한번 사용된 숫자와 해당 URL이나 앱 등의 정보가 스마트 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이후 명령 실행용 키입력이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표시해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하는 숫자가 정확한지 확인할 수 있어서 오접속 등을 방지할 수있게 된다.

Claims (13)

  1. 서버가 숫자와 URL주소 혹은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실행 혹은 스마트 단말기내 임의의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데이터(이하 명령 실행용 데이터라 함)를 매칭시켜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과정,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는 다이얼 키 패드를 통해서 숫자와 특수키 조합 및 상기 숫자와 특수키조합 뒤에 입력되는 통화키로 구성된 기 설정된 조합의 키 입력(이하 명령 실행용 키 입력이라 함)이 있으면, 서버와의 통신을 통하여 해당 숫자에 따른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숫자키는 URL매칭 혹은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또는 스마트 단말기내 임의의 프로그램이나 기능을 포함한 명령 실행용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며,
    상기 특수키는 숫자와 통화키가 입력되더라도 통화를 수행하지 않고 그 종류 및 위치에 따라 기 설정된 어느 하나의 명령 실행을 요청하는 것이고,
    상기 통화키는 기 설정된 위치에 기 설정된 특수키와 숫자키 입력이 있는 경우 통화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해당 명령을 실행하도록 이동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명령 실행용 숫자와 특수키 조합은 상품에 표시되고, 해당 상품에 표시된 숫자와 특수키를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를 통해서 입력 후 통화키를 입력하면 해당 상품의 정보를 제공하는 웹페이지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숫자와 임의의 URL 혹은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하 앱이라함)을 매칭시켜 기록하는 과정에서 해당 URL 혹은 앱 소유자 정보를 함께 해당 숫자와 매칭시켜 기록하고, 이후 상기 소유자는 해당 숫자와 매칭된 URL 혹은 앱을 다른 URL 혹은 앱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상기한 특수 키와 숫자를 이용하여 해당 URL접속 중 서버는 스마트 단말기에 현재 접속하고자 하는 URL주소의 명칭과 함께 포털사이트명을 표시해주어, 사용자가 해당 포털사이트명 혹은 해당포털사이트명이 표시되고 있는 화면을 터치할 경우 해당 포털사이트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URL주소명칭과 관련된 검색화면을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 키패드 이용 명령 실행을 위한 전용 앱 혹은 상기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기능을 포함하는 임의의 앱을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한 후, 명령 실행용 키입력이 있을 경우 해당 명령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기의 제어부가 서버로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요청인 숫자를 전송하면서, 상기 숫자외에 해당 단말기에 기록된 국가코드를 함께 전송하며, 상기 서버에는 명령 실행용 데이터와 숫자 매칭이 각 국별로 별도로 기록 및 관리되어 입력되는 국가코드에 따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숫자와 매칭된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스마트 단말기로 명령 실행용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해당 스마트 단말기로 광고페이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 실행용 데이터 검색 요청을 위한 키입력 중 입력되는 숫자와 대응되는 명령을 해당 스마트 단말기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키와 특수키 조합을 달리하여 URL 검색 기능 외에 스마트 단말기에 기록된 임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도록 하는 단축키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숫자는 1 내지 6자리의 숫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URL매칭을 위한 특수키와 숫자키 조합 외에 별도의 위치에 기 설정된 별도의 특수키 입력이 있는 경우 포털사이트에서 해당 URL관련 정보를 검색하여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특수키와 숫자키의 조합을 포함한 명령 실행용 키 입력이 스마트 프로덕트 제품의 실행에 관한 것인 경우, 해당 앱이 실행되도록 하면서 스마트 단말기가 스마트 프로덕트 제품과 통신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KR1020140135709A 2014-06-20 2014-10-08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KR101547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2645 WO2015194742A1 (ko) 2014-06-20 2015-03-18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JP2015088853A JP5939602B2 (ja) 2014-06-20 2015-04-24 スマート端末のダイヤルキーパッド利用コマンドの実行方法
CN201510214054.2A CN106201281A (zh) 2014-06-20 2015-04-30 利用智能终端拨号键盘的命令执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817 2014-06-20
KR20140075817 2014-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7242B1 true KR101547242B1 (ko) 2015-08-25

Family

ID=5406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09A KR101547242B1 (ko) 2014-06-20 2014-10-08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39602B2 (ko)
KR (1) KR101547242B1 (ko)
CN (1) CN106201281A (ko)
WO (1) WO201519474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651A1 (ko) * 2016-07-13 2018-01-18 헬로우링크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식별번호를 이용한 객체 검색방법
KR102081692B1 (ko) * 2018-11-13 2020-04-27 주식회사 아게르냐 설정된 언어에 맞추어 농어민 정보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KR102381798B1 (ko) * 2021-05-03 2022-04-04 김영석 채널 별 아이콘 및 기능 변환을 통한 다이얼 링크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7043A (ja) * 2000-04-13 2001-10-26 Abba-Net:Kk ウェブサイトの検索方法、検索エンジン用ウェブサーバーおよびウェブサイトの検索処理を記憶した記憶媒体
KR20040009871A (ko) * 2002-07-26 2004-01-31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040039711A (ko) * 2002-11-04 2004-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인터넷접속시스템 및 무선인터넷접속방법
KR100660514B1 (ko) * 2004-08-17 2006-12-2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접속 장치 및 그 방법
JP2006072945A (ja) * 2004-08-31 2006-03-16 Tsutomu Nomura 電話番号入力によるインターネット接続
KR100657630B1 (ko) * 2005-05-20 2006-12-20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숫자 키워드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장치
KR20080011881A (ko) * 2006-08-01 2008-02-11 정태우 휴대용 단말을 이용한 키워드 검색 시스템 및 방법
KR101191007B1 (ko) * 2009-09-18 2012-10-1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48651B1 (ko) * 2010-04-22 2012-05-25 김동주 객체지향적 접근 형식의 정보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4003508A (ja) * 2012-06-20 2014-01-09 Kyocera Corp 携帯音声出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12651A1 (ko) * 2016-07-13 2018-01-18 헬로우링크 주식회사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식별번호를 이용한 객체 검색방법
KR102081692B1 (ko) * 2018-11-13 2020-04-27 주식회사 아게르냐 설정된 언어에 맞추어 농어민 정보를 제공하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KR102381798B1 (ko) * 2021-05-03 2022-04-04 김영석 채널 별 아이콘 및 기능 변환을 통한 다이얼 링크 서비스 시스템
WO2022234960A1 (ko) * 2021-05-03 2022-11-10 김영석 채널 별 아이콘 및 기능 변환을 통한 다이얼 링크 서비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1281A (zh) 2016-12-07
JP5939602B2 (ja) 2016-06-22
JP2016076200A (ja) 2016-05-12
WO2015194742A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0149B2 (en) Keyword-based services for mobile device messages
WO2016008453A1 (zh) 智能服务交互平台装置、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00008265A1 (en) Augmented reality method and system using logo recognition,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browsing and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technology
JP5094765B2 (ja) 携帯端末とサイネージの連携による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US788170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for position specification information
JP4492945B2 (ja) 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提供方法
KR101875145B1 (ko) 앱(App) 기반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서비스 요청 시스템 및 방법
JP6543748B2 (ja) エモーティコンを用いた検索サービスを提供するユーザー端末、検索サーバー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610883B1 (ko)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547242B1 (ko)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KR20130127086A (ko) 단말 장치, 이를 포함하는 메신저를 이용한 정보 검색 시스템 및 그 정보 검색 방법
JP2007299375A (ja) モバイル電子機器の適応型テキスト入力モード、電子機器、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525624B1 (ko) 위치에 따른 정보 검색을 요청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과,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에 따른 정보 검색 서버의 검색 결과를 중계하는 중계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58866A (ko) 전자 명함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5793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Presenting Content Received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O2016170780A1 (ja) 電子マニュアルを提供する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70189A (ja) 入力支援サーバ、入力支援システムおよび入力支援プログラム
KR101249929B1 (ko) 전화번호와 웹주소 간 연결 기능을 갖는 모바일 기기 및 시스템
KR101547237B1 (ko) 사용자 휴대 단말기의 다이얼 키패드를 이용한 명령 실행 방법
KR101582445B1 (ko) 키 입력 기반 명령 실행 방법
KR20020044556A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1408282B1 (ko) 전시 안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사용자 단말
JP4039803B2 (ja) 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JP2002006868A (ja) 携帯電話による楽曲検索方法とそのための携帯電話機及び検索システム並びにシステムサイト
KR101568045B1 (ko) 재생중인 음악 파일 배경 콘텐츠 제공 시스템과, 그 시스템에 사용되는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