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007B1 -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007B1
KR101191007B1 KR1020090088303A KR20090088303A KR101191007B1 KR 101191007 B1 KR101191007 B1 KR 101191007B1 KR 1020090088303 A KR1020090088303 A KR 1020090088303A KR 20090088303 A KR20090088303 A KR 20090088303A KR 101191007 B1 KR101191007 B1 KR 10119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mode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741A (ko
Inventor
엄봉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00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0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통화 기능 또는 무선 접속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초기 화면 상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기초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화면 상에 특정 입력 값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입력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입력 모드를 기초로 입력 값을 파악하여 입력 값과 매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처로의 연결을 시도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다양하게 입력되는 값을 통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Method for Connection Service based Charac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본 발명은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 기능 또는 무선 접속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초기 화면 상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기초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통화 기능 또는 무선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단말기의 경우, 기본적으로 번호에 기반한 전화에서 진화했기 때문에 항상 초기 화면에는 번호 만을 입력하는 구조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특정 단어 기반의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WAP/Web browser로 접속하거나,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반복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화면 상에 숫자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입력 값도 입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다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초기 화면 상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파악하여 해당 입력 값과 매칭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을 시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화면 상에 특정 입력 값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입력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입력 모드를 기초로 입력 값을 파악하여 입력 값과 매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처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다른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인식하는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입력 모드 변경부;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 값을 상기 입력 모드 변경부에 의해서 설정된 입력 모드를 참조하여, 입력 값을 분석 및 파악하는 입력 정보 분석부;
상기 입력 정보 분석부에 의해서 파악된 입력 값을 기초로 입력 값에 대응되는 해당 서비스 제공처에 연결될 수 있도록 처리하는 연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모드 변경부는,
서비스 모드 또는 단말기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의 선택 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소프트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별도의 특정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정보 분석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입력 값을 상기 서비스 모드 또는 단말기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여, 해당 입력 값에 매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처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 처리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문자, 숫자, 특수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입력 값과 입력 값에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처를 기초로 입력 값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처로 연결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은,
a)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 모드의 설정 값을 기초로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단계;
b)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 값을 상기 a) 단계에서 설정된 입력 모드를 기초로 분석 및 파악하는 단계;
c)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b) 단계에서 파악된 입력 값과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처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 모드이며,
상기 c)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를 참조하여 파악된 입력 값을 기초로 해당 서비스와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처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로 입력 값이 숫자인 경우,
상기 c)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입력 값을 수신측 전화 번호로 인식하여, 해당 수신측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로, 입력 값이 숫자와 문자의 혼합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입력 값에 기 설정된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입력 값을 특정 사이트의 주소로 인식하고,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입력 값을 검색어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입력 값이 특정 사이트 주소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서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서비스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입력 값이 검색어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로, 입력 값이 숫자 및 문자의 혼합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입력 값에 기 설정된 이메일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이메일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입력 값을 메일 주소로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입력 값이 메일 주소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처로의 접속을 시도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입력 모드가 단말기 기능 모드인 경우,
상기 c)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입력 값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여, 입력 값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로 이동하는 단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화면 상에 숫자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입력 값도 입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다양하게 입력되는 값을 통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초기 화면 상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파악하여 해당 입력 값과 매칭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을 시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복잡한 절차를 보다 간략하게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의 서비스 연결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초기 화면 상에 특정 입력 값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입력 모드를 확인하고, 확인된 입력 모드를 기초로 입력 값을 파악하여 입력 값과 매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처(도 1의 서비스 서버(200),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여기에서, 서비스 제공처는 입력 값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검색 사이트) 서버,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특정 사이트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페이지 등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출력부(130), 메모리(140), 입력 모드 변경부(150), 입력 정보 분석부(160) 및 연결 처리부(170)를 포함한다.
근거리 통신망 또는 통신망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110),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입력 제어를 위한 입력부(120), 음성 통화 서비스나 데이터 서비스 이용 시 필요한 데이터를 청각 또는 시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13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4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입력 모드 변경부(15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인식하는 입력 모드를 변경한다.
또한, 입력 모드 변경부(150)는 서비스 모드 또는 단말기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한다.
여기에서, 서비스 모드는 문자 모드, 숫자 모드, 숫자 및 문자 모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입력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소프트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별도의 특정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변경된다.
입력 정보 분석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 값을 입력 모드 변경부(150)에 의해서 설정된 입력 모드를 참조하여, 입력 값을 분석 및 파악한다.
또한, 입력 정보 분석부(160)는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입력 값을 서비스 모드(문자 모드, 숫자 모드 또는 숫자 및 문자 모드) 또는 단말기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여, 해당 입력 값에 매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처를 파악한다.
연결 처리부(170)는 입력 정보 분석부(160)에 의해서 파악된 입력 값을 기초로 입력 값에 대응되는 해당 서비스 제공처에 연결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서비스 제공처는 입력 값에 대응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검색어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검색 사이트) 서버, 이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특정 사이트 주소에 대응되는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제공하는 페이지 등을 의미한다.
서비스 제공처는 상술한 서버 또는 페이지 이외에도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입력 값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결 처리부(17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문자, 숫자, 특수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입력 값과 입력 값에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처를 기초로 입력 값에 대응되는 서비스 제공처로 연결 처리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 모드의 설정 값을 기초로 입력 모드를 변경한다(S101).
이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 값을 단계 S101에서 설정된 입력 모드를 기초로 분석 및 파악한다(S103, S105).
만약,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로 입력 값이 숫자와 문자의 혼합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 값에 기 설정된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입력 값을 특정 사이트의 주소로 인식한다.
한편,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입력 값을 검색어로 인식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단계 S105에서 파악된 입력 값과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처로의 연결을 시도한다(S107).
예를 들어, 입력 모드가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사용자 설정 모드를 참조하여 파악된 입력 값을 기초로 해당 서비스와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처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한편,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로 입력 값이 숫자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 값을 수신측 전화 번호로 인식하여, 해당 수신측 단말기로의 호 연결을 시도한다.
만약, 입력 값이 특정 사이트 주소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서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서비스 연결을 시도한다.
입력 값이 검색어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다른 한편,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로, 입력 값이 숫자 및 문자의 혼합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 값에 기 설정된 이메일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이메일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입력 값을 메일 주소로 인식하여, 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처로의 접속을 시도한다.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이고, 입력 값이 기 설정된 형식(예를 들어, 이메일 주소 형식, 사이트 주소 형식 등)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형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해당 입력 값을 검색어로 인식하고,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의 연결을 시도한다.
입력 모드가 단말기 기능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입력 값을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복수의 기능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여, 입력 값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로 이동한다.
이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의 서비스 연결이 단순히 통신망을 통한 연결뿐만 아니라, 이동통신 단말기(100) 상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로의 연결도 지원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초기 화면 상에 <메모>, <전화번호 북>, <모닝콜>, <일정>, <화면 꾸미기>, <벨소리 변경> 등을 입력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페이지를 화면 상에 출력하는 것이다.
물론, 상술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에 의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00) 상에 단말기 기능 모드에 대한 설정이 미리 수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화면 상에 숫자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입력 값도 입력 및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다양하게 입력되는 값을 통해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필요성이 높은 것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초기 화면 상에 입력되는 입력 값을 파악하여 해당 입력 값과 매칭되는 서비스를 사용자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연결을 시도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복잡한 절차를 보다 간략하게 생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의 서비스 연결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필요성이 높은 것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신망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무선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메모리 150 : 입력 모드 변경부
160 : 입력 정보 분석부 170 : 연결 처리부

Claims (15)

  1. 이동통신 단말기의 초기 화면 상에 한글, 영문의 문자를 포함하는 입력 값이 입력되면, 기 설정된 입력 모드를 확인하고,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 경우 입력된 한글, 영문의 문자를 포함하는 입력 값을 분석하여 포털 서버, 웹사이트 서버, 이메일 서버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인식하는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입력 모드 변경부;
    상기 입력 모드 변경부에 의해서 설정된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인 경우,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한글, 영문의 문자를 포함하는 입력 값을 분석하는 입력 정보 분석부;
    상기 입력 정보 분석부에 의한 분석 결과, 상기 한글, 영문의 문자를 포함하는 입력 값이 키워드, 웹사이트 주소 또는 이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포털 서버, 웹사이트 서버 또는 이메일 서버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연결하는 연결 처리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 변경부는,
    서비스 모드 또는 단말기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사용자의 선택 에 따라 입력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복수의 소프트 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별도의 특정 버튼을 선택함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분석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입력 값을 상기 서비스 모드 또는 단말기 기능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인식하고, 서비스 모드로 인식된 경우, 해당 입력 값에 매칭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제공 서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처리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문자, 숫자, 특수 문자, 기호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입력 값과 입력 값에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연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a)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 모드의 설정 값을 기초로 입력 모드를 서비스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되는 한글, 영문의 문자를 포함하는 입력 값을 분석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분석 결과, 상기 한글, 영문의 문자를 포함하는 입력 값이 키워드, 웹사이트 주소 또는 이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포털 서버, 웹사이트 서버 또는 이메일 서버와 같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자 설정 모드이며,
    상기 c)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설정 모드를 참조하여 파악된 입력 값을 기초로 해당 서비스와 매칭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드가 서비스 모드로, 입력 값이 숫자와 문자의 혼합인 경우,
    상기 b) 단계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입력 값에 기 설정된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해당 입력 값을 특정 사이트의 주소로 인식하고,
    사이트 주소 형식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입력 값을 검색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입력 값이 특정 사이트 주소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사이트 주소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연결될 수 있도록 서비스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입력 값이 검색어인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검색어에 해당하는 검색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088303A 2009-09-18 2009-09-18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9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03A KR101191007B1 (ko) 2009-09-18 2009-09-18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303A KR101191007B1 (ko) 2009-09-18 2009-09-18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41A KR20110030741A (ko) 2011-03-24
KR101191007B1 true KR101191007B1 (ko) 2012-10-16

Family

ID=4393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303A KR101191007B1 (ko) 2009-09-18 2009-09-18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7242B1 (ko) * 2014-06-20 2015-08-25 최영민 스마트 단말기의 다이얼 키 패드 이용 명령 실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741A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4989B2 (e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text editor application
CN100571050C (zh) 通过显示对应于输入按键的数字和字符串提供所选服务的方法及系统
US8364134B2 (en) Automatic language selection for text input in messaging context
EP1480421B1 (en) Automatic setting of a keypad input mode in response to an incoming text message
CN101595447B (zh) 输入预测
JP5048174B2 (ja) ユーザの発話を認識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6251869B (zh) 语音处理方法及装置
US20070121909A1 (en) Conference call dialing
EP1050794A2 (en) Spelling correction function for two-way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JP2007011358A (ja) 複合文字の音声認識によって支援された自動補完
CN104679405B (zh) 一种终端
JP2006311556A (ja) 移動通信端末機が実行する電話帳検索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電話帳検索手段
US8996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rase replacement
CN105187632B (zh) 一种手机号码的确定方法及装置
CN103037091A (zh) 短消息处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KR100784968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심카드별 데이터 구분 표시 방법
JP2009075582A (ja) 端末装置、言語モデル作成装置、および分散型音声認識システム
KR101191007B1 (ko) 문자 기반 서비스 연결 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102142030A (zh) 一种数据搜索方法和数据搜索装置
CN107203510A (zh) 文字检测方法及装置
CN110827815B (zh) 一种语音识别方法、终端、系统以及计算机存储介质
KR100834279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문자 입력 처리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모바일 단말기
CN104537541B (zh) 一种验证防伪码的方法及装置
CN106375609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KR1011794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장 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