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705B1 -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705B1
KR101546705B1 KR1020140173310A KR20140173310A KR101546705B1 KR 101546705 B1 KR101546705 B1 KR 101546705B1 KR 1020140173310 A KR1020140173310 A KR 1020140173310A KR 20140173310 A KR20140173310 A KR 20140173310A KR 101546705 B1 KR101546705 B1 KR 10154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data
lod
bim
view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3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창희
강태욱
김지은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7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7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7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visualizing BIM data in a building by a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The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various BIM data from a BIM server for visualizing building data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n a 3D GIS platform. The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device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the BIM data of a building, an inner object extracting unit, an outer object extracting unit, an LOD generating unit which generates LOD data, a storage unit which stores the DIM data, and a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and quickly visualizes GIS.

Description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의 건물내부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visualizing a BIM data in a building of a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본 발명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용량 BIM데이터를 처리하는 단말장치와 그 단말장치의 건물내부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ice for processing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device for processing large-capacity BIM data and a method for visualizing BIM data in a building of the terminal devic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최근 이슈(issue)인 최첨단 디자인 및 친환경 에너지 저가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해주며, 다차원 가상설계 건설(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과 유사한 개념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BIM의 적용범위를 건축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건조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토목 및 플랜트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modeling a facility in a multi-dimensional virtual space such as planning, design, engineering (structure, facility, electricity, etc.), construction, further maintenance and disposal. In particular, it enabl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low-cost buildings with cutting-edge design and environment-friendly energy, which is a recent issue, and is a similar concept to the multi-dimensional 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 In recent years, the application of BIM has been widely used in civil and plant fields in Europe and the US because it covers all construction environments as well as construction environments.

상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빌딩(Building)은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설계, 시공,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고, 정보(Information)는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하고, 모델링(Modeling)은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생산, 관리, 출판을 제공하는 통합 도구 및 플랫폼을 의미한다.The building of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eans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target building -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the information means 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target building , Modeling refers to an integrated tool and platform that produces, manages, and publishes al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entire life cycle.

BIM은 건물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순한 선, 면 작업이 아닌 선의 시작과 끝점을 잇는 길이의 데이터가 발생되어지고, 면은 닫힌 면의 기준으로 면적이 데이터화 된다. 그리고 길이와 면적의 데이터를 결합하면 체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BIM can digitize buildings to produce numerical data, and can display 3D display effects. Data of a length connecting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a line other than a simple line and a surface operation is generated and the area is data based on the closed surface. By combining the data of length and area, volume data can be obtained.

BIM은 빌딩 객체들인 벽, 슬라브, 창, 문, 지붕, 계단 등이 각각의 속성을 표현하여 서로의 관계를 인지하고 건물의 변경요소들을 즉시 건물설계에 반영한다. 설계할 건물이 정형이든 비정형이든 상관없이, 건물을 지을 때 발생되어지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로젝트 별, 프로세스 별로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활용한다. BIM expresses each property of building objects such as walls, slabs, windows, doors, roofs, stairs, etc., and recognizes each other's relations and immediately reflects the building elements to the building design. Regardless of whether the building to be designed is regular or unstructured, the data generated when building the building is integrated and managed at all levels through compatibility and sharing of each project and each proces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를 모아, 이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시스템이다.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computer system that collects and makes available the hardware, software, and geographic data of a computer that is designed to collect, store, update, coordinate, analyze and represent all types of geographically referential information .

GIS는 다양한 지구표면정보의 참조를 위하여 공간적으로 위치를 표현하는 지형정보와 그 형태와 기능을 설명·보완하는 비도형 속성정보를 그래픽과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기능 등과 연계하여 정보를 저장, 추출, 관리, 분석하는 정보체계 관련기술로, 지형정보의 특성(속성)정보를 부가하여 지도의 공간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종합적인 분석수단이기도 하다.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한다. GIS는 토지정보 관리, 시설물 관리, 교통, 도시계획 및 관리, 환경, 일기예보, 농업, 재해 및 재난, 교육, 인구예측 분야 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GIS is a system for storing, extracting, managing, and managing information by linking geographical information that represents a spatial location for various earth surface information references and non-graphic attribute information that explains and complements its form and function with graphical and database management functions. It is an information system related technology to analyze, and it is a comprehensive analysis means that expresses the spatial relation of map by adding characteristic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Geographic data occupying spatial position and related attribute data are integrated and processed. GIS can be widely used in land information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transportation,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environment, weather forecasting, agriculture, disaster and disaster, education and population prediction.

이용목적의 관점에서 보면, GIS는 시설물관리(FM: Facility Management) 시스템과 계획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토지정보시스템(LIS: land information system)과 도시정보시스템(UIS: urban information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urpose of use, GIS can be divided into Facility Management (FM) system an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lanning support, Land Information System (LIS) (UIS: urban information system).

최근, 이러한 BIM과 GIS를 결합하고, 상호운용하기 위하여 건설분야의 BIM(IFC) 데이터와 공간정보분야의 GIS 데이터를 통합하는 통합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며 그러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n integrated data model that integrates BIM (IFC) data in the construction field and GIS data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is required for combining and interoperating BIM and GIS, and such studies are underway.

전세계적으로 3차원 건물모델의 수요가 증가하고, 3차원 건물모델을 이용한 활용분야가 다양해지면서, 3차원 건물모델 및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도시모델 단위의 공간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도시모델의 경우 수많은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3차원 모델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가시화 방안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이 제한적인 성능을 가지고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대용량 3차원 객체에 대한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경우 렌더링 성능의 한계로 인해 원활한 작업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3차원 실사모델에 대한 상세 단계(LOD) 모델 구성을 통해 데이터를 경량화시키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As the demand of 3D building model worldwide increases and the utilization field using 3D building model becomes various, the importance of platform that can serve spatial information of urban model unit by using 3D building model and terrain information Has been highlighted. In addition, since the urban model is composed of numerous buildings, a quick and efficient visualization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Particularly, when screen display is performed on a large-capacity three-dimensional object using a device having limited performance such as a mobile device, smooth operation due to limitation of rendering performance is impossibl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essential that a technique for reducing data through a detailed step (LOD) model construction for a three-dimensional real-world model is essential.

상세 단계 즉, LOD(Level Of Detail)는 보통 정보를 모델링할 때의 상세수준을 말하는 것으로 BIM 수행 시 서로 협의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이다. 상세 단계(LOD) 모델의 구성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이해 당사자들간 건설 정보를 모델링할 때 많은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Levels of Detail (LOD) are the level of detail in modeling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things that must be negotiated when performing BIM. If the configuration of the LOD model is not clear, it can be confusing to model construction information among stakeholders.

상세 단계(LOD)의 기본 아이디어는 어떤 물체가 작거나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여하는 것이 없을 경우에 좀 더 간략하게 표현된 것을 사용하자는데 있다. 예를 들어, 대략 10,000개의 삼각형들로 이루어진 자세한 3차원 객체모델의 경우 관측자가 객체에 가깝게 있을 때 사용된다. 관측자가 객체에서 멀어지면 100개 정도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단순화된 모델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거리가 멀기 때문에 원본 모델과 거의 비슷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런 방법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경량화로 인해 상당한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The basic idea of the detail step (LOD) is to use a more compact representation if an object is small or does not contribute to the rendered image. For example, a detailed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 of approximately 10,000 triangles is used when the observer is close to the object. If an observer moves away from an object, simply using a simplified model of about 100 triangles can be seen to be nearly identical to the original model because of the distance. With this method, a considerable speed increase can be expected due to the light weight of the data.

최근 6-7년간, GIS 분야에서도 3차원 건물모델을 어떻게 하면 자동으로 경량화하여 LOD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특히 LOD 생성에 관련된 연구들은 부드러운 폴리곤 메쉬(지형 등) 또는 규칙적인 각기둥 형태의 3차원 건물 모델에 초점이 맞추어져 진행되어 왔으나, 아직까지는 3차원 건물 모델에 대한 자동 경량화 기술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이며, 추가적인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recent 6 to 7 years, studies on how to construct LOD data by automatically weighting 3D building model in GIS field have been actively studied. Particularly, studies related to LOD generation have been focused on soft polygonal mesh (topography) or regular prismatic three-dimensional building model. However, studies on automatic weight-reduction technology for three- , And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necessary.

구글어스(Google Earth)의 등장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3차원 GIS는 지형, 건물 등 각각의 개별 객체를 연속되는 삼각 평면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속하여 연결되는 각각의 삼각형을 메쉬라고 하며, 메쉬를 기반으로 구성된 3차원 객체를 메쉬 모델이라고 정의한다. With the advent of Google Earth, the three-dimensional GIS, which has become a global issue, takes the form of connecting individual objects such as terrain and buildings into a series of successive triangles. Each successive triangle is called a mesh, and a three-dimensional object based on the mesh is defined as a mesh model.

메쉬 모델의 세밀도는 결국 3차원 객체를 구성하는 개별 삼각형의 크기에 의해 좌우되며, 보다 세밀한 형태를 묘사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삼각형의 크기가 작아지고 수량은 많아지게 된다. 그러나, GIS(예: 3차원 GIS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폴리곤 메쉬 형태의 3차원 건물모델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가시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경량화 및 LOD 구성이 필수적이므로, GIS 기반 위에 다수의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서도 경량화 및 구조화된 BIM 데이터에 적합한 데이터 구성방안이 필요하다.The fineness of the mesh model depends on the size of the individual triangles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n order to describe a more detailed shape, the size of the triangle becomes smaller and the quantity becomes larger. However, since weight reduction and LOD construction are essential to realize fast and efficient visualization of a 3D building model in the form of a polygon mesh used in a GIS (for example, a 3D GIS platform), visualization of a large number of larg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data structure suitable for lightweight and structured BIM data.

또한, BIM 데이터와 GIS 데이터의 상호운용을 통하여 다양한 활용분야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신속한 3차원 가시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특히 웹 서비스를 통한 활용을 고려하기 위해서도 대용량 BIM 데이터의 경량화 및 LOD 구성에 적합한 시각화 알고리즘(렌더링 프로세스)은 필요한 사항이다.In order to develop various application fields through interoperability of BIM data and GIS data, efficient and fast 3D visualization is essential. Especially, in order to consider utilization through Web service, A suitable visualization algorithm (rendering process) is a must.

GIS(예: 3차원 GIS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폴리곤 메쉬 형태의 3차원 건물모델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가시화를 수행하기 위해, BIM데이터의 경량화 및 LOD데이터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인 것은 물론, 단계별 LOD데이터를 대용량의 BIM 데이터에 적용하고 3차원 GIS 플랫폼을 통해 대용량의 BIM 데이터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시화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와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quickly and efficiently visualize the 3D building model of polygon meshes used in GIS (eg 3D GIS platform),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weight reduction of BIM data and LOD data, And to develop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that can quickly and effectively visualize a large amount of BIM data through a 3D GIS platform.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건물 내부의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BIM데이터를 렌더링 처리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시작단계에 있으며, 시스템 및 단말장치의 구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노력이 필요하다.The BIM data processing system that renders the BIM data to render large-scale BIM data in the building on the 3D GIS platform is still in its infancy, and concrete and realistic efforts to implement the system and terminal devices need.

본 발명의 목적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건물 내부의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경량화 및 구조화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성하고 빠르게 렌더링 처리하는 건물내부 객체 시각화를 위한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visualizing inside objects of a building that efficiently constructs lightweight and structured data and quickly performs rendering in order to visualize large-capacity BIM data in a building on a 3D GIS platform.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성 및 이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기재될 것이며, 부분적으로는 상기 설명에 의해 명백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을 통해 숙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표 및 다른 이점들은 특히 아래 기재된 설명 및 부가된 도면뿐만 아니라 청구항에서 지적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것이다.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set forth in the description which follows, and in part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r may be learned by practice of the invention. The objectiv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lized and attained by the structure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본 발명은 대용량의 BIM 데이터를 3차원 GIS 플랫폼의 관측 시점(view point)에 따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시화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BIM 데이터의 경량화 및 LOD 구성에 적합한 시각화 알고리즘을 고안하여, GIS(예: 3차원 GIS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BIM기반의 3차원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방안을 구현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that quickly and effectively visualizes a large-capacity BIM data according to a view point of a 3D GIS platform, a visualization algorithm suitable for weight reduction of BIM data, and an LOD configuration, Dimensional objects (eg, buildings, bridges, urban facilities, etc.) used in BIM-based 3D GIS platforms can be quickly and efficiently visualized.

본 발명은 BIM과 GIS를 상호운용함에 있어 즉,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는데 있어, 빠른 렌더링 처리가 가능한 서비스용 데이터 구조로 BIM 데이터를 저장하여,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구조화된 BIM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ting between a BIM and a GIS, that is, for visualizing large-capacity BIM data on a three-dimensional GIS platform, a BIM data is stored in a service data structure capable of fast rendering processing, Structured BIM data can be rendered efficiently.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건물 내부의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고 렌더링 처리할 수 있어, 3차원 GIS 플랫폼의 상당한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The BIM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isualize and render large-capacity BIM data in a building on a 3D GIS platform, and a considerable speed improvement of the 3D GIS platform can be expect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단말장치에 관한 블록 구성도.
도3는 본 발명의 저장부에 기록되는 BIM 데이터와 서비스 모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GIS 플랫폼에서 BIM데이터 가시화를 위한 LOD 데이터 구성방법에 관한 흐름도.
도5는 3차원 메쉬모델의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6은 건물 객체 중 폴리곤 메쉬 형태의 경량화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7은 의자 객체에 대한 경량화 및 LOD 데이터 생성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서비스 모델 생성처리 흐름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부 가시화 절차를 구체화한 상세 흐름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라 레퍼런스 리스트 및 블록 준비에 따른 화면갱신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showing a data structure of BIM data and a service model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 diagram of a method for configuring LOD data for BIM data visualization in a GIS platfor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hape of a three-dimensional mesh model;
6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ening procedure of a polygon mesh type among building objects.
FIG.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weight reduction and LOD data generation for a chair object. FIG.
8 is a flowchart of a BIM data service model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visualizing an insid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update procedure according to a reference list and block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는, 3차원 GIS 플랫폼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의 건축물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BIM서버로부터 각종 BIM데이터를 제공받는 BIM데이터 처리 단말장치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BIM data receiving various BIM data from a BIM server for visualizing building data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a 3D GIS platform, In the processing terminal apparatus,

BIM서버로부터 건축물의 BIM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수신부와,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를 추출하는 내부객체 추출부와,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에서 건물외피 객체를 추출하는 외피객체 추출부와,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를 경량화하고 단계별 LOD데이터를 생성하는 LOD생성부와, 건물 내부객체의 가시화를 위해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각종 BIM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현재의 뷰포인트(View point) 위치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건물 내부에서 실외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뷰포인트 가시영역으로서 디스플레이될 노드를 선택하고 LOD데이터의 단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interior objec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building interior object from the input BIM data, a sheath object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building exterior object from the input BIM data, An LOD generator for weighting the input BIM data and generating LOD data for each step; 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BIM data extracted and generated for visualizing an object in a building;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transparent object that can see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side the visible area of the view point, selects the node to be displayed as the view point visible area, determines the step of the LOD data And a controller.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우선,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로 진입한 경우, 건물의 내부 객체들을 현재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node)로 결정하고, 해당 노드에 대한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드하고,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건물 내부에서 실외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가 존재하는지 체크하고, 존재하는 경우 투명객체를 통해 건물외피 객체가 보이는지 확인하고, 상기 건물의 외피객체가 보이는 경우, 이들 건물의 외피객체를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로 결정하고, 상기 투명객체를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 간, 거리를 계산하여 실외 건물을 표현할 LOD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시영역 내의 노드들과 상기 투명객체를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들의 LOD단계에 관한 블록 데이터를 준비하여 화면 갱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viewpoint is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and when the viewpoint enters the building, the interior objects of the building are divided into nodes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current viewpoint ), Checks whether or not a node reference list for the n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loads the corresponding node reference list, and displays a transparent object in the visible area of the view point Determining whether a building enclosure object is visible through a transparent object if it is present and determining that the enclosure object of the building is a node included in a visible region of the viewpoint when the enclosure object of the building is visible, Determining an LOD stage for expressing an outdoor building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outdoor buildings visible through the object, Preparing a block of data on the phase of the outdoor building LOD looks through the transparent object, and the nodes in-domain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a refresh.

바람직하게, 상기 블록 데이터를 준비하여 화면을 갱신하기 위해 제어부는, Preferably, in order to prepare the block data and update the screen,

상기 결정된 노드의 건물외픽 객체에 관한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하여, 해당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드하고, 상기 저장부로부터 블록 데이터들을 로드하고, 상기 노드 레퍼런스와 스킨 레퍼런스를 각각 상기 블록 데이터와 매핑하고, 모든 레퍼런스에 대한 상기 매핑과정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skin reference list related to a building external object of the determined n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loading a corresponding skin reference list, loading block data from the storage unit, Block data, and updates the display screen when the mapping process for all references is comple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부의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은, 3차원 GIS 플랫폼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의 건축물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IM data visualization method in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IM data visualization method of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visualizing building data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a 3D GIS platform As a result,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로 진입한 경우, 건물의 내부 객체들을 현재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node)로 결정하는 과정과, 해당 노드에 대한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드하는 과정과,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건물 내부에서 실외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가 존재하는지 체크하고, 존재하는 경우 투명객체를 통해 건물외피 객체가 보이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건물의 외피객체가 보이는 경우, 이들 건물의 외피객체를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로 결정하는 과정과, 뷰포인트와 가시영역 안의 창문을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 간, 거리를 계산하여 실외 건물을 표현할 LOD단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시영역 내의 노드들과 상기 창문을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들의 LOD단계에 관한 블록 데이터를 준비하여 화면 갱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Determining whether a viewpoint is inside or outside a building; and determining, when the viewpoint enters the building, determining internal objects of the building as nodes included in a visible region of the current viewpoint Checking whether or not a node reference list for the n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loading the corresponding node reference list; displaying a transparent object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point, Determining whether a building envelope object is visible through a transparent object if it is present and determining if the envelope object of the building is visible as a node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 point; , Between the viewpoints and the outdoor buildings visible through the windows in the visible area, and the LOD To prepare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block data concerning the LOD step of outdoor buildings visible through the windows, and the nodes in the determined viewing area that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screen update.

바람직하게, 상기 화면갱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결정된 노드의 건물외피 객체에 관한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하여, 해당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부로부터 블록 데이터들을 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 레퍼런스와 스킨 레퍼런스를 각각 상기 블록 데이터와 매핑하는 과정과, 모든 레퍼런스에 대한 상기 매핑과정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tep of performing the screen update includes the steps of: checking whether a skin reference list related to a building skin object of the determined n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loading a corresponding skin reference list; Mapping the node reference and the skin reference to the block data, and updating the display screen when the mapping process for all references i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100)과, BIM기반의 각종 3차원 객체(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를 저장하고, 저장된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의 IFC데이터(BIM 데이터)를 상기 BIM데이터 처리단말(100)측에 제공하는 BIM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BIM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100 for visualizing large-capacity BIM data on a three-dimensional GIS platform, various BIM-based 3D objects (e.g., And a BIM server 200 that stores IFC data (BIM data) of stored objects (e.g., buildings, bridges, city facilities, etc.) to the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100 side .

상기 BIM데이터 처리단말(100)은 빠른 렌더링 처리가 가능한 서비스용 데이터 구조로 BIM 데이터를 저장하여 구조화된 BIM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렌더링한다.The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100 efficiently stores the structured BIM data by storing the BIM data in a service data structure capable of fast rendering processing.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단말장치에 관한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단말장치(100)는 데이터 수신부(10), 데이터 선별부(20), 데이터 변환부(30), 제어부(40),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 외피객체 추출부(60), LOD생성부(70), 저장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he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10, a data selecting unit 20, a data converting unit 30, a controller 40, An envelope object extracting unit 60, an LOD generating unit 70, and a storage unit 80. [0033] FIG.

상기 데이터 수신부(10)는 BIM기반의 3차원 객체(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가 3차원 GIS 플랫폼(예: 구글 어스(Google Earth), 브이월드(V-World), 월드윈드(World Wind)) 상에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우선, BIM서버(200)로부터 해당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의 IFC데이터(BIM 데이터)를 수신한다. . The data receiving unit 10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a BIM-based 3D object (e.g., a building, a bridge, a city facility, or the like) from a 3D GIS platform (e.g., Google Earth, V- (BIM data) of the objects (e.g., buildings, bridges, city facilities, etc.) from the BIM server 200 in order to display the IFC data (e.g., World Wind). .

상기 데이터 선별부(20)는 상기 BIM서버(200)로부터 수신된 IFC데이터의 기하(Geometry) 정보를 구성하는 객체들의 데이터 저장형식이 파라메트릭 형태인지 혹은 폴리곤 메쉬 형태인지 구분하고, 폴리곤 메쉬형태의 데이터들을 선별한다. The data sorting unit 20 divides the data storage format of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geometry information of the IFC data received from the BIM server 200 into a parametric shape or a polygon mesh shape, Data is selected.

상기 데이터 변환부(30)는 상기 수신된 BIM데이터들 중 파라메트릭 형태의 데이터들을 폴리곤 메쉬 형태로 변환한다. 또한, 수신된 BIM데이터의 기하(Geometry) 정보를 폴리곤 메쉬 형태로 변환하고, BIM데이터의 속성정보(property)를 객체 단위로 그룹핑 한다.The data converting unit 30 converts the parametric data among the received BIM data into a polygon mesh. Further, the geometry information of the received BIM data is converted into a polygon mesh form, and the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BIM data is grouped in units of objects.

상기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는 상기 수신 BIM데이터에서, 건물내부의 각 객체들을 추출한다. 즉, 카메라의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있을 때 카메라에 노출되는 건물내피 객체들과 건물 내 노드들(예: 건물내 부속물 등)을 추출한다.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는 상기 폴리곤 메쉬 데이터 즉, 메쉬 모델들을 참조하여, 상기 건물내 부속물들(건물의 내부객체들)을 추출한다.The building inner object extraction unit 50 extracts each object in the building from the received BIM data. In other words, when the camera's viewpoint is inside the building, it extracts the building endorphic objects exposed in the camera and the nodes in the building (eg, building accessories). The building interior object extraction unit 50 refers to the polygon mesh data, that is, the mesh models, and extracts the building accessories (interior objects of the building).

상기 LOD생성부(70)는 제1 LOD생성부(74)와 제2 LOD 생성부(78)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를 경량화하고 단계별 LOD데이터를 생성한다.The LOD generation unit 70 includes a first LOD generation unit 74 and a second LOD generation unit 78. The LOD generation unit 70 reduces the input BIM data and generates stepwise LOD data.

전체 LOD데이터는 M+1단계(예: LOD 0 ~ LOD M)로 이루어지며, 이 중 건물 외부용 LOD데이터는 N+1단계(예: LOD 0 ~ LOD N)로 이루어지고, 건물 내부용 LOD데이터는 M-N단계(예: LOD N+1 ~ LOD M)로 이루어진다. The LOD data for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s composed of N + 1 stages (for example, LOD 0 to LOD N), and the LOD data for the insid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LOD 0 to LOD M) The data consists of MN steps (eg LOD N + 1 to LOD M).

상기 제1 LOD생성부(74)는 상기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에 의해 추출된 건물내부 구성들(객체들)에 대해, 단계별 건물내부용 LOD데이터(예: LOD N+1 ~ LOD M)를 구성(생성)한다. The first LOD generation unit 74 generates stepwise LOD data (e.g., LOD N + 1 to LOD M) for building internal structures (objects) extracted by the building internal object extraction unit 50 (Generated).

그리고, 상기 제2 LOD생성부(78)는 상기 외피객체 추출부(50)에 의해 추출된 건물외피 객체들에 대해, 단계별 건물외부용 LOD데이터(예: LOD 0 ~ LOD N)를 구성(생성)한다.The second LOD generation unit 78 constructs (generates) LOD data (for example, LOD 0 to LOD N) for building exterior for each building on the building exterior objects extracted by the exterior object extraction unit 50 )do.

제어부(40)는 상기 각 구성요소(예: 데이터 수신부(10), 데이터 선별부(20), 데이터 변환부(30),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 외피객체 추출부(60), LOD생성부(70), 저장부(80))와 연동하여, 데이터 처리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40)는 뷰포인트(view point)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한다. The control unit 40 controls the respective components (e.g., the data receiving unit 10, the data selecting unit 20, the data converting unit 30, the building inner object extracting unit 50, the sheath object extracting unit 60, The storage unit 8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data processing terminal 10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view point is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또한, 제어부(40)는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서 실외(예: 바깥)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예: 창문)나 열린 공간이 있는지 체크한다. 그리고, 투명객체(예: 창문)나 외부로 트인 열린공간을 통해 비춰지는 건물외피 객체를 추출한다. 이때, 제어부(40)는 상기 외피객체 추출부(60)가 추출한 뷰(view) 즉, 건물외피 객체를 그대로 가져다 쓰게 된다. 상기 외피객체 추출부(60)가 추출한 뷰(view)를 그대로 가져다 쓸 때, 제어부(40)는 우선, 필요한 데이터(예: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 등)가 캐쉬(cache) 메모리(8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먼저 확인하고,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BIM서버측(200)에 해당 데이터(예: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 등)의 로딩을 요청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checks whether there is a transparent object (e.g., a window) or an open space that can see the outside (e.g., outside) within the view area of the view point. It then extracts building envelope objects that are exposed through transparent objects (eg, windows) or through open-ended open space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40 directly reads out the view extracted by the skin object extracting unit 60, that is, the building skin object. The control unit 40 first reads necessary data such as a node reference list and a skin reference list from the cache memory 80 and writes the extracted data into the cache memories 80, And requests loading of the corresponding data (for example, a node reference list, a skin reference list, etc.) to the BIM server 200 when it is not stored in the cache memory.

공간데이터 연계모델은 그 특성 상 데이터 용량이 적지 않으므로 BIM서버(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캐쉬(cache) 메모리(80)에 저장하여 다시 그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에 BIM서버측(200)에 요청하지 않고 상기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활용한다. 또한 카메라(camera)의 가시권에서 벗어난 객체 데이터에 할당된 자원(resource)들은 언로딩(unloading)하는 것이 자원(resource) 관리에 용이하다.The spatial data linking model stores data received from the BIM server 200 in the cache memory 80 since the data capacity thereof is not so small and the BIM server 200 does not request the data when the data is needed again The data stored in the cache memory is reused. Also, it is easy to manage resources by unloading the resources allocated to the object data out of the visible region of the camera.

렌더링 처리(rendering process)는 카메라 이동(camera working) 직후 BIM서버(200)에 카메라의 지리학적인 정보를 보내주고 camera의 가시권 안에 존재하는 건물 list를 받은 후 배경화 절차(background processing)로 처리하는 것이 퍼포먼스(performance)적인 측면에서 적합하다.The rendering process is to send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the camera to the BIM server 200 immediately after the camera operation and to receive the list of buildings existing in the visible area of the camera, It is suitable for performance.

또한, 제어부(40)는 건물 외곽의 경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바라보는 시점(뷰포인트, View point)이 상기 경계 안쪽(예: 건물내부)에 있는지 상기 경계 바깥쪽(예: 건물외부)에 있는지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바라보는 시점이 경계 안쪽(예: 건물내부)에 있는 경우, 우선 디스플레이될 노드를 선택하고 LOD데이터의 단계를 결정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a current view point (view point) is inside the boundary (for example, inside the building) or outside the boundary (for example, outside the building) . If the viewpoint is within the boundary (for example, inside the building), first, the node to be displayed is selected and the level of the LOD data is determined.

제어부(40)는 옥트리(Octree) 기반으로 가시화 대상 객체들을 공간분할하고 인덱스를 부여한다. 그리고, 제어부(40)는 상기 부여된 인덱스 정보와 상기 데이터 변환부(30)와 LOD생성부(70)의 결과 데이터를, 헤더(Header), 객체 인덱스(Object Index), 공간 인덱스(Spatial Index), 기하(Geometry)데이터, 속성(Property)데이터의 5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데이터 포맷에 저장한다.The control unit 40 divides the objects to be visualized on an octree basis and assigns an index thereto. The control unit 40 transmits the index information and the result data of the data conversion unit 30 and the LOD generation unit 70 to a header, an object index, a spatial index, , Geometry data, and property data in a data format consisting of five components.

상기 외피객체 추출부(60)는 상기 수신된 BIM데이터에서, 건물외피 객체를 추출한다. 외피객체 추출부(60)는 BIM데이터를 참조하여,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를 계산하고, 바운딩 박스 외곽의 다수 지점을 촬영지점으로 설정하고, 각 촬영지점에서 촬영된(촬영될 수 있는) 영상들을 추출한 후, 추출된 2D 영상의 각 화소를 차례로 검사하여 외피객체를 추출한다.The shell object extraction unit 60 extracts the building shell object from the received BIM data. The enclosure object extracting unit 60 refers to the BIM data, calculates a bounding box, sets a plurality of points outside the bounding box as photographing points, and displays the images (taken) And extracts the skin object by inspecting each pixel of the extracted 2D image in order.

상기 저장부(80)는 상기 제1 LOD생성부(74)와 제2 LOD 생성부(78)가 생성한 단계별 LOD데이터(예: LOD 0 ~ LOD M)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건물내부 구성들(객체들)과 건물외피 객체를 저장하고, BIM데이터가 3차원 GIS 플랫폼에 적용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되면 변환된 데이터들과 그 포맷의 구조를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80)는 캐쉬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torage unit 80 stores LOD data (for example, LOD 0 to LOD M) generated by the first LOD generation unit 74 and the second LOD generation unit 78. Also, when the BIM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at applicable to the 3D GIS platform, the converted internal structures (objects) and building exterior objects are stored, and the converted data and the structure of the format are stored. Hereinafter, the storage unit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che memory.

도3는 본 발명의 저장부에 기록되는 BIM 데이터와 서비스 모델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ata structure of BIM data and a service model record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80)는 BIM 데이터 서비스 모델별로 저장하고, 각 모델(예: 빌딩 이름)은 7가지 파일과 1가지 폴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storage unit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according to a BIM data service model, and each model (e.g., a building name) includes seven files and one folder.

각 모델(예: 빌딩 이름)의 7가지 파일은 헤더(Header), Ref_Skin1 ~ Ref_Skin[N], Ref_bone, 풋프린트(Footprint), 공간구조(SpacialStructure), blocks[1] ~ blocks[M], blocksBone으로 이루어지며, 폴더는 inLOD[N+1] ~ inLOD[M]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seven files of each model (eg, building name) are: Header, Ref_Skin1 to Ref_Skin [N], Ref_bone, Footprint, SpatialStructure, blocks [1] to blocks [M], blocksBone , And the folder includes inLOD [N + 1] to inLOD [M].

상기 헤더(Header)는 건물 외부용 LOD데이터 중 가장 간단한 구조인 LOD 0단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LOD 0단계는 바운딩 박스(Bounding Box)로도 표현할 수 있는 직육면체와 같은 간단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제2 LOD 생성부(78)는 LOD 0단계의 데이터를 별도로 생성하지 않는다.The head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LOD 0 stage, which is the simplest structure among LOD data for building exterior use. The LOD 0 step is composed of simple data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hich can be expressed by a bounding box, and the second LOD generator 78 does not separately generate LOD 0 level data.

상기 Ref_Skin1 ~ Ref_Skin[N]는 건물 외피역할을 하는 객체(Object)들의 블록 레퍼런스(Block Reference) 정보를 단계별 건물 외부용 LOD(예: LOD 0 ~ LOD N) 별로 저장해 둔 파일이다. Ref_Skin1 to Ref_Skin [N] are files storing block reference information of objects serving as building envelopes for each building exterior LOD (e.g., LOD 0 to LOD N).

상기 Ref_bone은 건물 내부를 렌더링(Rendering)할 때 공간 인덱싱에 관계없이 항상 보여야 하는 객체들(Objects)의 블록 레퍼런스(Block Reference) 정보들을 모아 저장한 파일이다.The Ref_bone is a file that stores block reference information of objects to be always displayed regardless of spatial indexing when rendering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상기 풋프린트(Footprint)는 건물의 확장된 Footprint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건물 내/외부에 카메라가 있는지를 판단할 때 사용한다.The footprint is a file that stores extended footprint information of the building. Used to determine if there is a camera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상기 공간구조(SpacialStructure)는 건물의 공간 구조(Spacial Structure)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The spatial structure is a file that stores spatial structure information of a building.

상기 blocks[1] ~ blocks[M], blocksBone은 건물이 가지고 있는 객체들 (Objects)의 원본 기하(Geometry) 정보를 각 LOD/bone 별로 저장하는 파일들이다.The blocks [1] to blocks [M], blocksBone are the files storing the original geometry information of objects in the building by each LOD / bone.

상기 inLOD[N+1] ~ inLOD[M]는 단계별 건물 내부용 LOD데이터(예: LOD N+1 ~ LOD M) 각각에 대한 공간 인덱싱 정보들을 저장하는 폴더이다.The inLOD [N + 1] to inLOD [M] are folders for storing spatial indexing information for each of the building internal LOD data (for example, LOD N + 1 to LOD M).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GIS 플랫폼에서 BIM데이터 가시화를 위한 LOD데이터 구성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figuring LOD data for visualizing BIM data in a GIS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GIS 플랫폼 상의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은 해당 객체(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의 BIM데이터를 입력받는 과정(S10)과, 상기 입력된 데이터에서, 폴리곤 메쉬형태의 데이터들을 선별하는 과정(S20)과, 상기 입력된 데이터들 중 파라메트릭 형태의 데이터들을 폴리곤 메쉬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S30)과, 상기 과정(S20, S30)에서 선별되고 변환된 폴리곤 메쉬 데이터의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S40)과,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에서, 건물외피 객체를 추출하는 과정(S50)과, 상기 추출된 건물외피 객체의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과정(S60)과, 상기 구성된 각 LOD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S7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BIM data visualization method on the GIS platfor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S10) of receiving BIM data of a corresponding object (e.g., a building, a bridge, a city facility, etc.) A step S30 of converting the data of the parametric type into the polygon mesh form of the input data, a step of selecting the data of the polygon mesh type at step S20, A step S50 of extracting a building envelope object from the input BIM data, a step S60 of composing LOD data of the extracted building envelope object, And storing the LOD data (S70).

상기 BIM데이터를 가시화하는 방법의 각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Each step of the method of visualizing the BIM data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BIM기반의 3차원 객체(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 데이터 수신부(10))은 우선, 사용자로부터 해당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의 IFC데이터(BIM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S10)In order to allow a BIM-based three-dimensional object (e.g., a building, a bridge, an urban facility, etc.) to be represented on a three-dimensional GIS platform, the system 100 (data receiving unit 10) (BIM data) of a building (eg, a building, a bridge, an urban facility, etc.). (S10)

그리고, IFC데이터(BIM데이터)의 입력이 완료되면, IFC데이터의 기하(Geometry) 정보를 구성하는 개체들의 데이터 저장형식이 파라메트릭 형태인지 혹은 폴리곤 메쉬형태인지 구분하고, 폴리곤 메쉬형태의 데이터들을 선별한다. (S20) 그리고, 상기 파라메트릭 형태의 데이터들은 폴리곤 메쉬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S30)When the input of the IFC data (BIM data) is complet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ata storage format of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geometry information of the IFC data is a parametric shape or a polygon mesh shape, do. (S20) Then, the parametric data is converted into polygon mesh data. (S30)

본 발명은 상기 파라메트릭 형태의 데이터 즉, 파라메트릭 기반의 객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가시화)하기 위해서 폴리곤 메쉬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변환과정은 건물내의 부속물과 건물 외피 객체의 경량화 및 LOD 데이터 구성을 수행하기 위한 과정의 하나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parametric data, that is, parametric based objects, into polygon mesh type data for display (visualization) on the screen, And the LOD data configuration.

상기 IFC데이터의 기하(Geometry) 정보가 폴리곤 메쉬 형태로 저장된 건물의 객체들은 주로 책상, 의자 등과 같이 복잡한 형태를 갖는 건물의 부속물로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수히 많은 버텍스(vertex)로 구성된다. 도5에 도시된 각각의 삼각편형을 메쉬라고 하며, 메쉬를 기반으로 구성된 3차원 객체를 메쉬 모델이라 한다. 도5는 3차원 메쉬모델의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The objects of the building in which the geometry information of the IFC data is stored in the form of a polygon mesh are composed of a myriad of vertices as shown in FIG. 5 as an appendage of a building having a complex shape such as a desk or a chair . Each triangular shape shown in FIG. 5 is referred to as a mesh, and a three-dimensional object constructed based on the mesh is referred to as a mesh model.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hape of a three-dimensional mesh model.

메쉬 모델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원 객체의 표면에 대한 형태 정보만을 묘사한 것으로 그 내부는 채워지지 않은 형태를 나타내게 된다. 메쉬 모델의 세밀도는 결국 3차원 객체를 구성하는 개별 삼각형의 크기에 의해 좌우되며, 보다 세밀한 형태를 묘사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삼각형의 크기가 작아지고 수량은 많아지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mesh model describes only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surface of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nd the inside of the mesh model represents an unfilled shape. The detail of the mesh model depends on the size of the individual triangles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In order to describe a more detailed shape, the size of the triangle becomes smaller and the quantity becomes larger.

일반적인 메쉬 기반의 3차원 GIS 데이터는 그 세부적인 저장 형태에 대해서는 각각의 포맷별로 차이가 발생하지만, 기본적으로 버텍스 리스트(Vertex List), 페이스 리스트(Face List), 유브이 리스트(UV List)의 세 가지 항목을 반드시 포함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바이너리 형태로 저장된다.Generally, mesh-based three-dimensional GIS data has different types of detailed storage formats. However, there are basically three kinds of vertex list, face list, and UV list Item, and is usually stored in binary form.

상기 버텍스 리스트(Vertex List)는 3차원 객체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점들의 3차원 좌표를 포인트 아이디(Point ID)와 함께 순차적으로 저장한 것이다.The vertex list stores sequentially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all the points constituting the three-dimensional object along with the point ID.

상기 페이스 리스트(Face List)는 3개의 버텍스(Vertex)로 이루어지는 개별 삼각평면을 정의한 것으로 버텍스 리스트(Vertex List)에 포함되어 있는 포인트 아이디(Point ID)만으로 구성된다.The face list defines an individual triangular plane composed of three vertices and is composed of only a point ID included in a vertex list.

상기 유브이 리스트(UV List)는 각각의 페이스(Face)에 적용되는 텍스처가 하나의 텍스처 영상의 어느 위치에 있는지 지정하는 것으로, 페이스(Face)를 구성하는 버텍스(Vertex)의 포인트 아이디(Point ID)와 1:1로 매핑되게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페이스(Face)에 대해 별도 파일 형태의 텍스처를 적용하는 경우, 유브이 리스트(UV List)를 별도로 저장할 필요가 없이 바로 파일명을 지정하면 되지만, 그럴 경우 파일의 수가 너무 많아진다는 문제로 인해 통상적으로 하나의 텍스처 파일을 사용한다.The UV list specifies a position of a texture in a texture image to be applied to each face. The UV list includes a point ID of a vertex constituting a face, And 1: 1, respectively. If you apply a separate file type texture to each face, you do not have to save the UV list separately, but you can specify the file name directly, Use a single texture file.

메쉬 기반의 GIS 데이터와 달리 BIM의 표준포맷으로 대표되는 IFC 데이터는 파라미터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벽면과 같은 직육면체를 표현하기 위해서 GIS 데이터는 직육면체를 구성하는 모든 모서리에 대한 3차원 좌표와 이들로 이루어진 삼각평면을 직접적으로 저장하는데 비해 BIM 데이터는 벽면의 하단부 중심 라인의 양 끝점에 대한 3차원 좌표(기하정보)와 이 라인의 두께, 그리고 벽면의 높이 등의 값(속성정보)을 저장한다. 따라서, GIS 데이터와 달리 BIM 데이터는 화면 상에 객체의 3차원 형태를 나타내기 위해서 저장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그 형태를 매번 계산하여 주어야 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Unlike mesh-based GIS data, IFC data represented by the standard format of BIM is parameter-bas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represent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uch as a wall, GIS data directly stores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all the edges constituting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triangular plane thereof, whereas the BIM data indicates that three end points of the center line (Geometry information), the thickness of this line, and the height of the wall surface (attribute information). Therefore, unlike GIS data, BIM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equired to calculate its shape every time based on the stored parameters in order to display the three-dimensional shape of the object on the screen.

이러한, 파라메트릭 기반의 객체(BIM데이터)를 화면상에 가시화하기 위해서 폴리곤 메쉬 형태의 데이터로 변환 과정이 필요하며, 이는 건물 외피 객체의 경량화 및 LOD 데이터 구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In order to visualize the parametric based object (BIM data) on the screen,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data into polygon mesh type data, which is used to lighten the building envelope object and to construct the LOD data.

이상의 변환과정(S30)이 완료되면, 시스템(100, LOD생성부(70))은 상기 과정(S20)에서 선별되고 과정(S30)에서 변환된 폴리곤 메쉬 데이터의 LOD데이터(예: LOD N+1 ~ LOD M)를 구성한다. (S40)When the above conversion process S30 is completed, the system 100 (LOD generation unit 70) selects LOD data (e.g., LOD N + 1) of the polygon mesh data selected in step S20 and converted in step S30 To LOD M). (S40)

이미 설명하였듯, 건물을 구성하는 객체 중 폴리곤 메쉬 형태로 저장된 객체들은 주로 책상, 의자 등과 같이 복잡한 형태를 갖는 건물의 부속물로서 무수히 많은 버텍스(vertex)로 구성된다. 이러한 객체 모델을 경량화하고 LOD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법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6은 건물 객체 중 폴리곤 메쉬 형태의 경량화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As described above, among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building, the objects stored in the form of the polygon mesh are composed of numerous vertices as an appendage of buildings having complex shapes such as desks and chairs. A method of reducing the weight of the object model and constructing the LOD data is as shown i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lightening process of a polygon mesh shape among building objects.

예를 들어, 건물의 부속물 중 하나인 의자(폴리곤 메쉬 형태의 객체)에 대하여 소정의 경량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별 LOD 데이터(예: LOD N+1 ~ LOD M)를 구성하게 되고, 3차원 GIS 플랫폼의 가시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7은 의자 객체에 대한 경량화 및 LOD 데이터 생성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or example, if a predetermined light weighting algorithm is applied to a chair (an object in the form of a polygon mesh) that is one of the attachments of a building, stepwise LOD data (e.g., LOD N + 1 to LOD M) And the visualization performance of the 3D GIS platform can be improved.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eighting and LOD data generation procedure for a chair object.

이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경량화 및 LOD 데이터 구성에 관한 절차(S40)가 모두 완료되면, 시스템(100)은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에서, 건물 내부객체와 건물 외피객체를 추출한다. (S50)Then, as shown in FIG. 7, when the object lightening and the LOD data configuration procedure S40 are all completed, the system 100 extracts the building interior object and building exterior object from the input BIM data. (S50)

이렇게, 건물의 객체추출 과정(S50)이 완료되면, 시스템(100, LOD생성부(70))은 추출된 건물 객체들(예: 내부객체 & 외피객체)의 단계별 LOD데이터(예: LOD 0 ~ LOD M)를 구성한다. (S60)When the object extraction process (S50) of the building is completed, the system 100 (LOD generation unit 70) extracts the LOD data of the extracted building objects (e.g., internal objects & LOD M). (S60)

그리고, 시스템(100, 제어부(40))은 상기 각 절차(예: S40 & S60)에서 구성된 LOD데이터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80)에 저장한다. (S70)The system 100 and the control unit 40 store the LOD data configured in the above procedures (e.g., S40 and S60) in the storage unit 80 as shown in FIG. (S70)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서비스 모델 생성처리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of a BIM data service model gen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우선, BIM서버(200)로부터 건물의 인덱스 리스트를 수신하고, 지정 건물에 대한 헤더 파일이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S110 ~ S120)As shown in FIG. 8, the controller 40 first receives an index list of the building from the BIM server 200, and checks whether a header file for the designated building is stored in the cache memory. (S110 to S120)

만일, 헤더 파일이 캐쉬 메모리에 있는 경우, 제어부(40)는 캐쉬 메모리로부터 상기 헤더파일을 로딩하고, LOD생성부(70)는 상기 지정 건물의 BIM데이터를 경량화하고 단계별 LOD데이터를 생성한다. (S130)If the header file is in the cache memory, the control unit 40 loads the header file from the cache memory, and the LOD generation unit 70 reduces the weight of the BIM data of the designated building and generates LOD data for each step. (S130)

만일, 헤더 파일이 캐쉬 메모리에 없는 경우, 제어부(40)는 BIM서버(200)에 요청하여 BIM서버(200)로부터 상기 헤더파일을 로딩하고 LOD생성부(70)로 하여금 상기 지정 건물에 대한 LOD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한다. (S140)If the header file is not in the cache memory, the control unit 40 requests the BIM server 200 to load the header file from the BIM server 200 and instructs the LOD generation unit 70 to send the LOD Data is generated. (S140)

이상의 절차는 상기 인덱스 리스트 상의 모든 건물에 대해 수행된다.(S150)The above procedure is performed for all the buildings on the index list (S150)

이후, 제어부(40)는 뷰포인트(view point)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여(S160), 뷰포인트가 건물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건물내피 객체들과 건물 내 노드들(예: 건물내 부속물 등)을 추출하고, 적정 단계의 LOD데이터를 결정한다. (S170)Then,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the view point is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S16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view point is inside the building, Extracts the building endothelium objects contained in the area and the nodes in the building (for example, building accessories), and determines the LOD data of the appropriate stage. (S170)

만일, 상기 판단 과정(S160)에서, 뷰포인트가 건물외부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부(4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피객체를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node)로 정하고 상기 건물외피 객체에 관한 LOD단계를 결정한다. (S20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60 that the viewpoint is located outside the building,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whether the enclosure object of the building is a node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point, And determines an LOD step regarding the building envelope object. (S200)

상기 결정된 노드의 건물외피 객체에 관한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하고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있으면 해당 리스트를 캐쉬 메모리로부터 로딩한다. (S305, S310)A check is made to see if the skin reference list related to the building shell object of the determined node is stored in the cache memory and if the skin reference list is in the cache memory, the list is loaded from the cache memory. (S305, S310)

만일, 상기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없으면 BIM서버(200)에게 요청하여 관련된 모든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를 내려받는다. (S320)If the skin reference list does not exist in the cache memory, the BIM server 200 is requested to download all related skin reference lists. (S320)

이 같은 절차(S305~S320)는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된 모든 건물 외피객체 관련 노드(node)에 대해 진행되며, 상기 절차(S305~S320)가 완료되면(S330), 제어부(40)는 해당 블록 데이터(예: blocks[1] ~ blocks[M])를 준비한다. (S340) The above steps S305 to S320 are performed for all building envelope related nodes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 point. When the above steps S305 to S320 are completed (S330), the control unit 40 Prepare corresponding block data (for example, blocks [1] to blocks [M]). (S340)

그리고, 모든 스킨 레퍼런스에 대해 이러한 블록 매핑(block mapping)처리를 수행하여 3차원 객체 생성 및 그리기를 준비한다.(S350) 이후, 블록 매핑처리가 모두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한다. (S360~S370)Then, this block mapping process is performed on all the skin references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object creation and drawing (S350). After completion of the block mapping process, the display screen is updated. (S360 to S370)

한편, 상기 판단 과정(S160)에서, 뷰포인트가 건물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건물내피 객체들과 건물 내 노드들(예: 건물내 부속물 등)을 추출하고, 적정 단계의 LOD데이터를 결정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60 that the viewpoint is located inside the building,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whether the building endothelium objects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point and the in- (Eg, building appendages, etc.), and determines the LOD data for the appropriate stage.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건물내부 가시화 절차를 구체화한 상세 흐름도이다.FIG. 9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nal visualiza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뷰포인트가 건물내부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우선, 사용자의 마우스 조작(움직임)에 따라, 뷰포인트의 실내 이동속도를 조정한다. (S171) 도시 전체 또는 수십 채의 건물을 바라보는 뷰포인트에서, 마우스 이동에 따른 뷰포인트의 이동속도는 건물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뷰포인트의 이동속도와 큰 차이가 있다. As shown in FIG. 9, when the viewpoint is determined to be inside the building, the controller 40 adjusts the indoor moving speed of the viewpoint according to the mouse operation (movement) of the user. (S171) At a view point over the entire city or several tens of buildings, the moving speed of the viewpoint due to the mouse movement is greatly different from the moving speed of the viewpoint inside the building.

따라서, 상기 뷰포인트(view point)가 건물 외곽의 경계 안쪽(예: 건물내부)에 있는 경우, 즉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진입했을 경우, 제어부(40)는 건물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속도와 차이를 갖지 않도록, 마우스 조작에 따른 뷰포인트(view point)의 실내 이동속도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Accordingly, when the view point is located inside the boundary of the outside of the building (for example, inside the building), that is, when the view point enters inside the building, the control unit 40 calculates the difference So that the indoor moving speed of the view point according to the mouse operation is appropriately adjusted.

또한, 뷰포인트가 건물내부로 진입했을 경우, 제어부(40)는 건물의 내부 객체들을 현재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옥트리(Octree) 노드(node)로 정하고, 건물내부 객체들을 가시화하기 위한 LOD 단계를 결정한다. (S172) 이때 결정되는 LOD 단계는 LOD N+1 ~ LOD M 중 하나가 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view point enters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control unit 40 defines the interior objects of the building as an octree node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current view point, and displays the LOD Step is determined. (S172) At this time, the determined LOD level will be one of LOD N + 1 to LOD M.

이후, 제어부(40)는 상기 결정된 노드(node)에 대한 레퍼런스 리스트 즉,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S173) 그리고, 상기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있으면 해당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로딩한다. (S174)Then, the control unit 40 checks whether the reference list for the determined node, i.e., the node reference list, is stored in the cache memory. (S173). If the node reference list is in the cache memory, the node reference list is loaded from the cache memory. (S174)

만일, 상기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없으면 BIM서버(200)에게 요청하여 관련된 모든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내려받는다. (S175)If the node reference list does not exist in the cache memory, the BIM server 200 is requested to download all related node reference lists. (S175)

이 같은 절차(S173~S175)는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된 모든 노드(node)에 대해 진행되며, 상기 절차(S173~S175)가 완료되면(S176) 제어부(40)는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실외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예: 창문)나 열린 공간이 있는지 체크한다. (S177)When the above steps S173 to S175 are completed (S176),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point Check if there is a transparent object (eg a window) or open space in which you can see outdoors. (S177)

제어부(40)는 건물 내부에서 실외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예: 창문)나 열린 공간이 있는지 파악하고, 상기 투명객체(예: 창문)나 열린 공간을 통해 건물 최외곽인 객체(예: 건물외피 객체)가 보이는지 확인한다. (S178) 만일, 창문이나 열린 공간을 통해 건물의 외피객체가 보이는 경우, 이들 건물의 외피객체를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node)로 결정한다. (S179) The control unit 40 recognizes whether there is a transparent object (e.g., a window) or an open space that can see the outside of the building and displays the object (e.g., a building Envelope object) is visible. (S178). If an enclosure object of a building is visible through a window or an open space, the enclosure object of these buildings is determined as a node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point. (S179)

그리고, 건물 내부에서 창문이나 열린 공간을 통해 가시화되는 실외의 건물들에 대한 LOD 단계를 결정한다. (S180) 이때 결정되는 LOD 단계는 LOD 0 ~ LOD N 중 하나가 될 것이다. 제어부(40)는 현재의 뷰포인트와 가시영역 안의 창문을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들 간, 거리를 계산하여 실외 건물들을 표현할 LOD단계를 결정한다. Then, the LOD level is determined for the outdoor buildings that are visible through the windows or open spaces inside the building. (S180) At this time, the determined LOD level will be one of LOD 0 to LOD N. The controller 40 determines the LOD level for expressing the outdoor buildings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urrent view point and the outdoor buildings visible through the window in the visible area.

이상, 뷰포인트의 가시영역에 포함되는 노드(node)와 실외 건물들을 표현할 LOD단계가 결정되면(S179~S180), 제어부(4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퍼런스 리스트 및 블록 준비에 따른 화면갱신 절차(S300)를 수행하여 상기 과정(S179)에서 결정된 노드의 실외 건물들에 관한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딩한 후, 현재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된 건물 내부객체들(예: 건물내피 객체, 건물내 부속물 등)을 가시화(예: 렌더링)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D stage to represent the nodes and the outdoor buildings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 point is determined (S179 to S180), the controller 40 displays the reference list and the block preparation screen After the update procedure S300 is performed to load the reference list of the outdoor buildings of the node determined in the step S179, the building internal objects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current view point (Such as an image, an object, an attachment, etc.).

도10은 본 발명에 따라 레퍼런스 리스트 및 블록 준비에 따른 화면갱신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reen update procedure according to the reference list and block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우선, 상기 과정(S179)에서 결정된 노드의 실외 건물들에 관한 레퍼런스 리스트 즉, 스킨(skin)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S305) 그리고, 상기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있으면 해당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를 상기 캐쉬 메모리로부터 로딩한다. (S310)As shown in FIG. 10, the controller 40 first checks whether a reference list, that is, a skin reference list, for the outdoor buildings of the node determined in step S179 is stored in the cache memory. (S305). If the skin reference list is in the cache memory, the corresponding skin reference list is loaded from the cache memory. (S310)

만일, 상기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캐쉬 메모리에 없으면 BIM서버(200)에게 요청하여 관련된 모든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를 내려받는다. (S320)If the skin reference list does not exist in the cache memory, the BIM server 200 is requested to download all related skin reference lists. (S320)

이 같은 절차(S305~S320)는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된 모든 건물 외피객체 관련 노드(node)에 대해 진행되며, 상기 절차(S305~S320)가 완료되면(S330), 제어부(40)는 해당 블록 데이터(예: blocks[1] ~ blocks[M])를 준비한다. (S340) The above steps S305 to S320 are performed for all building envelope related nodes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 point. When the above steps S305 to S320 are completed (S330), the control unit 40 Prepare corresponding block data (for example, blocks [1] to blocks [M]). (S340)

그리고, 모든 레퍼런스에 대해 이러한 블록 매핑(block mapping)처리를 수행한다. (S350) 제어부(40)는 상기 각 노드 레퍼런스와 해당 블록 데이터를 매핑하고 상기 각 스킨 레퍼런스와 해당 블록 데이터를 매핑하여, 3차원 객체 생성 및 그리기를 준비한다. Then, this block mapping process is performed for all the references. (S350) The controller 40 maps each node reference to corresponding block data, maps each skin reference to corresponding block data, and prepares for three-dimensional object creation and drawing.

이후, 모든 레퍼런스에 대한 블록 매핑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한다. (S360~S370)Thereafter, when the block mapping for all the references is completed, the display screen is updated. (S360 to S370)

제어부(40)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블록이 캐쉬 메모리에 있는 경우 캐쉬 메모리로부터 해당 블록을 로딩하고, 캐쉬 메모리에 없는 경우 BIM서버(200)에 요청하여 BIM서버(200)로부터 해당 블록을 로딩한다. (S380 ~ S395)As shown in FIG. 10, when the corresponding block is in the cache memory, the control unit 40 loads the corresponding block from the cache memory. If the block is not in the cache memory, the control unit 40 requests the BIM server 200, Load the block. (S380 to S395)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단말장치의 제어부(40)는 애드-온(ADD-ON) 프로그램의 형태로서, 3차원 GIS 플랫폼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40 of the BIM data processing system and th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a 3D GIS platform in the form of an ADD-ON program.

이상,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BIM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 또는 단말장치의 제어부(40)를 포함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The computer may include a control unit 40 of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or a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May be constructed by selectively or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용량의 BIM 데이터를 3차원 GIS 플랫폼의 관측 시점(view point)에 따라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시화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과 BIM 데이터의 경량화 및 LOD 구성에 적합한 시각화 알고리즘을 고안하여, GIS(예: 3차원 GIS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BIM기반의 3차원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는 방안을 구현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devised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quickly and effectively visualizing a large-capacity BIM data according to a view point of a 3D GIS platform, a visualization algorithm suitable for weight reduction of BIM data, and LOD configuration We have implemented a method to visualize BIM-based 3D objects (eg, buildings, bridges, urban facilities, etc.) used in GIS (eg 3D GIS platform) more quickly and efficiently.

본 발명은 BIM과 GIS를 상호운용함에 있어 즉,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는데 있어, 빠른 렌더링 처리가 가능한 서비스용 데이터 구조로 BIM 데이터를 저장하여,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구조화된 BIM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렌더링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operating between a BIM and a GIS, that is, for visualizing large-capacity BIM data on a three-dimensional GIS platform, a BIM data is stored in a service data structure capable of fast rendering processing, Structured BIM data can be rendered efficiently.

본 발명에 따른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건물 내부의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고 렌더링 처리할 수 있어, 3차원 GIS 플랫폼의 상당한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The BIM data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visualize and render large-capacity BIM data in a building on a 3D GIS platform, and a considerable speed improvement of the 3D GIS platform can be expected.

10 : 데이터 수신부 20 : 데이터 선별부
30 : 데이터 변환부 40 : 제어부
50 :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 60 : 외피객체 추출부
70 : LOD생성부 80 : 저장부
100 : BIM데이터 처리 단말장치 200 : BIM서버
10: Data receiving unit 20: Data sorting unit
30: Data conversion unit 40:
50: building interior object extraction unit 60: exterior object extraction unit
70: LOD generation unit 80:
100: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apparatus 200: BIM server

Claims (15)

3차원 GIS 플랫폼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의 건축물 데이터를 가시화하기 위해 BIM서버(200)로부터 각종 BIM데이터를 제공받는 BIM데이터 처리 단말장치에 있어서,
BIM서버(200)로부터 건축물의 BIM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수신부(10)와,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를 추출하는 내부객체 추출부(50)와,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에서 건물외피 객체를 추출하는 외피객체 추출부(60)와,
상기 입력된 BIM데이터를 경량화하고 단계별 LOD데이터를 생성하는 LOD생성부(70)와,
건물 내부객체의 가시화를 위해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각종 BIM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80)와,
현재의 뷰포인트(View point) 위치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건물 내부에서 실외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뷰포인트 가시영역으로서 디스플레이될 노드를 선택하고 LOD데이터의 단계를 결정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40)는,
우선,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로 진입한 경우, 건물의 내부 객체들을 현재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node)로 결정하고,
해당 노드에 대한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드하고,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건물 내부에서 실외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가 존재하는지 체크하고, 존재하는 경우 투명객체를 통해 건물외피 객체가 보이는지 확인하고,
상기 건물의 외피객체가 보이는 경우, 이들 건물의 외피객체를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로 결정하고,
상기 투명객체를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 간, 거리를 계산하여 실외 건물을 표현할 LOD단계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가시영역 내의 노드들과 상기 투명객체를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들의 LOD단계에 관한 블록 데이터를 준비하여 화면 갱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1. A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apparatus for receiving various BIM data from a BIM server (200) for visualizing building data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a 3D GIS platform,
A data receiving unit 10 for receiving the BIM data of the building from the BIM server 200,
An internal object extraction unit 50 for extracting a building internal object from the input BIM data,
An enclosure object extractor 60 for extracting a building exterior object from the input BIM data,
An LOD generator 70 for weighting the inputted BIM data and generating LOD data for each step,
A storage unit 80 for storing various BIM data extracted and generated for visualizing an object in a building,
It is judged whether or no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iew point is inside the building and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re is a transparent object which can see the outdoor inside the building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 point, And a controller 40 for selecting a step of the LOD data,
The control unit (40)
First, it is judged whether the view point is inside the building or outside,
When the view point enters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interior objects of the building are determined as nodes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current view point,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node reference list for that n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the corresponding node reference list is loaded,
Check whether there is a transparent object that can see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n the visible area of the view point, and if it exists, check whether the building exterior object is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object,
When the exterior object of the building is visible, the exterior object of the building is determined as a node included in the visible region of the view point,
Determining an LOD stage for expressing an outdoor building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outdoor buildings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object,
Wherein the BIM data processing terminal performs the screen update by preparing block data related to the LOD steps of the nodes in the determined visible area and the outdoor buildings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objec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데이터를 준비하여 화면을 갱신하기 위해 제어부(40)는,
상기 결정된 노드의 건물외픽 객체에 관한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상기 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하여, 해당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드하고,
상기 저장부(80)로부터 블록 데이터들을 로드하고,
상기 노드 레퍼런스와 스킨 레퍼런스를 각각 상기 블록 데이터와 매핑하고,
모든 레퍼런스에 대한 상기 매핑과정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40)
Checks whether or not a skin reference list related to a building external object of the determined n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loads the corresponding skin reference list,
Loads the block data from the storage unit 80,
Mapping the node reference and the skin reference to the block data,
And updates the display screen when the mapping process for all references is comple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LOD생성부(70)는,
상기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에 의해 추출된 건물내부 객체들에 대해, 단계별 건물내부용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제1 LOD생성부(74)와,
상기 외피객체 추출부(50)에 의해 추출된 건물외피 객체들에 대해, 단계별 건물외부용 LOD데이터를 구성하는 제2 LOD생성부(7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D generator (70)
A first LOD generation unit 74 for building internal building LOD data for building internal objects extracted by the building internal object extraction unit 50,
And a second LOD generation unit (78) for constructing LOD data for external building by building exterior objects extracted by the exterior object extraction unit (5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건물 외곽의 경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40)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urrent view point is inside the building by using the boundary information of the outside of the buil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사용자의 마우스 조작(움직임)에 따라 뷰포인트의 실내 이동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40)
And adjusts the indoor moving speed of the view point according to a user's mouse operation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상기 저장부(80)에 없으면, BIM서버(200)에 요청하여 관련된 모든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상기 저장부(80)로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40)
If the node reference list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the BIM server 200 requests the BIM server 200 to load the related node reference list into the storage unit 8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80)는,
BIM 데이터 서비스 모델별로 저장하고, 상기 모델은 각각 7가지 파일과 1가지 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torage unit (80)
And the BIM data service model, wherein the model includes seven files and one folder, respective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델의 7가지 파일은,
건물 외부용 LOD데이터 중 가장 간단한 구조인 LOD 0단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Header) 파일과,
건물 외피역할을 하는 객체(Object)들의 블록 레퍼런스(Block Reference) 정보를 단계별 건물 외부용 LOD(예: LOD 0 ~ LOD N) 별로 저장하는 Ref_Skin1 ~ Ref_Skin[N]파일과,
건물 내부를 렌더링(Rendering)할 때 공간 인덱싱에 관계없이 항상 보여야 하는 객체들(Objects)의 블록 레퍼런스(Block Reference) 정보들을 모아 저장하는 Ref_bone파일과,
건물 내/외부에 카메라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건물의 확장된 Footprint정보를 저장하는 풋프린트(Footprint)파일과,
건물의 공간 구조(Spacial Structure) 정보를 저장하는 공간구조(Spacial Structure)파일과,
건물이 가지고 있는 객체들의 원본 기하(Geometry) 정보를 각 LOD/bone 별로 저장하는 blocks[1] ~ blocks[M]파일과 blocksBone 파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A header file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LOD 0 stage, which is the simplest structure among LOD data for building exterior,
Ref_Skin1 to Ref_Skin [N] files for storing block reference information of objects serving as building envelopes for each building exterior LOD (for example, LOD 0 to LOD N)
A Ref_bone file for collecting and storing block reference information of objects to be always displayed regardless of spatial indexing when rendering the inside of a building,
A footprint file that stores extended footprint information of the building to determine if there is a camera in /
A spatial structure file for storing spatial structure information of a building,
And blocks [1] to blocks [M] files and blocksBone files for storing the original geometry information of objects in the building for each LOD / bo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모델의 폴더는,
단계별 건물 내부용 LOD데이터(예: LOD N+1 ~ LOD M) 각각에 대한 공간 인덱싱 정보들을 저장하는 inLOD[N+1] ~ inLOD[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데이터 처리단말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inLOD [N + 1] to inLOD [M] stores spatial indexing information for each step of the building internal LOD data (e.g., LOD N + 1 to LOD M).
3차원 GIS 플랫폼에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반의 건축물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BIM데이터 처리 시스템의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에 있어서,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외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로 진입한 경우, 건물의 내부 객체들을 현재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node)로 결정하는 과정과,
해당 노드에 대한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해당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드하는 과정과,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건물 내부에서 실외를 볼 수 있는 투명객체가 존재하는지 체크하고, 존재하는 경우 투명객체를 통해 건물외피 객체가 보이는지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건물의 외피객체가 보이는 경우, 이들 건물의 외피객체를 뷰포인트의 가시영역 안에 포함되는 노드로 결정하는 과정과,
뷰포인트와 가시영역 안의 창문을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 간, 거리를 계산하여 실외 건물을 표현할 LOD단계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가시영역 내의 노드들과 상기 창문을 통해 보이는 실외 건물들의 LOD단계에 관한 블록 데이터를 준비하여 화면 갱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화면갱신을 수행하는 과정은,
상기 결정된 노드의 건물외피 객체에 관한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가 상기 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는지 체크하여, 해당 스킨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부(80)로부터 블록 데이터들을 로드하는 과정과,
상기 노드 레퍼런스와 스킨 레퍼런스를 각각 상기 블록 데이터와 매핑하는 과정과,
모든 레퍼런스에 대한 상기 매핑과정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내부의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
A method of visualizing BIM data in a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visualizing building data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n a 3D GIS platform,
Determining whether the view point is inside or outside the building;
Determining interior objects of a building as nodes included in a visible region of a current view point when the view point enters an interior of a building;
Checking whether a node reference list for the n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and loading the node reference list,
Checking whether or not a transparent object that can see the outside of the building is present in the visible area of the view point and checking if the building exterior object is visible through the transparent object if it exists;
Determining an enclosure object of the building as a node included in a visible region of the viewpoint when the enclosure object of the building is visible;
Determining an LOD level for expressing an outdoor building by calculating a distance between a viewpoint and an outdoor building viewed through a window in a visible region,
And performing screen updating by preparing block data related to LOD steps of nodes in the determined visible area and outdoor buildings visible through the window,
The step of performing the screen update comprises:
Checking whether a skin reference list related to a building envelope object of the determined nod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and loading the corresponding skin reference list;
Loading block data from the storage unit 80,
Mapping the node reference and the skin reference to the block data,
And updating the display screen when the mapping process for all references is complete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은,
건물 외곽의 경계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내부의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iew point is inside the building comprise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view point is inside the building by using the boundary information of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뷰포인트가 건물 내부로 진입한 경우, 사용자의 마우스 조작(움직임)에 따른 뷰포인트의 실내 이동속도를 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내부의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justing an indoor moving speed of a view point according to a mouse operation (movement) of the user when the view point enters the inside of the build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로딩하는 과정은,
상기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가 상기 저장부(80)에 없으면, BIM서버(200)에 요청하여 관련된 모든 노드 레퍼런스 리스트를 상기 저장부(80)로 로딩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내부의 BIM데이터 가시화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tep of loading the node reference list comprises:
If the node reference list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requesting the BIM server 200 to load all related node reference lists into the storage unit 80. [ BIM data visualization method.
삭제delete
KR1020140173310A 2014-12-04 2014-12-04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KR1015467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10A KR101546705B1 (en) 2014-12-04 2014-12-04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310A KR101546705B1 (en) 2014-12-04 2014-12-04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705B1 true KR101546705B1 (en) 2015-08-25

Family

ID=54061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310A KR101546705B1 (en) 2014-12-04 2014-12-04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705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896B1 (en) 2016-09-19 2017-0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uilding shape modeling method and apparatus considering optimization of data
KR101775952B1 (en) * 2016-12-06 2017-09-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processing bim big geomery data and method thereof
CN109462736A (en) * 2018-10-31 2019-03-12 广西路桥工程集团有限公司 A kind of road and bridge engineering construction video confere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M+GIS modeling
KR20190055010A (en) * 2017-11-14 2019-05-22 (주)올포랜드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KR20190092845A (en) * 2018-01-31 2019-08-08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3d gis web service
CN113436320A (en) * 2021-07-01 2021-09-24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3D model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FC model file
CN113536001A (en) * 2021-07-28 2021-10-2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arget display information
KR102378067B1 (en) 2021-10-22 2022-03-25 (주)빌드스마트랩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KR20220064129A (en) 2020-11-11 2022-05-18 현대건설주식회사 Self-driving methods of robots using BIM data and robots for performing them
WO2022131727A1 (en)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직방 Real estat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real estat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CN114937137A (en) * 2022-07-25 2022-08-23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BIM and GIS-based building environment intelligent analysis metho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805B1 (en) * 2012-12-07 2013-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nchronization device of spatial information between bim-gis and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KR101465483B1 (en) *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mprising lod data
KR101465479B1 (en)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displaying data of building based on bi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805B1 (en) * 2012-12-07 2013-10-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nchronization device of spatial information between bim-gis and synchronization method thereof
KR101465483B1 (en) *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mprising lod data
KR101465479B1 (en) 2013-12-23 2014-11-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displaying data of building based on bim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896B1 (en) 2016-09-19 2017-03-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Building shape modeling method and apparatus considering optimization of data
KR101775952B1 (en) * 2016-12-06 2017-09-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pparatus for processing bim big geomery data and method thereof
KR20190055010A (en) * 2017-11-14 2019-05-22 (주)올포랜드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KR102125683B1 (en) * 2017-11-14 2020-06-23 (주)올포랜드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KR20190092845A (en) * 2018-01-31 2019-08-08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3d gis web service
KR102030594B1 (en) 2018-01-31 2019-11-08 가이아쓰리디 주식회사 Method of providing 3d gis web service
CN109462736A (en) * 2018-10-31 2019-03-12 广西路桥工程集团有限公司 A kind of road and bridge engineering construction video confere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M+GIS modeling
CN109462736B (en) * 2018-10-31 2020-10-02 广西路桥工程集团有限公司 Road and bridge engineering construction video conferenc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M + GIS modeling
KR20220064129A (en) 2020-11-11 2022-05-18 현대건설주식회사 Self-driving methods of robots using BIM data and robots for performing them
WO2022131727A1 (en) * 2020-12-16 2022-06-23 주식회사 직방 Real estate information provision device and real estate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CN113436320A (en) * 2021-07-01 2021-09-24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3D model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FC model file
CN113436320B (en) * 2021-07-01 2024-05-17 山西省交通规划勘察设计院有限公司 3D model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FC model file
CN113536001A (en) * 2021-07-28 2021-10-2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arget display information
KR102378067B1 (en) 2021-10-22 2022-03-25 (주)빌드스마트랩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CN114937137A (en) * 2022-07-25 2022-08-23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BIM and GIS-based building environment intelligent analysis method
CN114937137B (en) * 2022-07-25 2022-09-30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BIM and GIS-based building environment intelligent analysis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6703B1 (en) System for processing massive bim data of building
KR101546705B1 (en)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KR101465483B1 (en)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mprising lod data
KR101465479B1 (en)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displaying data of building based on bim
KR101465481B1 (en)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converting bim data format
CN110738721B (en) Three-dimensional scene rendering acceler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deo geometric analysis
KR101465487B1 (en)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extracting surface object of building
CN105701103B (en) Three-dimensional application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CN110704928B (en) Method for converting BIM model into GIS model
CN113112603B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three-dimensional model
CN110969691B (en) WebGL-based photographic data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CN105701851B (en) A kind of 3 d rendering engine system based on geography information
KR20100136604A (en) Real-time visualization system of 3 dimension terrain image
CN110246220A (en) A kind of three-dimensional tube platform construction method, system, device and medium based on GIS
CN104778744A (en) Establishing technique of visualized scenes of large-scale three-dimension forests based on Lidar data
CN103309943A (en) Three-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platform and topographic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12686997B (en) WebGIS-based three-dimensional model data analysis display platform and method
CN116401332B (en) Large-scale three-dimensional model display optimization method and syste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066160A (en) Indoor mobile robot scene data and test case generation method thereof
Yu et al. A hybrid system of expanding 2D GIS into 3D space
CN113988677A (en) Integrated city planning decision support system based on smart city planning
He et al. All range and heterogeneous multi-scale 3D city models
CN112687007A (en) LOD technology-based stereo grid map generation method
Leng et al. A data integration and simplification framework for improving site planning and building design
KR20200065797A (en) 3D spatial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