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067B1 -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 Google Patents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067B1
KR102378067B1 KR1020210142086A KR20210142086A KR102378067B1 KR 102378067 B1 KR102378067 B1 KR 102378067B1 KR 1020210142086 A KR1020210142086 A KR 1020210142086A KR 20210142086 A KR20210142086 A KR 20210142086A KR 102378067 B1 KR102378067 B1 KR 102378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adjacent
confirmed
external
exce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0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인한
이세진
김지영
이아진
최중식
류소영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주)빌드스마트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빌드스마트랩 filed Critical (주)빌드스마트랩
Priority to KR102021014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0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0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distinguish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that can automatically classify a type of space by analyzing only the BIM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data is designed appropriately with the building codes applied at a licensing step.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istinguish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comprises: a step of extracting; and a step of classifying.

Description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본 발명은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가 인허가 단계에 적용되는 건축 법규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BIM 데이터의 분석만으로도 공간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는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internal space and external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rmine whether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building regulations applied to the licensing stage, analysis of BIM data alone It relates to a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riminat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capable of automatically classifying types.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최근 이슈(issue)인 최첨단 디자인 및 친환경 에너지 저가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해주며, 다차원 가상설계 건설(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과 유사한 개념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BIM의 적용범위를 건축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건조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토목 및 플랜트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virtually modeling facilities in a multidimensional virtual space from planning, design, engineering (structure, equipment, electricity, etc.), construction, and even maintenance and disposal. In particular, it enabl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ate-of-the-art design and eco-friendly energy low-cost buildings, which are recent issues, and is a concept similar to multidimensional 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 Recently, internationally, a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BIM covers all construction environments as well as the construction field, it is widely used in civil engineering and plant fields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빌딩(Building)은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설계, 시공,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고, 정보(Information)는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하고, 모델링(Modeling)은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생산, 관리, 출판을 제공하는 통합 도구 및 플랫폼을 의미한다.Building i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eans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target building -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information means 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target building, Modeling refers to an integrated tool and platform that provides production, management, and publication of 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tire life cycle.

BIM은 건물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순한 선, 면 작업이 아닌 선의 시작과 끝점을 잇는 길이의 데이터가 발생되어지고, 면은 닫힌 면의 기준으로 면적이 데이터화 된다. 그리고 길이와 면적의 데이터를 결합하면 체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BIM creates numerical data by converting buildings into data,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effect can be seen. Data of the length connecting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line are generated rather than simple line and face work, and the area is dataized as the standard of the closed face. And by combining the data of length and area, volume data can be obtained.

이러한 BIM 데이터의 설계품질 향상을 위해 개방형 BIM 기반 건축설계 적법성 평가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design quality of such BIM data, research on the legitimacy of open BIM-based architectural design evaluation is being conducted continuously.

건축법 제49조 피난관련법령에는 외기에 접하는 공간(이하 '외부 공간')이라는 개념이 등장하고, 해당 법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BIM 데이터 내 모든 공간 객체 중 외부 공간을 판별해낼 줄 알아야 한다.The concept of a spac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hereinafter 'external space') appears in Article 49 of the Building Act evacuation-related laws, and in order to review the law, it is necessary to know how to identify the external space among all spatial objects in the BIM data.

건축적 공간은 건축물 내의 공간으로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 두 가지로 분류된다. 분류 방법에는 객체의 유무와 외기의 유무로 나뉜다. 객체의 유무로 구분하는 방법은 건축 공간이 바닥, 벽, 천장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어 이 세 가지 요소가 모두 존재하는 공간은 내부 공간이고, 벽 또는 천장이 없는 공간은 외부 공간으로 정의한다. 외기의 유무로 구분하는 방법은 외기에 물리적으로 차단된 쪽을 내부 공간으로, 외기에 노출된 쪽을 외부 공간으로 정의한다. 이 선행 연구들은 건축적 공간에 대해 내·외부 공간을 구분하는 방안만 정의했을 뿐 BIM으로 반영되지 못했다.Architectural space is the space within a building, and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internal space and external space. The classification method is divided in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ternal air. In the method of class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jects, the architectural space consists of three elements: floor, wall, and ceiling. A space in which all three elements exist is defined as an internal space, and a space without a wall or ceiling is defined as an external space. In the method of classify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ternal air, the side physically blocked from the outside air is defined as the internal space, and the side exposed to the outside air is defined as the external space. These prior studies only defined the method of divid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spaces for architectural space, but were not reflected in BIM.

건축 인허가 법규검토를 하기 앞서 필수적인 요소는 공간분류이며, 지침에 따라 공간분류코드를 사용하여 각 공간이 구분된다. 공간분류코드는 공간의 명칭을 코드화한 것으로 해당 공간이 지닌 특성은 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간명은 같지만 각각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경우, 예를 들면 특별피난계단과 연결된 노대와 관람실 내 노대처럼 '해당 공간이 외기에 접해 있는 공간인지 아닌지' 나뉘는 경우 법규 검토를 위해 필요하다면 해당 사항을 따로 표현해주어야 한다. 이를 구분하지 않으면 각각의 공간을 검토하는 법규에서 다른 공간은 검토되지 않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같은 공간분류코드를 사용했다는 이유만으로 함께 검토되어 검토 결과에 영향을 준다.An essential element prior to reviewing building permit laws is spatial classification, and each space is classified using a spatial classification code according to the guidelines. The spatial classification code coded the name of the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re not expressed. Therefore, if the space has the same name but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example, if it is divided into 'whether or not the space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such as a road connected to the special evacuation stair and a road in the viewing room, express the relevant details separately if necessary for legal review should do If this is not differentiated, even though other spaces should not be reviewed in the laws reviewing each space, they will be reviewed together just because the same space classification code is used, affecting the review results.

특성을 표현할 방법으로 사용하기 쉬운 것은 속성 삽입이지만 이 방법은 설계자의 판단 실수나 입력 실수로 인해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으며, BIM 데이터 자체만으로는 컴퓨터가 해당 공간과 구조를 판별할 수 없다. 따라서 속성 판별 외에 법규 검토 수단으로 사용되는 형상 판별 방법으로 외기에 접하는 외부 공간인지 외기에 차단되어 있는 내부 공간인지 자동적으로 판별할 수 있는 알고리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Attribute insertion is an easy method to use as a method to express characteristics, but this method has a high possibility of errors due to a designer's judgment or input mistake, and the computer cannot determine the space and structure from BIM data alon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algorithm that can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it is an external sp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or an internal space tha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ir as a shape determination method used as a means of reviewing laws in addition to attribute determination.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purpose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546705호Korean Patent No. 10-1546705

본 발명의 일측면은 데이터가 인허가 단계에 적용되는 건축 법규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BIM 데이터의 분석만으로도 공간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는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을 제공한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internal space and external space that can automatically classify types of spaces only by analyzing BIM data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data is designed to suit the building regulations applied to the licensing stag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기초하여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대하여 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tracting a space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classify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by checking whether other spaces in contact with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exist.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는,The step of divid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으로 판단하고,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other space adjacent to each of all sid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an indoor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객체가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cept the bottom side of the space, check if there is an object that exists within 1 meter of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and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does not exist within, the space is determined as an external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of a non-adjacent surface while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ists except for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the other space is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It is checked whether the abnormality is surrounded by the object, and if it is confirmed that more than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object, the space is determined as an indoor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except the bottom of the spac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When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surrounded by this object, the space is determined as an external spac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기초하여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대하여 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 또는 필로티가 아닌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tracting a space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classifying the space into either a piloty space or a non-piloty space by checking whether other spaces in contact with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exist,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는,The step of divid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공간을 필로티가 아닌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other space adjacent to each of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not a piloti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객체가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cept the bottom side of the space, check if there is an object that exists within 1 meter of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and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bject within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a piloti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필로티가 아닌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of a non-adjacent surface while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ists except for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the other space is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It is checked whether the abnormality is surrounded by the object, and if it is confirmed that more than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object,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not a piloti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벽 객체를 추출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과 벽 객체의 너비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 또는 필로티가 아닌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except the bottom of the spac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When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surrounded by this object, the space is divided into either a piloti space or a non-pilotti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tracting the wall object and comparing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with the width of the wall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외부 공간 자동 판별 알고리즘은 KBim Assess-Lite에 적용하여 각 법령에 대하여 정확한 객체를 제공함으로써 이전보다 정확한 결과의 검토가 가능하다. 필로티 구조 자동 판별 알고리즘은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 면적 등의 산정방법 중 바닥면적 산정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할 때 활용되어 설계자가 바닥면적을 직접 계산하지 않고도 정확한 수치를 도출할 수 있도록 기여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internal and external spatial discrimination algorithm is applied to KBim Assess-Lite to provide accurate objects for each law, so that more accurate results can be reviewed than before. The piloti structure automatic determination algorithm is used when researching a method that can automatically calculate the floor area among the calculation methods such as area under Article 119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c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는 실내 공간 및 외부 공간을 구분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는 필로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viding an indoor space and an external spac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loti structure.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to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chematic flow of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많은 인허가 단계의 법 중 건축법 제49조 피난관련법령에 정의된 천장이 개방된 외부 공간과 갓복도를 대상으로, 속성 없이 모델의 형상만으로 외부 공간을 판별하기 위한 외부 공간 자동 판별 알고리즘에 관한 것으로,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가 인허가 단계에 적용되는 건축 법규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해, BIM 데이터의 분석만으로도 공간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riminating internal space and ex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space with only the shape of the model without attributes, targeting the external space with an open ceiling and the evacuation-related law defined in Article 49 of the Building Act among the laws of many licensing stages. It relates to an automatic external space identification algorithm for determining It's about technology.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외부 기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정보의 입출력 및 처리가 가능한 PC,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전자장치일 수 있다.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 user terminal. Here, the user terminal may b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C, a smartphone, a notebook computer, capable of perform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capable of input/output and processing of information.

이러한 사용자 단말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미리 설치된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에 따라 컴퓨터 장치에서 BIM 데이터의 분석만으로도 공간의 종류를 자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In such a user terminal, software (application) in which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may be pre-installed.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can automatically classify the type of space only by analyzing the BIM data in the computer devic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xecuting pre-installed software (application).

조달청 지침에서 BIM 데이터 내 공간이란 벽과 바닥을 기준으로 시설물의 층, 구역 및 실 등의 범위를 지정한 객체로 정의된다.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공간 객체는 일반적으로 육면체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각 면에 올 수 있는 객체가 각각 존재한다. 공간 객체에서 open 되는 면은 가상의 면이며 이를 제외한 모든 면엔 각 면에 올 수 있는 객체들이 무조건 존재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내 공간과 외부공간을 구분해보면, 실내 공간은 도 2의 1번 그림처럼 각 면에 모든 객체가 존재함으로써 공간에 뚫림이 없거나, 복층 같은 경우엔 2번 그림처럼 객체가 없는 가상의 면일지라도 또다른 공간이 접해 있는 경우로 나뉠 수 있다. 외부 공간은 그림 3, 4와 같이 한 면이 가상의 면으로 open 되어 있으면서 접해 있는 공간도 없는 경우이다. 건축법 제49조 내에 외부 공간은 시행령 제37조(지하층과 피난층 사이의 개방공간 설치)의 천장이 개방된 외부 공간과 시행령 제35 조(피난계단의 설치)의 갓복도로 각각 그림 3, 4에 해당된다.In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guidelines, a space in BIM data is defined as an object that has a range of floors, areas, and rooms of a facility based on walls and floors. As shown in FIG. 2 , a spatial object generally has a hexahedral structure, and objects that can come to each face exist. The open surface of the spatial object is a virtual surface, and objects that can come to each surface must exist unconditionally on all surfaces except for this. Based on this, when dividing the indoor space and the outdoor space, the indoor space has no holes in the space because all objects exist on each side as shown in figure 1 of FIG. Even if it is, it can be divided into a case where another space is adjacent. The external space is a case where one side is open as a virtual surface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nd there is no adjacent space. The exterior space in Article 49 of the Building Act is the open-ceiling exterior space in Article 37 of the Enforcement Decree (Installation of an open space between the basement and the evacuation floor) and the roof corridor in Article 35 (Installation of the evacuation stairs) of the Enforcement Decree Figures 3 and 4, respectively. applies to

위의 내용만으로 알고리즘을 제작하면 오류가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그림4의 예시인 갓복도(복도식 아파트의 복도)의 경우 open된 면에 안전상 난간벽이 존재해야 하고 관련법에 따라 난간벽은 최소1.2m의 높이를 가져야하고, 그림 3의 예시인 천장이 개방된 공간의 경우에도 차양 등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open된 면에 존재하는 객체가 open된 면의 반 이상을 가리지 않아야 한다는 조건을 추가하였고, 이는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를 참조하였다.If an algorithm is created using only the above information, an error occurs. The reason is that in the case of the god corridor (corridor of a corridor-type apartment), the example in Figure 4, a handrail wall must exist on the open side for safety reasons. This is because awnings, etc. may exist even in the case of a space with an open ceiling, which is an example of Figure 3. Therefore, the condition that objects existing on the open side should not cover more than half of the open side was added, referring to Article 119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Method for calculating area, etc.).

하지만 이 알고리즘도 갓복도, 필로티, 대피공간의 경우 오류가 발생했다. 오류가 발생한 대피공간은 혼잡한 대피 상황에서 추락의 위험을 막기 위해 난간의 높이를 높인 경우로 난간의 높이가 해당 open면 높이의 1/2보다 높은 경우였다. 갓복도, 필로티의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보 또는 기둥이 존재하는데 이와 같은 객체들이 벽 면적 계산 시 함께 반영되기 때문이었다. 난간, 보, 기둥은 안전상 존재해야 하는 필수적인 객체이기 때문에 벽 면적 계산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알고리즘에 반영하였다.However, this algorithm also caused errors in the case of God corridor, piloti, and evacuation space. The evacuation space where the error occurred was a case in which the height of the railing was increased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in a crowded evacuation situation, and the height of the railing was higher than 1/2 of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open surface. In the case of the new corridor and piloti, beams or columns exist for structural stability, because these objects are also reflected when calculating the wall area. Since railings, beams, and columns are essential objects that must exist for safety, they are excluded from the wall area calculation and reflected in the algorithm.

건축법 시행령 제35조가 잘 검토되려면 갓복도의 형상과 같이 예외적인 경우도 판별이 잘 되도록 알고리즘을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한 면에 대해 접하는 공간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는 것은 동일하되 바닥 또는 벽 객체가 해당 면 면적의 1/2 이상 가리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1/2 이라는 범위는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에서 정의되었다.In order for Article 35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to be well reviewed, it wa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algorithm so that exceptional cases such as the shape of the new hallway could be identified. It is the same that there must not be a space in contact with one side, but the floor or wall object must not cover more than 1/2 of the area of the corresponding side. Here, the range of 1/2 was defined in Article 119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Method for calculating area, etc.).

추가적으로, 천장이 개방된 외부 공간의 경우 차양 등이 있을 수 있고 차양이 존재하는 위치가 위층의 바닥면의 높이와 다를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해당 공간으로부터 1m 내의 객체를 탐색하는 것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이 과정을 추가한 알고리즘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xternal space with an open ceiling, considering that there may be awnings and the location of the awn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height of the floor of the upper floor, the scope was limited to searching for objects within 1m from the space. . An algorithm to which this process is added is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internal space and ex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기초하여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대하여 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a space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classify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by checking whether other spaces in contact with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exist.

여기서,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는,Here, the step of divid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comprises: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으로 판단하고,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other space adjacent to each of all sid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an indoor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객체가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cept the bottom side of the space, check if there is an object that exists within 1 meter of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and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does not exist within, the space is determined as an external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of a non-adjacent surface while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ists except for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the other space is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It is checked whether the abnormality is surrounded by the object, and if it is confirmed that more than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object, the space is determined as an indoor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except the bottom of the spac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When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surrounded by this object, the space is determined as an external spac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갓복도, 필로티, 대피공간의 경우 오류가 발생했다. 오류가 발생한 대피공간은 혼잡한 대피 상황에서 추락의 위험을 막기 위해 난간의 높이를 높인 경우로 난간의 높이가 해당 open면 높이의 1/2보다 높은 경우였다. 갓복도, 필로티의 경우에는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보 또는 기둥이 존재하는데 이와 같은 객체들이 벽 면적 계산 시 함께 반영되기 때문이었다. 난간, 보, 기둥은 안전상 존재해야 하는 필수적인 객체이기 때문에 벽 면적 계산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알고리즘에 반영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 error occurred in the case of the god hallway, piloti, and evacuation space. The evacuation space where the error occurred was a case in which the height of the railing was increased to prevent the risk of falling in a crowded evacuation situation, and the height of the railing was higher than 1/2 of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open surface. In the case of the new corridor and piloti, beams or columns exist for structural stability, because these objects are also reflected when calculating the wall area. Since railings, beams, and columns are essential objects that must exist for safety, they are excluded from the wall area calculation and reflected in the algorithm.

필로티 구조는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 제1항 제3호 제다목에서 벽면적의 2분의 1 이상이 그 층의 바닥면에서 위층 바닥 아래면까지 공간으로 된 구조라고 정의되어 있다. 필로티 구조 자동 판별 알고리즘을 제작하기 위해 필로티가 아닌 구조 사례 3 가지를 이용하여 개발한다. 도 3읜 그림 1은 벽 면적의 반 이상이 open되어 있지만 길이 방향으로 벽이 막혀 있는 경우이다. 도 3의 그림 2와 그림3은 벽 면적의 반 이상이 open 되어 있지만 높이 방향으로 모두 뚫려 있는 부분이 벽 너비의 1/2 미만인 경우이다. A piloti structure is defined 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one-half of the wall area is a space from the floor of the floor to the bottom of the upper floor in Article 119, Paragraph 1, Item 3, Item C,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uilding Act. In order to produce an automatic piloty structure determination algorithm, it is developed using three structural examples, not piloty. In Figure 3, Figure 1 is a case in which more than half of the wall area is open but the wall is blo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ures 2 and 3 of Fig. 3, more than half of the wall area is open, but all the holes in the height direction are less than 1/2 of the wall width.

그림 1을 알고리즘 내 조건문으로 삽입한다면'해당 면의 너비와 벽의 너비가 같다면'으로 볼 수 있다. 그림 2는 벽이 길이방향으로 있지만 중간에 단절되어 각각의 벽으로 인식되는 상황으로 봤을 때 '수평 방향에 존재하는 벽들의 너비 합이 해당 면의 너비의 2분의 1 이상일 경우'로 볼 수 있다. 그림 3은'벽의 너비 중 가장 큰 값이 해당 면의 너비의 2분의 1 이상일 경우'가 된다. 그림2의 조건은 수평 방향에 존재하는 벽이 두 개 이상일 때 이뤄지지만, 그림 1의 조건과 그림 3의 조건은 수평 방향에 존재하는 벽이 하나일 때 이뤄지며 그림 1의 조건은 그림 3의 조건으로 흡수된다.If Figure 1 is inserted as a conditional statement in the algorithm, it can be viewed as 'if the width of the corresponding face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wall'. In Figure 2, when the wall 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t is cut off in the middle and recognized as each wall, it can be viewed as 'when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wal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more than 1/2 of the width of the corresponding side'. . Figure 3 shows that 'the largest value among the widths of the wall is more than 1/2 of the width of the corresponding side'. The condition in Figure 2 is fulfilled when there are two or more wal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the conditions in Figure 1 and Figure 3 are fulfilled when there is only one wa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ndition in Figure 1 is the condition in Figure 3. is absorbed

따라서 필로티 구조를 자동으로 판별하기 위해 내, 외부 공간 자동 판별 알고리즘에 필요한 추가 조건은 '벽의 너비 중 가장 큰 값이 해당 면의 너비의 2분의 1 이상일 경우'와 '수평방향에 존재하는 벽들의 너비 합이 해당 면의 너비의 2분의 1 이상일 경우'이며 이 조건들을 내, 외부 공간 자동 판별 알고리즘에 추가하여 필로티 구조를 자동으로 판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Therefore, in order to automatically determine the piloti structure, the additional conditions required for the automatic internal and external space discrimination algorithm are 'if the largest wall width is more than 1/2 of the width of the corresponding side' and 'Wall exis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f the sum of the widths of the surfaces is more than 1/2 of the width of the corresponding surface, an algorithm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piloti structure was developed by adding these conditions to the automatic internal and external space identification algorithm.

도 4는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이 도시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기초하여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대하여 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 또는 필로티가 아닌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과 유사하다.As show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tracting a space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classifying the space into either a piloty space or a non-piloty space by checking whether other spaces in contact with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exist. It is similar to the method of automatically discriminating spatial and external space.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는,However, according to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vid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comprises: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공간을 필로티가 아닌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other space adjacent to each of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not a piloti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객체가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cept the bottom side of the space, check if there is an object that exists within 1 meter of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and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bject within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a piloti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필로티가 아닌 공간으로 판단하고,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of a non-adjacent surface while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ists except for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the other space is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It is checked whether the abnormality is surrounded by the object, and if it is confirmed that more than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is surrounded by the object,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not a piloti space,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벽 객체를 추출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과 벽 객체의 너비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 또는 필로티가 아닌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except the bottom of the spac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When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surrounded by this object, the space is divided into either a piloti space or a non-pilotti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tracting the wall object and comparing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with the width of the wall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기초하여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공간별 무게중심을 검출하고, 검출된 무게중심을 특징점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some other embodiments, a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xtracting a space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detecting the extracted center of gravity for each space, and setting the detected center of gravity as a feature point.

예컨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3차원 가상공간 상의 각 공간별로 무게중심을 검출하고, 각각의 공간별 무게중심을 특징점(f1, f2, f3, f4)로 설정한다.For example, a center of gravity is detected for each space in a three-dimensional virtual space extracted from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and the center of gravity for each space is set as a feature point (f1, f2, f3, f4).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는 자동으로 공간별 특징점을 설정할 수 있으나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를 관리하는 관리자에 의해 특징점이 더 추가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automatically set the feature points for each space, but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feature points may be further added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user terminal.

이후, 설정된 복수의 공간별 특징점 중 두 개의 특징점을 연결한 선분을 생성한다.Thereafter, a line segment connecting two feature points among a plurality of set feature points for each space is generated.

즉, 제1 특징점(f1)과 제2 특징점(f2)을 연결한 제1 선분(l1), 제1 특징점(f1)과 제3 특징점(f3)을 연결한 제2 선분(l2), 제1 특징점(f1)과 제4 특징점(f4)을 연결한 제3 선분(l3), 제2 특징점(f2)과 제3 특징점(f3)을 연결한 제4 선분(l4), 제2 특징점(f2)과 제4 특징점(f4)을 연결한 제1 선분(l5), 제3 특징점(f3)과 제4 특징점(f4)을 연결한 제6 선분(l6)을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line segment l1 connecting the first feature point f1 and the second feature point f2, the second line segment l2 connecting the first feature point f1 and the third feature point f3, the first A third line segment l3 connecting the feature point f1 and the fourth feature point f4, a fourth line segment l4 connecting the second feature point f2 and the third feature point f3, and a second feature point f2 A first line segment 15 connecting the fourth feature point f4 to the first line segment 15 and a sixth line segment 16 connecting the third feature point f3 to the fourth feature point f4 may be generated.

이후, 생성된 각각의 선분의 기울기와, 두 개의 선분이 이루는 각도를 인공 신경망의 입력값으로 입력하여, 상기 인공 신경망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각각의 공간이 실외 공간인지 또는 실외 공간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ereafter, by inputting the slope of each generated line segment and the angle formed by the two line segments as input values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it is determined whether each space is an outdoor space or an outdoor space based on the output value of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can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악성코드를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비정상 데이터 도출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하여 수신된 BIM 데이터에 악성코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a collection management module configured to set a collection criterion of at least one of a collection target data source module, a collection target keyword, and a collection target period; a data collection module for collecting big data from the corresponding data source module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ion criteria set by the collection management module and storing it in the database module; a morpheme analysis module that analyzes morphemes of bi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module, classifies them by morpheme, and generates morpheme analysis data; and a data analysis module that processes morpheme analysis data with a distributed parallel processing-based statistical analysis algorithm to calculate statistical values and outputs malicious codes according to statistical values; a big data analysis-based abnormal data derivation system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can be automatically determined whether or not malicious code is included in the received BIM data using (not shown in the drawing).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는 수신된 평가 데이터를 의미를 갖는 형태소별로 구분한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상기 분산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제공하는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계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로부터 연도별 출현빈도수(instance frequencies),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연 건수, 연도별 출현빈도수 및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현 건수로부터 가공된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data collection unit generates morpheme analysis data by dividing the received evaluation data by morphemes having a meaning, and includes: a distributed file system for storing the morpheme analysis data; a data processing unit providing a virtualized database interface to process morpheme analysis data existing in the distributed file system based on SQL (structured query language); And by executing a statistical analysis algorithm through the virtualized database interface provid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from the morpheme analysis data, the number of occurrence frequencies by year (instance frequencies) by year, the number of simultaneous appearances between words by year, the number of appearances by year and by year The word-to-words may include a statistical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at least one of the processed values from the number of simultaneous occurrences.

그리고,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 및 단어-단어간 동시 발생건수에 기초하여 단어 별 발생건수 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may calculate an increase rate of the number of occurrences per word based on the number of occurrences per year (instance frequencies) and the number of simultaneous occurrences between words.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를 연도별 문서수로 나누어 문서당 상기 단어들의 연도별 출현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상기 단어들에 대한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을 산 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divides the number of occurrences per year (instance frequencies) by the number of documents per year to standardize the number of appearance frequencies by year of the words per document to calculate a standardized increase rate of the appearance frequency per word for the words. can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단어-단어간 동시발생건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단어 별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을 산출하고, 상기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 및 상기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이 상위 일정 부분 이상인 단어 또는 하위 일정 부분 이하인 단어를 악성코드로 도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unit calculates the increase rate of the degree of connection degree centrality for each word by using the word-to-word co-occurrence matrix, and the standardized word-by-word appearance frequency increase rate and the degree of connection degree centrality increase rate are higher than a certain portion of the word or Words that are less than a certain lower part can be deduced as malicious code.

한편,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이미지, 동영상, 음성, 센서, GPS, GIS, M2M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Meanwhile, the data collection module may collect big data including unstructured data of at least any one of image, video, voice, sensor, GPS, GIS, and M2M data.

이에 따라, 컴퓨터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비정상 데이터 도출 시스템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악성코드가 포함된 BIM 데이터를 사전에 필터링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puter device may filter the BIM data including the malicious code in advance through big data analysis through the abnormal data derivation system includ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As such, the technology for providing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 i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will be able

Claims (3)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기초하여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대하여 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는,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으로 판단하고,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객체가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 판단하고,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으로 판단하고,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외부 공간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
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extracting a space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Including the step of classify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by checking whether other spaces in contact with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exist,
The step of divid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other space adjacent to each of all sid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an indoor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cept the bottom side of the space, check if there is an object that exists within 1 meter of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and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bject within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an external space,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from a non-adjacent face while no other space is adjacent to each face except the lower face of the space, the other space is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face It is checked whether the abnormality is surrounded by the object, and if it is confirmed that more than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of the other space is surrounded by the object, the space is determined as an indoor space,
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except the bottom of the spac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When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surrounded by this object,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an internal space and an external sp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ace is determined as an external space.
삭제delete 사용자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은,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에 기초하여 공간을 추출하는 단계; 및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에 대하여 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 또는 필로티가 아닌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간을 실내 공간 또는 외부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단계는,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공간을 필로티가 아닌 공간으로 판단하고,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존재하는 객체가 있는지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으로 판단하고,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으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공간을 필로티가 아닌 공간으로 판단하고,
공간의 아랫면을 제외한 모든 면 각각에 인접한 다른 공간이 존재하지 않고,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으로부터 1미터 이내에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의 1/2 이상이 객체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벽 객체를 추출하여 다른 공간이 인접하지 않은 면의 면적과 벽 객체의 너비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상기 공간을 필로티 공간 또는 필로티가 아닌 공간 중 어느 하나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 자동 판별 방법.
In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performed by the user terminal,
The method for automatically determining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extracting a space based on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nd
A step of classifying the space into either a piloty space or a non-piloty space by checking whether other spaces in contact with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exist,
The step of dividing the space into either an indoor space or an external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other space adjacent to each of all surfaces except the lower surface of th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space is not a piloti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of the space except the bottom side of the space, check if there is an object that exists within 1 meter of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and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space.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object within the space, the space is determined as a pilot space,
If it is determined that an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from a non-adjacent face while no other space is adjacent to each face except the lower face of the space, the other space is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face It is checked whether the abnormality is surrounded by the object, and if it is confirmed that more than 1/2 of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of the other space is surrounded by the object, the space is determined as a space not a piloti,
There is no other space adjacent to each side except the bottom of the space,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object exists within 1 meter from the non-adjacent side of the other space. When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surrounded by this object, the space is divided into either a piloti space or a non-pilotti space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tracting the wall object and comparing the area of the non-adjacent surface with the width of the wall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automatic determination method.
KR1020210142086A 2021-10-22 2021-10-22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KR1023780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086A KR102378067B1 (en) 2021-10-22 2021-10-22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086A KR102378067B1 (en) 2021-10-22 2021-10-22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067B1 true KR102378067B1 (en) 2022-03-25

Family

ID=8093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086A KR102378067B1 (en) 2021-10-22 2021-10-22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06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89B1 (en) * 2013-03-28 2013-09-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utomated evacuation regulation checking for high-rise buildings using bim
KR101546705B1 (en) 2014-12-04 2015-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KR102057402B1 (en) * 2018-12-20 2020-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space information
KR20200029145A (en) * 2018-09-10 2020-03-18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space modeling with function, behavior and structure for intelligent indoor ser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789B1 (en) * 2013-03-28 2013-09-1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utomated evacuation regulation checking for high-rise buildings using bim
KR101546705B1 (en) 2014-12-04 2015-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KR20200029145A (en) * 2018-09-10 2020-03-18 한국과학기술원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space modeling with function, behavior and structure for intelligent indoor service
KR102057402B1 (en) * 2018-12-20 2020-01-2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changing space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ng et al. A hybrid data mining approach on BIM-based build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Solihin et al. Classification of rules for automated BIM rule checking development
CN111145479B (en) Construction dangerous environment real-time early warning platform and method based on BIM positioning technology
CN109726470B (en) Three-dimensional model index checking method, device and medium
CN110232235B (en) Three-dimensional model-based relational data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EP3996055A1 (en)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extracting floorplan elements from architectural drawings
Tang et al. BIM-based safety design for emergency evacuation of metro stations
Lin et al. Understanding on-site inspection of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keyword extraction and topic modeling
CN110032643B (en) Building maintenance work order analysis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client
CN116882038B (en) Electromechanical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M technology
CN106815377B (en)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alculation of design index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
KR101842782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checking at architectural design phase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Oskouie et al. Automated recognition of building façades for creation of As-Is Mock-Up 3D models
CN107436967A (en) Specialized knowledge base collaboration interventional systems and its collaboration interventional method based on BIM
Wessel et al. The room connectivity graph: Shape retrieval in the architectural domain
KR102378067B1 (en)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Angeles et al. Advancing building data models for the automation of high-fidelity regional loss estimations using open data
Kashani et al. Lidar-based methodology to evaluate fragility models for tornado-induced roof damage
CN116842765B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underground safety management of petroleum logging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7967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whether buildings meets the regulations
Zhang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using RFID integrated BIM model for safety and facility management
CN113256084B (en) Building economic index intelligent statistics and check method and system based on BIM
US20230112206A1 (en) Construction-model-creating device and construction-model-creating method
CN112801620B (en) Engineering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Emamgholian et al. Modelling land-use regulation conflicts with 3d components to support issuing a building perm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