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010A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010A
KR20190055010A KR1020180140302A KR20180140302A KR20190055010A KR 20190055010 A KR20190055010 A KR 20190055010A KR 1020180140302 A KR1020180140302 A KR 1020180140302A KR 20180140302 A KR20180140302 A KR 20180140302A KR 20190055010 A KR20190055010 A KR 20190055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d
data
clicked
buil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25683B1 (en
Inventor
성동권
Original Assignee
(주)올포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올포랜드 filed Critical (주)올포랜드
Publication of KR20190055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0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56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erarchical display device for indoor space information of a building comprises: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on a building; an internal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n object inside the building from the data; an external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n object outside the building from the data; an LOD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LOD data for each stage from the objects inside and outside the building;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xtracted and generated data;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an LOD stage in response to an input signal of a user and rendering the data on the determined LOD stage to provide the same for the user.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LOD stage for a clicked object whe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and reduces the LOD stage when an object other tha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Description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erarchical display method and a display device for indoor space information of a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공간정보를 계층적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실내공간정보를 상세하게 전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ndoor space information of a build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method and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ndoor space information hierarchically and transmitting indoor space information to a user in detail.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이란, 다차원 가상공간에 기획, 설계, 엔지니어링(구조, 설비, 전기 등), 시공 더 나아가 유지관리 및 폐기까지 가상으로 시설물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최근 이슈(issue)인 최첨단 디자인 및 친환경 에너지 저가형 건축물 설계 및 시공할 수 있게 해주며, 다차원 가상설계 건설(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과 유사한 개념이다. 최근 국제적으로 BIM의 적용범위를 건축분야뿐만 아니라 모든 건조환경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유럽과 미국에서는 토목 및 플랜트 분야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refers to the process of modeling a facility in a multi-dimensional virtual space such as planning, design, engineering (structure, facility, electricity, etc.), construction, further maintenance and disposal. In particular, it enables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low-cost buildings with cutting-edge design and environment-friendly energy, which is a recent issue, and is a similar concept to the multi-dimensional virtual design construction (VDC). In recent years, the application of BIM has been widely used in civil and plant fields in Europe and the US because it covers all construction environments as well as construction environments.

상기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빌딩(Building)은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설계, 시공, 운영 및 관리를 의미하고, 정보(Information)는 대상건물의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의미하고, 모델링(Modeling)은 전 생명주기에 포함된 모든 정보를 생산, 관리, 출판을 제공하는 통합 도구 및 플랫폼을 의미한다.The building of th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means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target building - desig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the information means al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ntire life cycle of the target building , Modeling refers to an integrated tool and platform that produces, manages, and publishes all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entire life cycle.

BIM은 건물을 데이터화하여 수치 데이터를 만들며, 3차원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볼 수 있다. 단순한 선, 면 작업이 아닌 선의 시작과 끝점을 잇는 길이의 데이터가 발생되어지고, 면은 닫힌 면의 기준으로 면적이 데이터화 된다. 그리고 길이와 면적의 데이터를 결합하면 체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BIM can digitize buildings to produce numerical data, and can display 3D display effects. Data of a length connecting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of a line other than a simple line and a surface operation is generated and the area is data based on the closed surface. By combining the data of length and area, volume data can be obtained.

BIM은 빌딩 객체들인 벽, 슬라브, 창, 문, 지붕, 계단 등이 각각의 속성을 표현하여 서로의 관계를 인지하고 건물의 변경요소들을 즉시 건물설계에 반영한다. 설계할 건물이 정형이든 비정형이든 상관없이, 건물을 지을 때 발생되어지는 데이터에 대하여 프로젝트 별, 프로세스 별로 호환, 공유를 통해 모든 단계의 정보를 통합 관리하고 활용한다.BIM expresses each property of building objects such as walls, slabs, windows, doors, roofs, stairs, etc., and recognizes each other's relations and immediately reflects the building elements to the building design. Regardless of whether the building to be designed is regular or unstructured, the data generated when building the building is integrated and managed at all levels through compatibility and sharing of each project and each process.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지리적으로 참조 가능한 모든 형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수집, 저장, 갱신, 조정, 분석, 표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지리적 자료를 모아, 이들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시스템이다.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s a computer system that collects and makes available the hardware, software, and geographic data of a computer that is designed to collect, store, update, coordinate, analyze and represent all types of geographically referential information .

GIS는 다양한 지구표면정보의 참조를 위하여 공간적으로 위치를 표현하는 지형정보와 그 형태와 기능을 설명·보완하는 비도형 속성정보를 그래픽과 데이터베이스의 관리기능 등과 연계하여 정보를 저장, 추출, 관리, 분석하는 정보체계 관련기술로, 지형정보의 특성(속성)정보를 부가하여 지도의 공간적인 관계를 표현하는 종합적인 분석수단이기도 하다. 공간상 위치를 점유하는 지리자료(geographic data)와 이에 관련된 속성자료(attribute data)를 통합하여 처리한다. GIS는 토지정보 관리, 시설물 관리, 교통, 도시계획 및 관리, 환경, 일기예보, 농업, 재해 및 재난, 교육, 인구예측 분야 등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GIS is a system for storing, extracting, managing, and managing information by linking geographical information that represents a spatial location for various earth surface information references and non-graphic attribute information that explains and complements its form and function with graphical and database management functions. It is an information system related technology to analyze, and it is a comprehensive analysis means that expresses the spatial relation of map by adding characteristic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Geographic data occupying spatial position and related attribute data are integrated and processed. GIS can be widely used in land information management, facility management, transportation,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environment, weather forecasting, agriculture, disaster and disaster, education and population prediction.

이용목적의 관점에서 보면, GIS는 시설물관리(FM: Facility Management) 시스템과 계획지원을 목적으로 하는 의사결정지원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토지정보시스템(LIS: land information system)과 도시정보시스템(UIS: urban information system)으로 구분될 수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purpose of use, GIS can be divided into Facility Management (FM) system an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lanning support, Land Information System (LIS) (UIS: urban information system).

최근, 이러한 BIM과 GIS를 결합하고, 상호운용하기 위하여 건설분야의 BIM(IFC) 데이터와 공간정보분야의 GIS 데이터를 통합하는 통합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며 그러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Recently, an integrated data model that integrates BIM (IFC) data in the construction field and GIS data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is required for combining and interoperating BIM and GIS, and such studies are underway.

전세계적으로 3차원 건물모델의 수요가 증가하고, 3차원 건물모델을 이용한 활용분야가 다양해지면서, 3차원 건물모델 및 지형정보를 이용하여 도시모델 단위의 공간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리고, 도시모델의 경우 수많은 건물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3차원 모델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가시화 방안이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와 같이 제한적인 성능을 가지고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대용량 3차원 객체에 대한 화면 디스플레이를 수행하는 경우 렌더링 성능의 한계로 인해 원활한 작업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3차원 실사모델에 대한 상세 단계(LOD) 모델 구성을 통해 데이터를 경량화시키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As the demand of 3D building model worldwide increases and the utilization field using 3D building model becomes various, the importance of platform that can serve spatial information of urban model unit by using 3D building model and terrain information Has been highlighted. In addition, since the urban model is composed of numerous buildings, a quick and efficient visualization method of the three-dimensional model is becoming an important factor. Particularly, when screen display is performed on a large-capacity three-dimensional object using a device having limited performance such as a mobile device, smooth operation due to limitation of rendering performance is impossibl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essential that a technique for reducing data through a detailed step (LOD) model construction for a three-dimensional real-world model is essential.

상세 단계 즉, LOD(Level Of Detail)는 보통 정보를 모델링할 때의 상세수준을 말하는 것으로 BIM 수행 시 서로 협의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이다. 상세 단계(LOD) 모델의 구성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이해 당사자들간 건설 정보를 모델링할 때 많은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Levels of Detail (LOD) are the level of detail in modeling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things that must be negotiated when performing BIM. If the configuration of the LOD model is not clear, it can be confusing to model construction information among stakeholders.

상세 단계(LOD)의 기본 아이디어는 어떤 물체가 작거나 렌더링된 이미지에 기여하는 것이 없을 경우에 좀 더 간략하게 표현된 것을 사용하자는데 있다. 예를 들어, 대략 10,000개의 삼각형들로 이루어진 자세한 3차원 객체모델의 경우 관측자가 객체에 가깝게 있을 때 사용된다. 관측자가 객체에서 멀어지면 100개 정도의 삼각형으로 구성된 단순화된 모델을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거리가 멀기 때문에 원본 모델과 거의 비슷하게 보여질 수 있다. 이런 방법을 이용하면 데이터의 경량화로 인해 상당한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The basic idea of the detail step (LOD) is to use a more compact representation if an object is small or does not contribute to the rendered image. For example, a detailed three-dimensional object model of approximately 10,000 triangles is used when the observer is close to the object. If an observer moves away from an object, simply using a simplified model of about 100 triangles can be seen to be nearly identical to the original model because of the distance. With this method, a considerable speed increase can be expected due to the light weight of the data.

한국공개특허공보 2008-0029407호(2008.04.03.)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8-0029407 (Apr. 03,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 실내·외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건축의 실외, 실내, 층, 공간, 공간이미지, 상세속성정보 등과 같은 단계적 시각화 방법을 통해서 누구나 정보의 접근 및 해석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계층적 디스플레이방법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system for visualiz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 a building interior and exterior through a stepwise visualization method such as outdoor, indoor, floor, space, And a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 실외에 존재하는 다양한 시설물, 식생, 건물 등의 정보를 탐색, 선택,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실외와 실내를 동시에 연계하는 방법 그리고 실내에 속한 다양한 정보를 층별, 공간별, 파노라마 이미지, 이미지 내의 객체 정보제공, 마지막으로 객체 상세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계층적 디스플레이방법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rface capable of searching, select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of various facilities, vegetation, and buildings existing outside a building, a method of linking outdoor and indoor at the same time, A spatial information, a panoramic image, object information in an image, and finally, a hierarchical display method an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providing detailed object inform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는,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를 추출하는 내부객체 추출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외피객체 추출부; 상기 건물외부 객체 및 상기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LOD 생성부;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erarchical display apparatus for indoor spatial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on a building; An internal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building internal object from the data; An enclosure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building exterior object from the data; An LOD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stepwise LOD data from the building external object and the building internal objec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xtracted and generated data; And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the LOD leve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rendering the data related to the determined LOD level and providing the data to the user, wherein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OD level for the clicked object whe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And decreases an LOD step when an object other tha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상기 제어부는 LOD 0단계에서, 상기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nder data for the external object in the LOD 0 stage.

상기 제어부는 LOD N단계부터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 각 층별로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render data on the building internal object from the LOD N level and render data on the building internal object for each floor.

상기 제어부는 LOD N+1단계에서,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를 각 층별 높이보다 크게 이격시켜 렌더링할 수 있다.In the LOD N + 1 step, the controller may render the objects rendered for each lay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of each layer.

상기 제어부는 LOD N+2단계에서, 클릭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층에 구비된 각각의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the LOD N + 2 step,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rendering area for rendering data for the clicked layer and an image area for displaying one or more representative images for the respective spaces in the clicked layer as one screen have.

상기 제어부는 LOD N+3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In step LOD N + 3, the controller may provide a description area on the rendering area to displa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icked spa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3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LOD level for the clicked object when the representative image is clicked, and may provide a description area on the rendering area to display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icked space in the LOD N + 3 step.

상기 제어부는 LOD N+4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되, 클릭된 공간에 대하여 위치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provides a rendering area for rendering data for the clicked space and an image area for displaying at least on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licked space on one screen in the LOD N + 4 step, May be provided on the rendering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5단계에서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공간 이미지 상에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If the guide image is clicked,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OD step for the clicked object, provides a spatial image of the guide image clicked in the step LOD N + 5, and provides the guide image on the spatial image .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이미지 상에 제공된 가이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6단계에서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설명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guide image provided on the spatial image is clicked,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OD step for the clicked guide image and provides an explanation image of the guide image clicked in step LOD N +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은,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 및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킨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ierarchical display method for indoor spatial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es: inputting data on a building; Extracting an object inside the building and an object outside the building from the data; Generating stepwise LOD data from an object inside the building; Storing the extracted and generated data; Determining an LOD step according to a user's input signal, rendering the data related to the determined LOD step and providing the rendered data to the user, wherein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OD step for the clicked object whe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And decreases an LOD step when an object other tha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건축 실내·외 존재하는 다양한 정보를 건축의 실외, 실내, 층, 공간, 공간이미지, 상세속성정보 등과 같은 단계적 시각화 방법을 통해서 누구나 정보의 접근 및 해석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한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one can access and interpret information through a step-by-step visualization method such as outdoor, indoor, floor, space, This can be a convenient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2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ierarchical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hierarchic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erarchical displa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to 23 are screens showing the display state according to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전통적인 3차원 건축 시각화 방법은 지도 또는 바닥 위에서 단면도, 평면도, 입면도, 조감도 등과 같은 형태로 건축 관점에서의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은 기존 전통적인 건축 시각화 방식과 정보탐색을 위한 정보디자인 모형을 접목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The traditional 3D architectural visualization method is a display method from the architectural point of view such as section, plan, elevation, bird's-eye view on a map or floor.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isplay method that combines a conventional architectural visualization method with an information design model for information search.

정보탐색을 위한 정보디자인 모형은 아래 3가지 방식을 적용한다. The information design model for information search uses the following three methods.

- 물리적 디자인 : 사용자의 정보탐색을 지원하는 디자인을 말한다. - Physical design: A design that supports user's information search.

- 인지적 디자인 :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 디자인을 말한다. - Cognitive design: Information design for user's understanding.

- 감성적 디자인 : 사용자에게 쉽고 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정보 디자인을 말한다.- Emotional design: Information design that can be easily and easily provided to users.

위와 같은 정보탐색을 위한 정보디자인 모형을 건물에 도입하여 정보탐색이 용이한 인터페이스와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시각화 모델, 사용자의 직관적 반응을 통한 정보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한다.By introducing the information design model for the information search in the building, a visualization model that can easily recognize the information, an easily recognizable visualization model, and a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feedback through the intuitive response of the user are pres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층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대용량 BIM 데이터를 가시화하는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BIM기반의 각종 3차원 객체(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를 저장하고, 저장된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의 IFC데이터(BIM 데이터)를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 측에 제공하는 BIM서버(2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hierarchical displa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hierarchical display system includes a hierarchical display device 100 for visualizing large-capacity BIM data on a three-dimensional GIS platform, various 3D objects based on BIM (e.g., buildings, bridges, And a BIM server 200 for storing IFC data (BIM data) of stored objects (e.g., buildings, bridges, urban facilities, etc.) on the hierarchical display device 100 side.

게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빠른 렌더링 처리가 가능한 서비스용 데이터 구조로 BIM 데이터를 저장하여 구조화된 BIM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렌더링한다.The hierarchical display apparatus 100 effectively stores the structured BIM data by storing the BIM data in a service data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a fast rendering process.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데이터 수신부(10), 제어부(40),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 외피객체 추출부(60), LOD생성부(70), 저장부(80)를 포함한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hierarchical display device shown in FIG. 2, the hierarchical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10, a control unit 40, a building interior object extracting unit 50, a sheath object extracting unit 60, (70), and a storage unit (80).

데이터 수신부(10)는 BIM기반의 3차원 객체(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가 3차원 GIS 플랫폼 상에서 표현되도록 하기 위해 우선, BIM서버(200)로부터 해당 객체들(예: 건물, 교량, 도시 시설물 등)의 IFC데이터(BIM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data receiving unit 10 receives the objects (e.g., buildings, bridges, and the like) from the BIM server 200 in order to display BIM-based three-dimensional objects , City facilities, and the like) IFC data (BIM data).

건물내부 객체 추출부(50)는 상기 수신 BIM데이터에서, 건물내부의 각 객체들을 추출한다. 외피객체 추출부(60)는 상기 수신된 BIM데이터에서, 건물외피 객체를 추출한다.The in-building object extraction unit 50 extracts each object in the building from the received BIM data. The enclosure object extracting unit 60 extracts the building exterior object from the received BIM data.

LOD생성부(70)는 입력된 BIM데이터를 경량화하고 단계별 LOD데이터를 생성한다. LOD데이터는 LOD 0단계부터 LOD N단계(N=1,2,3,...n, 정수)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LOD 0단계는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이며, LOD 1단계부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일 수 있다. 저장부(80)는 생성된 LOD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LOD generation unit 70 reduces the input BIM data and generates LOD data for each step. The LOD data is composed of LOD 0 stages to LOD N stages (N = 1,2,3, ..., n, integ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LOD 0 is data on an object outside the building, And data for an object inside the building. The storage unit 80 stores the generated LOD data.

제어부(40)는 각 구성요소(예: 데이터 수신부(10), 건물내부 객체추출부(50), 외피객체 추출부(60), LOD생성부(70), 저장부(80))와 연동하여,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control unit 40 is interlocked with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data receiving unit 10, the building inner object extracting unit 50, the enclosure object extracting unit 60, the LOD generating unit 70, and the storage unit 80) ,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ierarchical display apparatus 100. A specific ope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 디스플레이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 내지 도 2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hierarchical display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23 are views showing a display state according to FIG. Hereinafter, a specific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23. FI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LOD생성부(70)는 단계별 LOD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LOD 데이터는 저장부(80)에 저장된다. 제어부(40)는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가시화(예: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모니터)를 통해 도 4 내지 도 28과 같은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D generation unit 70 generates LOD data for each step, and the generated LOD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80. [ The control unit 40 determines the LOD level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user, and visually (e.g., renders) the stored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ed LOD level and provides the data to the user. Can be provided.

먼저, 제어부(40)는 최초 장치가 구동되는 시점에서 LOD 0단계로 구동되며, LOD 0단계는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한다. 건물외부 객체는 특정 뷰포인트(View point)에서 볼 수 있는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도 4).First, the control unit 40 is driven to the LOD 0 stage at the time when the initial device is driven, and the LOD 0 stage renders data for the exterior objects of the building. An out-of-building object can be an image of a building exterior object visible at a particular view point (Fig. 4).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건물외부 객체를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한 건물외부 객체는 다른 색상으로 변하면서(도 5) 클릭한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LOD 단계가 LOD 1단계로 증가한다.The user can click an object outside the building using a mouse pointer (using a mouse) or a finger (using a touch screen), and the object outside the clicked object changes to another color (FIG. 5) The LOD level for the object is increased to LOD level 1.

제어부(40)는 LOD 1단계부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별로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LOD 1단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이다.As shown in FIG. 6, the control unit 40 renders data on an object in the building from the LOD 1 stage. The controller 40 can render data on objects in the building for each floor and provide the data to the user. Figure 7 is another embodiment for the LOD 1 stage.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건물내부 객체를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한 건물내 객체에 대한 LOD 단계가 LOD 2단계로 증가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건물내부 객체 이외의 공간을 클릭할 경우 LOD 단계는 LOD 0단계로 감소하며, 제어부(40)는 다시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gain, the user can click an object inside the building using a mouse pointer (using a mouse) or a finger (using a touch screen), and the LOD level for the object in the clicked building increases to the LOD level 2.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clicks on a space other than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e LOD step is reduced to the LOD 0 level, and the controller 40 can render the data for the object outside the building again and provide it to the user.

제어부(40)는 LOD 2단계에서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를 각 층별 높이보다 크게 이격시켜 전개된 상태로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가 크게 이격되어 전개되면 사용자는 각 층별 렌더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도 7의 경우 상층 렌더링에 의해 하층 렌더링이 가려져 하층 렌더링을 쉽게 확인하기 어려움).The controller 40 may render the objects rendered for each floor in the LOD 2 step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of each floor and render the developed objects to the user. As shown in FIG. 8, when the rendered objects are wid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ser can easily confirm the rendering of each floor (in FIG. 7, the upper layer rendering obscures the lower layer rendering, Difficult to confirm).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한 층을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한 층은 다른 색상으로 변하면서(도 9,11,13) 클릭한 층에 대한 LOD 단계가 LOD 3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3단계에서 클릭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도 10,12,14).Again, the user can click on a layer using a mouse pointer (using a mouse) or a finger (using a touch screen), and the clicked layer changes to another color (Figs. 9, 11, 13) LOD level for one layer increases to LOD level 3. The control unit 40 may render the data of the layer clicked in the LOD 3 step and provide it to the user (FIGS. 10, 12 and 14).

한편,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LOD 3단계에서, 클릭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한 층에 구비된 각각의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0 및 도 12는 렌더링 영역만 제공하고 있을 뿐 이미지 영역은 제공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4, the control unit 40 displays a rendering area for rendering data on the clicked layer and at least one representative image for each space included in the clicked lay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user with a single image area. On the other hand, Fig. 10 and Fig. 12 only provide the rendering area and not the image area.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한 공간을 클릭할 수 있으며, 클릭한 공간은 다른 색상으로 변하면서(도 15 내지 도 17) 클릭한 공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4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4단계에서 클릭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앞서 표시한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Again, the user can click on one space using a mouse pointer (using a mouse) or a finger (using a touch screen), and the clicked space changes to a different color (Figs. 15-17) LOD level for space increases to LOD level 4. The control unit 40 may provide a description area for display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ace clicked in the LOD 4 step on the displayed rendering area.

한편,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대표 이미지 중 하나를 클릭할 수 있으며, 대표 이미지에 해당하는 공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4단계로 증가할 수 있고 제어부(40)는 LOD 4단계에서 클릭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앞서 표시한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click one of the representative images using a mouse pointer (when using a mouse) or a finger (when using a touch screen), and the LOD level for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ve image is increased to LOD level 4 The control unit 40 may provide a description area for display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ace clicked in the LOD 4 step on the displayed rendering area.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설명영역을 클릭할 수 있으며, 설명영역에 해당한 공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5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5단계에서 클릭한 공간을 확대한 상태로 렌더링하여 제공하며, 해당 공간에 대하여 위치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이드 이미지를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할 수 있다(도 18). Again, the user can click on the description area using a mouse pointer (using a mouse) or a finger (using a touch screen), and the LOD step for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description area is increased to LOD 5 step. The controller 40 may render the space clicked in the LOD 5 step in an enlarged state, and may provide one or more guide imag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pace on the rendering area (FIG. 18).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를 클릭할 수 있으며, 가이드 이미지에 해당한 공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6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6단계에서 가이드 이미지에 해당하는 공간을 렌더링하여 공간 이미지로 제공하며, 공간 이미지 상에 앞서 LOD 5단계에서 표시한 가이드 이미지와 동일한 가이드 이미지가 공간 이미지 중 대응되는 부분에 표시될 수 있다(도 19 내지 22). Again, the user can click one of the guide images using a mouse pointer (using a mouse) or a finger (using a touch screen), and the LOD level for the space corresponding to the guide image is increased to LOD level 6 do. The control unit 40 renders a space corresponding to the guide image in the LOD 6 step and provides the space as a space image. The guide image, which is the same as the guide image displayed in the LOD 5 step on the spatial image, (Figs. 19 to 22).

다시, 사용자는 마우스 포인터(마우스를 사용할 경우) 또는 손가락(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을 이용하여 가이드 이미지 중 하나를 클릭할 수 있으며, 가이드 이미지에 해당한 부분에 대한 LOD 단계가 LOD 7단계로 증가한다. 제어부(40)는 LOD 7단계에서 가이드 이미지에 해당하는 상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도 23). Again, the user can click one of the guide images using a mouse pointer (when using the mouse) or a finger (when using the touch screen), and the LOD step for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guide image is increased to LOD level 7 do. The control unit 40 may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image in step 7 of the LOD (FIG. 23).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other forms of embodiment are possible. Therefore,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re not limit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Claims (8)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를 추출하는 내부객체 추출부;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외피객체 추출부;
상기 건물외부 객체 및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LOD 생성부;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키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A dat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data on a building;
An internal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building internal object from the data;
An enclosure object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building exterior object from the data;
An LOD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LOD data step by step from the building external object and the building internal object;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extracted and generated data; And
Determining a LOD step according to a user's input signal, rendering the data related to the determined LOD step, and providing the data to a user,
Wherein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OD level for the clicked object whe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and decreases the LOD level when an object other tha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LOD 0단계에서, 상기 건물외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
LOD N단계부터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며, 각 층별로 상기 건물내부 객체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N=1,2,3,...n, 정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LOD 0 step, the control unit renders data on the exterior object of the building,
(N = 1, 2, 3,...) Related to the indoor spatial information of the building, which renders data on the building interior objects from the LOD N level and renders data on the building interior objects for each floor. ..n, integ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LOD N+1단계에서, 각 층별로 렌더링된 객체를 각 층별 높이보다 크게 이격시켜 렌더링하며,
LOD N+2단계에서, 클릭된 층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층에 구비된 각각의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LOD N + 1 step, the controller renders the objects rendered for each lay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ight of each layer,
In the LOD N + 2 step, a rendering area for rendering data for the clicked layer and an image area for displaying at least one representative image for each space provided in the clicked layer, A hierarchical display device for spatial informa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3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상세 설명을 표시하는 설명 영역을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LOD level for the clicked object when the representative image is clicked, and provides an explanation area for displayin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licked space in the LOD N + 3 step on the rendering area, A hierarchical display device for spatial informa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LOD N+4단계에서, 클릭된 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는 렌더링 영역과 클릭된 공간에 대한 하나 이상의 대표 이미지를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하나의 화면으로 제공하되,
클릭된 공간에 대하여 위치에 따른 하나 이상의 가이드 이미지를 상기 렌더링 영역 상에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unit provides a rendering area for rendering data for the clicked space and an image area for displaying at least on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licked space on one screen in the LOD N + 4 step,
And provides at least one guide image on the rendering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licked space on the rendering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이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5단계에서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공간 이미지를 제공하되,
상기 공간 이미지 상에 가이드 이미지를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guide image is clicked,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OD step for the clicked object and provides a spatial image for the guide image clicked in step LOD N + 5,
And provides a guide image on the spatial imag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 이미지 상에 제공된 가이드 이미지가 클릭되면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며, LOD N+6단계에서 클릭된 가이드 이미지에 대한 설명 이미지를 제공하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control unit increases the LOD level for the guide image that is clicked when the guide image provided on the space image is clicked, and provides an explanation image of the guide image clicked in the step LOD N + 6, Lt; / RTI >
건축물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에서 건물내부 객체 및 건물외부 객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건물외부 객체 및 상기 상기 건물내부 객체로부터 단계별 LOD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추출되고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입력신호에 따라 LOD 단계를 결정하고, 결정된 LOD 단계에 관한 데이터를 렌더링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렌더링된 객체가 클릭되면 클릭된 객체에 대한 LOD 단계를 증가시키고, 상기 렌더링된 객체 이외의 객체가 클릭되면 LOD 단계를 감소시키는, 건축물의 실내공간정보에 관한 계층적 디스플레이 방법.
Receiving data on a building;
Extracting an object inside the building and an object outside the building from the data;
Generating stepwise LOD data from the building external object and the building internal object;
Storing the extracted and generated data; And
Determining an LOD step according to a user's input signal, rendering the data regarding the determined LOD step and providing the data to a user,
Wherein the controller increases the LOD step for the clicked object whe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and decreases the LOD step when an object other than the rendered object is clicked.
KR1020180140302A 2017-11-14 2018-11-14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KR10212568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1803 2017-11-14
KR20170151803 2017-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010A true KR20190055010A (en) 2019-05-22
KR102125683B1 KR102125683B1 (en) 2020-06-23

Family

ID=6668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302A KR102125683B1 (en) 2017-11-14 2018-11-14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568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981B1 (en) * 2023-05-24 2023-08-30 주식회사 엘에스엠케이 Facilities Inspection and Maintenance System based on Augmented Real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407A1 (en) 2004-02-28 2008-02-07 Mtu Aero Engines Gmbh Method and Electrode for The Electrochemical Removal of a Coating From a Component
KR101546705B1 (en) * 2014-12-04 2015-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29407A1 (en) 2004-02-28 2008-02-07 Mtu Aero Engines Gmbh Method and Electrode for The Electrochemical Removal of a Coating From a Component
KR101546705B1 (en) * 2014-12-04 2015-08-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Method for visualizing building-inside bim data by bim data process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5683B1 (en)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096B1 (en) 3D monitoring server using 3D BIM object model and 3D monitoring system comprising it
Haynes et al.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flood visualisation
Talmaki et al. Real-time hybrid virtuality for prevention of excavation related utility strikes
CN105701103B (en) Three-dimensional application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CN110726411B (en) Indoor emergency path finding method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 based on subdivision grids
Fisher-Gewirtzman et al. Voxel based volumetric visibility analysis of urban environments
KR101465487B1 (en) Bim data processing system for extracting surface object of building
JP6874197B1 (en) Equipment management program, equipment management method, and equipment management system
KR102120680B1 (en) 3D BIM object modeling server and 3D BIM object modeling system comprising it
CN111080782A (en) Visual system based on live-action three-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gugiaro et al. Queryarch3D: Querying and visualising 3D models of a Maya archaeological site in a Web-based interface
Agugiaro et al. A web-based interactive tool for multi-resolution 3D models of a Maya archaeological site
Tobiáš An Investigation into the Possibilities of BIM and GIS Cooperation and Utilization of GIS in the BIM Process
Dou et al. Research on construction of spatio-temporal data visualization platform for GIS and BIM fusion
Khayyal et al. Creation and spatial analysis of 3D city modeling based on GIS data
Yu et al. A hybrid system of expanding 2D GIS into 3D space
Hou et al. 3D data visualization system of immersive underground laboratory
CN110634176B (en) Shield tunnel construc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integrating real-time tunneling data
KR201900550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room space hierarchically in building
Yao et al. A GIS based virtual urban simulation environment
CN112948518B (en) Object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La Russa et al. An expeditious parametric approach for city information modeling and finite element analysis
Mustorpha et al. A bim oriented model to a 3d indoor gis for space management–a requirement analysis
Kwon Development of detour route and evacuation route guidance system using disaster information
Talmaki Real-Time Visualization for Prevention of Excavation Related Utility Stri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