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868B1 -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868B1
KR101545868B1 KR1020130075769A KR20130075769A KR101545868B1 KR 101545868 B1 KR101545868 B1 KR 101545868B1 KR 1020130075769 A KR1020130075769 A KR 1020130075769A KR 20130075769 A KR20130075769 A KR 20130075769A KR 101545868 B1 KR101545868 B1 KR 10154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oiler
password
mobile terminal
set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2215A (ko
Inventor
정영환
노홍일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5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8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2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온도조절기에 설치되어 있는 wi-fi 연결 설정모드 키를 입력받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키 신호가 입력되면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는 온도조절기를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하고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해당 Wi-Fi의 비밀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비밀번호에 대해 수신대기 상태로 돌입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보일러의 온도조절기와 연결된 공유기에 접속하는 단계와; wi-fi 연결 어드레스로 이동 단말기가 접속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가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표시부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송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대기 상태에 있던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보일러 내 wi-fi 통신부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연결하고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가 입력되면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불특정인이 Wi-Fi를 통해 불법적으로 사용자 보일러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Wi-Fi 장착형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포함하여 Wi-Fi를 통한 보일러 제어에 따른 보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control of boiler with Wi-Fi}
본 발명은 와이-파이(Wi-Fi)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의 온도조절기에 장착된 Wi-Fi를 공유기(AP)와 연결 하는 과정에서 타인으로부터 불법적인 접속을 막기 위해 각각의 집에 설치된 Wi-Fi 온도조절기마다 서로 다른 비밀번호가 부여되는데, 이 비밀번호를 Wi-Fi 연결 설정 모드에서만 온도조절기에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온도조절기가 Wi-Fi 연결 설정모드 상태에서만 핸드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도조절기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타인이 Wi-Fi를 통해 불법적으로 보일러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난방과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장치로, 각종 연료를 연소시키면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물을 데우고, 데워진 물을 직접 이용하거나, 가정 또는 각종 건물들의 난방에 이용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크기에 따라 가정용으로 이용되는 소형 보일러에서부터 산업용으로 이용되는 대형 보일러까지 널리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연료에 따라서 기름보일러 및 가스보일러 등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종류의 보일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는데,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이동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이동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로서 구현되기도 하며, 최근의 이동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도 있다.
이렇듯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 가운데,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이동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그 중에서 이동 단말기의 터치 기능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버튼/키 입력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도 편리하게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입력뿐만 아니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함께 단말기의 중요한 기능으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 기능이 이동단말기에 더욱 다양한 형태로 적용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의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Wi-Fi는 IEEE의 802.11 표준아래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무선통신 기술로서, 노트북, 휴대폰, 콘솔게임기, MP3, 카메라 및 프린터 등 다양한 디바이스들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 Wi-Fi는 AP라 불리는 공유기를 접속점으로 하여 통신을 함에 따라 각종 디바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Wi-Fi는 네트워크 접속점이라 할 수 있는 AP로 접속하여야만 통신을 할 수 있다.
최근 Wi-Fi 기술을 이용해 디바이스간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새로운 통신 규격인 Wi-Fi Direct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표준화 작업도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상기 Wi-Fi Direct는 AP를 거치지 않고 기기와 직접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상기 Wi-Fi Direct의 기능은 블루투스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지만 블루투스보다 넓은 전송 범위와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즉 현재 사용되는 블루투스가 최대 3Mbps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데 비해 Wi-Fi Direct는 802.11n 무선기술을 활용할 때 이론상 300Mbps(실제 150M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Wi-Fi Direct는 전송 범위도 통상 10m(Class 2)인 블루투스보다 10배 이상 넓어 100m 이내에 있는 휴대폰과 프린터, 컴퓨터 및 헤드폰 등을 동시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Wi-Fi Direct는 종래 Wi-Fi를 이용하는데 필수장비였던 AP없이 새로운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디바이스 대 디바이스의 P2P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블루투스처럼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노트북과 PDA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만 국한되지 않고 스마트폰, MP3P, 모바일 게임기, 가정용 콘솔게임기, 카메라, 프린터 및 일부 가전제품들까지 Wi-Fi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오고 있어 상기 디바이스들에 대한 Wi-Fi Direct를 적하기 위한 연구가 향후 지속적으로 수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이와 같은 Wi-Fi 기술은 보일러에도 적용되어 보일러의 제어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보일러에 장착된 Wi-Fi를 AP와 연결하는 과정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때 타인으로부터 불법적인 접속을 막기 위해서는 각각의 집에 설치된 Wi-Fi마다 서로 다른 비밀번호가 부여된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보일러에서는 Wi-Fi의 비밀번호를 프린트하여 보일러의 본체나 온도조절기 등에 붙여 놓고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형태를 갖고 있다.
하지만 이는 비밀번호를 프린트하는 시간과 프린트를 장치에 붙이는 시간 등의 공정 시간이 들어 생산시간 지연의 결과를 초래하게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되면 프린트하는 시간, 장치에 붙이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Wi-Fi 비밀번호가 일정 개수가 비슷하거나 제한적이게 됨은 물론 비밀번호 자체가 타인에게 노출되는 확률이 높아져 보안에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즉, 특정 보일러에 설치되어 있는 Wi-Fi의 비밀번호를 외부인이 알게 될 경우, 불특정 다수인이 언제든지 특정 가정 내에 설치되어 있는 보일러의 Wi-Fi와 접속하여 해당 보일러를 불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등록특허공보 10-2011-0023616호(2011년 03월 08일) 2. 대한민국 공개등록특허공보 10-2012-0045628호(2012년 05월 09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Wi-Fi가 내장된 보일러의 온도조절기에 설치되어 있는 Wi-Fi 연결 설정모드 키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보일러가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되면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해당 Wi-Fi의 비밀번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핸드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도조절기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와 같이 보일러가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된 후부터 사용자가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시킬 때까지만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특정인이 Wi-Fi를 통해 불법적으로 사용자 보일러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Wi-Fi 장착형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포함하여 Wi-Fi를 통한 보일러 제어에 따른 보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Wi-Fi의 비밀번호를 제한 없이 다양하게 생성함을 통하여 더욱 보안성이 강화되며, 제조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출력하여 붙이는 작업이 없어 생산시간 단축으로 인하여 생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유기(AP)와 통신 가능한 Wi-Fi 통신 기능을 갖춘 온도조절기가 내장된 보일러를 외부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에 있어서, 보일러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온도조절기에 설치되어 있는 wi-fi 연결 설정모드 키를 입력받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키 신호가 입력되면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는 온도조절기를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하고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해당 Wi-Fi의 비밀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비밀번호에 대해 수신대기 상태로 돌입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보일러의 온도조절기와 연결된 공유기에 접속하는 단계와; wi-fi 연결 어드레스로 이동 단말기가 접속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가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표시부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송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대기 상태에 있던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보일러 내 wi-fi 통신부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연결하고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가 입력되면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보일러 wi-fi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이 완료 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보일러 wi-fi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이 완료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표시부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받아 송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다시 제어부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가 무선으로 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서 두 비밀번호를 재차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지 않아,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3~5회) 만큼 반복했는데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해 재입력한 비밀번호가 정해진 비밀번호와 상호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강제로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에 의하면, Wi-Fi가 내장된 보일러의 온도조절기에 설치되어 있는 Wi-Fi 연결 설정모드 키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보일러가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되면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해당 Wi-Fi의 비밀번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핸드폰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도조절기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와 같이 보일러가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된 후부터 사용자가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할 때까지만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특정인이 Wi-Fi를 통해 불법적으로 사용자 보일러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Wi-Fi 장착형 보일러 자체의 상품성과 신뢰도를 포함하여 Wi-Fi를 통한 보일러 제어에 따른 보안성 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Wi-Fi의 비밀번호를 제한 없이 다양하게 생성함으로 더욱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제조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출력하여 장치에 붙이는 작업이 생략되어 생산시간 단축을 통해 제품의 생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 및 이동 단말기의 개략 연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 및 이동 단말기의 개략 연결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공유기(4)와 통신 가능한 Wi-Fi(3) 통신기능을 갖춘 온도조절기(2)가 내장된 보일러(1)를 외부에서 이동 단말기(5)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에 있어서,
보일러(1)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온도조절기(2)에 설치되어 있는 wi-fi 연결 설정모드 키(22)를 입력받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키(22)가 입력되면 보일러(1) 내 제어부(11)에서는 온도조절기를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하고,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에 해당 Wi-Fi의 비밀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로부터 전송받는 비밀번호에 대한 수신대기 상태로 돌입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가 보일러(1)의 온도조절기(2)와 연결된 공유기(4)에 접속하는 단계와;
wi-fi 연결 어드레스로 이동 단말기(5)가 접속하는 단계와;
이동 단말기(5)가 보일러(1)의 온도조절기(2) 표시부(21)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송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대기 상태에 있던 보일러(1) 내 제어부(11)에서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가 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보일러(1) 내 wi-fi 통신부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와 연결하고,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에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23)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23)가 입력되면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어부(11)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에 Wi-Fi(3)와 공유기(4)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보일러 wi-fi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5)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상기에서 보일러 wi-fi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5)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표시는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에 동시에 표시하는 것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1)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가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가 사용자로부터 보일러의 온도조절기(2) 표시부(21)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받아 송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다시 제어부(11)에서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가 무선으로 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에서 두 비밀번호를 재차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지 않아,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로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는 정해진 횟수(예를 들어 3~5회) 만큼 반복하며,
이와 같이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했는데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를 통해 재입력한 비밀번호가 정해진 비밀번호와 상호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1)는 강제로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하고 종료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보일러 및 이동 단말기의 개략 연결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공유기(4)와 연결된 Wi-Fi(3)가 온도조절기(2)에 내장되어 있고, 제어부(11)가 내장되어 있는 보일러(1)는 Wi-Fi(3)와 공유기(4)를 통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5)와 상호 연결되어 와이-파이장착 보일러를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를 불특정인이 불법제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1)에 전원이 공급되면 보일러(1) 내 제어부(11)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온도조절기(2)에 설치되어 있는 wi-fi 연결 설정모드 키(22)가 입력되는지를 계속해서 검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Wi-Fi 연결 설정모드 키(22)가 입력되는지를 계속 검출한 결과,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키가 입력되면, 상기 보일러(1) 내 제어부(11)에서는 온도조절기(2)를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함은 물론, 상기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에 제어부(11) 내 메모리 등에 기 입력되어 있는 해당 Wi-Fi(3)의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하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로부터 전송받는 비밀번호에 대한 수신대기 상태로 돌입한다.
단, 상기에서 외부의 어떠한 요인 등으로 인해 온도조절기(2)에서 Wi-Fi 연결설정 준비 상태가 되지 않을 경우에는 Wi-Fi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더라도 연결시킬 수 없다.
상기와 같이 온도조절기(2)에 설치되어 있는 Wi-Fi 연결 설정모드 키(22)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자신이 휴대한 Wi-Fi 기능이 있는 이동 단말기(5)가 보일러(1)의 온도조절기(2)와 연결된 공유기(4)와 무선 접속되면, wi-fi 연결 어드레스로 이동 단말기(5)가 접속되고, 이어서 이동 단말기(5)가 보일러(1)의 온도조절기(2) 표시부(21)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송출한다.
한편,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기를 기다리고 있던(즉, 대기 상태에 있던) 보일러(1) 내 제어부(11)에서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5)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이를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상호 비교하여 두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즉,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가 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1)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정상적인 사용자가 정해진 절차를 통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Wi-Fi(3)와 공유기(4)가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에 사용자로 하여금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23) 입력을 요청하는 표시를 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에 표시된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23) 입력을 요청하는 표시를 확인하고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23) 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1)는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즉, 온도조절기(2)의 Wi-Fi(3)와 공유기(4)의 연결 설정 준비 상태에서 빠져나와 일반 화면으로 전환)하고 Wi-Fi 연결 설정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여기서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만약 Wi-Fi(3)가 공유기(4)와 연결되지 않았다면, 연결되지 않았다는 표시 후 다시 Wi-Fi(3)와 공유기(4)의 연결 설정 준비 상태로 돌아간다.
또한, 상기 제어부(11)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Wi-Fi(3)와 공유기(4)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에 사용자로 하여금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23) 입력을 요청하는 신호를 표시하고, 이 표시 전 또는 표시 후의 단계에서 사용자가 Wi-Fi(3)와 공유기(4)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에 Wi-Fi(3)와 공유기(4)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거나, 또는 Wi-Fi(3)와 공유기(4)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로 송신하여 줄 수도 있다.
물론, 상기에서 Wi-Fi(3)와 공유기(4)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표시신호는, 상기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에 동시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온도조절기(2)의 표시부(21) 또는 이동 단말기(5)의 표시부 중 어느 한 표시부를 통해 정확히 알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1)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지 않으면(즉,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5)를 통해 입력한 비밀번호가 제어부(11) 내에 기억되어 있는 Wi-Fi 비밀번호와 같지 않으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가 보일러(1)의 온도조절기(2) 표시부(21)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밀번호 재입력 요청신호를 받은 사용자가 보일러(1)의 온도조절기(2) 표시부(21)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보고, 이동 단말기(5)를 통해 다시 입력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가 사용자로부터 다시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무선으로 송출하면, 상기 제어부(11)에서는 다시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가 무선으로 재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를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에서 두 비밀번호를 재차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지 않아,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로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본 발명에서는 정해진 횟수, 예를 들어 3~5회 만큼 반복하도록 하였는데, 이와 같이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했는데도 불구하고 이동 단말기(5)를 통해 재입력한 비밀번호가 정해진 비밀번호와 상호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어부(11)에서는 강제로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하고 종료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보일러의 온도 조절기에 Wi-Fi 연결 설정모드 키(22)와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23)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또는 온도 조절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키들을 Wi-Fi 연결 설정모드 키(22) 및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23) 기능을 수행하도록 적절히 조합하고,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키가 조작되면 보일러가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해당 Wi-Fi의 비밀번호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온도조절기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정확히 입력할 수 있도록 하되, 보일러가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된 후부터 사용자가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할 때까지만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입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특정인이 Wi-Fi를 통해 불법적으로 사용자 보일러를 제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Wi-Fi 비밀번호 자체를 보일러의 제어부 내에 저장하였다가 온도 조절기의 표시부에 표시하여 줌으로써 Wi-Fi 비밀번호 개수에 제한이 없어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고, 또한 제조 과정에서 장치에 비밀번호를 출력하여 붙이는 작업 자체가 필요 없으므로 생산시간 단축을 통해 제품의 생산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보일러 11 : 제어부
2 : 온도조절기 11 : 표시부
22 : Wi-Fi 연결 설정모드 키 23 :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
3 : Wi-Fi
4 : 공유기
5 : 이동 단말기

Claims (5)

  1. 공유기(AP)와 통신 가능한 Wi-Fi 통신 기능을 갖춘 온도조절기가 내장된 보일러를 외부에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에 있어서,
    보일러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온도조절기에 설치되어 있는 wi-fi 연결 설정모드 키를 입력받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키 신호가 입력되면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는 온도조절기를 Wi-Fi 연결 설정모드로 전환하고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해당 Wi-Fi의 비밀번호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받는 비밀번호에 대해 수신대기 상태로 돌입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보일러의 온도조절기와 연결된 공유기에 접속하는 단계와;
    wi-fi 연결 어드레스로 이동 단말기가 접속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가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표시부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송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대기 상태에 있던 보일러 내 제어부에서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보일러 내 wi-fi 통신부로부터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연결하고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 입력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Wi-Fi 연결 설정모드 해제키가 입력되면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온도조절기의 표시부에 보일러 wi-fi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면,
    보일러 wi-fi 통신부와 이동 단말기의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도 송신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두 비밀번호를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로부터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표시부에 표시된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받아 송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다시 제어부 자체 내에 기억되어 있는 비밀번호와 사용자가 무선으로 송출한 비밀번호가 상호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두 비밀번호를 재차 비교한 결과 상호 일치하지 않아,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를 정해진 횟수만큼 반복했는데도 불구하고 재입력한 비밀번호가 정해진 비밀번호와 상호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는 강제로 Wi-Fi 연결 설정모드를 해제하고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KR1020130075769A 2013-06-28 2013-06-28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KR101545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69A KR101545868B1 (ko) 2013-06-28 2013-06-28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769A KR101545868B1 (ko) 2013-06-28 2013-06-28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15A KR20150002215A (ko) 2015-01-07
KR101545868B1 true KR101545868B1 (ko) 2015-08-20

Family

ID=52475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769A KR101545868B1 (ko) 2013-06-28 2013-06-28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52196B (zh) * 2015-12-04 2018-06-29 成都前锋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数据交换功能的热水器
CN105352197B (zh) * 2015-12-07 2018-06-05 成都前锋电子有限责任公司 一种实现wifi数据交换的热水器
KR101956014B1 (ko) * 2016-05-20 2019-03-08 주식회사 경동전자 보일러의 댁내제어장치 및 그 네트워크 접속방법
JP7270536B2 (ja) * 2019-12-26 2023-05-10 大阪瓦斯株式会社 暖房装置操作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215A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5392B2 (en) Proximity unlock and lock operation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18295B1 (ko)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US8873758B2 (en) Secure wireless link between two devices using probes
JP5281128B2 (ja) Wi−fiアクセス方法、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wi−fiアクセスシステム
US9998891B2 (en) Network system, server,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516774B2 (en) Method for configuring a wireless device
JP6105023B1 (ja) 画面共有サーバ、画面共有方法及び画面共有サーバ用プログラム
RU2646354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становки соединения передачи
JP2019507545A (ja) スマート家電の制御方法およびスマート家電
CN111542822A (zh) 用于共享屏幕数据的电子装置和方法
JP2015228111A (ja) 機能実行システム、機能実行装置、及び、通信端末
WO2015027712A1 (zh) 移动终端连接网络的方法、移动终端与终端设备
TW201232277A (en) Wireless accessory device pairing transfer between multiple host devices
WO2015062425A1 (en) User identity verification method and system, password protec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545868B1 (ko) 와이-파이장착 보일러의 불법제어 방지방법
US11494132B2 (en) Communication device
WO2012158255A1 (en) Peer -to -peer event -time secured link establishment
JP2015069559A (ja) 機能実行機器と可搬型デバイス
CN105516889A (zh) 一种蓝牙连接方法及终端
WO2015062526A1 (zh) 一种基于无线登录的远程控制方法及装置
KR101643870B1 (ko) 와이-파이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와 댁내 무선 공유기 사이의 연결 안내방법
EP3610665A1 (en) Techniques for repairing an inoperable auxiliary device using another device
WO2018166103A1 (zh) 一种基于无线通信的连接方法及终端
CN105430642B (zh) 文件传输方法及装置
WO2022228588A1 (zh) 用于绑定用户账户的方法、系统、装置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