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811B1 -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 Google Patents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811B1
KR101545811B1 KR1020140034944A KR20140034944A KR101545811B1 KR 101545811 B1 KR101545811 B1 KR 101545811B1 KR 1020140034944 A KR1020140034944 A KR 1020140034944A KR 20140034944 A KR20140034944 A KR 20140034944A KR 101545811 B1 KR101545811 B1 KR 101545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ody
ball
housing
perforated plat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효득
조계문
정두희
Original Assignee
안효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효득 filed Critical 안효득
Priority to KR1020140034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8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81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으로, 유체 또는 기체의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와, 공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반구체의 볼과, 볼이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 유로를 폐쇄할 경우 볼에 밀착되는 시트 부재와, 볼의 회전축상에 고정 결합되는 스템과, 스템과 고정 결합되어 스템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밸브 몸체의 전단에 결합되는 전단 관로와, 밸브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단 관로와, 밸브 몸체 및 전단 관로의 사이, 밸브 몸체 및 후단 관로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되며,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유체 및 기체가 이동하는 타공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 FOR WHIRLPOOL PREVENTION}
본 발명은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구체의 볼과 적어도 하나의 타공판 부재를 통해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켜 밸브 및 배관을 보호할 수 있는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산업전반에 걸쳐 유체나 기체가 흐르는 관로 상에는 유체나 기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밸브의 종류에는 게이트 밸브, 글로브 밸브, 체크 밸브, 버터플라이 밸브, 플러그 밸브, 볼 밸브, 안전 밸브 등이 있으며, 설치 장소에 따라 그 쓰임새가 다양하게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글로브 밸브는 다양한 절곡 유로를 가지며, 밸브의 몸체 내부에 탄성 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유로를 차단하는 관상의 디스크가 구비되고, 디스크의 하강에 의해 순간 유로를 컷오프시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글로브 밸브는 유로가 절곡되어 있으며, 그 유로의 내경이 관로보다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유입되는 유체의 저항이 발생되어 입구와 출구의 압력차에 의한 유체에 공기가 형성되는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관로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글로브 밸브는 복잡한 유로 형상으로 인해 사공간이 존재하여 와류가 발생하거나 슬러리가 적체되고, 압력 손실이 매우 크며, 슬러리의 적체, 끼임 등이 발생하고, 유체에 따른 부식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글로브 밸브 대신에 볼 밸브를 제안하게 되었는데, 볼 밸브는 양측에 관로를 형성하는 관체가 연결되는 밸브 몸체와, 밸브 몸체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유체 또는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된 구체 또는 반구체 형상의 볼과, 볼의 회전축 상에서 연장되어 개폐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템과, 볼의 양측에 구비되어 볼을 감싸면서 수밀을 유지하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폐쇄하기 위해 볼이 이동하기 때문에 갑작스런 유동 역전과 급속 폐쇄로 인한 수격 현상 및 채터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로 인해 와류 발생이 많아져 송출 유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 밸브를 사용할 경우에도 글로브 밸브와 같이 유체에 공기가 형성되는 캐비테이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볼이 폐쇄될 때 개도량이 점차 감소하는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의 유속 또한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82900호(2007.12.06. 공고) : 볼밸브 및 이를 이용한 밸브 개폐시스템
본 발명은 컨트롤 밸브의 전단 관로 및 후단 관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타공판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감소시켜 소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밸브 몸체의 내부에 반구체의 볼이 구비되되, < 형태의 절곡을 갖는 단면을 갖도록 볼을 형성함으로써,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더욱 감소시켜 소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또는 기체의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와, 상기 공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반구체의 볼과, 상기 볼이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 유로를 폐쇄할 경우 상기 볼에 밀착되는 시트 부재와, 상기 볼의 회전축상에 고정 결합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템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밸브 몸체의 전단에 결합되는 전단 관로와, 상기 밸브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단 관로와, 상기 밸브 몸체 및 전단 관로의 사이, 상기 밸브 몸체 및 후단 관로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되며,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유체 및 기체가 이동하는 타공판 부재를 포함하는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체 또는 기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볼을 반구체 형상으로 구비하고, 컨트롤 밸브의 전단 관로 및 후단 관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타공판 부재에 복수개의 관통홀을 형성하는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고차압의 유체가 이동할 경우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억제하여 소음 발생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또는 기체가 복수개의 관통홀을 통과함으로써, 급격한 압력 강하를 억제할 수 있고,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캐비테이션 현상으로 인한 밸브 및 배관의 부식(erosion)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또는 기체가 밸브 몸체를 통해 이동할 경우 스템을 통해 볼을 강하게 회전시켜 밀게 됨으로써, 시트 부재에 밀착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유체 또는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이 시트 부재를 벗어난 이후에 개구 공간을 통해 일정한 개도량을 유지키면서 개방될 수 있고, 밸브 몸체에 형성된 유연한 원형 형태의 공동부를 통해 그 유선을 타고 유연하게 흐르게 할 수 있으며, 볼을 타고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는 밸브 몸체의 출구 측 타공판을 통과하면서 그 흐름이 안정화되어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할 수 있고, 와류 현상 및 케비테이션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밸브 및 배관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타공판 부재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타공판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의 볼 단면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타공판 부재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2 타공판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에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의 볼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는 밸브 몸체(110), 볼(120), 시트 부재(130), 스템(140), 구동부(150), 전단 관로(160), 후단 관로(170), 제 1 타공판 부재(180), 제 2 타공판 부재(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타공판 부재(180) 및 제 2 타공판 부재(190)는 동일한 구성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단 관로(170) 측에 구비되는 제 2 타공판 부재(190)의 결합 관계만을 설명하기로 하며, 전단 관로(160) 측에 구비되는 제 1 타공판 부재(180) 또한 그 결합 관계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밸브 몸체(110)는 유체 또는 기체의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원형 형태로 공동부(111)가 형성되는 것으로, 입구측에는 후술하는 제 1 타공판 부재(1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몸체 플랜지(112)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후술하는 제 1 타공판 부재(18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몸체 플랜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 몸체(110)는 중간 조립부가 없는 일체형 몸체로 제조되며, 중공부(111)가 형성된 내주면을 고경도 고온 분말 코팅 방식 등으로 코팅하여 내마모 및 강도가 매우 뛰어나고, 후술하는 스템(140)과의 결합 부분이 플렉서블 패킹 구조(114)를 적용하여 유체 및 기체의 누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볼(120)은 공동부(111)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반구체의 형상과 <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은 반구체의 형태를 가지며, 내주면은 <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120)은 스템(140)과 결합되어 회전축이 되는 상축부(121)와 하축부(122)가 형성되고, 외주면(123)은 반구체의 형태로 형성되고, 내주면(124)은 <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유체 또는 기체가 이동할 수 있는 개구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120)은 고경도 고온 분말 코팅 방식으로 외부를 코팅함으로써, 내마모 및 강도가 매우 뛰어나며, 외주면(123)이 반구체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유체 및 기체의 흐름을 안정시킬 수 있고, 압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시트 부재(130)와 볼(120)의 표면이 항상 이격되어 있어 고차압의 유체 또는 기체의 제어 환경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시트 부재(130)는 볼(120)이 밸브 몸체(110)의 내부 유로를 폐쇄할 경우 볼(120)에 밀착되는 것으로, Co에 Cr, Tu, Mo 등을 섞은 스텔라이트(stellite) 소재로 제조됨으로써, 기밀 및 내마모성에 뛰어난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스템(140)은 볼(120)의 회전축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스템(140)의 회전 시 볼(1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볼(120)에 구비되는 상축부(121)와 하축부(12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템(140)은 고정도 연마 처리를 하여 마찰력이 적고, 열처리 공정을 거쳐 강도가 우수하며, 0.3 이하의 표면 조도를 제공하여 구동시 작은 구동 토크(torque)를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스템(140)과 고정 결합되며, 볼(120)을 회전시켜 밸브 몸체(110)의 내부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스템(14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개의 기어, 기어와 맞물리며 스템(140)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구 등이 내설된 모터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150)는 종래에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전단 관로(16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밸브 몸체(110)의 전단에 결합되고, 후단 관로(170)는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밸브 몸체(110)의 후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타공판 부재(180)는 밸브 몸체(110) 및 전단 관로(160)의 사이에 구비되며,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 1 관통홀(180a)을 관통하여 유체 및 기체가 이동하는 것으로, 제 1-1 하우징(181), 제 1 타공판(182), 제 1-2 하우징(183), 제 1 플랜지(18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1 하우징(181)은 밸브 몸체(110) 및 전단 관로(160)의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밸브 몸체(110)와의 체결, 후술하는 제 1 플랜지(184)와의 체결 및 전단 관로(160)와의 체결을 위해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한 체결 수단(181a)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체결 수단(181a)의 원활한 조립을 위해 그 외주면이 ┗┛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 1 타공판(182) 및 제 1-2 하우징(183)이 내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내주면이 단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타공판(182)은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제 1-1 하우징(181)의 일단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홀(180a)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 1-1 타공판(182a)과 제 1-2 타공판(18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2 하우징(183)은 제 1 타공판(182)을 제 1-1 하우징(181)의 내주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단을 이루면서 형성된 제 1-1 하우징(181)의 일측 내주면에 대응하여 내주면과 외주면이 단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제 1-1 하우징(181)의 일측 내주면에 결합된 제 1-2 하우징(183)을 통해 제 1-1 타공판(182a)과 제 1-2 타공판(182b)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제 1 플랜지(184)는 제 1-1 하우징(181) 및 제 1-2 하우징(183)에 제 1 타공판(182)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체결 수단(181a)을 통해 제 1-1 타공판(182a)과 제 1-2 타공판(182b)을 제 1-1 하우징(181) 및 제 1-2 하우징(183)의 내주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1 플랜지(184)의 일단 외측으로는 전단 관로(160)가 볼트, 너트 등의 다른 체결 수단을 통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제 2 타공판 부재(190)는 밸브 몸체(110) 및 후단 관로(170)의 사이에 구비되며,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제 2 관통홀(190a)을 관통하여 유체 및 기체가 이동하는 것으로, 제 2-1 하우징(191), 제 2 타공판(192), 제 2-2 하우징(193), 제 2 플랜지(19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1 하우징(191)은 밸브 몸체(110) 및 후단 관로(170)의 사이에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밸브 몸체(110)와의 체결, 후술하는 제 2 플랜지(194)와의 체결 및 후단 관로(170)와의 체결을 위해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한 체결 수단(191a)이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체결 수단(191a)의 원활한 조립을 위해 그 외주면이 ┗┛의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 2 타공판(192) 및 제 2-2 하우징(193)이 내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일측 내주면이 단을 이루면서 형성될 수 있다.
제 2 타공판(192)은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제 2-1 하우징(191)의 일단 내측에 위치하며, 복수개의 관통홀(190a)이 형성되는 것으로, 제 2-1 타공판(192a)과 제 2-2 타공판(19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2 하우징(193)은 제 2 타공판(192)을 제 2-1 하우징(191)의 내주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단을 이루면서 형성된 제 2-1 하우징(191)의 일측 내주면에 대응하여 내주면과 외주면이 단을 이루면서 형성되며, 제 2-1 하우징(191)의 일측 내주면에 결합된 제 2-2 하우징(193)을 통해 제 2-1 타공판(192a)과 제 2-2 타공판(192b)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제 2 플랜지(194)는 제 2-1 하우징(191) 및 제 2-2 하우징(193)에 제 2 타공판(192)을 결합시키는 것으로, 체결 수단(191a)을 통해 제 2-1 타공판(192a)과 제 2-2 타공판(192b)을 제 2-1 하우징(191) 및 제 2-2 하우징(193)의 내주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 2 플랜지(194)의 일단 외측으로는 후단 관로(170)가 볼트, 너트 등의 다른 체결 수단을 통해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는 전단 관로(160)와 밸브 몸체(110)의 입구 사이에 제 1 타공판 부재(180)가 구비되고, 후단 관로(170)와 밸브 몸체(110)의 출구 사이에 제 2 타공판 부재(19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고, 양쪽 위치에 모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제 1 타공판 부재(180)에 구비된 제 1 타공판(182)과 제 2 타공판 부재(190)에 구비된 제 2 타공판(182)은 각각 두 개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 이상, 즉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 1 타공판(182)이 두 개가 구비될 경우 어느 하나의 제 1 타공판(182a)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180a)과 다른 제 1 타공판(182b)에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180b)은 각각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엇갈리게 하여 배열될 수 있다. 물론 제 2 타공판(192)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세 개 이상이 구비될 경우에도 복수개의 관통홀이 서로 엇갈리게 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는, 복수개의 관통홀(180a, 180b)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타공판(182)과 복수개의 관통홀(190a, 190b)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타공판(192)을 통해 고차압의 유체가 이동할 경우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억제하여 소음 발생 및 진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체 또는 기체가 복수개의 관통홀(180a, 180b, 190a, 190b)을 통과함으로써, 급격한 압력 강하를 억제할 수 있고, 소음 및 진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캐비테이션 현상으로 인한 밸브 및 배관의 부식(erosion)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또는 기체가 밸브 몸체(110)를 통해 이동할 경우 스템(140)을 통해 볼(120)을 강하게 회전시켜 밀게 됨으로써, 시트 부재(130)에 밀착되기 때문에 이동하는 유체 또는 기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120)이 시트 부재(130)를 벗어난 이후에 개구 공간을 통해 일정한 개도량을 유지시키면서 개방될 수 있고, 밸브 몸체(110)에 형성된 유연한 원형 형태의 공동부(111)를 통해 그 유선을 타고 유연하게 흐르게 할 수 있으며, 볼(120)을 타고 흐르는 유체 또는 기체는 밸브 몸체(110)의 출구 측 제 2 타공판(192)을 통과하면서 그 흐름이 안정화되어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할 수 있고, 와류 현상 및 케비테이션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밸브 및 배관을 보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밸브 몸체 120 : 볼
130 : 시트 부재 140 : 스템
150 : 구동부 160 : 전단 관로
170 : 후단 관로 180 : 제 1 타공판 부재
190 : 제 2 타공판 부재

Claims (4)

  1. 유체 또는 기체의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동부가 형성되는 밸브 몸체와,
    상기 공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내설되며, <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반구체의 볼과,
    상기 볼이 상기 밸브 몸체의 내부 유로를 폐쇄할 경우 상기 볼에 밀착되는 시트 부재와,
    상기 볼의 회전축상에 고정 결합되는 스템과,
    상기 스템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템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밸브 몸체의 전단에 결합되는 전단 관로와,
    상기 밸브 몸체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단 관로와,
    상기 밸브 몸체 및 전단 관로의 사이, 상기 밸브 몸체 및 후단 관로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비되며, 와류 현상 및 캐비테이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유체 및 기체가 이동하는 타공판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타공판 부재는,
    상기 밸브 몸체 및 전단 관로의 사이, 상기 밸브 몸체 및 후단 관로의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에 고정 결합되는 제 1 하우징과,
    원형 플레이트 형태로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을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주에 위치시키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에 상기 타공판을 결합시키는 플랜지
    를 포함하는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은,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될 경우, 각각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관통홀이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외주면은 반구형의 형태를 가지며, 내주면은 상기 <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KR1020140034944A 2014-03-25 2014-03-25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KR101545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44A KR101545811B1 (ko) 2014-03-25 2014-03-25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4944A KR101545811B1 (ko) 2014-03-25 2014-03-25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811B1 true KR101545811B1 (ko) 2015-08-24

Family

ID=5406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944A KR101545811B1 (ko) 2014-03-25 2014-03-25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8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9783A (zh) * 2017-09-22 2017-12-19 兰州理工大学 一种带组合孔板的消声v型球阀
CN107631049A (zh) * 2017-09-22 2018-01-26 兰州理工大学 一种带组合孔板的多级降压v型球阀
CN110513532A (zh) * 2019-08-15 2019-11-29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阀门消音器及具有该阀门消音器的电子膨胀阀
CN110594442A (zh) * 2019-09-20 2019-12-20 淄博沃泰斯石化设备有限公司 一种dbb强制密封阀及操作装置
KR20200045101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기하정밀 다공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콘밸브
KR102430545B1 (ko) * 2021-05-31 2022-08-0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바이패스 분산 밸브를 이용한 캐비테이션 저감 밸브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54B1 (ko) * 1994-06-21 2004-06-30 피셔콘트롤스인터내쇼날엘엘씨 감쇄기와동적의실을갖는유체제어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154B1 (ko) * 1994-06-21 2004-06-30 피셔콘트롤스인터내쇼날엘엘씨 감쇄기와동적의실을갖는유체제어밸브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9783A (zh) * 2017-09-22 2017-12-19 兰州理工大学 一种带组合孔板的消声v型球阀
CN107631049A (zh) * 2017-09-22 2018-01-26 兰州理工大学 一种带组合孔板的多级降压v型球阀
CN107489783B (zh) * 2017-09-22 2019-09-17 兰州理工大学 一种带组合孔板的消声v型球阀
KR20200045101A (ko) * 2018-10-22 2020-05-04 주식회사 기하정밀 다공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콘밸브
KR102190725B1 (ko) 2018-10-22 2020-12-14 주식회사 기하정밀 다공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콘밸브
CN110513532A (zh) * 2019-08-15 2019-11-29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阀门消音器及具有该阀门消音器的电子膨胀阀
WO2021027512A1 (zh) * 2019-08-15 2021-02-18 浙江盾安人工环境股份有限公司 阀门消音器及具有该阀门消音器的电子膨胀阀
JP2022543721A (ja) * 2019-08-15 2022-10-14 浙江盾安人工環境股▲ふん▼有限公司 弁消音器及びこの弁消音器を有する電子膨張弁
JP7259071B2 (ja) 2019-08-15 2023-04-17 浙江盾安人工環境股▲ふん▼有限公司 弁消音器及びこの弁消音器を有する電子膨張弁
CN110594442A (zh) * 2019-09-20 2019-12-20 淄博沃泰斯石化设备有限公司 一种dbb强制密封阀及操作装置
KR102430545B1 (ko) * 2021-05-31 2022-08-08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바이패스 분산 밸브를 이용한 캐비테이션 저감 밸브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811B1 (ko) 와류 방지용 컨트롤 밸브
ES2690758T3 (es) Válvula de bola
JP5602159B2 (ja) 内部アクチュエータを有する軸流制御弁
KR101883458B1 (ko) 콘트롤 버터플라이 밸브
JP6335900B2 (ja) 環状流量制御部材を持つ軸方向流体バルブ
CN107429859B (zh) 能量回收用流量控制阀
US8336849B2 (en) Conical seat shut off valve
EP2175180B1 (en) Butterfly valve flow control device
CA2969903A1 (en) Valve body and seat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
US9739311B2 (en) Bearing structure and turbocharger
JPWO2011128974A1 (ja) バタフライバルブの弁体
GB2484338A (en) Valve seal
US20070194263A1 (en) Valve arrangement
KR101909659B1 (ko) 이중 실린더 밸브
KR101848858B1 (ko) 누설방지용 밸브 구동조립체
CN110686122B (zh) 旋转轴向截止阀
US20200088319A1 (en) Y-globe valve assembly with integrated pressure relief passageway
KR20110076081A (ko) 차단밸브
JP6118283B2 (ja) ボールバルブ
RU178621U1 (ru) Поворотный дисковый затвор
KR200432284Y1 (ko) 구루빙형 버터플라이 밸브
HUE028280T2 (en) Regulating ball valve
RU138816U1 (ru) Задвижка запорно-регулирующая
KR20170064859A (ko) 와류 방지용 압력감쇄부재를 구비한 버터플라이 밸브
KR20090081663A (ko) 스윙 버터플라이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