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420B1 - Elevator guidance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guidanc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420B1
KR101545420B1 KR1020137021808A KR20137021808A KR101545420B1 KR 101545420 B1 KR101545420 B1 KR 101545420B1 KR 1020137021808 A KR1020137021808 A KR 1020137021808A KR 20137021808 A KR20137021808 A KR 20137021808A KR 101545420 B1 KR101545420 B1 KR 10154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idance
priority
elevator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1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18956A (en
Inventor
겐지 다니야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8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8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4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8Displaying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elevator, e.g. weather, publicity, internet or TV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33Voice editing, e.g. manipulating the voice of the synthesiser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각 정보를 적절히 안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알림 수단에 안내시키기 위한 각 정보와 우선도를 대응지어 기억한 기억 수단과, 복수의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복수의 안내의 우선도를 비교하여 알림 수단에 안내시킬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기억 수단은 각 정보의 우선도를, 안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제어 수단은 제1 정보의 안내 중에, 제2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는, 안내의 개시 시점에 대응한 제2 정보의 우선도를, 안내를 개시하고 나서 제2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기까지 경과한 시점에 대응한 제1 정보의 우선도와 비교하여, 제1 정보의 안내를 계속할지 제1 정보의 안내를 중단하고 제2 정보의 안내를 개시할지를 선택하도록 했다. An elevator guide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guiding each information of an elevator is provided.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nformation for guiding to the informing means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or the elevator car and the priority degree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a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informations And the control means for storing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guidance, When the condition for guiding the second information is established during the guidance, the priority of the seco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guidance is set to the point at which the condition for guiding the second information To select whether to continue the guidance of the first information or to stop the guidanc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o start guidance of the second information.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ELEVATOR GUIDANCE DEVICE}[0001] ELEVATOR GUIDANCE DEVICE [0002]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apparatus for an elevator.

엘리베이터에는 안내 장치가 마련된다. 안내 장치에는, 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황이나 동작 예보, 재해 상황, 이용층의 설명 등 다양한 안내 정보가 기억된다. 안내 장치에는 각 정보에 대해서, 안내하는 조건(타이밍)이 미리 설정된다. 안내 장치는 조건이 성립한 정보를 안내하도록 알림 수단을 제어한다.The elevator is provided with a guide device. In the guide device, various guide information such as an operation status of an elevator, an operation forecast, a disaster situation, and a description of a use floor are stored. In the guide apparatus, a condition (timing) for guiding each information is set in advance. The guide device controls the notification means so as to guide the information that the condition has established.

어느 정보의 안내 중에 다른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안내 중인 정보의 안내를 계속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안내를 개시하면, 안내를 완료하는 것이 보증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게 정보를 확실히 전할 수 있다. When a condition for guiding other information is established during guidance of certain information, a method of continuing guidance of the information being guided can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is method, when the guidance starts, it is guaranteed to complete the guidance. Therefore, information can be surely transmitted to the user of the elevator.

그렇지만, 어느 정보의 안내 중에 중요한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해도, 중요한 정보가 안내되지 않거나, 안내의 개시가 늦어지게 된다. 그 결과, 잘못된 타이밍에, 정보가 안내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도어가 열립니다」라고 하는 안내가 도어 열림 완료 후에 행해지는 경우도 있다. However, even if the conditions for guiding important information are established during the guidance of certain information, important information is not guided, or the start of guidance is delayed. As a result, the information may be guided at the wrong timing. For example, the guidance " door opens " may be performed after completion of door opening.

이것에 대해, 어느 정보의 안내 중에 다른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안내 중인 정보의 안내를 중단하여 새로 조건이 성립한 정보의 안내를 행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게 최신의 정보를 즉석에서 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dition for guiding other information is established during the guidance of certain information, a method of stopping the guidance of the guidance information and guiding the newly established information may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latest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user of the elevator immediately.

그렇지만, 안내 중인 정보가 중요하더라도, 안내가 중단된다. 이 때문에, 중요한 정보가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게 전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However, even if the information being guided is important, the guidance is interrupted. For this reason, important information may not be delivered to the user of the elevator.

이러한 방법에 반해, 안내 정보의 내용에 따라 우선도를 설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중요하지 않은 정보를 안내하고 있는 한중간에 중요한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중요하지 않은 정보의 안내를 중단하고, 중요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다. 즉, 중요한 정보는 즉시 안내된다. 한편, 중요한 정보를 안내하고 있는 한중간에 다른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다른 정보의 안내의 개시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중요한 정보의 안내는 다른 정보의 안내에 저해되지 않는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In contrast to this method, a method of setting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guide information has been proposed. According to this method, when a condition for guiding important information is established during a short period of time which guides non-critical information, guidance of non-critical information can be stopped and important information can be guided. That is, important information is immediately notified. On the other hand, when a condition for guiding other information is established during the middle of the period of guiding importan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tart of guidance of other information. That is, the guidance of important information is not disturbed by guidance of other information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12790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P-A-2002-127905 이 방법을 엘리베이터에 적용하면, 중요한 정보는 올바른 타이밍으로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에게 확실히 전해진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의 안심감을 높일 수 있다.Applying this method to elevators ensures that important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elevator user at the right time. Therefore, the relief of the user of the elevator can be enhanced.

그렇지만, 특허 문헌 1 기재의 방법에 있어서는, 각 정보의 우선도가 고유하게 설정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표시 장치에 정보를 표시시킬 때, 표시 중인 정보의 우선도보다도 낮은 우선도의 정보를 표시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미리 설정된 표시 계속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우선도가 낮은 우선도의 정보는 표시되지 않는다. 즉, 표시 중인 정보를 표시하고 나서 충분한 시간이 경과해도, 최신의 정보를 표시할 수 없다. However, in the method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is uniquely set. Therefore, for example, when displaying the information on the display device, when a condition for displaying information with a priority lower than the priority of the information being displayed is established, if the preset display continuation time does not elapse, Low priority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That is, the latest information can not be displayed even after a sufficient time has elapsed since the information being displayed.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각 정보를 적절히 안내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guide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guiding each information of an elevator.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알림 수단에 안내시키기 위한 각 정보와 우선도를 대응지어 기억한 기억 수단과, 복수의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내의 우선도를 비교하여, 상기 알림 수단에 안내시킬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각 정보의 우선도를, 안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시켜 기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정보의 안내 중에 제2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는, 안내의 개시 시점에 대응한 상기 제2 정보의 우선도를, 안내를 개시하고 나서 상기 제2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기까지 경과한 시점에 대응한 상기 제1 정보의 우선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정보의 안내를 계속할지 상기 제1 정보의 안내를 중단하고 상기 제2 정보의 안내를 개시할지를 선택하는 것이다. The elevator guid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vator guide device comprises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nformation for guiding to the informing means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or the elevator car in correspondence with the degree of priority, And a control unit that compares the priority of the plurality of guidance items with each other and selects information to be presented to the notification unit, wherein the storage unit stores the priority of each piece of information in an elapsed time And when the condition for guiding the second information is established during the guidance of the first information, the control means changes the priority of the seco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guidance from the start of the guidance Comparing the first information with the priority of the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when the condition for guiding the second information has elapsed, Stop the guidance of the first information, and to select whether to start the guidance of the second inform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각 정보를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guide each information of the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안내하는 정보의 우선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안내하는 정보의 우선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안내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실제로 안내하는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in which a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ority of information guided by the elevator guide device in the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ority of information guided by the elevator guide devi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the guide apparatus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guide candidates. Fig.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information actually guided by the elevator guide device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두고,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이용되는 엘리베이터의 구성도이다. 또한, 실제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필요한 권상기나 신호의 전송 제어 장치 등은 일반적인 구성에 준거하는 것으로 한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levator in which a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IG. Further, a traction machine and a signal transmission control device or the like necessary for the actual operation of the elevator are based on a general configuration.

도 1에 있어서, 건축물의 각 층에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1)이 마련된다. 각 승강장(1)에 인접하도록,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승강로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2)이 배치된다. 엘리베이터 칸(2)은 주 로프(3)에 매달려 있다. 주 로프(3)는 권상기의 회전에 추종하여 이동한다. 이 이동에 추종하여, 엘리베이터 칸(2)이 승강한다. In Fig. 1, a platform 1 of an elevator is provided on each floor of a building. A hoistway (not shown) of the elevator is formed adjacent to each landing platform 1. In the hoistway, an elevator car (2) is disposed. The elevator car (2) hangs on the main rope (3). The main rope 3 moves following the rotation of the traction machine. Following this movement, the elevator car 2 ascends and descends.

각 승강장(1)과 엘리베이터 칸(2)에는, 알림 수단으로서 액정 등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4)이 마련된다. 각 표시 화면(4)은 안내 표시 장치(5)에 접속된다. 안내 표시 장치(5)는 표시 화면(4)이 출력하는 영상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각 승강장(1)과 엘리베이터 칸(2)에는, 알림 수단으로서 스피커(6)가 마련된다. 스피커(6)는 음성 안내 장치(7)에 접속된다. 음성 안내 장치(7)는 스피커(6)가 출력하는 음성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In each of the landing platform 1 and the car 2, a display screen 4 of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is provided as a notification means. Each display screen (4) is connected to the guide display device (5). The guide display device (5)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an image outputted from the display screen (4). In each of the landing platform 1 and the elevator car 2, a speaker 6 is provided as a notification means. And the speaker 6 is connected to the voice guidance device 7. [ The voice guidance apparatus (7)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voice output from the speaker (6).

엘리베이터의 기계실(도시하지 않음) 등에는, 엘리베이터 제어반(8)이 마련된다. 엘리베이터 제어반(8) 내에는, 운전 제어 장치(9), 엘리베이터 안내 장치(10)가 마련된다. 운전 제어 장치(9)는 엘리베이터 칸(2)의 동작이나 도어의 개폐 등의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안내 장치(10)는 안내 기억 수단(11), 안내 제어 수단(12)을 구비한다. An elevator control panel 8 is provided in a machine room (not shown) of the elevator. In the elevator control panel 8,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9 and the elevator guiding device 10 are provided.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9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such as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2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elevator guide device (10) is provided with guide storage means (11) and guide control means (12).

안내 기억 수단(11)은 엘리베이터의 안내에 관한 각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각 정보에는 안내 경과 시간, 안내 완료 시간의 데이터가 대응지어진다. 또한, 각 정보에는 안내 경과 시간에 대응한 우선도의 데이터가 대응지어진다. The guide storage means 11 has a function of storing each information relating to the guidance of the elevator. The information of the guidance elapsed time and the guidance completion time are associated with each information. Each piece of information is associated with priority data corresponding to the guidance elapsed time.

안내 제어 수단(12)은 운전 제어 장치(9)로부터 엘리베이터나 주위의 상황에 따른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정보를 안내 요구로서 인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요구 중에서 안내를 개시하는 정보를 결정하고, 당해 정보를 안내 후보로서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The guide control means (12) has a function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9) in accordance with an elevator or surrounding circumstances.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has a function of recognizing the information that the guiding condition holds as a guiding request. The guide control means (12) has a function of determining information to start guidance in the guidance request, and setting the information as a guidance candidate.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표시 장치(5), 음성 안내 장치(7)를 통하여, 표시 화면(4), 스피커(6)에 안내 후보를 출력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중인 정보를 안내 기억 정보로서 안내 기억 수단(11)에 기억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The guide control means 12 has a function of outputting guidance candidates to the display screen 4 and the speaker 6 through the guidance display device 5 and the voice guidance device 7. [ The guide control means (12) has a function of storing the information being guided as guide memory information in the guide memory means (11).

안내 제어 수단(12)은 이미 안내 기억 수단(11)에 안내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안내 기억 정보의 우선도와 안내 후보의 정보의 우선도를 비교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안내 제어 수단(12)은 우선도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안내 기억 정보의 안내를 계속할지 안내 기억 정보의 안내를 중단하고 안내 후보의 정보의 안내를 새로 개시할지를 선택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The guide control means 12 has a function of comparing the priority of the guidance storage information with the priority of the guidance candidate information when the guidance storage information is already stored in the guidance storage means 11. [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egree of priority, the guide control means 12 has a function of continuing the guidance of the guidance storage information, stopping the guidance of the guidance storage information, and selecting whether to start the guidance of the guidance candidate information newly.

다음으로, 도 2와 도 3을 이용하여, 각 정보의 우선도를 설명한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2 and Fig. 3,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will be described.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안내하는 정보의 우선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도 3의 가로축은 안내 경과 시간이다. 도 2, 도 3의 세로축은 정보의 우선도이다. Fig. 2 and Fig. 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priority of information guided by the elevator guide devi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abscissa in Figs. 2 and 3 is a guidance elapsed time. The vertical axes in Figs. 2 and 3 are priorities of information.

각 정보의 우선도는 안내 경과 시간에 따라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화면(4), 스피커(6)의 형편, 정보가 상대적으로 중요한지 여부, 중단되면 오해가 생길 수 있는 타이밍인지 여부 등에 기초하여, 각 정보의 우선도가 설정된다.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is set according to the guidance elapsed time. Concretely,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is set based on the display screen 4, the availability of the speaker 6, whether information is relatively important, whether or not the information can be misinterpreted when it is stopped, and the like.

도 2는 「一階でございます(1층에 있습니다)」라고 하는 일본어의 안내 음성에 설정된 우선도이다. 도 2의 우선도의 초기치는, 다른 정보보다 우선도는 낮게 설정된다. 안내가 개시되어 「いっかい(1층)」이 안내되고 종료될 때까지의 우선도는 일정치로 유지된다. 당해 일정치는 초기치보다도 크다. 이 때문에, 다른 정보가 있는 정도 중요한 것이 아니면, 당해 안내는 중단되지 않게 되어 있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priority set for the guidance voice of Japanese "on the first floor" (on the first floor). The initial value of the priority of Fig. 2 is set to be lower than other information. The priority i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until guidance is announced and "Ikkai (1st floor)" is guided and ended. The predetermined value is larger than the initial value. For this reason, the guidance is not stopped unless it is so important that other information exists.

도 2에 있어서, 「で」후에 다른 정보의 안내가 끼어든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一階で(1층에서)」가 다른 정보로의 수식어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오해가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一階で」가 「火災か發生しました(화재가 발생했습니다)」의 수식어로 되면, 「一階で火災か發生しました(1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습니다)」로 오해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오해를 피하기 위해, 「でご」를 안내하고 있을 때의 우선도는, 앞의 일정치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다른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해도, 당해 안내의 중단은 저지되게 되어 있다. In Fig. 2, a case in which guidance of other information is interrupted after "after" is considered. In this case, "on the first floor (on the first floor)" can be a modifier to other information. In this case, a misunderstanding may occur. For example, if "on the first floor" is a modifier of "a fire has occurred (a fire has occurred)", it will be misunderstood as "a fire has occurred on the first floor" . In order to avoid such a misunderstanding, the priority at the time of guiding "to" is set to a value larger than the above-mentioned constant. Thereby, even if the condition for guiding other information is established, the interruption of the guidance is prevented.

도 2에 있어서, 「ご」이후는 중요한 정보는 아니다. 이 때문에, 「ご」이후의 안내를 끝까지 들을 수 없어도 문제없다. 이 때문에, 「ご」이후의 우선도는 서서히 낮아지도록 설정된다. In Fig. 2, " after " is not important information. For this reason, there is no problem even if you can not listen to the guide after "ご" until the end. For this reason, the priority after "G" is set to be gradually lowered.

도 3은 「火災か發生しました(화재가 발생했습니다)」와 같은 일본어의 안내 음성에 설정된 우선도이다. 화재의 발생은 중요한 정보이다. 이 때문에, 「かさい(화재)」의 우선도는 높게 설정된다. 「かさい(화재)」이후는 중요한 정보는 아니다. 이 때문에, 「かさい(화재)」이후의 안내를 끝까지 들을 수 없어도 문제없다. 이 때문에, 「がはっせい(가 발생)」의 우선도는 약간 낮은 일정치로 유지된다. FIG. 3 is a priority set for the guidance voice in Japanese such as "a fire has occurred (a fire has occurred)". The occurrence of fire is important information. For this reason, the priority of "fire (fire)" is set high. After "fire (fire)" is not important information.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even if you can not hear the guide after "Kashi (fire)" until the end. For this reason, the priority of "is (is) occurred" is maintained at a slightly lower fixed value.

도 3에 있어서, 안내 완료 시간까지 남아있는 시간이 적으면, 끝까지 안내하고 나서 새로운 정보를 안내해도 문제없다. 이 때문에, 「がはっせい(가 발생)」의 직후의 「し」이후의 우선도는 서서히 높아지도록 설정된다. In Fig. 3, if the remaining time until the guide completion time is small, there is no problem to guide new information after guiding to the end. For this reason, the priority level after "immediately after" is set so as to be gradually increased.

이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설계자의 생각에 따라서, 각 정보의 우선도를 설정하면 좋다. 즉, 가능한 한 새로운 정보를 전하는 것을 우선하거나, 끝까지 안내하는 것을 우선하는 등으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우열 관계는, 표시 화면(4)에 표시시키는 영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정된다. In this manner,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may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idea of the elevator designer. In other words, priority may be given to conveying new information as much as possible, or to give guidance to the end. The above-mentioned rank relationship is similarly set for the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4 as well.

다음으로, 도 4를 이용하여, 안내 후보의 결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determining the guidance candidat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안내 후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the guide apparatus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etermine guide candidates. Fig.

우선, 스텝 S1에서는, 운전 제어 장치(9)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의 제어 내용에 따라서, 엘리베이터나 주위의 상황을 엘리베이터 상태 신호로서 설정한다. 그 후, 운전 제어 장치(9)는 엘리베이터 상태 신호를 안내 제어 수단(12)에 출력한다. 그 후, 스텝 S2로 진행하며, 안내 제어 수단(12)은 엘리베이터 상태 신호에 기초하여, 모든 정보에 대해서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First, in step S1,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9 sets an elevator or a surrounding situation as an elevator stat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contents of the elevator operation. Thereafter, the operation control device 9 outputs the elevator state signal to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2, and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judges, based on the elevator state signal, whether or not a guiding condition for all the information is established.

그 후, 스텝 S3으로 진행하며, 안내 제어 수단(12)은 복수의 안내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복수의 안내 요구가 없는 경우는, 스텝 S4로 진행하며, 안내 제어 수단(12)은 단일의 안내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일의 안내 요구가 없는 경우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후보가 없다고 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3, and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judges whether there is a plurality of guiding requests. If there is not a plurality of guidance requests,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4, and the guidance control means 1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single guidance request. If there is no single guidance request,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5. In step S5,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determines that there is no guidance candidate, and ends the operation.

이것에 대해, 스텝 S4에서 단일의 안내 요구가 있는 경우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당해 안내 요구를 안내 후보로 설정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a single guidance request in step S4,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6. In step S6,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sets the guiding request as a guiding candidate, and ends the operation.

스텝 S3에서 복수의 안내 요구가 있는 경우는, 스텝 S7로 진행한다. 스텝 S7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우선도의 초기치가 가장 높은 안내 요구를 안내 후보로 설정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If there are a plurality of guidance requests in step S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7. In step S7,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sets the guidance request having the highest initial value of the priority as the guiding candidate, and ends the operation.

다음으로, 도 5를 이용하여, 실제로 안내하는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actually determining information to be gui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가 실제로 안내하는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determining information actually guided by the elevator guide device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우선, 스텝 S11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도 4의 동작에 의해서 안내 후보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안내 후보가 없는 경우는,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를 종료할 타이밍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이 안내 완료 시간에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안내가 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동작을 종료한다.First, in step S11,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judges whether or not guiding candidates have been set by the operation of Fig. If there is no guidance candidat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2. In step S12,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judges whether or not the timing is to end guidance. Specifically, the guide control means 12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guidance matches the guidance completion time. When the guidance is not started, the guide control means 12 ends the operation.

스텝 S11에서 안내 후보가 있는 경우는,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기억 수단(11)에 안내 기억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안내 기억이 없는 경우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If there is a guidance candidate in step S11,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3. In step S13,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judges whether or not guiding memory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guiding memory means 11. If there is no guidance memor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4.

스텝 S14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표시 장치(5), 음성 안내 장치(7)를 통하여, 표시 화면(4), 스피커(6)에 안내 후보를 안내시킨다. 그 후, 스텝 S15로 진행하며,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를 개시한 정보를 안내 기억 정보로서 안내 기억 수단(11)에 기억시키고, 동작을 종료한다. The guidance control means 12 guides the guidance candidate to the display screen 4 and the speaker 6 via the guidance display device 5 and the voice guidance device 7 in step S14.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 in which the guide control means 12 stores the information which has started the guidance as guide memory information in the guide memory means 11, and ends the operation.

스텝 S11에서 새로운 안내 후보가 없는 상태에서, 스텝 S12에서 안내를 종료할 타이밍이 되면,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기억 수단(11)에 기억되어 있는 안내 기억 정보를 소거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If it is determined at step S11 that there is no new guidance candidate and the guidance ends at step S12,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6. In step S16, the guide control unit 12 erases the guide storage information stored in the guide storage unit 11, and ends the operation.

스텝 S11에서 새로운 안내 후보가 있고, 스텝 S13에서 안내 기억 정보도 있는 경우는,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중인 정보의 현시점에서의 우선도와 새로운 안내 후보의 우선도의 초기치를 비교한다. 새로운 안내 후보의 우선도의 초기치보다도 안내 중인 정보의 현시점에서의 우선도가 높은 경우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중인 정보의 안내를 계속하고, 스텝 S12 이후의 동작을 행한다. If there is a new guidance candidate in step S11 and there is guidance storage information in step S1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7. In step S17, the guidance control means 12 compares the priority at the current point in the information being guided with the initial value of the priority of the new guidance candidate. If the priority at the current point of the information currently being guided is higher than the initial value of the priority of the new guidance candidate,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continues the guidance of the information being guided and performs the operation after step S12.

이것에 반해, 안내 중인 정보의 현시점에서의 우선도보다 새로운 안내 후보의 우선도의 초기치가 높은 경우는,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안내 제어 수단(12)은 안내 표시 장치(5), 음성 안내 장치(7)를 통하여, 표시 화면(4), 스피커(6)에 안내 중인 안내를 중단시킨 후, 새로운 안내 후보를 안내시킨다. 그 후, 스텝 S15로 진행하며, 안내 제어 수단(12)은 새로운 안내 후보를 안내 기억 정보로서 안내 기억 수단(11)에 기억시키고, 동작을 종료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itial value of the priority of the new guidance candidate is higher than the priority at the current point in the information being guide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8. In step S18, the guiding control means 12 stops guidance on the display screen 4 and the speaker 6 via the guidance display device 5 and the voice guidance device 7, Guide. Thereafter,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5, and the guidance control means 12 stores the new guidance candidate as the guidance storage information in the guidance storage means 11, and ends the op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각 정보의 우선도는 안내 경과 시간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각 정보의 사이에 유연한 우열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우선도에 기초하여, 안내하는 정보가 선택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정보의 안내 중에, 제2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 안내의 개시 시점에 대응한 제2 정보의 우선도가, 제1 정보의 안내를 개시하고 나서 제2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기까지 경과한 시점에 대응한 제1 정보의 우선도와 비교된다. 이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안내하는 정보가 선택된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각 정보를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is set to correspond to the guidance elapsed time. This makes it possible to establish a flexible rank relationship between the pieces of information. Based on the set priority, the information to be guided is selected.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ndition for guiding the second information is established during the guidance of the first information, the priority of the seco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guidance is set so that the priority of the second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priority of the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int in time when the condition for guiding the first information is satisfied.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the information to be guided is selected. Therefore, each information of the elevator can be appropriately guided.

구체적으로는, 소정의 개소까지 안내를 한 후에 안내를 중단하면 오해가 생길 수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소정의 개소를 안내하기까지 경과한 시점에 대응한 우선도를, 안내의 개시 시점에 대응한 다른 정보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하면 좋다. 이 경우, 오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information that may cause misunderstanding if guidance is stopped after guidanc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priority corresponding to the point at which a predetermined position is elapsed is referred to as another It may be set to be higher than the priority of information. In this case, misunderstanding can be prevented.

또, 스피커(6)에서 음성 안내하는 경우, 각 정보에 대해서는, 소정 시간을 경과한 후의 우선도를, 소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하면 좋다. 안내 완료 시간과 소정 시간의 차가 일정하게 되도록 설정하면, 곧 음성 안내가 종료하는 경우, 당해 음성 안내가 종료되고 나서, 다른 안내를 행하도록 할 수 있다. When voice guidance is performed by the speaker 6, the priority after each predetermined time is set to be higher than the priority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for each piece of informa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guide completion time and the predetermined time is set to be constant, when the voice guidance ends so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nother guidance after the voice guidance ends.

또, 표시 화면(4)에서 표시 안내하는 경우, 각 정보에 대해서는, 소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의 우선도를, 소정 시간을 경과한 후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하면 좋다. 이 경우,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표시 내용을 다 읽을 때까지의 표시 시간을 확보하면서, 다른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할 때까지 당해 표시 안내를 계속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display guidance on the display screen 4, for each piece of information, it is preferable to set the priority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o be higher than the priority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this case, the display guidance can be continued until the condition for guiding other information is established, while securing the display time until the user of the elevator reads the display contents.

또, 안내를 개시하면 끝까지 안내할 필요가 있는 정보에 대해서는, 안내의 개시 후의 우선도를, 안내의 개시 시점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하면 좋다. 이 정보는 다른 안내를 중단시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안내 개시의 타이밍이 다소 늦는 경우도 있다. 그렇지만, 정보의 안내가 개시되면, 당해 정보를 끝까지 확실히 안내할 수 있다. For th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guided to the end when the guidance starts, the priority after the start of the guidance may be set higher than the priority at the start of the guidance. This information does not interrupt other guidance. For this reason, the timing of starting the guidance may be somewhat late. However, when the guidance of the information is started, the information can be reliably guided to the end.

또, 안내 중에 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황이 변화했을 경우는, 빈 정보(null information)를 끼어들게 하고, 안내를 중단해도 좋다. 이 경우, 상황에 맞지 않는 정보의 안내가 중단된다. 이 때문에, 오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f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vator changes during the guidance, null information may be interrupted and the guidance may be interrupted. In this case, guidance of information that is not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is stopped. Therefore, misunderstanding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또한,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단일의 안내 제어 수단(12)에 의해서, 승강장(1)과 엘리베이터 칸(2)에 대응한 모든 안내 표시 장치(5)와 음성 안내 장치(7)를 제어했다. 이 때문에, 염가의 구성으로, 안내해야 할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all the guide display devices 5 and the voice guidance device 7 corresponding to the landing platform 1 and the car 2 are controlled by the single guide control means 12. Therefore, information to be guided can be selected with a low-cost configuration.

이것에 대해, 안내 제어 수단(12)을 각 승강장(1)과 엘리베이터 칸(2)에 마련하면, 각 안내 표시 장치(5)와 각 음성 안내 장치(7)를 독립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2)의 정지층의 승강장(1)과 엘리베이터 칸(2)의 안내가 도어 열림시에만 동일하게 되도록 연동하여 제어하면, 엘리베이터 칸(2)의 승강에 관한 정보를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화면(4)에서의 표시 안내와 스피커(6)의 음성 안내가 연동하도록 제어하면, 표시와 음성에 의해서 다양한 이용자에 대해, 정보를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guide control means 12 is provided in each landing platform 1 and the car 2, each guide display device 5 and each voice guidance device 7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If the control of the elevator car 1 in the elevator car 2 and the guiding of the elevator car 2 are controlled so as to be the same only when the doors are opened, information on the elevation of the elevator car 2 can be appropriately guided . When the display guidance on the display screen 4 and the voice guidance of the speaker 6 are controlled to be interlocked, information can be appropriately guided to various users by display and voice.

또, 실시 형태 1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 안내 장치(10)의 내부에서, 안내 중인지 여부의 판정, 우선도의 비교 등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표시 화면(4), 스피커(6)에 관계없이, 안내해야 할 정보를 확실히 선택할 수 있다. In Embodiment 1,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guidance is performed and comparison of priority have been performed in the elevator guiding apparatus 10. Therefore, regardless of the display screen 4 and the speaker 6, information to be guided can be reliably selected.

이것에 대해, 표시 화면(4), 스피커(6)가 안내 중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안내 중인 정보의 우선도를 출력하도록 하면, 엘리베이터 안내 장치(10)를 간소화하면서, 엘리베이터의 각 정보를 적절히 안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by outputting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display screen 4 and the speaker 6 are being guided and outputting the priority of the information being guided, the elevator guide device 10 can be simplified, Can be properly guided.

또한, 알림 수단은 표시 화면(4) 및 스피커(6) 중 적어도 한쪽만 이라도 좋다. The notification means may be at least one of the display screen 4 and the speaker 6. [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는 각 정보를 적절히 안내하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INDUSTRIAL APPLICABILITY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gu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 elevator that appropriately guides each information.

1: 승강장
2: 엘리베이터 칸
3: 주 로프
4: 표시 화면
5: 안내 표시 장치
6: 스피커
7: 음성 안내 장치
8: 엘리베이터 제어반
9: 운전 제어 장치
10: 엘리베이터 안내 장치
11: 안내 기억 수단
12: 안내 제어 수단
1: platform
2: Elevator car
3: Main ropes
4: Display screen
5: Information display device
6: Speaker
7: Voice guidance device
8: Elevator control panel
9: Operation control device
10: elevator guide device
11: guide memory means
12: guide control means

Claims (6)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알림 수단에 안내시키기 위한 각 정보와 우선도를 대응지어 기억한 기억 수단과,
복수의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안내의 우선도를 비교하여, 상기 알림 수단에 안내시킬 정보를 선택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각 정보의 우선도를, 안내를 개시하고 나서의 경과 시간에 대응시킨 시간의 함수로서 기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제1 정보의 안내 중에, 제2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했을 경우는, 안내의 개시 시점에 대응한 상기 제2 정보의 우선도를, 안내를 개시하고 나서 상기 제2 정보를 안내하는 조건이 성립하기까지 경과한 시점에 대응한 상기 제1 정보의 우선도와 비교하여, 상기 제1 정보의 안내를 계속할지 상기 제1 정보의 안내를 중단하고 상기 제2 정보의 안내를 개시할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information for guiding to the informing means provided in the elevator car or the elevator car in association with the priority,
And control means for comparing the priorities of the plurality of guides and selecting information to be presented to the notifying means when a condition for guiding a plurality of information is established,
The storage means stores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as a function of the time associated with the elapsed time since the start of the guidance,
Wherein when the condition for guiding the second information is established during the guidance of the first information, the control means sets the priority of the seco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guidance to the second informa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guidance of the first information is to be continued or the guidance of the first information is stopped and the guidance of the second information is to be started by comparing the priority of the firs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when the guiding condition has elapsed The elevator guide device compris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소정의 개소까지 안내를 한 후에 안내를 중단하면 오해가 생길 수 있는 정보에 대해, 상기 소정의 개소를 안내하기까지 경과한 시점에 대응한 우선도를, 안내의 개시 시점에 대응한 다른 정보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하여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means stores a priority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ime at which a predetermined point is elapsed from the information that may be misunderstood when the guide is stopped after guidance to a predetermined point, The elevation information of the elevator is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other inform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각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각 정보에 대해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의 우선도를, 상기 소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하여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means comprises a speaker for guiding the respective information by voice,
Wherein the storage means stores the priority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for each of the pieces of information so as to be higher than the priority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림 수단은 상기 각 정보를 표시하여 안내하는 표시 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각 정보에 대해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우선도를, 상기 소정 시간을 경과한 후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하여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otification means comprises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d guiding the respective pieces of information,
Wherein the storage means stores the priority information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for each of the pieces of information so as to be higher than the priority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안내를 개시하면 끝까지 안내할 필요가 있는 정보에 대해, 안내의 개시 후의 우선도를 안내의 개시 시점의 우선도보다도 높아지도록 하여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rage means stores the information after the start of the guidance so as to be higher than the priority of the start of the guide with respect to the information that needs to be guided to the end when the guidance starts.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각 정보의 우선도보다도 높은 우선도를 가진 빈 정보(null information)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엘리베이터의 동작 상황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안내 중인 정보가 상기 동작 상황에 맞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 상기 빈 정보를 끼어들게 하여, 상기 알림 수단에 안내를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안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storage means stores null information having a higher priority than the priority of each information,
Wherein the control means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elevator and interrupts the notification to the notification means when the information being guided is not suitable for the operation condition, The elevator guide device.
KR1020137021808A 2011-01-26 2011-01-26 Elevator guidance device KR10154542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51436 WO2012101768A1 (en) 2011-01-26 2011-01-26 Elevator guidanc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8956A KR20130118956A (en) 2013-10-30
KR101545420B1 true KR101545420B1 (en) 2015-08-18

Family

ID=4658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1808A KR101545420B1 (en) 2011-01-26 2011-01-26 Elevator guidance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669236A4 (en)
JP (1) JP5527436B2 (en)
KR (1) KR101545420B1 (en)
CN (1) CN103313926B (en)
WO (1) WO201210176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2273B2 (en) * 2011-07-28 2015-01-2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Interrupt control device and interrupt control method
JP6020189B2 (en) * 2013-01-18 2016-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Audio output control device
JP5764847B2 (en) * 2013-09-03 2015-08-1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WO2015037396A1 (en) * 2013-09-11 2015-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Voice output control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S2551939B1 (en) * 2014-05-21 2016-08-31 Orona, S. Coop. Method and status signaling system for a lifting device and lifting device comprising said system
CN104444667B (en) * 2014-12-08 2017-01-11 重庆富士电梯有限责任公司 Elevator running indication device in dispersive arrangement
DE112016006837B4 (en) * 2016-05-09 2021-01-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entry area notification system
WO2019180860A1 (en) * 2018-03-22 2019-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landing guidance device
JP7036264B1 (en) 2021-06-04 2022-03-15 三菱電機株式会社 Building management equipment and elevator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9687B2 (en) * 1988-07-01 1997-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information guidance device
JP2008290836A (en) 2007-05-24 2008-12-04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077B2 (en) * 1987-02-28 1996-05-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guide device
US4995479A (en) * 1988-03-09 1991-02-26 Hitachi, Ltd. Display guide apparatus of elevator and its display method
JPH04148783A (en) * 1990-10-09 1992-05-21 Toshiba Corp Voice guide device for elevator
JPH1145099A (en) * 1997-07-28 1999-02-16 Noritz Corp Detecting method for output state of voice synthesizing device, voice output control method and voice synthesizing device
JPH11209012A (en) * 1998-01-30 1999-08-03 Mitsubishi Electric Corp Automatic broadcasting device of elevator
JP3859954B2 (en) * 2000-10-25 2006-12-20 三菱電機株式会社 Train-mounted video information distribution and display system
JP2007290851A (en) * 2006-04-27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Announcing device of elev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9687B2 (en) * 1988-07-01 1997-05-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information guidance device
JP2008290836A (en) 2007-05-24 2008-12-04 Hitachi Ltd Elevator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2101768A1 (en) 2014-06-30
WO2012101768A1 (en) 2012-08-02
KR20130118956A (en) 2013-10-30
CN103313926A (en) 2013-09-18
JP5527436B2 (en) 2014-06-18
CN103313926B (en) 2015-05-27
EP2669236A4 (en) 2018-04-25
EP2669236A1 (en)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20B1 (en) Elevator guidance device
KR20120127521A (en) Destination-floor displaying device for elevator
US20110147136A1 (en) Elevator monitoring system
JP2011051681A (en) Elevator
SG193704A1 (en) Control apparatus of elevator
JP2019043734A (en) Remote diagnosis operation method of elevator, elevator control device, remote diagnosis system of elevator and remote diagnosis operation program of elevator
JPWO2020100261A1 (en) Elevator system and control device
JP5091638B2 (en) Elevator car guide device
JP2007276894A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09091099A (en) Elevator
JP2014156331A (en) Elevator with blackout-time continuous operation function, and elevator control method
WO2011104816A1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KR20170046773A (en) Elevator device
JP5094209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WO2014006704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and elevator control method
JP5011964B2 (en) Elevator apparatus and elevator control method
JP2013095595A (en) Elevator device
JP2008114961A (en) Earthquake emergency operation system of elevator
JP6339273B1 (en) Elevator system
JP2007254036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15086014A (en) Elevator display system
JP6380709B1 (en) Elevator monitoring device and elevator system
JP2012076840A (en) Elevator lobby display system
JP5566702B2 (en) Display control device for elevator system
JP5094210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