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971B1 -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971B1
KR101544971B1 KR1020090124773A KR20090124773A KR101544971B1 KR 101544971 B1 KR101544971 B1 KR 101544971B1 KR 1020090124773 A KR1020090124773 A KR 1020090124773A KR 20090124773 A KR20090124773 A KR 20090124773A KR 101544971 B1 KR101544971 B1 KR 10154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upper layer
information
pal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7971A (ko
Inventor
이후성
이우용
정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124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971B1/ko
Priority to PCT/KR2010/008966 priority patent/WO2011074869A2/ko
Priority to US13/516,232 priority patent/US8737433B2/en
Publication of KR20110067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ode; Intranode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8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4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different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위계층 및 상위계층이 서로 상이한 이종 클럭을 이용하는 다중 클럭 통신 환경에서, 하위계층에서 제공되는 동기정보를 이용하여 상위계층의 클럭을 동기화한다.
다중 클럭, 동기화

Description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multi clock}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클럭 동기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IT성장동력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 2007-S-002-03, 과제명 : Multi-Gigabit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 개발]
현재의 통신시스템은 무선 USB 또는 무선 1394와 같이 유선통신용 매체접근제어계층(Medium Access Control layer:MAC layer) 및 물리계층(Physical layer:PHY)을 무선화하거나, IEEE 802.11(WLAN) 또는 IEEE 802.15(WPAN)에서와 같이 고속 지원 및 새로운 RF 대역 지원을 위해서 대체 가능한 MAC 및 PHY에 대한 표준화를 시도하는 등 상위계층 통신 프로토콜은 유지한 상태에서 새로운 하위계층 프로토콜을 추가하여 프로토콜을 확장시키려 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MA-387 프로토콜과 같은 새로운 RF 대역에서 고속의 통신속도(data rate)를 지원하는 MAC 및 PHY에서는 상위계층 프로토콜을 별도로 규정하지 않고, 프로토콜 정합계층(Protocol Adaptation Layer:PAL)이라는 프로토콜 가상화 계층을 통해서 이미 존재하는 상위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시스템은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만을 사용해서 시스템을 구성하지 않고, 다수의 상위계층 프로토콜과 다수의 하위계층 프로토콜로 구성되어, 상황에 맞는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일 양상에 따라, 하위계층 및 상위계층이 서로 상이한 이종 클럭을 사용하는 다중 클럭 통신 환경에서 상위계층의 클럭을 동기화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일 양상에 따른 이종 클럭 환경에서의 단말의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은, 초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단말의 하위계층에서 다른 단말의 하위계층과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 동기화가 수행된 단말의 하위계층에서 단말의 상위계층으로 동기신호를 전송하여 동기시점을 통보하면 단말의 상위계층에서 동기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동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단말의 상위계층에서 다른 단말로부터 동기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동기정보와 저장된 동기정보를 비교하여 단말의 상위계층에서 동기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위계층과 상위계층이 이종 클럭을 사용하는 다중 클럭 통신 환경에서 하위계층에서 제공되는 동기화 정보를 이용해서 이종 클럭을 사용하는 상위계층의 클럭을 동기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기화가 필수적인 상위계층의 동기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위계층에서의 데이터 재전송을 위해 별도의 프로토콜을 정의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하위계층의 동기정보를 이용하여 동일한 시점에 동기정보를 저장하므로 동기시점의 불일치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위계층의 동기화를 위해 전송되는 동기정보의 양도 줄어들어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매 동기화 과정마다 이전 단계의 동기화 오차를 포함하여 보정함에 따라 동기 오차가 누적되지 않아서 장시간 사용시에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하위계층과 상위계층이 이종 클럭을 사용하는 다중 클럭 통신시스템에서 송신 단과 수신 단이 일정한 시간에 클럭정보를 저장하므로 여러 단계의 하위계층을 지나면서 가변지연시간이 삽입되어도 클럭 지터(clock jitter)가 낮고 안정적인 클럭을 재생성할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상위계층의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무선 HDMI 소스 단말(wireless HDMI source terminal)(2)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무선 HDMI 싱크 단말(wireless HDMI sink terminal)(3)을 각각 도시한 구성도이다.
무선 HDMI 소스 단말(2)은 HDMI 소스 장치(HDMI source device)(20) 및 송신 장치(transmitter)(22)를 포함한다. 무선 HDMI 싱크 단말(3)은 HDMI 싱크 장 치(HDMI sink device)(30) 및 수신 장치(receiver)(32)를 포함한다.
상용화된 프로토콜들은 자신만의 특정한 베이스 클럭(base clock)을 사용하도록 정의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통신시스템에 다수 개의 클럭 소스(clock source)를 사용하게 된다. 대부분의 무선통신 프로토콜의 경우 통신을 위해서 하위의 물리계층에서 사용하는 클럭에 대해서는 동기화가 필수적이므로 물리계층의 클럭 동기화를 위한 방법을 정의하고 있지만, 상위계층의 클럭 동기화 방법에 대해서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일부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는 하위의 물리계층 클럭만 동기화되면 통신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상위계층 프로토콜에서 사용하는 클럭에 대한 다중 클럭 동기화가 필수적이다.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MA-387 프로토콜에서 규정하고 있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정합 계층(High-Deg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rotocol Adaption Layer:이하 HDMI PAL)의 경우, 무선으로 고속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으로 영상 가전에서 보편화 되어 있는 HDMI 프로토콜을 밀리미터파(mmWave)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이나 음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HDMI 소스 장치(source device)(20) 및 도 3에 도시된 HDMI 싱크 장치(sink device)(30)의 클럭이 상호 동기화되지 않으면, 일정 시간 경과 후 누적된 클럭 오차에 의해서 HDMI 수신장치의 영상 버퍼에 오버플로우(overflow)나 언더플로우(underflow)가 발생하여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HDMI 소스 장치(20) 및 송신 장치(22)는 하나의 클럭을 공유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HDMI 싱크 장치(30) 및 수신 장치(32) 역시 하나의 클럭을 공유한다. 이때, HDMI 소스 장치(20)와 HDMI 싱크 장치(30)의 클럭이 상호 동기화 되기 위해서는 송신 장치(22)와 수신 장치(32)의 클럭이 상호 동기화 되어야 한다.
전술한 ECMA 387 프로토콜 규격에 따르면, 무선통신구간에서 HDMI 송신장치 및 HDMI 수신장치의 물리계층에 대해서는 패킷 단위의 클럭 동기화가 정의되어 있고, MAC 계층에 대해서는 슈퍼프레임(Superframe)이라는 일정시간 단위의 동기화를 정의하고 있다.
MAC 및 PHY와 같은 하위계층에 대한 동기화에 있어서, 동기화에 이상이 있을 경우 아예 통신이 수행되지 않으므로 다른 프로토콜에서 사용되고 있는 안정적인 동기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HDMI 송신 장치 및 HDMI 수신 장치의 HDMI PAL과 같은 상위계층의 클럭 동기화를 위해서, 패킷이 생성되고 나서 수신되기까지 일정한 지연시간이 삽입된다는 가정하에, HDMI 송신 장치 PAL에서는 데이터를 송신할 때 패킷이 생성된 시간을 삽입해서 전송하고, HDMI 수신 장치 PAL에서는 그 시간 정보를 패킷이 수신된 시간과 비교하여 HDMI 송신 장치를 HDMI 수신 장치에 동기화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에 따르면, HDMI 송신 장치와 HDMI 수신 장치에서 클럭정보를 저장하는 시간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HDMI 송신 장치의 PAL에서 패킷이 생성된 후, 생성된 패킷이 HDMI 수신 장치의 PAL에 도착할 때까지 여 러 개의 하위계층을 거치면서 각각 상이한 지연시간이 삽입되므로, 동기화 오차가 커지게 되어 불안정한 클럭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 클럭 정보에 많은 데이터를 할당해야 하므로 데이터 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한번 발생한 오차는 계속 누적되어 통신시스템에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데이터의 안정성을 위하여 하위계층에서 재전송을 실시할 경우 시간정보의 오차가 허용오차 이상으로 커질 수 있어서 시간정보가 무의미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위계층에서는 하위계층에서의 재전송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없으며 상위계층에서의 재전송 방법을 별도로 지정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프로토콜마다 사용하는 클럭 소스나 동기화 방법이 상이하고, 송신 단과 수신 단 간의 동기화 과정에 문제가 있을 경우 통신시스템에 심각한 이상을 초래할 수도 있으며, 재전송을 위해서는 더욱 복잡한 프로토콜을 새로 정의해야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위계층과 상위계층이 이종클럭을 사용하는 다중 클럭 환경에서 여러 개의 하위계층을 경유하면서 가변 지연시간이 삽입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으며, 재전송을 위해서 별도의 프로토콜을 정의할 필요가 없는 다중 클럭 동기화 기술을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다중 클럭 통신 환경에 있어서 하위계층에서 제공되는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계층의 클럭을 동기화하는 방법은 초기화 단계(400), 하위계층의 동기화 단계(410), 동기화 정보 획득 단계(420) 및 상위계층의 동기화 단 계(430)를 포함한다. 이하, 도 5를 통해 전술한 각 단계들(400,410,420,430)에 대해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22) 및 수신 장치(32) 간의 다중 클럭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초기화 단계(500)에서, 송신 장치(22) 및 수신 장치(32) 각각의 상위계층 PAL(52,58)은 하위계층 MAC 및 PHY(54,56)에 상호 간의 연결 설정에 필요한 정보 및 동기 시점 정보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 초기화 정보를 제공한다.
이어서, 하위계층 동기화 단계(510)에서, 송신 장치(22) 및 수신 장치(32)는 초기화 단계(500)에서 상위계층의 PAL(52,58)에서 제공한 초기화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하위계층의 MAC 및 PHY(54,56) 상호간 연결을 설정하고 하위계층 동기화를 수행한다.
동기정보 획득단계(520)에서, 하위계층의 MAC 및 PHY(54,56)는, 동기화가 수행된 하위계층 상에서 초기화 단계(500)에 수신한 동기정보 제공 시점정보를 이용하여 동기정보 제공 시점이 도래되면 상위계층의 PAL(52,58)로 동기신호를 전송하여 동기시점을 통보한다(520). 이때, 동기신호를 수신한 상위계층의 PAL(52,58)은 동기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자신의 동기정보를 저장한다(530).
상위계층 동기화 단계(550)에서, 상위계층 동기의 기준이 되는 송신 장치(22)의 PAL(52)에서는 동기정보 획득단계(520)에서 획득된 자신의 동기정보를 하위계층의 MAC 및 PHY(54)를 통해서 수신 장치(32)의 상위계층 PAL(58)에게 전송한 다(540). 송신 장치(22)의 PAL(52)로부터 동기정보를 수신한 수신 장치(32)의 상위계층 PAL(58)은 동기정보 획득단계(520)에서 획득한 자신의 동기정보와 수신된 동기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의 클럭을 미세 조정함으로써 동기화 절차를 완료된다. 동기화 절차가 완료되면, 송신 장치(22) 및 수신 장치(32) 간 데이터 전송이 수행된다(560). 한편, 전술한 하위계층 동기화 단계(510), 동기정보 획득 단계(520) 및 상위계층 동기화 단계(550)는 주기적으로 반복됨으로써 상위계층의 클럭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하위계층 및 상위계층이 이종 클럭을 사용하는 다중 클럭 통신시스템에서 하위계층에서 제공되는 동기화 정보를 이용해서 상위계층의 클럭을 동기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CMA 387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ECMA 387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은 소스 단말(2) 및 싱크 단말(3)을 포함한다. 소스 단말(2)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 받아 이를 무선으로 싱크 단말(3)에 송신한다. 싱크 단말(3)은 소스 단말(2)로부터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각각의 속성별로 분리하여 이를 출력한다.
소스 단말(2)은 송신 장치(22)를 포함하며, 송신 장치(22)는 PAL(600), MAC(602) 및 PHY(604) 계층으로 구성된다. 싱크 단말(3)은 수신 장치(32)를 포함 하며, 수신 장치(32)는 PAL(620), MAC(622) 및 PHY(624) 계층으로 구성된다. 싱크 단말(3)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속성에 따라서 하나 또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모든 싱크 단말(3)은 하나의 소스 단말(2)의 클럭을 기준으로 동기화가 수행된다.
전술한 ECMA 387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은 하위계층 클럭 및 상위계층 클럭이 서로 상이한 다중 클럭 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CMA 387 프로토콜에서는 베이스 클럭을 체배하여 하위계층(MAC, PHY)의 시스템 클럭으로 사용하며, 하위계층 동기화 과정을 통해서 통신하고자 하는 장치 상호 간에 동기화가 수행된다. 또한, 상위계층(PAL)의 시스템 클럭은 소스 단말(2)의 경우 영상과 함께 입력되며, 싱크 단말(3)의 경우에는 상위 클럭 동기화 과정을 통해 소스 단말(2)의 클럭을 재생성하여 사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HDMI PAL 프로토콜 데이터 포맷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AL(Protocol Adaptation Layer)은 상위계층에 포함되는 프로토콜 가상화 계층으로 특정 프로토콜 포맷의 영상(Video), 음성(audio) 및 제어(Control) 신호와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받아서 MAC의 입력 포맷으로 패킷화하여 하위계층에 속하는 MAC으로 전송하거나, MAC으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분리하여 영상, 음성, 제어, 클럭 신호를 외부 인터페이스 포맷에 적합하게 재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의 ECMA 387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HDMI PAL의 입출력 포맷과 같이, 한 화면의 시작은 VSYNC로 구분되며 한 라인의 시작은 HSYNC로 구분된다. 한 화면의 시작 부분에는 일정 라인 시간 동안 수직 블랭크 구 간(vertical blanking period)이 존재하고, 한 라인의 시작부분에는 일정 화소 시간 동안 수평 블랭크 구간(horizontal blanking period)이 존재한다. 수직 블랭크 구간 및 수평 블랭크 구간에서는 컨트롤 데이터 또는 오디오와 같은 비디오 이외의 데이터가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MAC 및 PHY가 하위계층에 포함된다. 여기서, MAC은 상대 장치와 통신하는 동안 상대 장치의 MAC과 동기를 유지하며 슈퍼프레임을 기준으로 송수신 시점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PHY는 신호 송수신을 담당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CMA 387 프로토콜 상에서 사용하는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슈퍼프레임은 미리 설정된 주기로 반복되며, 슈퍼프레임의 시작구간에는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장치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비컨 구간(becon period)이 존재한다. 비컨 구간의 시작시점인 BPST(beacon Period Start Time)는 슈퍼프레임의 시작시점이다. 비컨 구간 동안 MAC은 장치 상호 간에 비컨 송수신을 통해 슈퍼프레임의 시작시점인 BPST 동기를 유지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BPST 동기시점을 하위계층의 동기시점으로 사용한다.
이하, 다중 클럭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하위계층에서 제공되는 동기화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계층의 클럭을 동기화하는 방법의 각 단계별 수행과정을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의 소스 단말(2)의 송신 장치(22) 및 싱크 단말(3)의 수신 장치(32)에 적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초기화 단계에서, 송신 장치(22) 및 수신 장치(32)의 상위계층 PAL은 하위계층의 MAC 및 PHY에 상대방 장치의 장치 주소, 서비스 정보 등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설정한다. 그리고, 장치(20,32) 간 상호 연결이 완료되고 BPST 동기화가 완료되면 매 BPST(Beacon Period Start Time) 동기마다 동기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한다.
이어서, 하위계층 동기화 단계에서, 송신 장치(22) 및 수신 장치(32)의 하위계층은 초기화 단계에서 설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커버리 과정을 거쳐 장치(60,62) 간 상호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슈퍼프레임을 생성하고, 비컨을 송수신하여 BPST 동기를 획득한다.
이어서, 동기정보 획득단계에서, BPST 동기가 완료된 송신 장치(22) 및 수신 장치(32)의 하위계층은 초기화 단계에서 수신한 동기정보 제공 시점정보를 이용하여 매 BPST 시점마다 상위계층으로 동기신호를 전송하여 동기시점을 통보한다. BPST 동기신호를 수신한 상위계층의 PAL은 동기신호를 수신한 시점의 자신의 클럭 카운트 값을 동기정보에 저장한다.
이어서, 상위계층 동기화 단계에서, 송신 장치(22)의 PAL에서는 동기정보 획득단계에서 저장된 자신의 클럭정보를 하위계층을 통해서 수신 장치(32) 상위계층 PAL에게 전송한다. 클럭정보 전송은 별도의 컨트롤 프레임을 통하거나, 데이터 전송시 클럭정보가 헤더 부분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면, 수신 장치(32)의 PAL은 송신 장치(22)의 PAL로부터 BPST 시점의 클럭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클럭정보를 동기정보 획득단계에서 저장된 자신의 클럭정보와 비교하여 자신 의 재생성 클럭을 미세 조정한다. 이에 따라 수신 장치(32)는 상위 클럭 동기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V 클럭을 재생성하는 싱크 단말(3)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싱크 단말(3)은 PAL 상에서, 클럭 카운터부(1000), 제어부(1010) 및 전압제어 발진부(1020)를 포함한다.
싱크 단말(3)은 MAC 상에서 BPST 신호를 수신하면 PAL 상의 클럭 카운터부(1000)는 BPST 시점의 클럭 카운트 값을 저장한 후 클럭정보를 제어부(1010)에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010)는 BPST 동기신호를 수신하면 전압제어 발진부(1020)의 값을 마지막 값으로 고정하고, 소스 단말(2)의 클럭정보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어서, 제어부(1010)는 소스 단말(2)의 클럭정보를 수신하면 자신의 클럭정보와 수신된 클럭정보를 비교하여 전압제어 발진부(1020)를 제어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계산한다. 그리고, 계산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전압제어 발진부(1020)를 제어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ECMA-387 프로토콜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무선 HDMI 소스 단말(wireless HDMI source terminal)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무선 HDMI 싱크 단말(wireless HDMI sink terminal)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 간의 다중 클럭 동기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CMA 387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의 세부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ECMA 387 프로토콜 상에서 사용하는 슈퍼프레임(superframe)을 도시한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V 클럭을 재생성하는 싱크 단말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무선 HDMI 송신 단말 3 : 무선 HDMI 수신 단말
20 : HDMI 소스 장치 22 : 송신 장치
30 : HDMI 싱크 장치 32 : 수신 장치

Claims (15)

  1. 상위계층 PAL과 하위계층 MAC/PHY로 이루어진 통신 프로토콜 간의 클럭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통신하고자 하는 제1통신 프로토콜과 제2통신 프로토콜에서 각각의 상위계층 PAL이 하위계층 MAC/PHY 간의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상기 하위계층 MAC/PHY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하위계층 MAC/PHY을 연결하고,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된 하위계층 MAC/PHY에서 상기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상위계층 PAL로 동기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상위계층 PAL에서 상기 동기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의 동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의 상위계층 PAL에 저장된 동기정보를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의 상위계층 PAL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받은 동기정보와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의 상위계층 PAL의 동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의 상위계층 PAL의 클럭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클럭 동기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위계층 MAC/PHY로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하위계층 MAC/PHY에서 동기정보를 상기 상위계층 PAL로 제공하는 시점정보를 포함하는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상기 하위계층 MAC/PHY로 전달하는 클럭 동기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의 동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된 하위계층 MAC/PHY에서 상기 시점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상위계층 PAL로 동기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상위계층 PAL에서 상기 동기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에 해당하는 자신의 동기정보를 저장하는 클럭 동기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 프로토콜의 상위계층 PAL 및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의 상위계층 PAL 간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클럭 동기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통신 프로토콜 간의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동기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의 동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통신 프로토콜의 상위계층 PAL의 클럭을 조정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상기 상위계층 PAL 간의 동기를 유지하는 클럭 동기화 방법.
  6.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송수신 시스템의 클럭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에서 각각의 상위계층 PAL이 하위계층 MAC/PHY 간의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하위계층 MAC/PHY을 연결하고, 슈퍼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컨을 송수신하여 BPST(Beacon Period Start Time)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동기화된 하위계층 MAC/PHY에서 상기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상위계층 PAL로 동기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상위계층 PAL에서 상기 BPST 동기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의 동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송신장치의 상위계층 PAL에 저장된 동기정보를 상기 수신장치의 상위계층 PAL로 전달하고, 상기 전달받은 동기정보와 상기 수신장치의 상위계층 PAL의 동기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위계층 PAL의 클럭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위계층의 동기정보를 이용한 상위계층의 클럭 동기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는
    각각의 상대방 장치의 주소를 포함하는 연결설정을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하위계층의 동기정보를 이용한 상위계층의 클럭 동기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PST 동기를 획득하는 단계는
    통신에 참여하고 있는 장치의 수에 따라 가변되는 비컨 구간이 존재하는 슈퍼프레임을 생성하고, 생성된 슈퍼프레임을 포함하는 비컨을 상기 송신장치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 서로 송수신하여 비컨구간의 시작시점에 해당하는 BPST 동기를 획득하는 하위계층의 동기정보를 이용한 상위계층의 클럭 동기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화된 하위계층 MAC/PHY에서 매 BPST 시점마다 각각의 상위계층 PAL로 동기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상위계층 PAL에서 상기 BPST 동기신호를 전달받은 시점에 해당하는 자신의 클럭 카운트값을 동기정보로 저장하는 하위계층의 동기정보를 이용한 상위계층의 클럭 동기화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의 상위계층 PAL에 저장된 동기정보를 상기 수신장치의 상위계층 PAL로 전달하고, 상기 송신장치의 상위계층 PAL로부터 전달받은 동기정보의 클럭 카운트값을 기준으로 상기 수신장치의 상위계층 PAL의 동기정보의 클럭 카운트값과 비교하여 상기 수신장치의 상위계층 PAL의 클럭을 조정하는 하위계층의 동기정보를 이용한 상위계층의 클럭 동기화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의 상위계층 PAL 및 상기 수신장치의 상위계층 PAL 간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상기 송신장치로부터 상기 수신장치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클럭 동기화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90124773A 2009-12-15 2009-12-15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154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73A KR101544971B1 (ko) 2009-12-15 2009-12-15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PCT/KR2010/008966 WO2011074869A2 (ko) 2009-12-15 2010-12-15 통신 시스템에서 클럭 동기화 방법
US13/516,232 US8737433B2 (en) 2009-12-15 2010-12-15 Method for synchronizing clocks in 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773A KR101544971B1 (ko) 2009-12-15 2009-12-15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971A KR20110067971A (ko) 2011-06-22
KR101544971B1 true KR101544971B1 (ko) 2015-08-18

Family

ID=44167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773A KR101544971B1 (ko) 2009-12-15 2009-12-15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37433B2 (ko)
KR (1) KR101544971B1 (ko)
WO (1) WO20110748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8975B2 (en) * 2011-12-21 2015-07-2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protocol adaptation layer performance coordination
WO2013095489A1 (en) * 2011-12-22 2013-06-27 Intel Corporation Implementing an assisted cross-protocol adaptation layer/cross-layer clock synchronization scheme
US9635144B2 (en) * 2011-12-22 2017-04-25 Intel Corporation Implementing an inter-pal pass-through
US9654604B2 (en) 2012-11-22 2017-05-1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ata flow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transfer response
US20160006526A1 (en) * 2014-07-03 2016-01-0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network clock comparison
US10129839B2 (en) * 2014-12-05 2018-11-13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synchronizing timing of wireless streaming transmissions to multiple sink devices
KR20190033983A (ko) * 2017-09-22 201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장치 및 그 오디오장치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6502B2 (en) * 2002-03-07 2007-06-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Internal signaling method to support clock synchronization of nodes connected via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0553809B1 (ko) * 2003-11-13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클럭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7684568B2 (en) 2003-11-24 2010-03-23 Intellon Corporation Encrypting data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7409022B2 (en) * 2004-10-01 2008-08-05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nchronizing clocks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KR100597436B1 (ko) * 2004-12-15 2006-07-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1394 시스템의 사이클 타임 동기화 장치 및 그 방법
US7492849B2 (en) * 2005-05-10 2009-02-17 Ftd Solutions Pte., Ltd. Single-VCO CDR for TMDS data at gigabit rate
JP4981802B2 (ja) * 2005-07-27 2012-07-25 クアルコム アセロ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データの暗号化
US7855933B2 (en) 2008-01-08 2010-12-21 Hynix Semiconductor Inc. Clock synchronization circui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929825B1 (ko) * 2008-04-01 2009-12-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클럭 동기화 회로와 그의 구동 방법
US8503596B2 (en) * 2008-10-02 2013-08-06 Aliphcom Wireless clock regeneration and synchroniz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57642A1 (en) 2012-10-11
WO2011074869A2 (ko) 2011-06-23
WO2011074869A3 (ko) 2011-10-27
US8737433B2 (en) 2014-05-27
KR20110067971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971B1 (ko) 다중 클럭 동기화 방법 및 그 장치
JP7174040B2 (ja) ブルートゥースメディアデバイス時間同期
US91919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lock regeneration
US999901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uetooth and WLAN traffic synchronization in a same wireless network device
US7664145B2 (en) Jitter correcting apparatus capable of ensuring synchronism between transmitter apparatus and receiver apparatus
CN109565466B (zh) 多设备间唇音同步方法及设备
JP5697743B2 (ja) 映像送信装置、映像送信方法、映像受信装置、および映像受信方法
US9723182B2 (en) Image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image transmitting apparatus, received image displaying apparatus, wireless control apparatus, and image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JP2009530885A (ja) 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同期化信号の伝送
RU2012151959A (ru) Узел и система для синхронной сети
CN109891960B (zh) 无线设备、无线设备处理方法和存储器
WO2011116699A1 (zh) 一种时钟同步的方法、装置和系统
EP2153663B1 (en) Automatic compensation of a delay of a synchronization signal in a packet switching network
KR20210055009A (ko)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EP2153654B1 (en) Phase control of a synchronization signal in a packet switching network
KR102433753B1 (ko)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
CN112788575B (zh) 多成员蓝牙装置中的主蓝牙电路与副蓝牙电路
US8514896B2 (en) Device to synchronize audio and video pulses in a receiver
CN103889044B (zh) 一种空口同步的方法和装置
WO2008141341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hdmi clock regeneration
JP200701354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9278333A (ja) 非同期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電波送信システム及び電波同期送信方法
JP4481231B2 (ja) エミュレーション同期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152860B2 (ja) 通信装置、通信機器、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008557A (ja) データ伝送用lanコントロ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