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063B1 -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063B1
KR101544063B1 KR1020140025345A KR20140025345A KR101544063B1 KR 101544063 B1 KR101544063 B1 KR 101544063B1 KR 1020140025345 A KR1020140025345 A KR 1020140025345A KR 20140025345 A KR20140025345 A KR 20140025345A KR 101544063 B1 KR101544063 B1 KR 101544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urniture
leg
fixture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준영
Original Assignee
배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준영 filed Critical 배준영
Priority to KR102014002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다리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볼트부가 조여짐에 의해 고정구의 확개편이 확개되어 고정공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단순히 지지다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A)원통형 통체 형상을 이루되, 절개선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등분되고, 단부를 향하며 점차 두꺼워지도록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확개되었을 때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확개편과, 통체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하기 고정볼트부가 조여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부로 이루어진 고정구와; (B)상기 고정구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나사부에 조여지는 고정볼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Legs for furniture}
본 발명은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구의 바닥에 형성된 고정공에 끼운 후 회전시키면 고정공에 고정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지지다리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볼트부가 조여짐에 의해 고정구의 확개편이 확개되어 고정공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단순히 지지다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부를 조립식을 구성하여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나 걸림턱의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 가구를 비롯한 대부분의 가구는 다리를 구비하고 있으며, 특히, 주방용 가구의 경우 물기가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구가 설치되는 지면과 가구의 저면 사이에 고이는 수분으로부터 가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다리를 설치하여 가구 본체의 저면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다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방 가구용 다리는 가구설치 시 가구의 수평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구용 다리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을 비롯하여 다양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다리가 나사조임으로 결합되는 체결소켓의 중심관을 분할하여 양쪽에 반원형의 분할편을 갖게 하고 내측에는 경사구멍을, 외면에는 다수의 주름턱을 일체로 형성하며 경사구멍에는 원추형 쐐기봉의 하단부를 끼워서 상단부는 돌출되게 결합하고 이들 사이를 얇은 연결살로 연결하여 일체화 시키며 가구 저면의 요부에 중심관을 대어주고 하단부를 타격하면 쐐기봉이 분할편을 벌려주면서 틀어박혀 요홈부에 체결되게 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내경이 상방으로 갈수록 협소한 중공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가이드홈이 다수 형성되고, 절개라인에 의해 다수로 분할된 끼움돌기를 갖는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삽입되다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되, 테두리에 상기 가이드홈과 대응하는 가이드돌기가 다수 형성된 고정돌기를 갖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며,
특허문헌 3은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는 역타원뿔대통 형상의 암나사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기술들 중 특허문헌 1은 가구의 안쪽에서 일일이 쐐기봉을 박아야하므로 다리의 조립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을 물론 대형 가구의 경우에는 두 사람 이상의 인원이 있어야 다리를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타원형의 고정돌기를 회전시켜 밀착부재를 가구에 형성된 고정공에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다리의 고정은 용이하지만, 다리가 조금만 회전하여도 타원형 고정돌기가 밀착부재를 밀지 못하여 다리가 가구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은 밀착부재의 중앙에 암나사부재를 설치하고, 암나사부재에 지지부재의 수나사부를 조여 암나사부재에 의해 밀착부재의 끼움돌기가 확개되어 가구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되게 한 것이나, 이는 밀착부재와 암나사부재를 이중으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다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이 많아져 제작 단가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조립에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암나사부재가 하나의 통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사출이 어렵다. 즉, 통상의 가구용 다리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만들어지나, 특허문헌 3의 암나사부재와 같이 통체 형상의 내면에 나사산을 사출로 형성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01-0002131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88052호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6758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별도의 조립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가구의 고정공에 끼운 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설치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지지다리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볼트부가 조여짐에 의해 고정구의 확개편이 확개되어 고정공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단순히 지지다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설치할 수 있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고정구를 절개하여 조립식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정구의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나 걸림턱을 보다 쉽고 정밀하게 사출하여 제작할 수 있게 한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가구용 다리는 가구의 바닥판에 고정되는 가구용 다리에 있어서, (A)원통형 통체 형상을 이루되, 절개선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등분되고, 단부를 향하며 점차 두꺼워지도록 내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확개되었을 때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공의 내벽에 밀착되는 확개편과, 통체의 내면에 형성되어 하기 고정볼트부가 조여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부로 이루어진 고정구와; (B)상기 고정구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나사부에 조여지는 고정볼트부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10)는 일단의 힌지부(10h)를 중심으로 축 방향으로 이등분되고, 상기 힌지부(10h)의 반대측 단부에는 조립부(14)가 형성되어 조립됨에 의해 원통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개편의 외벽에는 고정공의 벽에 파고드는 다수의 걸림쐐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나사부는 상기 확개편 안쪽의 경사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힌지부의 반대 측의 하단 각각 형성되어 서로 걸리는 걸림턱과; 상기 힌지부의 반대측 단부의 일측 중간에 형성된 결합홀과,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홀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기 고정볼트부가 걸리는 볼트부걸림턱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의 다리와 대향되는 단부에는 고정구가 고정공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바닥판의 저면에 걸리는 걸림날개가 형성되고, 지지다리의 걸림날개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걸림날개가 안치되는 날개안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볼트부의 중심에는 핀삽입홀이 형성되고, 보강핀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어 고정볼트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다리는 고정구와 지지다리만으로 구성되어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지지다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별도의 조립용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구의 고정공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를 다수의 확개편을 갖도록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지지다리의 고정볼트부가 조여지는 나사부를 형성하여 고정볼트부가 조여짐에 의해 확개편이 확개되어 고정공의 내벽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다리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볼트부의 중심에 보강핀을 설치하여 고정볼트부가 외부의 충격에 이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확개편의 외면에 걸림쐐기를 형성하여 걸림쐐기가 고정공의 내벽을 파고들게 함으로써 고정구와 지지다리가 견고하게 가구의 고정공에 고정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구를 2개로 등분하여 조립가능하게 제작함으로써 내면에 나사산과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구를 사출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일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고정구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고정구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고정구의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의 일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를 설치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의 다른 일예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의 다른 일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를 구성하는 고정구의 다른 일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보다 쉽게 가구에 설치할 수 있는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다리는 가구의 바닥판(100)에 형성된 고정공(100h)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구(10)와, 상기 고정구(10)에 고정되는 지지다리(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구(10)는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통체 형상을 이루되, 절개선(10c)에 의해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확개편(11)으로 등분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공(100h)에 끼워진 상태에서 확개편(11)이 확개되어 도 7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면이 고정공의 내벽에 밀착 고정된다.
이렇게 확개편(11)이 확개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지지다리(20)의 일단에 고정볼트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즉, 지지다리(20)를 회전시키면 지지다리의 상단(도면상)에 형성된 고정볼트부(22)가 확개편(11)들 사이를 파고 들어가 확개편(11)을 바깥쪽으로 밀어 확개시키는 것이다.
상기 확개편(11)이 고정볼트부(22)에 의해 밀려 확개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확개편(11)은 도 2내지 도 4 및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부를 향하며 점차 두꺼워지도록 내면에 경사면(11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확개편을 밀어주는 고정볼트부(22)가 고정구(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정볼트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치합되는 고정나사부(12)가 고정구(10)의 내면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고정나사부(12)는 도 1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개편(11)의 내벽에 형성하거나, 도 8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개편(11)의 지지다리부를 향한 단부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판(100)의 고정공(100h)에 끼워져 고정된 고정구(10)가 고정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공의 내면과 확개편(11)들의 외면 사이가 긴밀하게 접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상기 확개편(11)의 외면에는 고정공(100h)의 벽에 파고드는 다수의 걸림쐐기(11w)를 형성하였다.
상기 걸림쐐기(10d)는 도 1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끝이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10)는 도 8내지 도 10에 도사한 바와 같이 확개편(11)이 다수로 절개된 중공의 원뿔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내부에 고정나사부를 형상하기가 어려우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의 축 방향으로 등분하여 조립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가구용 다리는 통상적으로 합섯ㅇ수지를 사출하여 제작되고, 이렇게 제작되는 고정구(10)를 하나의 원통형으로 제작할 경우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이나 걸림턱의 형성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연결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내주면에 고정나사부와 걸림턱이 형성된 복잡한 형상의 고정구를 사출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고정구(10)를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리할 경우 이들을 조립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중앙을 중심으로 축 방향으로 등분하되, 종 방향의 일단은 힌지부(10h)에 의해 서로 연결하되고, 타단에는 조립부(14)를 형성하여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조립부가 조립됨에 의해 하나의 원통형을 이루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0)는 힌지부(10h)를 중심으로 양측이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단부에는 각각 조립부(14)가 형성되되, 상기 조립부(14)는 일측 단부의 하단에 각각 걸림턱(14g)을 형성하여 단부들을 서로 대면시켜 조립하면 걸림턱들이 서로 걸려 조립된다.
또한, 상기 조립부(14)의 다른 하나는 등분된 각 부분의 단부 중간 중 일측 단부의 중간에는 결합홀(14h)을 형성하고, 타단의 중간에는 걸림돌기(14d)를 형성하여 걸림돌기가 결합홀에 걸림에 의해 상기 두 걸림턱(14g)들의 결합력을 보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다리는 가구와는 별도로 제작되어 가구제작자에게 공급되는 것으로 고정구(10)와 지지다리(20)가 분리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될 경우 고정구와 지지다리를 서로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에 따라 도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다리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상태로 가구제작업자에게 공급된다.
이때 고정구(10)가 지지다리(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구(10)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기 고정볼트부(22)가 걸리는 볼트부걸림턱(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구(10)의 확개편(11)과 볼트부걸림턱(15) 사이에는 고정돌트부(20b)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어 이 공간에 고정볼트부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볼트부걸림턱(15)에 고정볼트부의 일단이 걸려 고정구(10)가 지지다리의 고정볼트부(22)에 매달린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구(10)의 지지다리(20)를 향한 단부에는 바깥쪽으로 확장된 걸림날개(10w)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0)의 확개편(11)이 고정공(100h)에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다리의 고정볼트부(22)가 고정나사부(12)에 조여짐에 의해 확개편(11)이 확개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지지다리(20)를 고정공(100h)측으로 밀며 지지다리를 회전시켜야 하고 이때 고정구(10)가 고정공(100h) 안쪽의 가구 내부로 밀려들어가면 고정구는 물론 지지다리가 고정공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구(10)의 일단에 상기 걸림날개(10w)를 형성하여 고정공(100h) 가장다리의 외면에 걸리게 함으로써 고정구가 가구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걸림날개(10w)는 바닥판(100)의 저면과 수평을 이루지 않고 돌출되고, 이렇게 돌출될 경우 바닥판의 저면과 지지다리의 단부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며, 이 틈에 의해 지지다리가 가구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다리(20)의 걸림날개(10w)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걸림날개가 안치되는 날개안치홈(20g)을 형성하였다.(도 1, 도 7참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다리의 고정구(10)의 외주면에는 내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회전방지날개(13)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방지날개(13)은 도 3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0)의 일부에 형성된 것으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구(10)의 몸체 일측을 관통시키고 일단이 몸체에 일체로 연결되어 타단이 자유롭게 고정구(10)의 안팎으로 출몰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단부의 바깥쪽이 날카로운 쐐기부(13w)로 이루어져, 고정구(10)가 고정공에 끼워졌을 때 이 쐐기부(13w)가 고정공의 측벽에 걸려 고정구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날개(13)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개편(11)을 향한 바깥쪽 단부에 경사면(13s)를 형성하여 고정구(10)를 고정공(100h)에 끼워넣을 때 회전방지날개가 고정공에 걸리지 않게 하였다.
상기 회전방지날개에 형성된 쐐기부(13w)의 방향은 상기 지지다리의 고정볼트부(22)가 조여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게 형성되어 고정볼트부가 조여지면 쐐기부(13w)가 고정공의 내벽에 파고들어 걸려 고정구(10)가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구용 다리는 가구에 설치되고, 가구의 바닥판(100)에 형성된 고정공(100h)은 너무 크게 형성할 수 없다. 이에 따라 고정볼트부(22)의 지름을 작게 형성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고정볼트부(22)의 지름이 작을 경우 강도가 약하여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고정볼트부가 파손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볼트부(22)의 강도가 약해진 것을 보강하기 위해 고정볼트부(22)의 중심에 핀삽입홀(24)을 형성하고 보강핀(40)을 설치하였다.
상기 보강핀(40)은 강도가 우수한 강철이나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핀삽입홀(24)의 내면과 같은 횡단면을 갖는 봉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구용 다리가 설치되는 가구의 경우,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판(100)의 단부가 가려지도록 수직판(200)을 설치한다. 이렇게 구성된 가구의 바닥판(100)만을 다리가 지지할 경우, 수직판(200)을 지지하는 수단이 없어 수직판에 설치되는 다른 부속품의 무게에 의해 수직판이 아래로 밀려 바닥판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가구용 다리는 바닥판(100)은 물론 수직판(200)도 지지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다리(20)의 고정볼트부가 형성된 단부에는 가구의 수직판(200)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판지지부(21)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판지지부(21)는 지지다리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지지다리부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구용 다리가 설치되는 가구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주방용 가구의 경우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지지다리(20)의 하단에는 높이조절구(30)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이 높이조절구는 통상적으로 가구용 다리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이용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10: 고정구
10c: 절개선 10w: 걸림날개 10h: 힌지부
11: 확개편 11W: 걸림쐐기
12: 고정나사부
13: 회전방지날개 13s: 경사부
13w: 쐐기부
14: 조립부
14h: 결합홀 14d: 걸림돌기
14g: 결합턱
15: 볼트부걸림턱
20: 지지다리
21: 수직판지지부 22: 고정볼트부
20g: 날개안치홈
24: 핀삽입홀
30: 높이조절구
30h: 파지부
40: 보강핀

Claims (11)

  1. 가구의 바닥판(100)에 고정되는 가구용 다리에 있어서,
    원통형의 통체 형상을 이루되 절개선(10c)에 의해 2개 이상으로 등분되고, 단부를 향하여 점차 두꺼워지도록 내면에 경사면(11s)이 형성되어 고정볼트부(22)에 의해 확개되어 바닥판에 형성된 고정공(100h)의 내벽에 밀착되는 확개편(11) 및 통체의 내면에 형성되고 고정볼트부(22)가 조여지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나사부(12)로 이루어진 고정구(10)와,
    고정구(10)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나사부(12)에 조여지는 고정볼트부(22)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다리(20)를 포함하고,
    고정구(10)는 일단의 힌지부(10h)를 중심으로 축방향으로 2등분되고, 힌지부(10h)의 반대측 단부에는 조립부(14)가 형성되어 조립됨에 의해 원통형을 이루되,
    고정구(10)의 조립부(14)는 힌지부(10h)의 반대측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걸리는 걸림턱(14g)과, 힌지부(10h)의 반대측 단부의 일측 중간에 형성된 결합홀(14h)과, 다른 단부에 형성되어 결합홀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14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개편(11)의 외벽에는 고정공(100h)의 벽에 파고드는 다수의 걸림쐐기(11w)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부(12)는 상기 확개편 안쪽의 경사면(11s)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의 내주면 하단에는 상기 고정볼트부(22)가 걸리는 볼트부걸림턱(15)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의 다리와 대향되는 단부에는 고정구가 고정공(100h)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바닥판(100)의 저면에 걸리는 걸림날개(10w)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0)의 걸림날개(10w)와 대향되는 부분에는 걸림날개가 안치되는 날개안치홈(20g)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부(22)의 중심에는 핀삽입홀(24)가 형성되고, 보강핀(40)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0)의 고정볼트부가 형성된 단부에는 가구의 수직판(200) 하단을 지지하는 수직판지지부(2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0)의 외주면에는 내면으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회전방지날개(13)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다리(20)의 하단에는 높이조절구(3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KR1020140025345A 2014-03-04 2014-03-04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KR101544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45A KR101544063B1 (ko) 2014-03-04 2014-03-04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345A KR101544063B1 (ko) 2014-03-04 2014-03-04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063B1 true KR101544063B1 (ko) 2015-08-12

Family

ID=5406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345A KR101544063B1 (ko) 2014-03-04 2014-03-04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0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558A (ko) * 2017-11-28 2019-06-05 김종원 싱크대 받침다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84Y1 (ko) * 2001-06-05 2001-10-29 문양선 싱크대 다리의 연결부 구조
KR200446700Y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조립용 앵커
KR101051332B1 (ko) * 2009-02-05 2011-07-22 손재우 가구용 체결구
KR101167584B1 (ko) * 2009-05-11 2012-07-27 김종원 싱크대 다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84Y1 (ko) * 2001-06-05 2001-10-29 문양선 싱크대 다리의 연결부 구조
KR101051332B1 (ko) * 2009-02-05 2011-07-22 손재우 가구용 체결구
KR200446700Y1 (ko) * 2009-03-18 2009-11-23 장근대 조립용 앵커
KR101167584B1 (ko) * 2009-05-11 2012-07-27 김종원 싱크대 다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558A (ko) * 2017-11-28 2019-06-05 김종원 싱크대 받침다리
KR102094177B1 (ko) * 2017-11-28 2020-03-27 김종원 싱크대 받침다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66618B2 (ja) 固定具セット
KR101584695B1 (ko) 일체형셋앙카를 이용한 건물외장재 고정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67929B1 (ko) 앵커 볼트
US20200232494A1 (en) Expansion connector
JP6954543B2 (ja) 建築スラブ用インサート
KR101917922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건축용 앵커 어셈블리
CN109952441B (zh) 铆钉紧固件组装件
KR101544063B1 (ko)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JP5619497B2 (ja) 互いに直交するよう配向された2つの要素の強制固定用装置
US3378221A (en) Hanger for light fixtures and the like
KR101794830B1 (ko) 다단 파이프 고정구조
KR20120105129A (ko) 확장형 앵커볼트
US20190360233A1 (en) Telescopic stand column, and tent having same
KR101025032B1 (ko) 스프링클러용 지지대
KR101208357B1 (ko) 결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테이블
CN201050528Y (zh) 一种膨胀螺栓
RU134196U1 (ru) Крепление полотна для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варианты)
CN211092860U (zh) 一种椅脚快速安装结构
KR200461750Y1 (ko) 가구용 다리
KR200475775Y1 (ko) 금속제 프레임과 유리 또는 합성수지제 전등갓의 결합구조체
KR20160001505U (ko) 레저용 랜턴스탠드
KR200363417Y1 (ko) 선반의 조립구조
KR20210000863U (ko) 철근 연결용 나사식 원터치 커플러
KR20150103491A (ko) 슬리브의 길이를 크게 줄인 개량형 세트 앵커볼트
CN219069897U (zh) 套环窗帘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