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584B1 - 싱크대 다리 - Google Patents

싱크대 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584B1
KR101167584B1 KR1020090057412A KR20090057412A KR101167584B1 KR 101167584 B1 KR101167584 B1 KR 101167584B1 KR 1020090057412 A KR1020090057412 A KR 1020090057412A KR 20090057412 A KR20090057412 A KR 20090057412A KR 101167584 B1 KR101167584 B1 KR 10116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protrusion
sink
hollow
support member
contac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038A (ko
Inventor
김종원
문양선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원 filed Critical 김종원
Publication of KR20100122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2General layout, e.g. relative arrangement of compartments, working surface or surfaces, supports f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싱크대의 저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는 역타원뿔대통 형상의 암나사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가 개시된다.
싱크대 다리, 암나사부재, 수나사부, 스토퍼

Description

싱크대 다리{LEG OF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용 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저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 다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는 각종 주방용품, 조리용품, 식기류 등을 보관하는 용도와 함께 그릇이나 음식물을 씻고 닦을 수 있는 개수대 기능은 물론 오븐이나 식기세척기 따위의 다양한 주방기기를 내장한 이른바 빌트인(Built-in) 방식의 주방가구로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싱크대의 저면에는 통풍 등을 위해 대부분 주방 바닥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다리(Leg)가 설치되어 싱크대를 지지하며, 아울러 다리는 싱크대의 설치작업에 따른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싱크대의 전면이나 측면 하부에는 일명 걸레받이판이라고 불리는 가림판을 설치하여 싱크대 저면과 주방 바닥의 사이 공간으로 쓰레기나 음식물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면서 싱크대의 외관도 미려하게 개선되도록 하고 있 다.
도 1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02136호에 개시된 싱크대 다리로서, 다리(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싱크대(10)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21)와 조절부(22)로 분리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21)의 내부에는 조절부(22)의 상부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부(23)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싱크대(1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조절부(22)를 돌리어 싱크대(10)의 높이 및 수평을 맞출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싱크대 다리(20)는 고정부(21)가 길게 돌출되는 데다 싱크대(10)의 저면에 한번 고정하게 되면 싱크대로부터 분리가 쉽지 않으므로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싱크대를 대리점이나 설치장소 등으로 운반하거나 창고에 적재할 때 등 작업상의 지장을 초래하며 외력을 받을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싱크대의 저면에 다리를 설치할 때 그 설치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 설치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다리를 싱크대의 저면판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여러 방향으로 돌아가며 다수개의 나사못으로 하나씩 일일이 조여서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립 및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싱크대의 저면판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되므로 저면판을 손상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싱크대 다리는 가림판을 지지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가림판이 외력을 받을 경우 쉽게 싱크대 안쪽으로 밀리면서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상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제반사항을 감안하여 싱크대에 설치하기가 간편하고 용이하며, 싱크대를 운반 및 적재하는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가림판이 싱크대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싱크대 다리를 개발하고자 다년간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싱크대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싱크대의 저면에 설치되는 가림판이 외력에 의해 싱크대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는 역타원뿔대통 형상의 암나사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되, 외측 둘레면에 상기 끼움돌기의 절개라인과 대응하는 회전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된 역원뿔대통 형상의 암나사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하면서 다각형을 이루는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는 역다각뿔대통 형상의 암나사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상방으로 갈수록 협소하면서 탭핑 가공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회전에 의한 결합 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탭핑 가공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 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회전에 의한 결합 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되,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협소한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걸림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낮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밀착부재,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측 둘레면에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림판이 싱크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돌출 형성된 싱크대 다리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암나사부재를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시킨 후, 그 끼움돌기를 싱크대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에 끼운상태에서 고정부재의 수나사부를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끼움돌기의 중공으로 삽입함과 동시에 회전시키면 암나사부재가 수나사부와 나사결합되면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한 내경의 끼움돌기가 역타원뿔대통 형상인 암나사부재와 접촉간섭 및 절개라인에 의해 자연스럽게 외향으로 확장되어 싱크대의 장착홈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싱크대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수나사의 원리에 의한 결합방식으로 싱크대에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싱크대를 운반하거나 적재할 경우 지지부재를 나사의 풀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싱크대로부터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 확보는 물론 작업과정에서 다리가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각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에 형성된 스토퍼가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림판과 지지부재와의 설치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킴으로 인해 가림판이 외력을 받더라도 싱크대의 내측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는 크게 밀착부재(100), 지지부재(200) 및 암나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밀착부재(100)는 싱크대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지지부재(200)의 상부를 커버하면서 결합되는 관형체(110) 상면에 싱크대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G)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20)가 중공을 갖는 대략 원통형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형체(110)의 상부와 끼움돌기(120)의 하부 사이에는 싱크대 저면과의 접촉면적을 확대하기 위한 받침플랜지(1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받침플랜지(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싱크대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구멍을 통공 혹은 외향으로 개구된 요홈 형태로 다수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끼움돌기(120)의 둘레에는 암나사부재(300)의 삽입에 따른 상호 면접촉 시 유연하고 탄력적인 확장이 가능하도록 절개라인(121)이 다수 형성되어 있고, 외측 둘레면에는 싱크대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G)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쐐기형의 밀착돌기(123)가 세로 방향 혹은 가로 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끼움돌기(120)의 중공은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공의 하부 일부분은 상부와 같은 내경으로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의해 암나사부재(300)가 운반 시 등에 밀착부재(100)에서 자유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122)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끼움돌기(120)의 중공부 단면 형상을 그 중심축으로부터 평면상에서 볼 때 암나사부재(300)와 대응하는 타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200)의 결합에 따른 회전력이 암나사부재(300)에 전달되더라도 그 암나사부재(300)가 긴밀한 면접촉 및 마찰력 등의 간섭에 의해 끼움돌기(120)의 중공 안에서 헛도는 것을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내용 및 첨부된 도면에서는 걸림턱(122)이 끼움돌기(120)의 중공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암나사부재(300)가 한번 결합되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에 특징이 있으므로,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이 부여될 수 있는 부분 예를 들면, 끼움돌기(120)의 상단 내측 둘레면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부재(200)는 상부가 밀착부재(100)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삽입 결합되어 싱크대를 받쳐주는 것으로, 대략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밀착부재(100)의 하부 내측에서 끼움돌기(120)의 중공으로 삽입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암나사부재(300)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21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200)는 밀착부재(100)와 암나사부재(300)의 조임 및 풀림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시킴으로써 밀착부재(100) 및 암나사부재(300)와 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200)의 외측 둘레면에는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림판(P)이 외력에 의해 싱크대 안쪽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22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220)는 지지부재(100)의 외측 둘레면에 그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에 다수 형성될 수 있고, 가림판(P)의 상부를 파지하는 홀더(H)와 탈장착 가능할 수 있으면서 홀더(H)와 결합된 후에는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후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밀착부재(100)와 지지부재(200)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가림판(P)과 서로 직교하게 위치되어 홀더(H)와 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서, 홀더(H)는 가림판(P)의 상부를 탄력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토퍼(220)와 대향면에 결합구멍(H1)을 형성함으로써 스토퍼와 결합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결합구멍(H1)은 스토퍼(220)에 대해 상하 좌우로 약간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여유롭게 형성되어 가림판(P)의 높이나 두께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그 설치가 용이하면서 안정적인 파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스토퍼(220)와 홀더(H)는 억지 끼워맞춤 방식으로 서로 결합하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지부재(100)와 가림판(P) 간의 틈새를 지탱하므로 가림판(P)이 외력에 의해 싱크대(S)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싱크대의 저면에 가림판(P)을 쉽고 용이하게 설치 할 수 있게 된다.
암나사부재(300)는 끼움돌기(120)의 중공에 삽입되어 지지부재의 수나사부(210)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끼움돌기(120)의 중공부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끼움돌기(120)의 중공 내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외경이 테이퍼진 역타원뿔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공의 내측 둘레면에는 수나사부(210)와 대응결합하는 암나사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나사부재(300)의 하단에는 끼움돌기의 중공에 형성된 걸림턱(122)과 대응하여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3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나사부재(300)를 끼움돌기(120)의 상방에서 그 중공부로 강하게 눌러 삽입시키게 되면 암나사부재의 플랜지(320)가 끼움돌기의 걸림턱(122)과 접촉간섭에 의해 걸리면서 상부로 자유로이 이탈되지 않게 되고, 암나사부재(300)의 외형은 물론 이와 대향하는 끼움돌기(120)의 중공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하기 때문에 하부로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암나사부재(300)는 수나사부(210)와 나사결합 시 끼움돌기(120)의 중공을 따라 억지끼움 방식으로 면접촉 및 하강되면서 끼움돌기(120)의 내외경을 확장시켜 밀착부재(100)가 싱크대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G)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암나사부재(300)의 하단부는 암나사부(310)의 가공용이성을 향상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높낮이조절부재(400)는 싱크대의 설치상태가 수평하도록 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둘레면에는 지지부재(20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둘레면에는 높낮이 조절을 위한 파지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요철부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지지부재(200)의 외측 둘레면과, 이와 대향하는 높낮이조절부재(400)의 내측 둘레면에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지지부재의 내측 둘레면과, 이와 대향되도록 높낮이조절부재의 외측 둘레면에 각각 나사산을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높낮이조절부재(400)는 지지부재(200)와 나사결합되어 그 회전방향에 따라 바닥면과의 간격이나 설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암나사부재(300)를 끼움돌기(120)의 중공부에 삽입시킨 다음 싱크대(S)의 저면에 형성된 장착홈(G)에 끼움돌기(120)를 끼워넣은 상태에서 밀착부재(100)의 하부 내측을 통해 지지부재(200)의 수나사부(210)를 끼움돌기(120)의 중공으로 끼워 넣어 암나사부재(300)와 서로 나사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지지부재(200)를 나사의 잠금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가 일정높이로 상승하다가 그 상면이 끼움돌기(120)의 저면 부와 서로 밀착되게 되고, 이렇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00)는 접촉간섭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암나사부재(300)가 수나사부(210)와 나사결합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강을 하게 된다. 이 때,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은 암나사부재(300)가 끼움돌기(120) 중공과 면접촉에 의해 그 내외경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끼움돌기(120)가 싱크대의 장착홈(G)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된다.
즉, 암나사부재(300)의 경사면이 끼움돌기(120)의 중공에 긴밀하게 면접촉되어 강한 외력에 의하지 않고서는 지지부재(200)가 쉽게 역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호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높낮이조절부재(40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싱크대의 설치에 따른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싱크대를 운반 및 적재 시 등에는 지지부재(200)를 암나사부재(300)와의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결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되어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20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스토퍼(220)가 다리와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림판(P) 간의 틈새를 지탱하므로 가림판(P)이 외력에 의해 싱크대 안쪽으로 밀려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홀더(H)의 상부에 가압 시 탄성변형되는 탄성부재(H2)를 구비함으로써 홀더(H)와 싱크대 저면 사이에 설계오차나 설치장소의 환경에 의해 틈새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완하여 가림판(P)이 보다 안정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에 따른 싱크대 다리로서, 특히 암나사부재(300-1)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부재(300-1)는 역원뿔대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외측 둘레면에 끼움돌기의 절개라인(121)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회전방지돌기(33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암나사부재(300-1)는 끼움돌기(120)와 서로 대응결합되어 지지부재(200)의 결합에 따른 회전력이 전달되더라도 회전방지돌기(330)가 절개라인(121)과 면접촉 및 마찰력에 의한 간섭을 받게되고, 이로 인해 암나사부재(300-1)가 끼움돌기(120)의 중공 안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암나사부재(300-1)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역타원뿔대통 형상으로 몸체를 형성할 수도 있고, 이에 따른 끼움돌기(120)의 중공부 단면은 원형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다른 구성요소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로서, 특히 끼움돌기(120)와 암나사부재(300-2)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120)의 중공 내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하도록 암나사부재(300-2)의 외경이 테이퍼지고 다각형인 역다각뿔대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하도록 끼움돌기(120)의 중공부 또한 다각형을 이루면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암나사부재(300-2)는 끼움돌기(120)와 서로 대응결합되어 지지부재(200)의 결합에 따른 회전력이 전달되더라도 각면 간의 면접촉 및 마찰력에 의한 간섭 때문에 암나사부재(300-2)가 끼움돌기(120)의 중공 안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다른 구성요소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실시예>
도 10 내지 도 11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는 밀착부재(100-1)와 지지부재(20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착부재(100-1)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싱크대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면에 중공형의 끼움돌기(1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끼움돌기(120) 둘레에는 절개라인(12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중공의 내경은 상방으로 갈수록 협소하며 그 내측 둘레면상의 상부 일정구간은 탭핑 가공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나사산을 갖는 탭핑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탭핑부(125)는 끼움돌기(120)의 상단부 내측에만 약간의 높이로 형성함으로써 가공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지부재(200-1)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밀착부재(100-1)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삽입 결합되어 싱크대를 받쳐주는 것으로, 끼움돌기(120)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회전에 의한 결합 시 끼움돌기(120)를 확장시키며, 밀착부재(100-1)의 탭핑부(125)와 대응하는 나사산을 갖는 수나사부(210)가 상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나사부(210)를 끼움돌기(120)의 중공부로 삽입과 동시에 회전시키면 수나사부(210)가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협소하게 형성된 끼움돌기(120)의 탭핑부(125) 나사산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이 때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120)의 상부는 그 절개라인(121)에 의해 자연스럽게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싱크대의 장착홈에 밀착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실시에서와 같은 암나사부재 없이 구성되어 지지부재(200-1)의 수나사부(210)가 밀착부재(100-1)의 끼움돌기(120)와 직접적으로 나사 결합되면서 끼움돌기(120)를 외측으로 확개시키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의 향상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은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5실시예>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는 밀착부재(100-2)와 지지부재(20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밀착부재(100-2)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싱크대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 상면에 중공형의 끼움돌기(1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끼움돌기(120)의 둘레에는 절개라인(12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공의 내측 둘레면상의 중간부 일정구간은 탭핑 가공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나사산을 갖는 탭핑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재(200-2)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부가 밀착부재(100-2)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삽입 결합되어 싱크대를 받쳐주는 것으로, 끼움돌기(120)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회전에 의한 결합 시 끼움돌기(120)를 확장시키며, 밀착부재(100-2)의 탭핑부(125)와 대응하는 나사산을 갖는 수나사부(210)가 상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특히 수나사부(210)는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협소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돌기(120)의 탭핑부(125)와 나사결합 시 아래쪽의 넓은 폭이 나사산을 따라 상승하면서 자연스럽게 끼움돌기를 확장시켜 도 12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는 상술한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3실시에서와 같은 암나사부재 없이 구성되어 지지부재(200-2)의 수나사부(210)가 밀착부재(100-2)의 끼움돌기(120)와 직접적으로 나사 결합되면서 끼움돌기(120)를 외측으로 확개시키는 단순한 구조이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의 향상 및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다른 구성요소는 상술한 제1실시예 및 제4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6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나타낸 것으로, 특히 스토퍼(220-1)의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재(100)의 관형체(110) 외측 둘레면에 하부로 결합홈(222)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토퍼(220-1)는 그 결합홈(222)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후크편(H3)이 형성된 홀더(H)와 결합에 의해 목적하는 기능을 최대한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스토퍼의 결합홈(222) 내측면과 이와 대향하는 후크편(H3)의 측면에 서로 대응 결합되면서 밀착부재(100)와 홀더(H) 상호 간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홈과 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지지부재(100)에서 일체로 돌출 형성된 스토퍼(220-1)에 홀더(H)가 전후 또는 좌우 유동없이 긴밀하게 접촉되므로 가림판(P)이 한층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것은 그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암나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암나사부재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암나사부재와 끼움돌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암나사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1a 및 11b는 도 10의 측단면도 및 그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12a 및 12b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다리를 분리한 상태의 측단면도 및 그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스토퍼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밀착부재 110: 관형체
120: 끼움돌기 121: 절개라인
122: 걸림턱 123: 밀착돌기
125: 탭핑부 130: 받침플랜지
200: 지지부재 210: 수나사부
220: 스토퍼 222: 결합홈
300: 암나사부재 310: 암나사부
320: 플랜지 330: 회전방지돌기
400: 높낮이조절부재 S: 싱크대
P: 가림판 H: 홀더
H1: 결합구멍 H2: 탄성부재
H3: 후크편

Claims (8)

  1.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는 역타원뿔대통 형상의 암나사부재;
    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
  2.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되, 외측 둘레면에 상기 끼움돌기의 절개라인과 대응하는 회전방지돌기가 다수 형성된 역원뿔대통 형상의 암나사부재;
    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
  3.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하방으로 갈수록 협소하면서 다각형을 이루는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끼움돌기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수나사부와 회전에 의한 결합 시 하강하면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는 역다각뿔대통 형상의 암나사부재;
    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
  4.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상방으로 갈수록 협소하면서 탭핑 가공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회전에 의한 결합 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는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
  5. 둘레에 절개라인이 다수 형성되고, 내경이 탭핑 가공된 중공형 끼움돌기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밀착부재와;
    상기 밀착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로 삽입되어 회전에 의한 결합 시 상기 끼움돌기를 확장시키되,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협소한 수나사부가 상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높낮이가 조절되는 높낮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싱크대 다리.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의 외측 둘레면에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림판이 싱크대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의 중공부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암나사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턱에 대응하여 걸림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다리.
KR1020090057412A 2009-05-11 2009-06-26 싱크대 다리 KR101167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898 2009-05-11
KR20090040898 2009-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038A KR20100122038A (ko) 2010-11-19
KR101167584B1 true KR101167584B1 (ko) 2012-07-27

Family

ID=4340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412A KR101167584B1 (ko) 2009-05-11 2009-06-26 싱크대 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75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063B1 (ko) * 2014-03-04 2015-08-12 배준영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075B1 (ko) * 2023-06-26 2024-04-29 주식회사 주경 테이블 지지각용 수평조절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14Y1 (ko) * 1998-11-17 2001-05-02 김범준 앞가리개 설치클립을 구비한 싱크대 다리
KR200245819Y1 (ko) * 2001-06-05 2001-10-29 문양선 싱크대 다리의 연결부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114Y1 (ko) * 1998-11-17 2001-05-02 김범준 앞가리개 설치클립을 구비한 싱크대 다리
KR200245819Y1 (ko) * 2001-06-05 2001-10-29 문양선 싱크대 다리의 연결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063B1 (ko) * 2014-03-04 2015-08-12 배준영 설치가 용이한 가구용 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038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8016U (ko) 싱크대의 다리 설치구조
KR101170831B1 (ko) 가림판 밀림방지 기능을 갖는 싱크대 다리
KR101164025B1 (ko) 가구용 받침대
KR101167584B1 (ko) 싱크대 다리
KR101088052B1 (ko) 가구용 받침대
KR101873638B1 (ko) 주방용 선반의 보조 지지장치
US20120234993A1 (en) Device For Attaching A Handle To An Appliance Door
KR101088047B1 (ko) 싱크대 다리
KR101088036B1 (ko) 싱크대 다리
KR100939298B1 (ko) 싱크대 다리
KR200222114Y1 (ko) 앞가리개 설치클립을 구비한 싱크대 다리
JP4699926B2 (ja) テーブル等における天板の支持脚
KR101162580B1 (ko) 싱크대 다리
KR200245819Y1 (ko) 싱크대 다리의 연결부 구조
KR200461750Y1 (ko) 가구용 다리
KR20190026427A (ko) 주방기구용 지지봉
KR102083127B1 (ko) 선반용 결속장치
JP2007296074A (ja) 椅子等の脚端具
KR20110003582U (ko) 사무용 가구
RU2018101705A (ru) Унитазный блок
KR102094177B1 (ko) 싱크대 받침다리
KR101378440B1 (ko) 가구 받침다리
KR200478766Y1 (ko) 다리 착탈식 의자
KR20110072511A (ko) 싱크대 다리 결합구조
KR101080281B1 (ko) 오일튀김 방지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