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973B1 - 3 단자형 콘덴서 - Google Patents

3 단자형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973B1
KR101543973B1 KR1020140183121A KR20140183121A KR101543973B1 KR 101543973 B1 KR101543973 B1 KR 101543973B1 KR 1020140183121 A KR1020140183121 A KR 1020140183121A KR 20140183121 A KR20140183121 A KR 20140183121A KR 101543973 B1 KR101543973 B1 KR 101543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electrode
width
capacitor element
layer
ex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부미 아다찌
미쯔루 이께다
히또아끼 기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140183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48Terminals the terminals embracing or surrounding the capacitive element, e.g. c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Ceramic Capacitors (AREA)

Abstract

외부 전극의 도포 위치가 어긋나더라도, 외부 전극간의 절연 저항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3 단자형 콘덴서를 제공한다.
한쪽 제2 외부 전극의 L 방향의 길이를 E1,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L 방향의 길이를 E3, 제1 외부 전극의 L 방향의 길이를 E2, 한쪽 제2 외부 전극과 제1 외부 전극의 거리를 ME1, 제1 외부 전극과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거리를 ME2, 콘덴서 소자의 L 방향의 길이를 L, 한쪽 제2 인출부의 제3 면측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3 면까지의 폭을 M1L, 한쪽 제2 인출부의 제4 면측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한쪽 제2 외부 전극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1R, 제1 인출부의 제3 면측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제1 외부 전극의 제3 면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L, 제1 인출부의 제4 면측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제1 외부 전극의 제4 면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R이라 했을 때, E1+ME2+E2+ME2+E3>L, |ME1-ME2|<50㎛, M2L<M2R 또한 M1R>M1L을 만족한다.

Description

3 단자형 콘덴서{THREE TERMINAL CONDENSER}
본 발명은 3 단자형 콘덴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제품의 소형화, 고용량화에 수반하여, 전자 제품에 사용되는 적층 세라믹 콘덴서도 소형화, 고용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전자 제품의 고주파수화, 저전압화, 저소비 전력화에 의해, 등가 직렬 인덕턴스(Equivalent Series Inductance, 이하, 「ESL」이라고 함)의 작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가 필요해지며, ESL의 작은 적층 세라믹 콘덴서로서, 3 단자형 세라믹 콘덴서가 알려져 있다. 이 3 단자형 콘덴서는, 외부 전극간 거리를 감소시켜서 전류의 흐름 경로를 감소시키고, 이에 의해 캐패시터의 인덕턴스를 저감시킨다.
일본 특허 공개 평11-144996호 공보
외부 전극간 거리가 작은 경우, 외부 전극 사이에서 IR값이 저하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외부 전극 사이는 일정한 거리가 필요하지만, 외부 전극의 도포 위치가 어긋나 버리면, 외부 전극간 거리가 작게 되어 버린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전극의 도포 위치가 어긋나 버렸다 하더라도, 외부 전극간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외부 전극간의 절연 저항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3 단자형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3 단자형 콘덴서는,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면 및 제2 면과,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면 및 제4 면과,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5 면 및 제6 면을 갖는 콘덴서 소자와,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와, 제3 면, 제5 면, 제6 면에 걸쳐 형성된 한 쪽 제2 외부 전극과,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와, 제4 면, 제5 면, 제6 면에 걸쳐 형성된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과,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제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과, 제5 면, 제6 면에 걸쳐 형성된 제1 외부 전극과, 콘덴서 소자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외부 전극에 제1 인출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도전체층과, 콘덴서 소자의 내부에 형성되어, 한쪽 제2 외부 전극에 한쪽 제2 인출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에 다른 쪽 제2 인출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도전체층을 구비한 3 단자형 콘덴서이며, 한쪽 제2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1이라 하고,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3이라 하고, 제1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2라 하고, 한쪽 제2 외부 전극과 제1 외부 전극의 거리를 ME1이라 하고, 제1 외부 전극과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거리를 ME2라 하고, 콘덴서 소자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L이라 하고, 한쪽 제2 인출부의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3 면까지의 폭을 M1L이라 하고, 한쪽 제2 인출부의 제4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한쪽 제2 외부 전극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1R이라 하고, 제1 인출부의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제1 외부 전극에 있어서의 제3 면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L이라 하고, 제1 인출부의 제4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제1 외부 전극에 있어서의 제4 면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R이라 하고, 다른 쪽 제2 인출부의 제4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4 면까지의 폭을 M3R이라 하고, 다른 쪽 제2 인출부의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3L이라 했을 때, L이 각각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3 단자형 콘덴서는, 2.10㎜>E1+ME1+E2+ME2+E3>2.00㎜, |ME1-ME2|<50㎛, M2L<M2R 또한 M1R>M1L, 혹은 M2L>M2R 또한 M1R<M1L, M1R/L, M2L/L, M2R/L 및 M3L/L이, 각각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단자형 콘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에서는, 한쪽 제2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1이라 하고,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3이라 하고, 제1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2라 하고, 한쪽 제2 외부 전극과 제1 외부 전극의 거리를 ME1이라 하고, 제1 외부 전극과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거리를 ME2라 하고, 콘덴서 소자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L이라 하고, 한쪽 제2 인출부의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3 면까지의 폭을 M1L이라 하고, 한쪽 제2 인출부의 제4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한쪽 제2 외부 전극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1R이라 하고, 제1 인출부의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제1 외부 전극에 있어서의 제3 면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L이라 하고, 제1 인출부의 제4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제1 외부 전극에 있어서의 제4 면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R이라 했을 때, E1+ME2+E2+ME2+E3>L, |ME1-ME2|<50㎛, M2L<M2R 또한 M1R>M1L, 혹은 M2L>M2R 또한 M1R<M1L을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제1 외부 전극, 한쪽 제2 외부 전극 및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어긋남이, 항상 일정 단부면측으로 치우쳐 있기 때문에, 외부 전극 사이의 절연 저항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쪽 제2 인출부의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 위의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3L이라 했을 때, M1R/L, M2L/L, M2R/L 및 M3L/L이, 각각 1.5% 이상이면 제1 인출부, 한쪽 제2 인출부 및 다른 쪽 제2 인출부를 제1 외부 전극, 한쪽 제2 외부 전극 및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에 의해 확실하게 덮을 수 있으므로, 외부 전극 단부 테두리로부터 침입하는 수분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전체 층간의 절연 저항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전극의 도포 위치가 어긋나 버렸다 하더라도, 외부 전극간 거리가 일정하기 때문에, 외부 전극간의 절연 저항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3 단자형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실장면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의 인출부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1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제2 내부 전극 및 제2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3 단자형 콘덴서의 한층 더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의 한층 더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5 면의 모식적 정면도.
도 11의 (a)는 도 10의 선Ⅳ-Ⅳ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b)는 도 10의 선Ⅴ-Ⅴ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
도 12는 경계층이 형성된 최외의 유전체층과 최외 도전체층의 계면을 나타내는 도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도 14에 도시한 3 단자형 콘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변형예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콘덴서 소자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1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콘덴서 소자의 제2 내부 전극 및 제2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1은 도 14에 도시하는 3 단자형 콘덴서의 한층 더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23은 능선부의 R양을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4의 (a)는 3 단자형 콘덴서를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3 단자형 콘덴서를 외부에서 본 개략도, (b)는 3 단자형 콘덴서를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전체층의 개략도, (c)는 3 단자형 콘덴서를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전체층의 개략도.
도 25의 (a)는 3 단자형 콘덴서를 패턴 2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3 단자형 콘덴서를 외부에서 본 개략도, (b)는 3 단자형 콘덴서를 패턴 2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제1 도전체층의 개략도, (c)는 3 단자형 콘덴서를 패턴 2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제2 도전체층의 개략도.
도 26은 3 단자형 콘덴서에 대해서, 패턴 1과 패턴 2의 삽입 손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1. 3 단자형 콘덴서
(1) 제1 실시 형태
도 1은 3 단자형 콘덴서(100)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102)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102)의 분해 사시도이다.
3 단자형 콘덴서(100)는 대략 직육면체의 콘덴서 소자(102)와, 콘덴서 소자(102)의 표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외부 전극(104, 105)과, 콘덴서 소자(102)의 표면의 좌우 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소자(102)는 상하의 높이 T 방향으로, 제1 면(102a)과, 제1 면(102a)에 대향하는 제2 면(102b)을 갖고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102)는 좌우의 길이 L 방향으로, 제3 면(102c)과, 제3 면(102c)에 대향하는 제4 면(102d)을 갖고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102)는 앞뒤의 폭 W 방향으로, 제5 면(102e)과, 제5 면(102e)에 대향하는 제6 면(102f)을 갖고 있다.
3 단자형 콘덴서(100)는 예를 들어 길이 L 방향의 치수가 2.00㎜ 이상 2.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 T 방향의 치수가 0.7㎜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폭 W 방향의 치수가 1.20㎜ 이상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 단자형 콘덴서(100)의 길이 L 방향의 치수, 높이 T 방향의 치수, 폭 W 방향의 치수는 미쯔도요 제조의 마이크로미터 MDC-25MX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극(104)은 제1 면(10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제5 면(102e), 제6 면(1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외부 전극(105)은 제2 면(102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제5 면(102e), 제6 면(1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외부 전극(104)은 후술하는 제1 도전체층(120)의 제1 인출부(1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4a)와,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4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폴딩부(104b, 104b)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4a)는, 제1 면(102a)에 형성되어 있고, 제1 폴딩부(104b, 104b)는, 제5 면(102e), 제6 면(102f)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외부 전극(105)은 후술하는 제1 도전체층(120)의 제1 인출부(13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5a)와,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5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폴딩부(105b, 105b)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5a)는 제2 면(102b)에 형성되어 있고, 제1 폴딩부(105b, 105b)는 제5 면(102e), 제6 면(102f)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2 외부 전극(106, 108)은, 제1 면(102a)의 좌우의 양단부에, 제1 외부 전극(104)을 사이에 배치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외부 전극(106)은 제1 면(10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끝으로부터, 제3 면(102c), 제5 면(102e), 제6 면(1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전극(108)은 제1 면(10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제4 면(102d), 제5 면(102e), 제6 면(1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전극(106)은 후술하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6a)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6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폴딩부(106b, 106b)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6a)의 한쪽측 테두리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폴딩부(106c)를 갖는다. 따라서,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6a)는, 제1 면(102a)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폴딩부(106b, 106b)는,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에 형성되고, 제3 폴딩부(106c)는, 제3 면(102c)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전극(108)은 후술하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8a)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8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폴딩부(108b, 108b)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8a)의 다른 쪽측 테두리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폴딩부(108c)를 갖는다. 따라서,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8a)는, 제1 면(102a)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폴딩부(108b, 108b)는,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에 형성되고, 제3 폴딩부(108c)는, 제4 면(102d)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외부 전극(107, 109)은, 제2 면(102b)의 좌우의 양단부에, 제1 외부 전극(105)을 사이에 배치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외부 전극(107)은, 제2 면(102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끝으로부터, 제3 면(102c), 제5 면(102e), 제6 면(1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전극(109)은, 제2 면(102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제4 면(102d), 제5 면(102e), 제6 면(1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전극(107)은, 후술하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7a)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7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폴딩부(107b, 107b)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7a)의 한쪽측 테두리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폴딩부(107c)를 갖는다. 따라서,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7a)는, 제2 면(102b)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폴딩부(107b, 107b)는,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에 형성되고, 제3 폴딩부(107c)는, 제3 면(102c)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전극(109)은, 후술하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9a)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9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폴딩부(109b, 109b)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9)의 다른 쪽측 테두리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폴딩부(109c)를 갖는다. 따라서,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9a)는, 제2 면(102b)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폴딩부(109b, 109b)는,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에 형성되고, 제3 폴딩부(109c)는, 제4 면(102d)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면(102a) 및 제2 면(102b) 중 어느 한쪽의 면이, 3 단자형 콘덴서(100)의 실장면으로 된다.
여기서,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폭 B는,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폭 A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폭 B는, 0.63㎜ 이상 0.67㎜ 이하이다.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폭 A는, 0.35㎜ 이상 0.45㎜ 이하이다.
또한, 제1 외부 전극(104, 105),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폭은, NIKON 제조의 측정 현미경 MM-60으로 20배의 배율로 3 단자형 콘덴서(100)의 제1 면(102a) 또는 제2 면(102b)을 투영해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부 전극(104, 105)은, 각각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1회 도포함으로써 후막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은, 각각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2회 도포함으로써 후막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전극 두께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전극 두께보다 커지고 있다.
또한, 제1 외부 전극(104, 105),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두께는, 3 단자형 콘덴서(100)의 제5 면(102e)의 표면으로부터 폭 방향의 중앙을 향해서 연마함으로써, 제1 외부 전극(104, 105),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단면을 노출시키고, 그리고 연마에 의한 늘어짐을 제거한 후에, 제1 외부 전극(104, 105),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단면에 투영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전극 두께가,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전극 두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면, 3 단자형 콘덴서(100)가 실장 기판에 대하여 대략 평행해지도록 실장할 수 있다. 이 결과, 3 단자형 콘덴서(100)는 실장 기판에 실장 후의 외관 상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제1 폴딩부(104b, 105b)의 폭 B'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4a, 105a)의 폭 B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제2 폴딩부(106b, 107b, 108b, 109b)의 폭 A'는,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6a, 107a, 108a, 109a)의 폭 A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제1 폴딩부(104b, 105b)의 폭 B'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제2 폴딩부(106b, 107b, 108b, 109b)의 폭 A'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4a, 105a)의 폭 B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6a, 107a, 108a, 109a)의 폭 A에 비해, 길이 L 방향으로 늘인 형상이다.
이때, 제1 외부 전극(104)의 제1 폴딩부(104b)의 폭 B'는, 제1 면(102a)과 제5 면(102e)이 교차하는 경계부(103a) 및 제1 면(102a)과 제6 면(102f)이 교차하는 경계부(103b)에 있어서 가장 커진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전극(106, 108)의 제2 폴딩부(106b, 108b)의 폭 A'는, 경계부(103a) 및 경계부(103b)에 있어서 가장 커진다.
또한, 제1 외부 전극(105)의 제1 폴딩부(105b)의 폭 B'는, 제2 면(102b)과 제5 면(102e)이 교차하는 경계부(103c) 및 제2 면(102b)과 제6 면(102f)이 교차하는 경계부(103d)에 있어서 가장 커진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전극(107, 109)의 제2 폴딩부(107b, 109b)의 폭 A'는, 경계부(103c) 및 경계부(103d)에 있어서 가장 커진다.
이와 같이,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제1 폴딩부(104b, 105b)의 폭 B'가,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제1 외부 전극 본체부(104a, 105a)의 폭 B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제2 폴딩부(106b, 107b, 108b, 109b)의 폭 A'가,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제2 외부 전극 본체부(106a, 107a, 108a, 109a)의 폭 A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제1 폴딩부(104b, 105b)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제2 폴딩부(106b, 107b, 108b, 109b)에 대하여 젖어 올라가는 땜납의 양을, 종래에 비해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3 단자형 콘덴서(100)와 실장 기판의 고착력을 확보하면서, 종래에 비해, 실장 기판의 랜드에 있어서의 땜납의 필릿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로 인해, 3 단자형 콘덴서(100)를 실장 기판에 실장함으로써, 실장 기판의 랜드 패턴의 면적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면(102a)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106)은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의 제2 폴딩부(106b, 106b) 중, 길이 L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쪽의 높이를 H2라 하고, 제3 면(102c)의 제3 폴딩부(106c)의 폭 W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를 H3이라 했을 때, 조건식 H2>H3을 충족하고 있다.
또한, 제1 면(102a)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108)은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의 제2 폴딩부(108b, 108b) 중, 길이 L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쪽의 높이를 H2'라 하고, 제4 면(102d)의 제3 폴딩부(108c)의 폭 W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를 H3'라 했을 때, 조건식 H2'>H3'를 충족하고 있다.
또한, 제2 면(102b)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107)은,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의 제2 폴딩부(107b, 107b) 중, 길이 L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쪽의 높이를 H2라 하고, 제3 면(102c)의 제3 폴딩부(107c)의 폭 W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를 H3이라 했을 때, 조건식 H2>H3을 충족하고 있다.
또한, 제2 면(102b)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109)은,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의 제2 폴딩부(109b, 109b) 중, 길이 L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쪽의 높이를 H2'라 하고, 제4 면(102d)의 제3 폴딩부(109c)의 폭 W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를 H3'라 했을 때, 조건식 H2'>H3'를 충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건식 H2>H3 및 조건식 H2'>H3'를 충족하고 있는 3 단자형 콘덴서(100)이므로, 3 단자형 콘덴서(100)를, 예를 들어 제1 면(102a)을 실장면으로 해서 실장 기판에 실장할 때, 제2 외부 전극(106, 108)의 제2 폴딩부(106b, 108b)에 젖어 올라가는 땜납의 양이, 제2 외부 전극(106, 108)의 제3 폴딩부(106c, 108c)에 젖어 올라가는 땜납의 양보다 많아진다. 따라서, 3 단자형 콘덴서(100)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고, 또한 3 단자형 콘덴서(100)와 실장 기판의 고착력도 확보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극(104, 105)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은, Ag, Cu, Ni, Pd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외부 전극(104, 105)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은, 각각 그 표면에 도금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도금 피막은 제1 외부 전극(104, 105)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을 보호하고, 또한 제1 외부 전극(104, 105)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납땜성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제1 외부 전극(104, 105)이 접지측 전극이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이 신호측 전극이어도 되고, 제1 외부 전극(104, 105)이 신호측 전극이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이 접지측 전극이어도 된다.
콘덴서 소자(102)는 폭 W 방향(적층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내층용 유전체층(110)과, 복수의 내층용 유전체층(110)끼리의 계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도전체층(120) 및 제2 도전체층(122)과, 복수의 내층용 유전체층(110)을 사이에 두도록 앞뒤로 최외 도전체층(124, 126)이 배치되고, 또한 최외 도전체층(124, 126)을 사이에 두도록 앞뒤로 배치된 외층용 유전체층(112)으로 구성된 적층체 구조를 갖고 있다.
제1 도전체층(120)은, 제1 대향부(128)와, 제1 대향부(128)의 중앙부로부터 상하의 높이 T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1 인출부(132, 133)를 갖고 있다. 제1 인출부(132)는 콘덴서 소자(102)의 제1 면(102a)의 중앙부에 인출되어 제1 외부 전극(1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인출부(133)는 콘덴서 소자(102)의 제2 면(102b)의 중앙부에 인출되어 제1 외부 전극(10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도전체층(122)은, 제2 대향부(130)와, 제2 대향부(130)의 좌측 단부로부터 상하의 높이 T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2 인출부(134, 135)와, 제2 대향부(130)의 우측 단부로부터 상하의 높이 T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있는 제2 인출부(136, 137)를 갖고 있다. 제2 인출부(134)는 콘덴서 소자(102)의 제1 면(102a)의 좌측 단부에 인출되어 제2 외부 전극(10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인출부(135)는 콘덴서 소자(102)의 제2 면(102b)의 좌측 단부에 인출되어 제2 외부 전극(10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인출부(136)는 콘덴서 소자(102)의 제1 면(102a)의 우측 단부에 인출되어 제2 외부 전극(1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인출부(137)는 콘덴서 소자(102)의 제2 면(102b)의 우측 단부에 인출되어 제2 외부 전극(10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실장면에 있어서의 내부 전극의 인출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1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제2 내부 전극 및 제2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의 (Ⅰ)은 도 5(사시도) 및 도 6(정면도)의 Ⅰ-Ⅰ의 위치(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 위치)의 제1 도전체층(120) 및 제1 인출부(132, 133)를 나타낸다. 도 7의 (Ⅱ)는 도 5 및 도 6의 Ⅱ-Ⅱ의 위치(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으로부터 폭 W의 1/4에 배치된 층(이하, 1/4층이라고 칭함)의 근방의 위치)의 제1 도전체층(120) 및 제1 인출부(132, 133)를 나타낸다. 도 7의 (Ⅲ)은 도 5 및 도 6의 Ⅲ-Ⅲ의 위치(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으로부터 폭 W의 1/2에 배치된 층(이하, 중앙층이라고 칭함)의 근방의 위치)의 제1 도전체층(120) 및 제1 인출부(132, 133)를 나타낸다.
콘덴서 소자(1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도전체층(120)의 제1 인출부(132, 133)의 선단의 폭 E는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도전체층(120)의 제1 인출부(132, 133)의 선단의 폭 F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외층 근방의 위치로부터 중앙층 근방의 위치를 향해서, 제1 인출부(132, 133)의 선단의 폭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도 8의 (Ⅰ)은 도 5 및 도 6의 Ⅰ-Ⅰ의 위치의 제2 도전체층(122) 및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를 나타낸다. 도 8의 (Ⅱ)는 도 5 및 도 6의 Ⅱ-Ⅱ의 위치의 제2 도전체층(122) 및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를 나타낸다. 도 8의 (Ⅲ)은 도 5 및 도 6의 Ⅲ-Ⅲ의 위치의 제2 도전체층(122) 및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를 나타낸다.
콘덴서 소자(1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선단의 폭 G는,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선단의 폭 H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외층 근방의 위치로부터 중앙층 근방의 위치를 향해서,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선단의 폭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1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의 선단은, 콘덴서 소자(2)의 제3 면(단부면)(102c)으로부터 거리 C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콘덴서 소자(1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6, 137)의 선단도, 콘덴서 소자(102)의 제4 면(단부면)(102d)으로부터 거리 C를 갖고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의 선단은, 콘덴서 소자(102)의 제3 면(102c)으로부터 거리 D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콘덴서 소자(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6, 137)의 선단도, 콘덴서 소자(102)의 제4 면(102d)으로부터 거리 D를 갖고 있다. 그리고, 거리 D가 거리 C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거리 D가 거리 C보다 커지도록 하기 위해서,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는 경사부(129)를 갖고 있고, 선단의 위치가 중앙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최외층 근방의 위치로부터 중앙층 근방의 위치를 향해서,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경사부(129)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선단의 위치가 서서히 외측이 되고 있다.
표 1은, Ⅰ-Ⅰ의 위치(최외층 근방의 위치), Ⅱ-Ⅱ의 위치 및 Ⅲ-Ⅲ의 위치(중앙층 근방의 위치)에서의, 제2 인출부(134, 135)(제2 인출부(136, 137))의 선단과 콘덴서 소자(102)의 제3 면(102c)(제4 면(102d)) 사이의 거리,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선단의 폭 및 제1 인출부(132, 133)의 선단의 폭의 구체적 수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 α는, 중앙층 근방에서의 제2 인출부(134, 135)(제2 인출부(136, 137))의 선단과 콘덴서 소자(102)의 제3 면(102c)(제4 면(102d)) 사이의 거리 C와 똑같은 수치이다.
Figure 112014123190375-pat00001
이와 같이, 거리 D가 거리 C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크랙이 발생하기 어려운 3 단자형 콘덴서(100)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1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선단의 폭 G가,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선단의 폭 H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크랙이 보다 한층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콘덴서 소자(1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도전체층(120)의 제1 인출부(132, 133)의 선단의 폭 E가,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도전체층(120)의 제1 인출부(132, 133)의 선단의 폭 F보다 크게 설정되는 경우에는, 콘덴서 소자(102)의 중앙층 근방에 있어서의 제1 외부 전극(104, 105)과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 사이의 전기적 거리가 짧아져서, 콘덴서 소자(102)의 최외층 근방에 있어서의 제1 외부 전극(104, 105)과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 사이의 전기적 거리가 대략 같아진다. 이 결과, 등가 직렬 인덕턴스(ESL)의 균일화가 이루어짐과 함께, 등가 직렬 인덕턴스(ESL)이 저감된다.
또한, 도 9는 도 1에 도시하는 3 단자형 콘덴서의 한층 더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인출부(132)는 제1 대향부(128)측이 제2 인출부(134)측 및 제2 인출부(136)측의 두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양측 경사부(170a)를 갖고, 제1 면(102a)측이 직선부(170b)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인출부(133)는 제1 대향부(128)측이 제2 인출부(135)측 및 제2 인출부(137)측의 두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양측 경사부(171a)를 갖고, 제2 면(102b)측이 직선부(171b)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인출부(134)는 제2 대향부(130)측이 제1 인출부(132)측의 한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편측 경사부(172a)를 갖고, 제1 면(102a)측이 직선부(172b)를 갖고 있다. 제2 인출부(135)는 제2 대향부(130)측이 제1 인출부(133)측의 한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편측 경사부(173a)를 갖고, 제2 면(102b)측이 직선부(173b)를 갖고 있다. 제2 인출부(136)는 제2 대향부(130)측이 제1 인출부(132)측의 한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편측 경사부(174a)를 갖고, 제1 면(102a)측이 직선부(174b)를 갖고 있다. 제2 인출부(137)는 제2 대향부(130)측이 제1 인출부(133)측의 한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편측 경사부(175a)를 갖고, 제2 면(102b)측이 직선부(175b)를 갖고 있다.
그렇게 하면, 제1 인출부(132, 133) 및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제1 대향부(128)측 및 제2 대향부(130)측이 다른 쪽 인출부측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부(170a 내지 175a)를 갖고 있으므로, 제1 외부 전극(104, 105)과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 사이의 전기적 거리(예를 들어, 제1 외부 전극(104)→제1 인출부(132)→제1 도전체층(120)→유전체층(110)→제2 도전체층(122)→제2 인출부(136)→제2 외부 전극(108)의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등가 직렬 인덕턴스(ESL)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인출부(132, 133) 및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가 직선부(170b 내지 175b)를 갖고 있으므로, 외형을 커트할 때에 커트 위치가 높이 T 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제1 인출부(132, 133) 및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선단의 폭은 바뀌지 않고, 넓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인출부(132, 133) 및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의 선단이, 제1 외부 전극(132, 133) 및 제2 외부 전극(134, 135, 136, 137)의 전극 두께의 얇은 부분에 접속되게 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제1 외부 전극(132, 133) 형성 부분 및 제2 외부 전극(134, 135, 136, 137) 형성 부분에서, 수분이 3 단자형 콘덴서(100)의 내부로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수분 시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도전체층(120)과 제2 도전체층(122)은, 폭 W 방향에 있어서,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내층용 유전체층(110)을 개재해서 대향하고 있다. 이 제1 도전체층(120)과 제2 도전체층(122)이 내층용 유전체층(110)을 개재해서 대향하고 있는 부분(제1 도전체층(120)의 제1 대향부(128)와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대향부(130)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정전 용량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전체층(120) 및 제2 도전체층(122)은 Ag, Cu, Ni, Pd 또는 이들 금속의 합금 등을 포함한다. 또한, 내층용 유전체층(110) 및 외층용 유전체층(112)은 티타늄산바륨계 재료, 티타늄산스트론튬계 재료 등을 포함한다. 제1 도전체층(120) 및 제2 도전체층(122)의 두께는 평균 1.0㎜ 이하이다. 또한, 전기적 도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1 도전체층(120) 및 제2 도전체층(122)의 두께는 평균 0.3㎜ 이상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의 한층 더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5 면의 모식적 정면도이다. 또한, 도 11의 (a)는 도 10의 선Ⅳ-Ⅳ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고, 도 11의 (b)는 도 10의 선Ⅴ-Ⅴ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12는 경계층이 형성된 외층용 유전체층과 최외 도전체층의 계면을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두께는 폭 W 방향에 대해서 중앙 근방에 위치하는 제1 도전체층(120) 혹은 제2 도전체층(122)의 두께보다도 작다.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두께는, 중앙부에서 0.8㎜ 이하이다. 또한, 전기적 도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두께는 평균 0.3㎜ 이상이다.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커버리지는 폭 W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양측면 방향을 향해서 서서히 얇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커버리지는 도전체 입자 단면의 길이의 총합/도전체층 단면의 전체 길이에 의해 정의되며, 3 단자형 콘덴서(100)에 있어서의 길이 L 방향 및 높이 T 방향으로 둘러싸인 측면(LT면)이 노출되는 형태로 연마하여 측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커버리지는 높이 T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의 제1 도전체층(120) 혹은 제2 도전체층(122)의 커버리지 0.4 이상 0.85 이하이다. 즉, 이와 같이 도체 입자가 단속적으로 집합하고, 커버리지가 저하되므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손부(126a)가 형성된다. 높이 T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의 제1 도전체층(120) 혹은 제2 도전체층(122)의 커버리지 0.4보다 작으면 전기적 도통성의 확보가 곤란해지고, 0.85보다 크면 층간 밀착력이 충분히 향상되지 못한다.
또한, 결손부(126a)에는 최외 도전체층(124, 126)을 사이에 두고 유전체층(110)끼리를 결합하는 기둥이 형성되며, 이 기둥은 Si 편석물 Al 편석물, BaTiO3(티타늄산바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이들 편석물은 FE-WDX 분석에 의해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내층용 유전체층(110)끼리가 결합하는 기둥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내층용 유전체층(110)에 SiO2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용 유전체층(110)은 Ti에 대한 Si가 1.3mol% 이상이 바람직하고, 콘덴서로서의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서 3.0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유전체층끼리를 결합하는 기둥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유전체층에 Al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전체층끼리를 결합하는 기둥의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서, 도전체층에 공재로서 BaTiO3(티타늄산바륨)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외 도전체층(124)은 내층용 유전체층(110)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제1 도전체층(120)과 공통되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에 접속된다. 또한, 최외 도전체층(126)은 내층용 유전체층(110)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제2 도전체층(122)과 공통되는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에 접속된다.
또한, 최외의 유전체층의 최외 도전체층(124, 126)과 인접하는 경계층(127)에 Mg 및 Mn이 편석하도록 해서 형성되는 Mg-Mn-Ni의 공존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층용 유전체층(112)과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경계의 69% 이상에 경계층(127)이 존재하고 있다. 경계층의 존재 비율(%)=(Mg, Mn이 존재하는 경계층의 길이의 합계)/(도전체층의 길이)×100에 의해 산출된다. 또한, 식 중 「도전체층의 길이」는 보이드나 Si의 편석 등에서, 도전체층이 결손하고 있는 부분을 제외한 길이이다.
Mg-Mn-Ni 공존 영역은 (Mg,Mn)/Ni몰비가 0.1 내지 0.8이 바람직하고, 면적 비율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두께가, 제1 도전체층(120) 혹은 제2 도전체층(122)의 두께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양측에 인접해서 적층된 유전체층 사이의 층간 밀착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덴서 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커버리지가, 높이 T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의 도전체층 커버리지의 0.4 이상 0.85 이하인 경우에는, 도체 입자가 단속적으로 집합하고, 커버리지가 저하되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손부(126a)가 형성된다. 이 결손부(126a)에는 티타늄산바륨이나 실리카 등의 유전체층에 의해 기둥이 형성되고,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입자간에 있어서, 최외 도전체층(124, 126)의 양측에 인접해서 적층된 유전체층이 이어지기 쉬워져서, 층간 밀착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보다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덴서 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최외 도전체층(124)은 내층용 유전체층(110)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제1 도전체층(120)과 공통되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에 접속된다. 또한, 최외 도전체층(126)은 내층용 유전체층(110)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제2 도전체층(122)과 공통되는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최외 도전체층(124, 126)은 실질적으로 정전 용량의 발현에 기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외 도전체층(124, 126) 부근에 있어서 크랙이 발생하더라도, 콘덴서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층용 유전체층(112)의 최외 도전체층(124, 126)과 인접하는 경계층(127)에 Mg 및 Mn이 편석하도록 해서 형성되는 Mg-Mn-Ni의 공존 영역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Mg, Mn 및 Ni의 산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계층(127)은 유전체층과의 접합력이 우수하다. 그 결과, 크랙의 발생을 방지하여, 콘덴서 기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경계층의 검출은 경계층을 포함하는 단면을 FE-WDX로 관찰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또한, 제2 면(102b)측에 형성되는 제1 외부 전극(105) 및 제2 외부 전극(107, 109)에 대해서는, 제1 면(102a)과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제2 외부 전극(106)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1, 제1 외부 전극(104)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2, 제2 외부 전극(108)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3이라 한다. 제2 외부 전극(106)과 제1 외부 전극(104)의 거리를 ME1이라 하고, 제1 외부 전극(104)과 제2 외부 전극(108)의 거리를 ME2라 한다. 제2 인출부(134)의 제3 면(102c)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3 면(102c)까지의 폭을 M1L이라 하고, 제2 인출부(134)의 제4 면(102d)측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102a) 위의 제2 외부 전극(106)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1R이라 한다. 제1 인출부(132)의 제3 면(102c)측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102a) 위의 제1 외부 전극(104)에 있어서의 제3 면(102c)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L이라 하고, 제1 인출부(132)의 제4 면(102d)측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102a) 위의 제1 외부 전극(104)에 있어서의 제4 면(102d)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R이라 한다. 제2 인출부(136)의 제3 면(102c)측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1 면(102a) 위의 제2 외부 전극(108)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3L이라 하고, 제2 인출부(136)의 제4 면(102d)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제4 면(102d)까지의 폭을 M3R이라 한다. 제1 외부 전극, 제2 외부 전극 및 제3 외부 전극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치수가 변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E1, E2, E3, ME1, ME2, M1L, M1R, M2L, M2R, M3L, M3R의 각 치수의 치수는, 모두 동일 단면에 있어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3 단자형 콘덴서(100)는 E1+ME1+E2+ME2+E3>콘덴서 소자의 길이 L 방향의 치수(이하, L 길이라 함)이며, 제2 외부 전극(106)은 제3 면(102c)에 제3 폴딩부(106c)가 형성되고, 제2 외부 전극(108)은 제4 면(102d)에 제3 폴딩부(108c)가 형성되어, |ME1-ME2|<50㎛를 만족하고, 또한 M2L<M2R, 또한 M1R>M1L, 혹은 M2L>M2R, 또한 M1R<M1L을 만족한다.
또한, M1R/L길이, M2L/L길이, M2R/L길이, M3L/L길이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E1, E2, E3, ME1, ME2, M1L, M1R, M2L, M2R, M3L, M3R의 각각의 치수는, 다음과 같이 해서 측정한다. 먼저, 3 단자형 콘덴서(100)에 있어서의 길이 L 방향 및 높이 T 방향으로 둘러싸인 측면(LT면)이 노출되는 형태로, 3 단자형 콘덴서(100)의 주위를 굳힌다. 그리고, 연마기에 의해,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폭 W 방향을 따라, 1/2의 깊이까지 연마를 행하고, 제1 도전체층(120) 및 제2 도전체층(122)을 노출시킨다. 그리고, 연마에 의한 제1 도전체층(120) 및 제2 도전체층(122)의 늘어짐을 없애도록 연마 표면을 가공하고, 그 단면을, 광학 현미경을 사용해서 3 단자형 콘덴서(100)의 제5 면(102e)측에서 관찰하여, 각 치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3 단자형 콘덴서(100)에서는, 제1 도전체층(120) 및 제2 도전체층(122)이 3 단자형 콘덴서(100)의 제1 면(102a) 또는 제2 면(102b)(바꾸어 말하면, 실장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적층 방향이 제1 면(102a) 또는 제2 면(102b)(바꾸어 말하면,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하다.
(2) 제2 실시 형태
도 14는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인 3 단자형 콘덴서(200)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202)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202)의 분해 사시도이다.
3 단자형 콘덴서(200)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3 단자형 콘덴서(100)에 있어서, 제1 도전체층(120)의 제1 인출부(133) 및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5, 137)를 생략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따라서, 3 단자형 콘덴서(200)는 3 단자형 콘덴서(100)에 있어서, 제1 외부 전극(105) 및 제2 외부 전극(107, 109)을 생략한 것과 마찬가지의 것이다.
3 단자형 콘덴서(200)는 대략 직육면체의 콘덴서 소자(202)와, 콘덴서 소자(202)의 표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외부 전극(204)과, 콘덴서 소자(202)의 표면의 좌우 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206, 208)을 구비하고 있다.
콘덴서 소자(202)는 상하의 높이 T 방향으로, 제1 면(202a)과, 제1 면(202a)에 대향하는 제2 면(202b)을 갖고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202)는 좌우의 길이 L 방향으로, 제3 면(202c)과, 제3 면(202c)에 대향하는 제4 면(202d)을 갖고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202)는 앞뒤의 폭 W 방향으로, 제5 면(202e)과, 제5 면(202e)에 대향하는 제6 면(202f)을 갖고 있다.
3 단자형 콘덴서(200)는 예를 들어 길이 L 방향의 치수가 2.00㎜ 이상 2.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높이 T 방향의 치수가 0.7㎜ 이상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폭 W 방향의 치수가 1.20㎜ 이상 1.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 단자형 콘덴서(200)의 길이 L 방향의 치수, 높이 T 방향의 치수, 폭 W 방향의 치수는, 미쯔도요 제조의 마이크로미터 MDC-25MX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극(204)은, 제1 면(20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와, 제5 면(202e), 제6 면(2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제1 외부 전극(204)은, 후술하는 제1 도전체층(220)의 제1 인출부(23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1 외부 전극 본체부(204a)와, 제1 외부 전극 본체부(204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폴딩부(204b, 204b)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외부 전극 본체부(204a)는, 제1 면(202a)에 형성되어 있고, 제1 폴딩부(204b, 204b)는, 제5 면(202e), 제6 면(202f)에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외부 전극(206, 208)은, 제1 면(202a)의 좌우의 양단부에, 제1 외부 전극(204)을 사이에 배치하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 외부 전극(206)은 제1 면(20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끝으로부터, 제3 면(202c), 제5 면(202e), 제6 면(2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전극(208)은 제1 면(202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끝으로부터, 제4 면(202d), 제5 면(202e), 제6 면(202f)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전극(206)은 후술하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외부 전극 본체부(206a)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206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폴딩부(206b, 206b)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206a)의 한쪽측 테두리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폴딩부(206c)를 갖는다. 따라서, 제2 외부 전극 본체부(206a)는 제1 면(202a)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폴딩부(206b, 206b)는 제5 면(202e) 및 제6 면(202f)에 형성되고, 제3 폴딩부(206c)는 제3 면(202c)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외부 전극(208)은 후술하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2 외부 전극 본체부(208a)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208a)의 양 끝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폴딩부(208b, 208b)와, 제2 외부 전극 본체부(208a)의 다른 쪽측 테두리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폴딩부(208c)를 갖는다. 따라서, 제2 외부 전극 본체부(208a)는 제1 면(202a)에 형성되어 있고, 제2 폴딩부(208b, 208b)는 제5 면(202e) 및 제6 면(202f)에 형성되고, 제3 폴딩부(208c)는 제4 면(202d)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면(202a)이 3 단자형 콘덴서(200)의 실장면으로 된다.
여기서, 제1 외부 전극(204)의 폭 B는 제2 외부 전극(206, 208)의 폭 A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외부 전극(204)은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1회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외부 전극(206, 208)은 각각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2회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외부 전극(206, 208)의 전극 두께는 제1 외부 전극(204)의 전극 두께보다 커지고 있다.
제1 외부 전극(204) 및 제2 외부 전극(206, 208)은, 각각 그 표면에 도금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7은 도 14에 도시한 3 단자형 콘덴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3 단자형 콘덴서(200)의 상면인 제2 면(202b)은 길이 L 방향의 능선부(203a, 203b)의 코너부가 R 형상으로 연마되고, 그 R양이 70㎛ 이하여도 된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R양은 30㎛ 이상 70㎛ 이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3 단자형 콘덴서(200)의 상면(제2 면(202b))의 길이 L 방향의 능선부(203a, 203b)의 R양이 70㎛ 이하인 경우에는, 흡착 노즐에 의한 흡착에 필요한 흡착 면적이 상면(제2 면(202b))에 확실하게 확보된다. 이 결과, 실장 기판에의 실장 시 등에, 흡착 노즐이 3 단자형 콘덴서(200)의 상면(제2 면(202b))을 흡착하기 쉬워, 흡착 노즐에 의한 흡착 미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3 단자형 콘덴서(200)의 상면(제2 면(202b))의 길이 L 방향의 능선부(203a, 203b)의 R양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능선부(203a, 203b)가 네모지지 않아, 기계적 충격이 능선부(203a, 203b)에 가해지더라도, 능선부(203a, 203b)가 이지러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콘덴서 소자(202)는 폭 W 방향(적층 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내층용 유전체층(210)과, 복수의 내층용 유전체층(210)끼리의 계면에 배치된 복수의 제1 도전체층(220) 및 제2 도전체층(222)과, 복수의 내층용 유전체층(210)을 사이에 두도록 앞뒤로 최외 도전체층(224, 226)이 배치되고, 또한 최외 도전체층(224, 226)을 사이에 두도록 앞뒤로 배치된 외층용 유전체층(212)으로 구성된 적층체 구조를 갖고 있다.
제1 도전체층(220)은 제1 대향부(228)와, 제1 대향부(228)의 중앙부로부터 높이 T 방향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인출부(232)를 갖고 있다. 제1 인출부(232)는, 콘덴서 소자(202)의 제1 면(102a)의 중앙부에 인출되어 제1 외부 전극(20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도전체층(222)은, 제2 대향부(230)와, 제2 대향부(230)의 좌측 단부로부터 높이 T 방향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인출부(234)와, 제2 대향부(230)의 우측 단부로부터 높이 T 방향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인출부(236)를 갖고 있다. 제2 인출부(234)는 콘덴서 소자(202)의 제1 면(202a)의 좌측 단부에 인출되어 제2 외부 전극(206)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인출부(236)는 콘덴서 소자(202)의 제1 면(202a)의 우측 단부에 인출되어 제2 외부 전극(2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 18은 도 15에 도시한 콘덴서 소자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콘덴서 소자의 제1 내부 전극 및 제1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나타낸 콘덴서 소자의 제2 내부 전극 및 제2 인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의 (Ⅰ)은 도 18의 Ⅰ-Ⅰ의 위치(콘덴서 소자(202)의 최외층 근방 위치)의 제1 도전체층(220) 및 제1 인출부(232)를 나타낸다. 도 19의 (Ⅱ)는 도 18의 Ⅱ-Ⅱ의 위치(콘덴서 소자(202)의 1/4층의 근방의 위치)의 제1 도전체층(220) 및 제1 인출부(232)를 나타낸다. 도 19의 (Ⅲ)은 도 18의 Ⅲ-Ⅲ의 위치(콘덴서 소자(202)의 중앙층의 근방의 위치)의 제1 도전체층(220) 및 제1 인출부(232)를 나타낸다.
콘덴서 소자(2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도전체층(220)의 제1 인출부(232)의 선단의 폭 E는, 콘덴서 소자(2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1 도전체층(220)의 제1 인출부(232)의 선단의 폭 F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외층 근방의 위치로부터 중앙층 근방의 위치를 향해서, 제1 인출부(232)의 선단의 폭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도 20의 (Ⅰ)은 도 18의 Ⅰ-Ⅰ의 위치의 제2 도전체층(222) 및 제2 인출부(234, 236)를 나타낸다. 도 20의 (Ⅱ)는 도 18의 Ⅱ-Ⅱ의 위치의 제2 도전체층(222) 및 제2 인출부(234, 236)를 나타낸다. 도 20의 (Ⅲ)은 도 18의 Ⅲ-Ⅲ의 위치의 제2 도전체층(222) 및 제2 인출부(234, 236)를 나타낸다.
콘덴서 소자(2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4, 236)의 선단의 폭 A는, 콘덴서 소자(2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4, 236)의 선단의 폭 B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최외층 근방의 위치로부터 중앙층 근방의 위치를 향해서, 제2 인출부(234, 236)의 선단의 폭이 서서히 커지고 있다.
또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도 6을 유용해서 설명한다. 콘덴서 소자(2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4)의 선단은, 콘덴서 소자(202)의 제3 면(단부면)(202c)으로부터 거리 C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콘덴서 소자(202)의 중앙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6)의 선단도, 콘덴서 소자(202)의 제4 면(단부면)(202d)으로부터 거리 C를 갖고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4)의 선단은, 콘덴서 소자(202)의 제3 면(202c)으로부터 거리 D를 갖고 있다. 마찬가지로, 콘덴서 소자(2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6)의 선단도, 콘덴서 소자(202)의 제4 면(202d)으로부터 거리 D를 갖고 있다. 그리고, 거리 D가 거리 C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거리 D가 거리 C보다 커지도록 하기 위해서, 콘덴서 소자(202)의 최외층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인출부(234, 236)는 경사부(229)를 갖고 있고, 선단의 위치가 중앙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최외층 근방의 위치로부터 중앙층 근방의 위치를 향해서, 제2 인출부(234, 236)의 경사부(229)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선단의 위치가 서서히 외측이 되고 있다.
도 21은 도 14에 도시하는 3 단자형 콘덴서의 한층 더한 변형예에 있어서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인출부(232)는, 제1 대향부(228)측이 제2 인출부(234)측 및 제2 인출부(236)측의 두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양측 경사부(270a)를 갖고, 제1 면(202a)측이 직선부(270b)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인출부(234)는 제2 대향부(230)측이 제1 인출부(232)측의 한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편측 경사부(272a)를 갖고, 제1 면(202a)측이 직선부(272b)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2 인출부(236)는 제2 대향부(230)측이 제1 인출부(232)측의 한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편측 경사부(274a)를 갖고, 제1 면(202a)측이 직선부(274b)를 갖고 있어도 된다.
제1 도전체층(220)과 제2 도전체층(222)은 폭 W 방향에 있어서, 유전체 재료를 포함하는 내층용 유전체층(210)을 개재해서 대향하고 있다. 이 제1 도전체층(220)과 제2 도전체층(222)이, 내층용 유전체층(210)을 개재해서 대향하고 있는 부분(제1 도전체층(220)의 제1 대향부(228)와 제2 도전체층(222)의 제2 대향부(230)가 대향하고 있는 부분)에 정전 용량이 형성되어 있다.
최외 도전체층(224, 226)의 두께는 폭 W 방향에 대해서 중앙 근방에 위치하는 제1 도전체층(220) 혹은 제2 도전체층(222)의 두께보다도 작다. 최외 도전체층(224, 226)의 두께는 중앙부에서 0.8㎜ 이하이다. 또한, 전기적 도통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최외 도전체층(224, 226)의 두께는 평균 0.3㎜ 이상이다.
최외 도전체층(224, 226)의 커버리지는 폭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양측면 방향을 향해서 서서히 얇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커버리지는 도전체 입자 단면의 길이의 총합/도전체층 단면의 전체 길이에 의해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최외 도전체층(224, 226)의 커버리지는 높이 T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의 제1 도전체층(220) 혹은 제2 도전체층(222)의 커버리지 0.4 이상 0.85 이하이다. 또한, 최외 도전체층(224, 226)을 사이에 두고 유전체층(210)끼리를 결합하는 기둥은 Si 편석물, Al 편석물, BaTiO3(티타늄산바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
또한, 최외 도전체층(224)은 유전체층(210)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제1 도전체층(220)과 공통되는 제1 외부 전극(204)에 접속된다. 또한, 최외 도전체층(226)은 유전체층(210)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제2 도전체층(222)과 공통되는 제2 외부 전극(206, 208)에 접속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외의 유전체층의 최외 도전체층(224, 226)과 인접하는 경계층(227)에 Mg 및 Mn이 편석하도록 해서 형성되는 Mg-Mn-Ni의 공존 영역을 포함한다.
이상의 구성을 포함하는 3 단자형 콘덴서(200)에서는, 제1 도전체층(220) 및 제2 도전체층(222)이 3 단자형 콘덴서(200)의 제1 면(202a)(바꾸어 말하면, 실장면)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적층 방향이 제1 면(202a)(바꾸어 말하면,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하다.
2. 3 단자형 콘덴서의 제조 방법
이어서, 전술한 3 단자형 콘덴서(100, 2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22는 3 단자형 콘덴서(100, 2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3 단자형 콘덴서(100)의 제조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공정 S1에서, 티타늄산바륨계 재료 또는 티타늄산스트론튬계 재료를 포함하는 세라믹 분말에, 유기 바인더, 분산제 및 가소제 등이 첨가되어, 시트 성형용 슬러리가 제작된다. 이어서, 시트 성형용 슬러리는,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내층 혹은 외층용 세라믹 그린 시트에 성형된다.
이어서, 공정 S2에서, 내층용 세라믹 그린 시트 위에 Ag를 함유하는 도전체층용 페이스트가 스크린 인쇄법으로 도포되며, 제1 도전체층(120) 및 제2 도전체층(122)으로 되어야 할 도전 페이스트막이 형성된다.
이어서, 공정 S3에서, 도전 페이스트막이 형성된 내층용 세라믹 그린 시트는 제1 도전체층(120)의 도전 페이스트막과 제2 도전체층(122)의 도전 페이스트막이 엇갈리게 되도록 복수매 적층된다. 또한, 복수매의 외층용 세라믹 그린 시트가, 적층된 내층용 세라믹 그린 시트를 사이에 두도록 적층되어 압착된다. 이 적층 세라믹 그린 시트는, 개개의 콘덴서 소자(102)가 되어야 할 치수로 절단되어, 복수의 미소성의 콘덴서 소자(102)로 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서, 미소성의 콘덴서 소자(202)는 실장면(제1 면(202a))측이 홀더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상면(제2 면(202b))의 길이 L 방향의 능선부(203a, 203b)가 소정 시간 배럴 연마되고, 능선부(203a, 203b)의 R양이 약 70㎛가 될 때까지 연마된다. 그 후, 또한 샌드 블라스트 연마에 의해, 원하는 R양이 될 때까지 소정 시간 연마된다.
여기서, 배럴 연마 및 샌드 블라스트 연마의 연마 조건을 결정하기 위해서, 콘덴서 소자(202)의 샘플이 제작되며, 이하의 방법에 의해 R양의 측정이 행해진다. 측정기는, KEYENCE 디지털 현미경 VHX 시리즈이다.
콘덴서 소자(202)의 샘플은, 실장면(제1 면(202a))측이 수지로 굳혀진다. 그 후, 상면(제2 면(202b))의 길이 L 방향의 능선부(203a, 203b)가, 소정 시간 배럴 연마나 샌드 블라스트 연마된다.
이어서, 도 2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R 연마된 능선부(203a, 203b)가 측정기로 관찰되어, R의 시점 P1과 종점 P2가 지정된다. 그 후, 시점 P1과 종점 P2 사이의 중앙점 P3이 지정된다.
이어서, 도 2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점 P1과 중앙점 P3과 종점 P2를 통과하는 원 Q가 작화된 후, 원 Q의 반경이 측정되어 R양이 산출된다.
이어서, 공정 S4에서, 미소성의 콘덴서 소자(102)는, 탈 바인더 처리된 후, 소성되어, 소결한 콘덴서 소자(102)로 된다. 내층용 및 외층용 세라믹 그린 시트와 도전 페이스트막은 동시 소성되어, 내층용 세라믹 그린 시트는 내층용 유전체층(110)으로 되고, 외층용 세라믹 그린 시트는 외층용 유전체층(112)으로 되고, 도전 페이스트막은 제1 내부 전극(120) 혹은 제2 내부 전극(122)으로 된다.
이어서, 공정 S5에서, 소결한 콘덴서 소자(102)의 표면에, 1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AgPd 합금 페이스트)의 도포가 행해진다. 1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의 도포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함과 함께,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1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한다.
또한,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1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500)가 콘덴서 소자(102)에 도포될 때,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의 중심 위치가, 각각 콘덴서 소자(102)의 제3 면(102c) 및 제4 면(102d)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도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가 도포됨으로써,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은 각각 조건식 H2>H3 및 조건식 H2'>H3'를 만족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1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 도포 공정은,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함과 함께,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1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를 도포하기 위해서, 효율적으로 외부 전극이 형성된다.
이어서, 공정 S6에서, 콘덴서 소자(102)에 도포된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1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가 베이킹된다. 이에 의해, 제1 외부 전극(104, 105)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1회째의 외부 전극 부분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전극 두께는 두껍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전극 두께는 얇다.
또한, 공정 S6을 생략하여, 공정 S5로부터 직접 공정 S7로 이행하고, 공정 S8에서 통합해서 제1 외부 전극(104, 105)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을 베이킹해도 된다.
이어서, 공정 S7에서, 콘덴서 소자(102)의 표면에, 2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AgPd 합금 페이스트)의 도포가 행해진다. 2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의 도포는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2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만을 도포한다.
또한,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2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500)가 콘덴서 소자(102)에 도포될 때,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500)의 중심 위치가, 각각 콘덴서 소자(102)의 제3 면(102c) 및 제4 면(102d)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도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500)가 도포됨으로써,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은, 각각 조건식 H2>H3 및 조건식 H2'>H3'를 만족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공정 S8에서, 콘덴서 소자(102)에 도포된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2회째의 외부 전극 페이스트가 베이킹된다. 이에 의해,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2회째의 외부 전극 부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전극 두께가 제1 외부 전극(104, 105)의 전극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어서, 공정 S9에서, 제1 외부 전극(104, 105) 및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의 각각의 표면에, 습식 도금에 의해 Ni 도금, Sn 도금이 순서대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3 단자형 콘덴서(100, 200)가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100)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이 신호측 전극이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이 접지측 전극이어도 되고, 제1 외부 전극(104, 105)이 접지측 전극이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이 신호측 전극이어도 된다.
여기서, 제1 외부 전극(104, 105)이 신호측 전극이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이 접지측 전극인 경우(이하 「패턴 1」이라고 함)의 삽입 손실의 값을 IL1이라 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신호측 전극과 접지측 전극을 바꾼 경우, 즉 제1 외부 전극(104, 105)이 접지측 전극이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이 신호측 전극인 경우(이하 「패턴 2」이라고 함)의 삽입 손실의 값을 IL2라 한다. 이때, 3 단자형 콘덴서(100)는 주파수 10㎒ 대역 부근에 있어서, IL1<IL2를 만족하고, 주파수 100㎒ 대역에 있어서, IL1>IL2를 만족한다. 즉, 100㎒ 대역에 있어서,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2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삽입 손실의 값이 작다.
이와 같이,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와, 패턴 2로 사용하는 경우에 삽입 손실의 주파수 특성이 다른 이유는, 패턴 1과 패턴 2에서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가 다르기 때문이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24의 (a) 내지 도 24의 (c)는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의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 도 24의 (a)가 3 단자형 콘덴서(100)를 외부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24의 (b)가 제1 도전체층(120)의 개략도이고, 도 24의 (c)가 제2 도전체층(122)의 개략도이다. 또한, 실선의 화살표가 신호의 흐름을 나타내고, 파선의 화살표가 노이즈의 흐름을 나타낸다.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전극(104, 105)으로부터 3 단자형 콘덴서(100)로 입력된 신호는 제1 외부 전극(104, 105)을 통해서 흐르고, 제1 외부 전극(104, 105)으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이때 발생하는 노이즈는, 도 24의 (b) 및 도 2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를 통해서 접지로 흐른다.
이어서, 도 25의 (a) 내지 도 25의 (c)는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2로 사용한 경우의 신호 및 노이즈가 흐르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 도 25의 (a)가 3 단자형 콘덴서(100)를 외부에서 본 개략도이고, 도 25의 (b)가 제1 도전체층(120)의 개략도이고, 도 25의 (c)가 제2 도전체층(122)의 개략도이다.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2로 사용하는 경우, 도 25의 (a) 및 도 2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측 제2 외부 전극(106, 107)으로부터 3 단자형 콘덴서(100)로 입력된 신호는, 제2 도전체층(122)의 제2 인출부(134, 135, 136, 137)를 통해서, 다른 쪽측 제2 외부 전극(108, 109)으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이때 발생하는 노이즈는, 도 2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전체층(120)의 제1 인출부(132, 133)를 통해서 접지로 흐른다.
이상으로,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3 단자형 콘덴서(100)를 상기한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와 패턴 2로 사용하는 경우에, 삽입 손실의 주파수 특성이 다르다고 하는 사실을 이용하는 데에 상도하였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패턴 1과 패턴 2를 구분지어 사용함으로써, 1개의 3 단자형 콘덴서(100)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삽입 손실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이하,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1로 사용하는 경우의 삽입 손실의 주파수 특성과, 패턴 2로 사용하는 경우의 삽입 손실의 주파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행한 실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은 이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횡축이 주파수(㎒), 종축이 삽입 손실(dB)이다. 또한, 패턴 1을 실선에 의해 나타내고, 패턴 2를 파선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26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파수 10㎒ 부근에서는, 패턴 1 쪽이 패턴 2에 비해 우수한 삽입 손실을 나타낸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가 10㎒ 정도이면,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1(즉, 도 2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전극(104, 105)을 신호측 전극으로 하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을 접지측 전극으로 하는 패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파수 100㎒ 대역에서는, 패턴 2 쪽이 패턴 1에 비해 우수한 삽입 손실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가 100㎒ 대역이면, 3 단자형 콘덴서(100)를 패턴 2(즉,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외부 전극(104, 105)을 접지측 전극으로 하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을 신호측 전극으로 하는 패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필요로 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제1 외부 전극(104, 105)을 신호측 전극으로 하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을 접지측 전극으로 하는 패턴 1과, 제1 외부 전극(104, 105)을 접지측 전극으로 하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을 신호측 전극으로 하는 패턴 2를 구분지어 사용함으로써, 1개의 3 단자형 콘덴서(100)를 사용해서 바람직한 삽입 손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설명을 반복하지 않지만, 제2 실시 형태의 3 단자형 콘덴서(200)에 대해서도,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의 3 단자 콘덴서(100)에서 얻어지는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3.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 3 단자형 콘덴서(100, 200)에서는, E1+ME1+E2+ME2+E3>콘덴서 소자의 길이 L 방향의 치수이고, 제2 외부 전극(106, 206)은 제3 면(102c, 202c)에 제3 폴딩부(106c, 206c)가 형성되고, 제2 외부 전극(108, 208)은 제4 면(102d, 202d)에 제3 폴딩부(108c, 208c)가 형성되어, |ME1-ME2|<50㎛를 만족하고, 또한 M2L<M2R, 또한 M1R>M1L, 혹은 M2L>M2R, 또한 M1R<M1L을 만족하므로, 제1 외부 전극(104, 204) 및 제2 외부 전극(106, 206, 108, 208)의 어긋남이, 항상 일정 단부면측으로 치우쳐 있어, 외부 전극간의 절연 저항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3 단자형 콘덴서(100, 200)에서는, M1R/콘덴서 소자의 길이 L 방향의 치수, M2L/콘덴서 소자의 길이 L 방향의 치수, M2R/콘덴서 소자의 길이 L 방향의 치수, M3L/콘덴서 소자의 길이 L 방향의 치수는, 1.5% 이상이면 보다 확실하게, 제1 인출부(132, 232) 및 제2 인출부(134, 234, 136, 236)를 제1 외부 전극(104, 204) 및 제2 외부 전극(106, 206, 108, 208)에 의해 확실하게 덮을 수 있으므로, 보다 외부 전극간의 절연 저항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실험예)
실험예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3 단자형 콘덴서의 각 시료가 제작되었다.
1. 평가를 위한 시료의 제작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한 제조 방법에 의해,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건에 기초하여, 3 단자형 콘덴서의 평가를 위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작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3 단자형 콘덴서는, 3 단자형 콘덴서의 길이 L과, E1, E2, E3, ME1, ME2, M1R, M2L, M2R, M3L의 각각의 치수 이외에는, 설계 상,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2. 각 시료에 대한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1 외부 전극과 제2 외부 전극 사이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107(Ω)을 하회한 경우에 절연 저항 열화가 발생했다고 판단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적층 세라믹 콘덴서에 대하여, 내습 부하 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3 단자형 콘덴서에 대하여, 6.3V의 전압이 인가되면서, 120℃의 온도에서, 습도가 100%RH의 공기 분위기 중에 400시간 방치되었다. 방치 후, 절연 저항 IR이 측정되고, 절연 저항 IR이 조건식 Log(IR)<5를 만족하는 경우, 고장으로 되었다.
절연 저항 열화의 평가를 표 2에 나타내고, 내습성의 평가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4123190375-pat00002
Figure 112014123190375-pat00003
표 2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비교예에서는, E1+ME1+E2+ME2+E3>L, |ME1-ME2|<50㎛, M2L<M2R 및 M1R>M1L의 관계식, 혹은 M2L>M2R 및 M1R<M1L의 관계식을 만족하지 않는다. 즉, 제1 외부 전극과 제2 외부 전극간의 거리가 가까운 상태가 되어, 양쪽 전극간의 절연 저항이 열화되어 버린다.
또한, 표 3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비교예에서는, M1R/L이 0.78%이며, M2L/L이 1.02%였던 데 반해, 실시예에서는, M1R/L, M2R/L, M2L/L 및 M3L/L 모두가 1.5% 이상이기 때문에, 절연 저항에 대해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또한, 절연 저항의 평가에 대해서는, 표 2와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100, 200)에 있어서, 제1 면(102a)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106)은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의 제2 폴딩부(106b, 106b) 중, 길이 L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쪽의 높이를 H2라 하고, 제3 면(102c)의 제3 폴딩부(106c)의 폭 W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를 H3이라 했을 때, 조건식 H2>H3을 충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면(102a)의 길이 L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108)은 제5 면(102e) 및 제6 면(102f)의 제2 폴딩부(108b, 108b) 중, 길이 L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쪽의 높이를 H2'라 하고, 제4 면(102d)의 제3 폴딩부(108c)의 폭 W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를 H3'라 했을 때, 조건식 H2'>H3'를 충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100, 200)에 있어서, 최외 도전체층(124, 126, 224, 226)의 두께는, 폭 W 방향에 대해서 중앙 근방에 위치하는 제1 도전체층(120, 122, 220, 222)의 두께보다도 작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3 단자형 콘덴서(100, 200)에 있어서, 최외 도전체층(124, 224)은, 유전체층(110, 210)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제1 도전체층(120, 220)과 공통되는 제1 외부 전극(104, 105, 204)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 206, 208)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최외 도전체층(126, 226)은, 내층용 유전체층(110, 210)을 개재해서 인접하는 제2 도전체층(122, 222)과 공통되는 제2 외부 전극(106, 107, 108, 109, 206, 208)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외부 전극(104, 105, 204)에 접속되어도 된다.
100, 200 : 3 단자형 콘덴서
102, 202 : 콘덴서 소자
102a, 202a : 제1 면
102b, 202b : 제2 면
102c, 202c : 제3 면
102d, 202d : 제4 면
102e, 202e : 제5 면
102f, 202f : 제6 면
103a, 103b, 103c, 103d : 경계부
104, 105, 204, 205 : 제1 외부 전극
104a, 105a, 204a : 제1 외부 전극 본체부
104b, 105b, 204b : 제1 폴딩부
106, 107, 108, 109, 206, 208 : 제2 외부 전극
106a, 107a, 108a, 109a, 206a, 208a : 제2 외부 전극 본체부
106b, 107b, 108b, 109b, 206b, 208b : 제2 폴딩부
106c, 107c, 108c, 109c, 206c, 208c : 제3 폴딩부
110, 210 : 내층용 유전체층
112, 212 : 외층용 유전체층
120, 220 : 제1 도전체층
122, 222 : 제2 도전체층
124, 126, 224, 226 : 최외 도전체층
126a : 결손부
127, 227 : 경계층
128, 228 : 제1 대향부
129, 229 : 경사부
130, 230 : 제2 대향부
132, 133, 232 : 제1 인출부
134, 135, 136, 137, 234, 236 : 제2 인출부
170a, 171a, 270a : 양측 경사부
172a, 173a, 174a, 175a, 272a, 274a : 편측 경사부
170b, 171b, 172b, 173b, 174b, 175b, 270b, 272b, 274b : 직선부
203a, 204b : 능선부
300 : 도포 장치
320a, 320b : 도포부
340a, 340b : 도포 롤러
360a, 360b, 370a, 370b : 스크레이퍼
380a, 380b : 전사 롤러
400a, 400b : 페이스트 조
420, 440, 480 : 홈
490 : 캐리어 테이프
500 : 외부 전극 페이스트
520 : 도포 롤러의 회전축
600 : 볼록부
L : 길이
T : 높이
W : 폭
A : 제2 외부 전극의 폭
B : 제1 외부 전극의 폭

Claims (3)

  1.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면 및 제2 면과,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면 및 제4 면과, 길이 방향 및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5 면 및 제6 면을 갖는 콘덴서 소자와,
    상기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 상기 제3 면, 상기 제5 면, 상기 제6 면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 상기 제4 면, 상기 제5 면, 상기 제6 면에 형성된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제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 상기 제5 면, 상기 제6 면에 형성된 제1 외부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자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외부 전극에 제1 인출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1 도전체층과,
    상기 콘덴서 소자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외부 전극에 제2 인출부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2 도전체층을 구비한 3 단자형 콘덴서로서,
    상기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 상기 제3 면, 상기 제5 면, 상기 제6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외부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5 면 및 상기 제6 면의 상기 제2 외부 전극 중,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쪽의 높이를 H2라 하고, 상기 제3 면의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를 H3이라 했을 때, 조건식 H2>H3을 만족하고,
    상기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 상기 제3 면, 상기 제5 면, 상기 제6 면에 형성된 상기 제2 외부 전극에 접속하는 상기 제2 인출부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소자의 폭 방향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2 인출부의 선단과 상기 제3 면의 거리를 D, 상기 콘덴서 소자의 상기 폭 방향의 중앙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2 인출부의 선단과 상기 제3 면 사이의 거리를 C라 했을 때, 조건식 D>C를 만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3 단자형 콘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 쪽 단부와, 상기 제4 면, 상기 제5 면, 상기 제6 면에 걸쳐 형성된 상기 제2 외부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제5 면 및 상기 제6 면의 상기 제2 외부 전극 중,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가 높은 쪽의 높이를 H2'라 하고, 상기 제4 면의 상기 제2 외부 전극의 폭 방향의 중앙부의 높이를 H3'라 했을 때, 조건식 H2'>H3'를 만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단자형 콘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 제2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1이라 하고,
    상기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3이라 하고,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E2라 하고,
    상기 한쪽 제2 외부 전극과 상기 제1 외부 전극의 거리를 ME1이라 하고,
    상기 제1 외부 전극과 상기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거리를 ME2라 하고,
    상기 콘덴서 소자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L이라 하고,
    상기 한쪽 제2 인출부의 상기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3 면까지의 폭을 M1L이라 하고,
    상기 한쪽 제2 인출부의 상기 제4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면 위의 상기 한쪽 제2 외부 전극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1R이라 하고,
    상기 제1 인출부의 상기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면 위의 상기 제1 외부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제3 면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L이라 하고,
    상기 제1 인출부의 상기 제4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면 위의 상기 제1 외부 전극에 있어서의 상기 제4 면측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2R이라 했을 때,
    2.10㎜>E1+ME1+E2+ME2+E3>2.00㎜,
    |ME1-ME2|<50㎛,
    M2L<M2R과 M1R>M1L의 관계식, 혹은 M2L>M2R과 M1R<M1L의 관계식을 만족하고,
    상기 다른 쪽 제2 인출부의 상기 제3 면측에 있어서의 단부 테두리로부터 상기 제1 면 위의 상기 다른 쪽 제2 외부 전극의 단부 테두리까지의 폭을 M3L이라 했을 때,
    M1R/L, M2L/L, M2R/L 및 M3L/L이 각각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단자형 콘덴서.
KR1020140183121A 2014-12-18 2014-12-18 3 단자형 콘덴서 KR101543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121A KR101543973B1 (ko) 2014-12-18 2014-12-18 3 단자형 콘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121A KR101543973B1 (ko) 2014-12-18 2014-12-18 3 단자형 콘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973B1 true KR101543973B1 (ko) 2015-08-11

Family

ID=54060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121A KR101543973B1 (ko) 2014-12-18 2014-12-18 3 단자형 콘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9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90B1 (ko) 2012-12-20 2014-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90B1 (ko) 2012-12-20 2014-04-2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전자부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2247B1 (ko) 전자부품
US6829134B2 (en) Laminated ceramic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523630B1 (ko) 적층형 세라믹 전자부품
KR101832490B1 (ko)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JP2018186291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US20050041368A1 (en) Multilayer capacitor
US8988851B1 (en) Capacitor including four terminal electrodes
KR101538604B1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US10062508B2 (en) Capacitor with center outer electrode disposed between first and second outer electrodes
KR20170105414A (ko) 전자부품 및 그 제조 방법
US9824822B2 (en) Three-terminal capacitor including double-side oblique portion
JP2021022588A (ja) コンデンサ素子
US9214282B1 (en) Three-terminal capacitor
US9842700B2 (en) Three-terminal capacitor
KR101528432B1 (ko) 3 단자형 콘덴서
KR102409547B1 (ko) 전자부품
KR101543973B1 (ko) 3 단자형 콘덴서
KR101574443B1 (ko) 3 단자형 콘덴서
KR20090013725A (ko) 관통 콘덴서 및 관통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1938555B1 (ko) 콘덴서 및 콘덴서 내장 기판
US11462359B2 (en)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JP2003264118A (ja)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JP2015053522A (ja) 3端子型コンデンサ
JP2023109441A (ja) 3端子型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1556859B1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