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440B1 -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440B1
KR101543440B1 KR1020130125246A KR20130125246A KR101543440B1 KR 101543440 B1 KR101543440 B1 KR 101543440B1 KR 1020130125246 A KR1020130125246 A KR 1020130125246A KR 20130125246 A KR20130125246 A KR 20130125246A KR 101543440 B1 KR101543440 B1 KR 101543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c
reaction
dewatering
chamber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680A (ko
Inventor
박천선
Original Assignee
박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선 filed Critical 박천선
Priority to KR102013012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4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21Screw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분리수가 수용되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가 투입되는 반응챔버(111)와,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수 내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크류(113)를 포함하는 제1반응장치(110);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21)와, 상기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반응장치(11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21)를 포함하는 제1탈수장치(120);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챔버(131) 및,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여 수용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팀주입기(132)를 포함하는 제2반응장치(130); 및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41)와, 상기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반응장치(13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42)를 포함하는 제2탈수장치(140)를 포함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PVC Combining Paper Separation System And, PVC Combining Paper Separ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시키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VC합지는 종이 재질의 포장재에 방수성 및 내구성을 부가하기 위해 PVC를 코팅한 합지로서, 사용이 완료되어 수거된 PVC합지는 재활용하기가 제한되기 때문에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분리시키기 위한 공정이 필요하다.
종래에는 이러한 PVC합지의 종이와 PVC를 분리시키기 위해 별도의 약품이 첨가된 수용액에 PVC합지를 일정시간 침전시켜 종이로부터 PVC가 분리되도록 하는 화학적 분리방식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학적 분리방식의 경우, 분리된 종이가 약품에 용해된 상태이기 때문에 재활용을 위해서는 상기 약품을 중화시키거나 세척하기 위한 공정이 부가적으로 필요하였으며, 이로 인해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를 획득하기까지 필요한 공정이 까다로워지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6634호(2010.10.04), 종이팩의 재활용 분리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학적 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공정이 간소하며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VC합지 분리시스템은,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PVC합지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분리수가 수용되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가 투입되는 반응챔버(111)와,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수 내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크류(113)를 포함하는 제1반응장치(110);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21)와, 상기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반응장치(11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21)를 포함하는 제1탈수장치(120);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챔버(131) 및,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여 수용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팀주입기(132)를 포함하는 제2반응장치(130); 및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41)와, 상기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반응장치(13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42)를 포함하는 제2탈수장치(140)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VC합지 분리시스템은,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PVC합지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분리수가 수용되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가 투입되는 반응챔버(111)와,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수 내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크류(113)를 포함하는 제1반응장치(110);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21)와, 상기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반응장치(11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21)를 포함하는 제1탈수장치(120);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챔버(131) 및, 상기 반응챔버(131)의 벽면 내부에 배치되며 발열하며 상기 반응챔버(31)의 내부를 가열하여 수용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가열부재(136)를 포함하는 제2반응장치(130); 및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41)와, 상기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반응장치(13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42)를 포함하는 제2탈수장치(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반응장치(110)는, 상기 반응챔버(111) 내에서 상기 스크류(113)가 일측에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챔버(111) 내부를 따라 회전하는 수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반응장치(110)는, 일측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일측에 적재되는 PVC합지를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로 공급하는 컨베이어(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12)는, 타측이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분리수의 내부에 위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PVC합지를 공급하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응챔버(111)의 내부에서 종이와 PVC가 상호 이격된 PVC합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응장치(130)는,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가 가열됨에 따라 미리 지정된 설정압력을 기준으로 내부의 과잉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반응장치(130)는,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에 수직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PVC합지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나선스크류(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136)는, 열선 또는 고온의 열매체가 유동하는 수로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VC합지 분리방법은,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PVC합지 분리방법에 있어서, 분리수가 수용된 제1반응장치(110)의 반응챔버(111)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류(113)를 분리수 내에서 회전시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1차 반응 단계(S210); 제1탈수장치(120)의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21)에 상기 1차 반응 단계(S210)를 거쳐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21)를 회전시켜 탈수조(121)의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1차 탈수 단계(S220); 제2반응장치(130)의 반응챔버(131)에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투입하고, 반응챔버(121)에 장착된 스팀주입기(132)를 통해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여 수용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제2 반응 단계(S230); 및 제2탈수장치(140)의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42)에 상기 제2 반응 단계(S230)를 거쳐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42)를 회전시켜 탈수조(142)의 내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2차 탈수 단계(S240);를 포함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PVC합지 분리방법은,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PVC합지 분리방법에 있어서, 분리수가 수용된 제1반응장치(110)의 반응챔버(111)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류(113)를 분리수 내에서 회전시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1차 반응 단계(S210); 제1탈수장치(120)의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21)에 상기 1차 반응 단계(S210)를 거쳐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21)를 회전시켜 탈수조(121)의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1차 탈수 단계(S220); 제2반응장치(130)의 반응챔버(131)에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투입하고, 반응챔버(121)에 장착된 가열부재(136)를 발열구동시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제2 반응 단계(S230); 및 제2탈수장치(140)의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42)에 상기 제2 반응 단계(S230)를 거쳐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42)를 회전시켜 탈수조(142)의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2차 탈수 단계(S2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에 의하면, 고온의 스팀 및 가열을 통해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고 원심분리 방식을 통해 탈수조 내에서 자동적으로 분리된 종이와 PVC를 구분하여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화학적 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분리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분리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VC합지 분리시스템에 구성되는 각 장치들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탈수장치 및 제2탈수장치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반응장치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반응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VC합지 분리방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VC합지 분리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원리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VC합지 분리시스템은, 화학적 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공정이 간소하며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응장치(110), 제1탈수장치(120), 제2반응장치(130) 및 제2탈수장치(1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반응장치(110)는, 절단된 PVC합지의 조각들을 분리수에 적셔 용해시키고 용해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전처리 장치로서, 소정의 분리수가 수용되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가 투입되는 반응챔버(111)와,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수 내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크류(1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반응장치(110)로 투입되는 PVC합지의 절단된 크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VC합지 분리시스템에서 분리 처리될 수 있는 크기 및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의 접합력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5cm 내지 6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는 PVC합지의 종이와 PVC가 보다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PVC합지를 적시는 용액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물을 이용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반응장치(110)는 반응챔버(111) 내에서 상기 스크류(113)가 일측에 편중된 위치에서 수평하게 배치되어, 구동모터(114)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반응챔버(111) 내부를 따라 회전하는 수류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벽은 모서리지지 내벽이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보다 원활하게 수류가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챔버(111)에 투입되어 분리수에 용해되면서 형성된 수류에 의해 반응챔버(111) 내에서 분리수와 함께 유동하는 PVC합지는 회전하면서 일측에 배치된 스크류(113)를 거치게 되므로, 상기 스크류(113)의 스크류날과 PVC합지가 상호 마찰되면서 종이와 PVC로 상호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반응장치(110)에는 일측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일측에 적재되는 PVC합지 조각들을 반응챔버(111)의 내부로 공급하는 컨베이어(112)가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절단된 PVC합지 조각들이 자동적으로 반응챔버(111)의 내부로 투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112)는, 타측이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도되, 상기 분리수의 내부에 위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PVC합지를 공급하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응챔버(111)의 내부에서 용해되고 종이와 PVC로 상호 이격된 상태의 PVC합지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장치(120)는, 상술한 제1반응장치(110)를 거쳐 분리수에 용해되고 종이와 PVC가 이격된 상태로 반죽된 형태의 PVC합지를 탈수가공하여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탬버(121)와, 상기 탈수탬버(12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반응장치(110)에 의해 용해되고 종이와 PVC가 이격된 상태의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21)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탈수조(121)에 형성된 배출홈의 크기는 제1반응장치(110)에 투입되는 PVC합지의 절단된 크기,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된 PVC의 크기를 고려하여 정해지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수조(121)의 내부에 용해되고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구동모터(123)를 이용하여 탈수조(121)를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투입된 PVC합지는 탈수조(121)의 내벽으로 이동하게 되고 내벽에 형성된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는 탈수챔버(121)의 내부로 배출되며, PVC합지에 포함된 PVC는 배출홈보다 큰 크기를 갖게 되므로 탈수조(121)의 내부에 잔재하게 된다. 이를 통해 PVC합지로부터 1차적으로 종이를 분리해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반응장치(130)는, 제1탈수장치(120)를 통해 분리되지 않은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장치로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탈수장치(120)의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챔버(131) 및,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는 스팀주입기(132)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주입기(132)로부터 고온의 증기가 분사되면 상기 반응챔버(131) 내에 수용된 PVC합지의 종이는 죽과 같이 연화된 상태가 되며 PVC는 가열되면서 늘어지게 되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가 상호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반응장치(130)에는 반응챔버(131)의 내부에 수직 배치되어 구동모터(135)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PVC합지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나선형태의 나선스크류(133)가 배치되어, 하부에 위치한 PVC합지를 상부로 상승시켜 상기 스팀주입기(132)로부터 주입되는 고온의 증기가 PVC합지에 고르게 분사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가 밀폐된 경우, 상기 스팀주입기(132)로부터 고온의 증기가 지속적으로 주입되면 내부의 온도 및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장치가 폭발하거나 훼손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반응장치(130)에는 반응챔버(131)의 내부가 가열됨에 따라 미리 지정된 설정압력을 기준으로 내부의 과잉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13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반응장치(130)는 상술한 스팀주입기(132) 및 나선스크류(133)의 구성없이 반응챔버(131)의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가열온도에 의해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반응장치(130)는 상기 제1탈수장치(120)의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챔버(131) 및, 상기 반응챔버(131)의 벽면 내부에 배치되며 발열하면서 상기 반응챔버(31)의 내부를 가열하는 가열부재(136)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재(136)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고열을 발산하는 열선 또는 외부로부터 고온의 열매체(대표적으로는 물)을 공급받아 내부를 유동시키는 수로일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가열부재(136)가 하부와 측부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반응챔버(131)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공간 내에 위치된 상태로 배치될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VC합지 분리시스템의 동작원리 및 PVC합지 분리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VC합지 분리방법은, 상술한 PVC합지 분리시스템을 이용하여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시키는 분리방법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반응 단계(S210), 1차 탈수 단계(S220), 제2 반응 단계(S230), 2차 탈수 단계(S240) 및 건조 단계(S250)를 포함한다.
먼저, 1차 반응 단계(S210)는, 분리수가 수용된 제1반응장치(110)의 반응챔버(111)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류(113)를 분리수 내에서 회전시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반응챔버(111)에 배치된 컨베이어(112)를 통해 이송되어 반응챔버(111)의 내부로 투입된 PVC합지는, 반응챔버(111) 내에 수용된 분리수에 의해 용해되고 상기 분리수 내에서 회전되는 스크류(113)에 의해 스크류날과의 마찰에 의해 종이와 PVC로 상호 이격되는데, 상기 반응챔버(111) 내에서 스크류(113)가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고 반응챔버(111)의 라운드진 내벽 형상에 의해, 스크류(113)가 회전함에 따라 분응챔버(111) 내부를 따라 회전하는 수류가 형성된다. 또한, 반응챔버(111)에 투입되어 분리수에 용해되면서 형성된 수류에 의해 분리수와 함께 유동하는 PVC합지는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113)를 거치게 되므로 종이와 PVC로 이격되는 공정이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반응장치(110)를 통한 용해 및 이격공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베이어(112)를 반대방향(타방향)으로 회전시켜 반응챔버(111)의 내부에서 용해되고 종이와 PVC가 이격된 상태로 가공된 PVC합지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어서, 상기 1차 탈수 단계(S220)는, 제1탈수장치(120)의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21)에 1차 반응 단계(S210)를 거쳐 용해되고 종이와 PVC가 이격된 상태의 PVC합지를 투입하고, 탈수조(121)를 회전시켜 탈수조(121)의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1차적으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1차 반응 단계(S210)를 거쳐 용해 및 이격되면서 반죽된 형태로 가공된 PVC합지를 상기 제1탈수장치(120)의 탈수조(121)에 투입하고 탈수챔버(121) 내에서 상기 탈수조(121)를 회전시켜 탈수조(121)의 둘레에 형성된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가 탈수챔버(121)의 내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홈의 크기는 상기 1차 반응 단계(S210)에서 반응챔버(111)로 투입된 PVC합지의 절단된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PVC 및, 종이와 PVC가 이격되지 않는 PVC합지는 탈수조(121)의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 반응 단계(S230)는, 1차 탈수 단계(S220)를 통해서도 분리되지 않은 PVC합지의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단계로서, 제2반응장치(130)의 반응챔버(131)에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투입하고, 반응챔버(131)에 장착된 스팀주입기(132)를 통해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여 PVC합지의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킨다.
또한, 반응챔버(131)의 내부에 배치된 나선스크류(133)의 회전에 의해 하부에 배치된 PVC합지는 나선스크류(133)를 따라 상부로 상승하면서 상기 스팀주입기(132)로부터 주입되는 고온의 증기를 전체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반응챔버(131)에 장착된 압력조절밸브(134)에 의해 과잉압력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미리 지정된 설정압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장치가 폭발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스팀주입기(132) 및 나선스크류(133)를 이용하지 않고 반응챔버(131)의 내부를 가열함으로써 가열온도에 의해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가 상호 이격되도록 가공할 수도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반응 단계(S230)는 제2반응장치(130)의 반응챔버(131)에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투입하고, 반응챔버(121)에 장착된 가열부재(136)를 발열구동시켜 투입된 PVC합지의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2차 탈수 단계(S240)는, 제2탈수장치(140)의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42)에 상기 제2 반응 단계(S230)를 거친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42)를 회전시켜 탈수조(142)의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탈수조(142)가 회전함에 따라 내부의 PVC합지는 원심력에 의해 탈수조(142)의 내벽으로 이동하게 되고 내벽에 형성된 배출홈을 통해 상기 배출홈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PVC는 탈수조(142)의 내부에 잔존하게 되고, 제2 반응 단계(S230)를 거쳐 반죽된 형태를 갖는 종이는 상기 배출홈을 통해 배출되면서 탈수챔버(141)의 내부로 배출된다.이를 통해 PVC합지로부터 최정적으로 종이를 완전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건조 단계(S250)는, 각 단계를 거쳐 분리된 종이와 PVC를 재활용 재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건조시키는 단계로서, 상온에서 배치하여 건조시키거나 발열되는 가열챔버의 내부에 종이나 PVC를 배치하여 보다 신속하게 수분을 건조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의 각 구성 및 기능에 의해,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고 원심분리 방식을 통해 탈수조(121,141) 내에서 자동적으로 분리된 종이와 PVC를 구분하여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화학적 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분리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으며 더불어 분리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제1반응장치 111...반응챔버
120...제1탈수장치 121...탈수조
130...제2반응장치 131...반응챔버
140...제2탈수장치 142...탈수조
S210..1차 반응 단계 S220...1차 탈수 단계
S230... 제2 반응 단계 S240...2차 탈수 단계
S250...건조 단계

Claims (10)

  1.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PVC합지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분리수가 수용되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가 투입되는 반응챔버(111)와,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수 내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크류(113)를 포함하는 제1반응장치(110);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21)와, 상기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반응장치(11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21)를 포함하는 제1탈수장치(120);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챔버(131) 및,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여 수용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팀주입기(132)를 포함하는 제2반응장치(130); 및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41)와, 상기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반응장치(13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42)를 포함하는 제2탈수장치(140)를 포함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2.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PVC합지 분리시스템에 있어서,
    분리수가 수용되며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가 투입되는 반응챔버(111)와,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분리수 내에서 회전하면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스크류(113)를 포함하는 제1반응장치(110);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21)와, 상기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반응장치(11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21)를 포함하는 제1탈수장치(120);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챔버(131) 및, 상기 반응챔버(131)의 벽면 내부에 배치되며 발열하며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를 가열하여 수용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가열부재(136)를 포함하는 제2반응장치(130); 및
    소정의 내부공간이 형성된 탈수챔버(141)와, 상기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용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반응장치(130)에 의해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수용하며 둘레에는 다수 개의 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홈을 통해 상기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를 배출하는 탈수조(142)를 포함하는 제2탈수장치(140)를 포함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장치(110)는,
    상기 반응챔버(111) 내에서 상기 스크류(113)가 일측에 편중된 위치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챔버(111) 내부를 따라 회전하는 수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응장치(110)는,
    일측은 외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일측에 적재되는 PVC합지를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로 공급하는 컨베이어(1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12)는,
    타측이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분리수의 내부에 위치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PVC합지를 공급하며,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반응챔버(111)의 내부에서 종이와 PVC가 상호 이격된 PVC합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응장치(130)는,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가 가열됨에 따라 미리 지정된 설정압력을 기준으로 내부의 과잉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압력조절밸브(1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응장치(130)는,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에 수직 배치되어 회전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PVC합지를 상부로 상승시키는 나선스크류(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재(136)는,
    열선 또는 고온의 열매체가 유동하는 수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합지 분리시스템.
  9.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PVC합지 분리방법에 있어서,
    분리수가 수용된 제1반응장치(110)의 반응챔버(111)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류(113)를 분리수 내에서 회전시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1차 반응 단계(S210);
    제1탈수장치(120)의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21)에 상기 1차 반응 단계(S210)를 거쳐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21)를 회전시켜 탈수조(121)의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1차 탈수 단계(S220);
    제2반응장치(130)의 반응챔버(131)에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투입하고, 반응챔버(121)에 장착된 스팀주입기(132)를 통해 상기 반응챔버(131)의 내부로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여 수용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제2 반응 단계(S230); 및
    제2탈수장치(140)의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42)에 상기 제2 반응 단계(S230)를 거쳐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42)를 회전시켜 탈수조(142)의 내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2차 탈수 단계(S240);를 포함하는 PVC합지 분리방법.
  10. 폐PVC합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분리하기 위한 PVC합지 분리방법에 있어서,
    분리수가 수용된 제1반응장치(110)의 반응챔버(111)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반응챔버(111)의 내부에 배치된 스크류(113)를 분리수 내에서 회전시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1차 반응 단계(S210);
    제1탈수장치(120)의 탈수챔버(12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21)에 상기 1차 반응 단계(S210)를 거쳐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21)를 회전시켜 탈수조(121)의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1차 탈수 단계(S220);
    제2반응장치(130)의 반응챔버(131)에 상기 탈수조(121)의 내부에 걸러진 PVC합지를 투입하고, 반응챔버(121)에 장착된 가열부재(136)를 발열구동시켜 투입된 PVC합지에 포함된 종이와 PVC를 상호 이격시키는 제2 반응 단계(S230); 및
    제2탈수장치(140)의 탈수챔버(141)의 내부공간 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탈수조(142)에 상기 제2 반응 단계(S230)를 거쳐 종이와 PVC가 이격된 PVC합지를 투입하고, 상기 탈수조(142)를 회전시켜 탈수조(142)의 배출홈을 통해 PVC합지로부터 종이를 분리하는 2차 탈수 단계(S240);를 포함하는 PVC합지 분리방법.
KR1020130125246A 2013-10-21 2013-10-21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 KR101543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246A KR101543440B1 (ko) 2013-10-21 2013-10-21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5246A KR101543440B1 (ko) 2013-10-21 2013-10-21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80A KR20150045680A (ko) 2015-04-29
KR101543440B1 true KR101543440B1 (ko) 2015-08-10

Family

ID=5303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5246A KR101543440B1 (ko) 2013-10-21 2013-10-21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4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76Y1 (ko) 2001-07-14 2001-11-17 문종경 폐코팅종이의 비닐과 섬유 분리장치
KR100728481B1 (ko) 2006-09-26 2007-06-13 이성희 벽지로부터 pvc 코팅층을 분리시키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176Y1 (ko) 2001-07-14 2001-11-17 문종경 폐코팅종이의 비닐과 섬유 분리장치
KR100728481B1 (ko) 2006-09-26 2007-06-13 이성희 벽지로부터 pvc 코팅층을 분리시키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680A (ko)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47488B2 (en) Method for recycling waste material with reduced odor emission
CN103103721A (zh) 一种洗衣机及洗涤方法
KR101543440B1 (ko) Pvc합지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vc합지 분리방법
US3902962A (en) Liquid separator for lignocellulose containing material
US4491504A (en) Apparatus for treating cellulosic material with a screw feeder extending internally within a treatment vessel
JP5905364B2 (ja) 紙類供給装置、解繊システム、及び汚泥脱水システム
KR101696689B1 (ko) 복합 회전형 건습식 혐기소화조 시스템
RU2013120494A (ru)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фаз продукта с помощью центрифуги
CN105565640A (zh) 一种污泥均质浆化与热水解反应一体装置
KR101503526B1 (ko) 커피 폐기물 가공 장치
CN202824094U (zh) 采用立式连续分离甩干的铝塑复合包装材料分离处理系统
KR101452506B1 (ko) 젤리 충전 통신 케이블의 젤리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CN104826857B (zh) 边角料纸塑分离机
CN207108785U (zh) 一种固液混合物料处理装置
CN102716713A (zh) 一种带抽液装置的新型液固反应釜
KR101892241B1 (ko) 유분 분리 장치
CN102744244B (zh) 采用立式连续分离甩干的铝塑复合包装材料分离处理系统
CN203758216U (zh) 真空带式粉体连续干燥机用进料系统
CN208536514U (zh) 一种锦纶纺再生用的干燥装置
CN217757229U (zh) 一种污泥回收利用装置
KR20150127311A (ko) 탈수장치
KR20170056867A (ko) 음식물쓰레기처리 및 자원화 시스템
KR101537028B1 (ko) 다중 수지 용융장치
CN211372963U (zh) 一种氯苯回收过程中的除水干燥装置
CN209378501U (zh) 一种分子筛液体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