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008B1 -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008B1
KR101543008B1 KR1020140111408A KR20140111408A KR101543008B1 KR 101543008 B1 KR101543008 B1 KR 101543008B1 KR 1020140111408 A KR1020140111408 A KR 1020140111408A KR 20140111408 A KR20140111408 A KR 20140111408A KR 101543008 B1 KR101543008 B1 KR 101543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ys
information
time
travel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운
박승창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60S5/02Supplying fuel to vehicles; General disposition of plant in fill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는 차량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한 차량의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하는 주행가능일 산출부, 주행가능 일수에 따른 주행가능 일과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최적 시기 산출부, 그리고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하는 최적 시기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VEHICLE REFUELING AND WASHING TIME}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대부분의 운전자들은 세차 시설을 구비한 주유소에서 주유 및 세차를 동시에 이용한다. 그러나, 기온이 너무 낮거나 눈 또는 비가 내리는 경우에는 주유소에서 주유만 할 뿐 세차를 하지 않는다.
한국공개특허 2012-0017620에는 주행속도, 연료량, 평균 실연비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행 가능거리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비교한 결과에 따라 주유등이 켜지지 않은 상태에서 주유 필요 시점을 운전자에게 안내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나, 세차 이용 시기를 안내하는 내용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주유와 세차의 최적의 시기를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 이외에도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를 달성하는 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는 차량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한 차량의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하는 주행가능일 산출부, 주행가능 일수에 따른 주행가능 일과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최적 시기 산출부, 그리고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하는 최적 시기 안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정보는 잔여 연료량, 평균 주행속도, 요일별 평균 주행거리, 요일별 평균 연료소비량, 또는 평균 실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환경정보는 눈 또는 비가 내리는지 여부에 대한 기상정보, 차량 외부의 온도가 영상 또는 영하인지 여부에 대한 기온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시기 산출부는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기온정보가 영상이거나, 또는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시기 산출부는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기온정보가 영상이면서, 그리고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시기 안내부는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 경우에는 주행가능 일별로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하고,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초과인 경우에는 주행가능 일 중에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 날짜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은 차량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한 차량의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하는 단계, 주행가능 일수에 따른 주행가능 일과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정보는 잔여 연료량, 평균 주행속도, 요일별 평균 주행거리, 요일별 평균 연료소비량, 또는 평균 실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환경정보는 눈 또는 비가 내리는지 여부에 대한 기상정보, 차량 외부의 온도가 영상 또는 영하인지 여부에 대한 기온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기온정보가 영상이거나, 또는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기온정보가 영상이면서, 그리고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는,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 경우에는 주행가능 일별로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하고,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초과인 경우에는 주행가능 일 중에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 날짜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주유와 세차의 최적의 시기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의 순서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되었다. 또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의 경우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100)의 블록도이다.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100)는 차량 내 장치로 구비될 수 있고, 차량과 별도의 원격지 센터에 구비될 수 있다.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100)는 정보 수집부(110), 주행가능일 산출부(120), 최적 시기 산출부(130), 그리고 최적 시기 안내부(14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부(110)는 차량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환경정보를 수집한다.
차량정보는 잔여 연료량, 평균 주행속도, 요일별 평균 주행거리, 요일별 평균 연료소비량, 평균 실연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정보는 눈 또는 비가 내리는지 여부에 대한 기상정보와 차량 외부의 온도가 영상 또는 영하인지 여부에 대한 기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평소 차량의 운행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차량정보가 저장되고, 정보 수집부(11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최적 시기 요청에 따라 수집한다.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100)가 차량 내 장치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원격지 센터로부터 현재 차량의 위치에 기초한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100)가 차량과 별도의 원격지 센터에 구비된 경우에는 원격지 센터 내의 환경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경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주행가능일 산출부(120)는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상기 차량의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차량정보 중 요일별 평균 주행거리 또는 요일별 평균 연료소비량에 기초하여 현재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차량의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할 수 있다. 주행가능일 산출부(120)는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하는 당일을 포함하여 현재 잔여 연료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주행 가능한 일수가 몇 일인지 산출할 수 있다.
최적 시기 산출부(130)는 주행가능 일수에 따른 주행가능 일과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최적 시기 산출부(130)는 주행가능 일 중에서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기온정보가 영상이거나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할 수 있다.
최적 시기 안내부(140)는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한다. 최적 시기 안내부(140)는 차량의 네비게이션, 운전자의 휴대단말, 또는 차량에 구비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통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적 시기 안내부(140)는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 경우에는 주행가능 일별로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고,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초과인 경우에는 주행가능 일 중에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 날짜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 1 및 표 2를 참고로 하여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자세히 살펴본다.
날씨정보 최종안내
TODAY TODAY+1
맑음 맑음 오늘과 내일 모두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
맑음 오늘은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
내일은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 아님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주행가능 일수가 오늘과 내일을 포함한 2일인 경우, 오늘과 내일 각각에 대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내일 날씨가 비가 오는 경우에는 내일 세차를 하더라도 차량이 곧바로 비를 맞아 더러워 질 수 있으므로 차량에 내일은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가 아니라는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날씨정보 최종안내
2/14(TODAY) 2/15(TODAY+1) 2/16(TODAY+2) 2/17(TODAY+3)
맑음 맑음 맑음 2/15, 2/16, 2/17 최적 시기
영하 영하 영상 영하 2/16 최적 시기
표 2에서 볼 수 있듯이, 주행가능 일수가 2일을 초과한 4일인 경우, 4일 동안의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산출할 수 있다. 2월 14일에 눈이 오고, 2월 15, 16, 그리고 17일에는 눈이 오지 않는 맑은 날씨인 경우에는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2월 15, 16, 그리고 17일로 산출하여 최적 시기인 상기 날짜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월 14, 15, 그리고 17일에는 기온이 영하이고, 2월 16일만 기온이 영상인 경우, 눈 또는 비가 오는지 여부와 기온을 함께 고려하여, 2월 16일을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로 산출하여 날짜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100)를 통해 주유와 세차의 최적의 시기가 안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주유와 세차를 적절한 시기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세차를 한 후에 눈 또는 비가 내려 차량이 더러워 지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로 하여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의 순서도이다.
차량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환경정보를 수집한다(S101).
차량정보는 잔여 연료량, 평균 주행속도, 요일별 평균 주행거리, 요일별 평균 연료소비량, 평균 실연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환경정보는 눈 또는 비가 내리는지 여부에 대한 기상정보와 차량 외부의 온도가 영상 또는 영하인지 여부에 대한 기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한 차량의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한다(S102).
그리고, 주행가능 일수에 따른 주행가능 일과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산출한다(S103).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S103)는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기온정보가 영상이거나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할 수 있다. 또는 기온정보와 기상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기온이 영상이면서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산출한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한다(S105, S106).
예를 들어,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S105, S106)에서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지 판단하여 주행가능 일수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 경우에는 주행가능 일별로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S106).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초과인 경우에는 주행가능 일 중에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 날짜에 대한 안내를 차량에 제공할 수 있다(S105).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을 통해 주유와 세차의 최적의 시기가 안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주유와 세차를 적절한 시기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세차를 한 후에 눈 또는 비가 내려 차량이 더러워 지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110 : 정보 수집부
120 : 주행가능일 산출부 130 : 최적 시기 산출부
140 : 최적 시기 안내부

Claims (10)

  1. 차량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상기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한 상기 차량의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하는 주행가능일 산출부,
    상기 주행가능 일수에 따른 주행가능 일과 상기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상기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최적 시기 산출부, 그리고
    상기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최적 시기 안내부
    를 포함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차량정보는 잔여 연료량, 평균 주행속도, 요일별 평균 주행거리, 요일별 평균 연료소비량, 또는 평균 실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정보는 눈 또는 비가 내리는지 여부에 대한 기상정보,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영상 또는 영하인지 여부에 대한 기온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최적 시기 산출부는 상기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상기 기온정보가 영상이거나, 또는 상기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최적 시기 산출부는 상기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상기 기온정보가 영상이면서, 그리고 상기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최적 시기 안내부는 상기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주행가능 일별로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고, 상기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주행가능 일 중에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 날짜에 대한 안내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6. 차량이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요청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차량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한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차량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잔여 연료량을 기준으로 한 상기 차량의 주행가능 일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주행가능 일수에 따른 주행가능 일과 상기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상기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
  7. 제6항에서,
    상기 차량정보는 잔여 연료량, 평균 주행속도, 요일별 평균 주행거리, 요일별 평균 연료소비량, 또는 평균 실연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정보는 눈 또는 비가 내리는지 여부에 대한 기상정보, 상기 차량 외부의 온도가 영상 또는 영하인지 여부에 대한 기온정보,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상기 기온정보가 영상이거나, 또는 상기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
  9. 제7항에서,
    상기 최적 시기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가능 일에 대응하는 상기 기온정보가 영상이면서, 그리고 상기 기상정보가 눈 또는 비가 내리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의 주유 및 세차 시기를 최적 시기로 산출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
  10. 제6항에서,
    상기 최적 시기에 대한 안내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주행가능 일별로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지 여부에 대한 안내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고, 상기 주행가능 일수가 2일 초과인 경우에는 상기 주행가능 일 중에 주유 및 세차의 최적 시기인 날짜에 대한 안내를 상기 차량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방법.
KR1020140111408A 2014-08-26 2014-08-26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 KR101543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08A KR101543008B1 (ko) 2014-08-26 2014-08-26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08A KR101543008B1 (ko) 2014-08-26 2014-08-26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008B1 true KR101543008B1 (ko) 2015-08-07

Family

ID=5388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408A KR101543008B1 (ko) 2014-08-26 2014-08-26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515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드로우하트 세차 예약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7187B1 (ko) * 2016-11-30 2017-08-10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세차정보 제공 시스템, 세차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세차정보 제공 방법, 세차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298A (ja) 2001-03-22 2002-09-27 Toshiba Corp 車両履歴情報に基づくビジネス手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6003329A (ja) 2004-06-21 2006-01-05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49404A (ja) 2007-03-29 2008-10-16 Aisin Aw Co Ltd 給油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9298A (ja) 2001-03-22 2002-09-27 Toshiba Corp 車両履歴情報に基づくビジネス手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6003329A (ja) 2004-06-21 2006-01-05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249404A (ja) 2007-03-29 2008-10-16 Aisin Aw Co Ltd 給油案内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3515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드로우하트 세차 예약 장치 및 그 방법
KR101715929B1 (ko) * 2015-08-24 2017-03-14 주식회사 드로우하트 세차 예약 장치 및 그 방법
KR101767187B1 (ko) * 2016-11-30 2017-08-10 와이즈모바일 주식회사 세차정보 제공 시스템, 세차정보 제공 시스템을 이용한 세차정보 제공 방법, 세차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4265B2 (en) Map display device, navigation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US8682572B2 (en) Method and device for evaluating vehicle's fuel consumption efficiency
JP6490210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KR101865729B1 (ko) 전기자동차 경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0362B1 (ko) 전기차의 주행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8825443B2 (en) Method for calculating consumption and/or a remaining range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85833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 state of charge management
US9937940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ction recommendations for the driver of a rail vehicle
WO2007067842A3 (en) Predictive navigation
JP2014066521A (ja) 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88802B1 (ko) 주유소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325727A1 (en) Travel support device, travel supporting method, and drive support system
JP2013068590A (ja) 電動車両
KR101543008B1 (ko) 주유 및 세차시기 안내장치 및 방법
CN113008253A (zh) 一种混合动力车辆行驶方法、设备和存储介质
JP2019083671A (ja) 車両用表示装置
US9909913B2 (en) Onboard system, onboard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2013131063A (ja) 運転支援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を構成するセンタ及び車載装置
JP2020077308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システム、運転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217441A1 (en) Vehicular drive assist system
KR101896765B1 (ko) 내비게이션의 경로 설정 시 주행가능거리를 연산하는 방법
WO2014045511A1 (ja) 給油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給油情報提供装置
KR20150008517A (ko) 전기차의 전력 판매 시스템 및 방법
CN105973251A (zh) 基于实时路况的导航方法及系统
JP6089362B2 (ja) 航続可能経路演算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