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603B1 -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603B1
KR101542603B1 KR1020140060131A KR20140060131A KR101542603B1 KR 101542603 B1 KR101542603 B1 KR 101542603B1 KR 1020140060131 A KR1020140060131 A KR 1020140060131A KR 20140060131 A KR20140060131 A KR 20140060131A KR 101542603 B1 KR101542603 B1 KR 10154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efit
store
benefits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목
Original Assignee
(주)열두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열두시 filed Critical (주)열두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4Market segmentation
    • G06Q30/0205Location or geographical conside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혜택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혜택 관리 방법은 매장 단위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한 특정 매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NEFIT INFORMATION BY STO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업체의 혜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부분 업체들이 홍보나 프로모션 등을 목적으로 다양한 혜택 정보를 공급하고 있다.
일반적인 혜택들은 상품의 가격을 할인해 주거나 무료로 제공하는 것으로, 쿠폰(coupon), 스탬프(stamp), 멤버십 카드(membership card) 등을 이용하여 일회성으로 혜택을 제공하거나 마일리지(mileage)나 포인트(point)에 따른 이용 실적에 따라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1566호(공개일 2009년 01월 09일)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에 매장 정보를 링크시키고 RFID 태그의 스캐닝에 의해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전자 쿠폰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전자 쿠폰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이 방문한 업체에서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쿠폰이나 멤버십 카드 등을 직접 제시해야 하고 분실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방문 업체의 혜택 정보, 예컨대 사용 가능한 쿠폰이나 멤버십 카드가 무엇이 있는지 등을 일일이 체크하여 본인 스스로 혜택을 챙겨야 하는 불편과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혜택의 실제 사용에 영향을 주어 쿠폰이나 스탬프의 회수율, 멤버십 카드의 적립률, 포인트의 사용률 등 실제 혜택 이용이 공급에 비하여 굉장히 저조한 실정이다.
최근 모바일 전자 지갑의 개념으로 쿠폰이나 멤버십 카드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으나, 기존 서비스들은 사용자의 모바일 쿠폰이나 모바일 멤버십 등을 유지 및 관리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상당히 제한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정보화 시대에 맞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혜택 관리 서비스 모델이 요구되고 있다.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종합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해 특정된 매장의 혜택 정보를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타임라인(Timeline) 형태로 수집하여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혜택 관리 방법에 있어서, 매장 단위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한 특정 매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혜택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매장 단위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관리하는 관리부; 및 사용자에 의한 특정 매장에 대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혜택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매장 목록을 노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및 상기 매장 목록 중 선택된 특정 매장에 대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매장 단위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방문 즉시 일괄적으로 제공하고 방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혜택 정보를 단계별로 자동 추천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혜택을 챙기지 않아도 방문 매장의 혜택 정보를 즉시 확인하여 이용할 수 있는 최대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별 매장에서의 혜택 사용 활동을 타임 라인 형태로 수집하여 활동 전체에 대한 히스토리 로그(History Log)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혜택 사용 이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력이 있는 매장을 찾기 위한 경로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혜택 관리 시스템 간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혜택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혜택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매장 목록을 노출하는 서비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매장의 혜택 정보를 종합하여 노출하는 서비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매장의 혜택을 단계적으로 추천하는 서비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타임 로그로 제공하는 서비스 화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화 된 혜택을 매장 단위로 관리 및 제공하고 매장 별 혜택에 대해 적극적인 알림과 사용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혜택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혜택'은 상품의 가격을 할인해 주거나 무료로 제공하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이나 제휴 업체 등에서 발행되는 가상의 화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일회성 쿠폰(coupon), 적립식 쿠폰(예컨대, 스탬프(stamp) 등), 멤버십 카드(membership card) 등 다양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과 혜택 관리 시스템 간의 개괄적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는 혜택 관리 시스템(100) 및 사용자 단말(101)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화살표는 혜택 관리 시스템(100)과 사용자 단말(101) 간에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1)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로, 혜택 관리 시스템(100)과 연관된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이하, '혜택 관리 앱'이라 칭함)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1)은 혜택 관리 앱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혜택 관리 시스템(100)은 업체의 혜택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클라이언트(client)인 사용자 단말(101)을 대상으로 업체에서 사용 가능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한다. 특히, 혜택 관리 시스템(100)은 매장 별로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혜택 정보를 종합하여 자동으로 추천하는 기능과,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타임 라인 형태로 수집하여 활동 히스토리 로그로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혜택 관리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혜택 관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혜택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혜택 관리 시스템(200)은 프로세서(210), 버스(2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운영체제(241) 및 서비스 제공 루틴(24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관리부(211), 노출부(212), 기록부(213) 및 제공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혜택 관리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24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에는 운영체제(241)와 서비스 제공 루틴(242)을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메모리(24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메모리(240)에 로딩될 수도 있다.
버스(220)는 혜택 관리 시스템(2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버스(220)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혜택 관리 시스템(2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요소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는 혜택 관리 시스템(2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50)는 매장 별 혜택 정보를 저장 및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때 혜택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운영하는 업체주에 의해 입력 또는 설정되거나 제휴 업체에서 제공되는 업체 간 제휴 정보 등을 바탕으로 DB화 되어 각 매장 단위로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혜택 정보는 혜택 관리 시스템(200)의 서비스 화면을 통해 노출되거나 링크시킬 수 있는 관련 정보로서, 혜택의 종류와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 매장 정보, 매장 위치, 매장 또는 상품과 관련된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혜택 관리 시스템(200)의 내부에 데이터베이스(250)를 구축하여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별개의 다른 시스템 상에 구축된 외부 데이터베이스로서 존재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프로세서(21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혜택 관리 시스템(200)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4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그리고 버스(220)를 통해 프로세서(210)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관리부(211), 노출부(212), 기록부(213) 및 제공부(214)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24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관리부(211), 노출부(212), 기록부(213) 및 제공부(214)는 도 3의 단계들(S310 내지 S340)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단계(S310)에서 관리부(211)는 매장 별 혜택 정보를 DB로 구성하여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부(211)는 적어도 하나의 매장을 운영하는 업체주에게 관리자 환경을 제공하고 관리자 환경을 통해 업체주로부터 직접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방식으로 각 매장의 혜택 정보를 수집하여 DB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부(211)는 매장과 관련된 제휴 업체에서 공개되는 제휴 정보 등으로부터 각 매장의 혜택 정보를 수집하여 DB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매장 별 혜택 정보는 혜택의 종류와 구체적인 서비스 내용, 매장 정보, 매장 위치, 매장 또는 상품과 관련된 이미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S320)에서 노출부(212)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되는 매장(이하, '특정 매장'라 칭함)에 대하여 특정 매장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혜택 정보를 종합하여 일괄적으로 노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노출부(212)는 사용자가 선택한 매장을 특정 매장으로 선정한 후 해당 매장의 혜택 정보를 모두 모아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노출부(212)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매장을 특정 매장으로 선정한 후 해당 매장의 혜택 정보를 모두 모아 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매장의 혜택을 사용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 상에서 혜택 관리 앱을 실행하면 노출부(212)는 소정 기준으로 선정된 추천 매장을 목록으로 구성한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혜택 관리 앱의 서비스 화면을 통해 추천 매장 목록(410)을 노출할 수 있다. 노출부(212)는 서비스 화면의 소정 탭 안의 배너를 통해 다양한 매장 소식을 노출해줄 수 있다. 또한, 노출부(212)는 GPS를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있는 가까운 매장들을 자동으로 추천할 수 있다.
특히, 혜택 관리 앱의 서비스 화면에는 매장들의 혜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별도의 탭(이하, '주변 혜택 탭' 이라 칭함)이 포함될 수 있으며, 노출부(212)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에 있는 가까운 매장을 검색한 후 매장 목록(510)을 사용자 단말과 매장 간의 거리 순으로 리스팅 하여 주변 혜택 탭을 통해 노출할 수 있다. 이때, 매장 목록(510)에 포함된 각 항목에는 매장 정보와 해당 매장의 할인 정보가 간략히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혜택 탭에서는 매장 목록(510)을 매장의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노출할 수 있는 카테고리 선택 메뉴(50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주변 혜택 탭에서는 지역 별로 매장을 찾아 볼 수 있도록 지역을 선택하기 위한 지역 선택 메뉴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혜택 관리 앱의 서비스 화면에서 주변 혜택 탭을 실행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최근 본 지역 목록을 팝업(610)으로 제공하고 이때 팝업(610)에 다른 지역을 검색 및 선택할 수 있는 지역 선택 메뉴('딴동네 보기')(601)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설명한 서비스 화면 중 어느 하나의 화면 상에서 혜택을 사용할 매장(즉, 특정 매장)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노출부(212)는 특정 매장이 선정됨에 따라 해당 매장의 혜택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매장에서 제공되는 모든 혜택 정보를 혜택 상세 페이지(710)를 통해 일괄로 노출할 수 있다.
혜택 상세 페이지(710)에는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모든 혜택 정보를 종류 별로, 예컨대 쿠폰, 멤버십 카드, 스탬프 순으로 리스팅 되어 노출될 수 있으며, 각 혜택의 항목에 상세한 서비스 내용이 노출될 수 있다. 이때, 혜택의 정렬 순서는 혜택의 종류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노출부(212)는 일회성의 혜택을 상위에 정렬하고 적립 형식의 혜택을 다음으로 정렬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노출부(212)는 혜택의 사용 기간을 고려하여 혜택 사용이 가능한 잔여 기간이 임박한 순서로 혜택을 정렬하여 보여줄 수 있다.
그리고, 노출부(212)는 각 혜택 별로 사용자에 대한 발급 여부(즉 혜택이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사용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지 않은 혜택에 대하여 발급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특정 매장에서 혜택으로 제공하는 멤버십 카드를 현재 미발급한 상태인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혜택 상세 페이지(710)에는 멤버십 카드 항목(701) 상에 멤버십 카드 발급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이트로의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멤버십 카드가 기 발급된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혜택 상세 페이지(810)의 멤버십 카드 항목(801) 상에 사용자의 멤버십 카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예컨대, 바코드 등)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노출부(212)는 혜택 관리 앱을 통해 사용자 단말 상의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부가 정보를 특정 매장의 혜택 정보와 함께 노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노출부(212)는 사용자 또는 사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식별 가능한 특정 매장의 상품권 정보 또는 예약 정보, 사용자 단말 상에 발급된 결제 수단(예컨대, 앱 카드 등) 등을 특정 매장의 혜택 상세 페이지 상에 노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특정 영화관을 선택한 경우 혜택 상세 페이지를 통해 영화관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 멤버십 카드, 스탬프가 일괄로 노출되고(도 8) 이와 함께 사전에 발급된 영화 관람권과 결제 시 이용 가능한 앱 카드가 노출될 수 있다(도 9). 영화 관람권과 같은 상품권 이외에도 사전에 예약된 영화 예매 내역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영화관의 혜택 상세 페이지를 통해 함께 노출해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관리하여 사용자가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혜택을 일괄로 모아 자동 노출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이 혜택을 일일이 찾거나 챙길 필요 없이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전체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노출부(212)는 특정 매장이 복수의 혜택을 제공하는 경우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단계 별로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일 예로, 노출부(212)는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여러 혜택 중 사용자가 어느 하나를 사용한 경우 사용한 혜택과 사용하지 않은 혜택에 대한 알림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매장에서 쿠폰, 멤버십 카드, 스탬프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그 중 쿠폰을 먼저 사용한 경우 노출부(212)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팝업(1010)을 통해 쿠폰 사용에 대한 알림과 함께, 다른 혜택인 멤버십 카드의 사용을 추천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가 멤버십 카드를 사용하거나 혹은 사용하지 않더라도 노출부(212)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 팝업(1110)을 통해 또 다른 혜택인 스탬프의 사용을 추천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종류의 혜택을 제공하는 매장에 대하여 사용자에게 단계적으로 혜택을 하나하나 추천함으로써 사용자의 혜택 사용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사용자가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놓치지 않고 모두 챙길 수 있도록 서비스 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330)에서 기록부(213)는 특정 매장에서의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기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매장 직원에게 제시하면서 혜택 상세 페이지에 노출된 혜택 정보 중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혜택을 알려주게 되고, 이때 기록부(213)는 매장 직원에 의한 소정의 인터랙션(예컨대, 쿠폰 사용 버튼을 입력하는 등)에 따라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기록할 수 있다. 이때, 기록부(213)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혜택의 종류와 활동 유형 등을 포함하는 활동 정보를 혜택 사용 시간 및 매장 정보와 연관하여 기록할 수 있다. 예컨대, 혜택의 종류를 쿠폰(일회성 쿠폰)과 스탬프(적립식 쿠폰) 및 멤버십 카드로 구분하는 경우,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1) 쿠폰을 발급하는 활동, (2) 쿠폰을 소비하는 활동, (3) 스탬프를 발급하는 활동, (4) 스탬프에 포인트를 적립하는 활동, (5) 스탬프에 적립된 포인트를 소비하는 활동, (6) 멤버십 카드를 발급하는 활동, (7) 멤버십 카드에 포인트를 적립하는 활동, (8) 멤버십 카드에 적립된 포인트를 소비하는 활동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에 기록부(213)는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에 대하여 3가지 혜택의 종류와 8가지 활동 유형을 구분하여 기록할 수 있다.
단계(S340)에서 제공부(214)는 사용자의 요청 시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타임 라인 형태로 수집하여 활동 히스토리 로그로 제공할 수 있다. 혜택 관리 앱의 서비스 화면에는 사용자가 자신의 혜택 사용 활동을 관리할 수 있는 별도의 탭(이하, 내 지갑 탭이라 칭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공부(214)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까지 수집된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 목록(1210)을 최근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내 지갑 탭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내 지갑 탭에서는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 각각에 대하여 특수 디스플레이 정보(120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용한 혜택의 종류(쿠폰, 멤버십 카드, 스탬프 등)를 구분할 수 있으며, 활동 유형을 (1) 쿠폰을 발급하는 활동, (2) 쿠폰을 소비하는 활동, (3) 스탬프를 발급하는 활동, (4) 스탬프에 포인트를 적립하는 활동, (5) 스탬프에 적립된 포인트를 소비하는 활동, (6) 멤버십 카드를 발급하는 활동, (7) 멤버십 카드에 포인트를 적립하는 활동, (8) 멤버십 카드에 적립된 포인트를 소비하는 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내 지갑 탭에서는 혜택 사용 활동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혜택을 사용한 시간과 매장 정보를 간략히 표시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내 지갑 탭에서는 사용자가 혜택 사용 활동 목록(1210)에서 특정 활동을 선택하면 해당 활동이 이루어진 매장의 혜택 상세 페이지(도 7 또는 도 8)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내 지갑 탭에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혜택들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 지갑 탭에는 슬라이드 메뉴(slide menu) 형식으로 사용자가 발급 받은 혜택들을 종류 별로 분류하여 보여줄 수 있는 혜택 별 선택 메뉴(1302)가 제공될 수 있다. 선택 메뉴(1302)는 사용자 단말 상에 발급된 쿠폰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 멤버십 카드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 스탬프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 결제 수단 목록을 제공하기 위한 메뉴 등이 개별 메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바일 지갑 개념에서의 사용자 관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내 지갑 탭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이미지(사진 또는 동영상)를 설정할 수 있는 이미지 설정 메뉴(1303)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설정 메뉴(1303)를 통해 설정된 이미지는 이미지 설정 메뉴(1303)의 해당 영역에 표시되거나 혜택 관리 앱의 로딩 화면이나 배경 화면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들이 실물 지갑에 사진을 넣어 다니는 것을 상징화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가 이용한 혜택과 관련된 내역들을 타임 로그로 수집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본인의 혜택 사용 이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최근 이력이 있는 매장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컴퓨터 시스템(14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410), 메모리(memory)(142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43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440), 전력 회로(1450) 및 통신 회로(146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시스템(1400)은 사용자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메모리(142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20)는 컴퓨터 시스템(14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41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43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42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4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430)는 컴퓨터 시스템(14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410) 및 메모리(14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410)는 메모리(14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터 시스템(14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44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4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44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4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44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43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45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45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46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46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4의 실시예는, 컴퓨터 시스템(14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터 시스템(1400)은 도 14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터 시스템은 도 14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460)에 다양한 통신 방식(WiFi, 3G, LET,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터 시스템(14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시스템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폐쇄형 SNS 애플리케이션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혹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인-앱(in-app)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혜택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과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매장 단위로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관리하는 서버와 연동하는 것으로, 서버로부터 수신된 매장 목록을 노출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매장 목록 중 선택된 특정 매장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수신된 특정 매장의 혜택 정보를 노출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기록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및 사용자의 요청 시 사용자의 혜택 사용 활동을 타임라인 형태로 목록화 하여 제공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종합하여 사용자의 방문 즉시 일괄적으로 제공하고 방문 매장에서 사용 가능한 혜택 정보를 단계별로 자동 추천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혜택을 챙기지 않아도 방문 매장의 혜택 정보를 즉시 확인하여 이용할 수 있는 최대의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별 매장에서의 혜택 사용 활동을 타임 라인 형태로 수집하여 활동 전체에 대한 히스토리 로그(History Log)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혜택 사용 이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력이 있는 매장을 찾기 위한 경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200: 혜택 관리 시스템
211: 관리부
212: 노출부
213: 기록부
214: 제공부

Claims (19)

  1. 컴퓨터로 구현되는 혜택 관리 방법에 있어서,
    매장 단위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매장인 특정 매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과 관련된 업체주에 의해 입력되거나 설정된 혜택 정보 및 상기 매장과 관련된 제휴 업체에서 공개되는 제휴 정보로부터 수집된 혜택 정보를 구성하되,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모든 혜택의 종류와 혜택 별 서비스 내용을 상기 매장과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하고,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상세 페이지를 통해 혜택의 종류와 혜택 별 서비스 내용을 종합하여 일괄 노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단계별로 혜택을 추천하되,
    상기 추천되는 혜택 중 어느 하나의 혜택이 사용되면 사용된 혜택과 사용되지 않은 혜택 중 다음 차례로 추천할 혜택에 대한 알림을 함께 제공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종류 별로 정렬하여 노출하되,
    일회성의 혜택을 상위에 우선 정렬하고 적립 형식의 혜택을 상기 일회성의 혜택 다음으로 정렬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상품권 정보와 예약 정보 및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노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발급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중 상기 사용자에게 미발급된 혜택의 경우 발급을 추천하는 알림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혜택 관리 방법은,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활동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 시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 활동을 타임라인 형태로 목록화 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활동을 타임라인 형태로 목록화 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활동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혜택의 종류와 활동 유형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혜택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종류 별로 정렬하여 노출하되, 혜택의 사용이 가능한 잔여 기간 순으로 정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혜택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컴퓨터 시스템이 매장의 혜택 정보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명령(instruction)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명령은,
    매장 단위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매장인 특정 매장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구성하는 단계는,
    상기 매장과 관련된 업체주에 의해 입력되거나 설정된 혜택 정보 및 상기 매장과 관련된 제휴 업체에서 공개되는 제휴 정보로부터 수집된 혜택 정보를 구성하되,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모든 혜택의 종류와 혜택 별 서비스 내용을 상기 매장과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하고,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상세 페이지를 통해 혜택의 종류와 혜택 별 서비스 내용을 종합하여 일괄 노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단계별로 혜택을 추천하되,
    상기 추천되는 혜택 중 어느 하나의 혜택이 사용되면 사용된 혜택과 사용되지 않은 혜택 중 다음 차례로 추천할 혜택에 대한 알림을 함께 제공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종류 별로 정렬하여 노출하되,
    일회성의 혜택을 상위에 우선 정렬하고 적립 형식의 혜택을 상기 일회성의 혜택 다음으로 정렬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상품권 정보와 예약 정보 및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노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발급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중 상기 사용자에게 미발급된 혜택의 경우 발급을 추천하는 알림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명령은,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활동을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 시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 활동을 타임라인 형태로 목록화 하여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사용 활동을 타임라인 형태로 목록화 하여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활동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혜택의 종류와 활동 유형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혜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매장 단위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관리하는 관리부;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거나 상기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매장인 특정 매장에 대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는 노출부
    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부는,
    상기 매장과 관련된 업체주에 의해 입력되거나 설정된 혜택 정보 및 상기 매장과 관련된 제휴 업체에서 공개되는 제휴 정보로부터 수집된 혜택 정보를 구성하되,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모든 혜택의 종류와 혜택 별 서비스 내용을 상기 매장과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하고,
    상기 노출부는,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상세 페이지를 통해 혜택의 종류와 혜택 별 서비스 내용을 종합하여 일괄 노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단계별로 혜택을 추천하되,
    상기 추천되는 혜택 중 어느 하나의 혜택이 사용되면 사용된 혜택과 사용되지 않은 혜택 중 다음 차례로 추천할 혜택에 대한 알림을 함께 제공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종류 별로 정렬하여 노출하되,
    일회성의 혜택을 상위에 우선 정렬하고 적립 형식의 혜택을 상기 일회성의 혜택 다음으로 정렬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상품권 정보와 예약 정보 및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노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발급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중 상기 사용자에게 미발급된 혜택의 경우 발급을 추천하는 알림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혜택 관리 시스템은,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활동을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 시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 활동을 타임라인 형태로 목록화 하여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부는,
    상기 사용 활동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혜택의 종류와 활동 유형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혜택 관리 시스템.
  13. 사용자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서버로부터 수신된 매장 목록을 노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및
    상기 매장 목록 중 선택된 특정 매장에 대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매장 단위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상기 매장과 관련된 업체주에 의해 입력되거나 설정된 혜택 정보 및 상기 매장과 관련된 제휴 업체에서 공개되는 제휴 정보로부터 수집된 혜택 정보를 구성하되,
    상기 매장에서 제공하는 모든 혜택의 종류와 혜택 별 서비스 내용을 상기 매장과 연관하여 저장 및 유지하고,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은,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하여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상세 페이지를 통해 혜택의 종류와 혜택 별 서비스 내용을 종합하여 일괄 노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단계별로 혜택을 추천하되,
    상기 추천되는 혜택 중 어느 하나의 혜택이 사용되면 사용된 혜택과 사용되지 않은 혜택 중 다음 차례로 추천할 혜택에 대한 알림을 함께 제공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종류 별로 정렬하여 노출하되,
    일회성의 혜택을 상위에 우선 정렬하고 적립 형식의 혜택을 상기 일회성의 혜택 다음으로 정렬하고,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상품권 정보와 예약 정보 및 사용자 단말에서 이용 가능한 결제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노출하고,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별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발급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 중 상기 사용자에게 미발급된 혜택의 경우 발급을 추천하는 알림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사용 활동을 기록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사용 활동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타임라인 형태로 목록화 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활동을 상기 상세 페이지를 통해 타임라인 형태로 목록화 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은,
    상기 사용 활동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혜택의 종류와 활동 유형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매장과 관련된 혜택 정보를 노출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모듈은,
    상기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혜택을 종류 별로 정렬하여 노출하되, 혜택의 사용이 가능한 잔여 기간 순으로 정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40060131A 2014-04-29 2014-05-20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42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51382 2014-04-29
KR1020140051382 2014-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603B1 true KR101542603B1 (ko) 2015-08-11

Family

ID=540606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131A KR101542603B1 (ko) 2014-04-29 2014-05-20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140060132A KR20150125893A (ko) 2014-04-29 2014-05-20 사용자의 매장 혜택 사용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132A KR20150125893A (ko) 2014-04-29 2014-05-20 사용자의 매장 혜택 사용 이력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426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99B1 (ko) * 2015-08-13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17026658A1 (en) * 2015-08-13 2017-0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707979B1 (ko) * 2016-04-26 2017-02-17 이요훈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합 플랫폼 시스템
KR20230110873A (ko) *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로치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상품권 발행 및 사용 시스템
WO2024019214A1 (ko) * 2022-07-22 2024-01-25 쿠팡 주식회사 멤버십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9301A (ko) * 2016-03-21 2017-09-29 남기원 지능형 선택기능이 탑재된 구매 가이드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66746B1 (ko) 2017-03-03 2022-02-2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 패턴에 따른 맞춤형 멤버십 카드 및/또는 쿠폰 추천을 위한 사용자 장치,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N111527638A (zh) 2017-12-28 2020-08-11 日立造船株式会社 全固态电池及其制造方法和加工装置
KR20240031677A (ko) * 2022-09-01 2024-03-08 쿠팡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혜택 정보 제공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699B1 (ko) * 2015-08-13 2017-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WO2017026658A1 (en) * 2015-08-13 2017-02-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6447321A (zh) * 2015-08-13 2017-02-22 Lg电子株式会社 移动终端
US10467613B2 (en) 2015-08-13 2019-11-0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707979B1 (ko) * 2016-04-26 2017-02-17 이요훈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이용한 통합 플랫폼 시스템
KR20230110873A (ko) * 2022-01-17 2023-07-25 주식회사 로치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상품권 발행 및 사용 시스템
KR102659542B1 (ko) * 2022-01-17 2024-04-23 주식회사 로치오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상품권 발행 및 사용 시스템
WO2024019214A1 (ko) * 2022-07-22 2024-01-25 쿠팡 주식회사 멤버십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893A (ko) 201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603B1 (ko) 매장 단위로 혜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720908B2 (en)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tracking and promoting loyalty rewards
CN107527263B (zh) 社会信息管理方法及其适用的系统
US2019037815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offers
KR20150035877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EP3370196A1 (en) Method for operating mobile device having plurality of card modules installed therein and mobile device therefor
CN104380279A (zh) 包含数字标牌和相关移动内容的通信系统
CN104981773A (zh) 管理客户端设备上的应用
KR101898650B1 (ko) 예술 작품 전시 정보 제공 장치
KR101736689B1 (ko) 검색 연동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08213A1 (en) Shopping support device and shopping support method
WO2014134364A1 (en) Fall-back to saved location where user location is unknown
KR20130012221A (ko) 고객관리 시스템
KR20160113568A (ko) 실시간 대화를 기반으로 한 트랜잭션 처리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08077539A (ja) 来場管理システム、来場管理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21505987A (ja) 決済デバイスおよびプロセス
JP6976293B2 (ja) クーポン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06008B1 (ko) 네일 아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일샵 및 디자이너 중개 플랫폼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JP2021077197A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5228179A (ja) 購買履歴に基づく情報提供システム
JP202101861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40144793A (ko) 쿠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921996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7350402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リフト券管理システム
WO2023127030A1 (ja) サービス管理装置、サービス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