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601B1 -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 Google Patents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601B1
KR101542601B1 KR1020140094231A KR20140094231A KR101542601B1 KR 101542601 B1 KR101542601 B1 KR 101542601B1 KR 1020140094231 A KR1020140094231 A KR 1020140094231A KR 20140094231 A KR20140094231 A KR 20140094231A KR 101542601 B1 KR101542601 B1 KR 101542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nnection
inflow
coup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창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4009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잔디가 조성된 지면에 상단이 돌출되도록 매설설치되며, 상부에 힌지공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체결하되, 일측에 상기 지주가 유입되는 절개홈과 체결공을 갖는 연결편이 마련되고, 타측에 통공을 갖는 결속편이 형성된 지지체;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 상부에 안착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속편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유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유입홈의 상면에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볼트부가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구비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체결되는 연결바가 돌출형성되고,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연결홈이 구비된 결속구; 및 보행자가 통행 시에 디딤 부위에서 마찰력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화스너가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바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유입홈과 상기 유입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홈부가 형성되는 결합패널; 및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결합패널 사이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장홈부 또는 상기 유입홈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볼트부가 형성되는 조작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PAVING BLOCK FOR LANDSCAPING IN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블록의 설치시 잔디가 조성된 지면의 절토공정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자 통행으로 인한 하중 전달시 지면에 맞닿아 있는 지지체가 지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하중을 완충하도록 함으로써, 보도블록의 침하방지 및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가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보도블록 설치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잔디는 지표면을 피복하는 지피식물 중 낮은 깎기와 답압에도 잘 견디며 줄기가 땅바닥에 붙어 옆으로 길게 벋고 마디마다 뿌리가 내려 재생력이 강한 특성을 지닌 볏과의 다년생 초본식물을 말하며, 5∼10cm의 좁고 긴 잎이 줄기의 마디에서 위로 벋으며 안으로 말려 있으며, 품종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잔디의 기능을 살펴보면 토양오염방지, 토양침식방지, 수분보유능력향상, 쾌적한 녹색환경조성, 운동경기시 부상방지, 대기정화, 소음완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 예로써, 도로공사나, 조경공사 과정에는 절토부나 성토부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절토부나 성토부 및 제방에는 우수 및 홍수 등 침수에 의해 침식되고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잔디 및 수목을 조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중 조경을 위해 시공된 잔디는 찾는 이들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며, 가족단위로 나온 행락객들에게 즐길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하지만, 무분별하게 개방할 경우 잔디의 잎이 눌려 생육이 불완전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에는 모근을 다쳐 잔디가 말라죽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잔디의 보호관리는 물론 보행자가 잔디가 조성된 장소를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보도블록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조경보도블록은, 지면에 매설되는 침하방지판과, 침하방지판과 침하방지판 사이에 결합되어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인 보도부와, 침하방지판의 양측에 설치되어 각종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식재틀과, 식재틀의 상부에 설치된 난간고정대 및 난간고정대에 결합되어 보행자의 통행을 돕는 난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1827호(2006년 12월 01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잔디보로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은, 그 시설물 자체가 대형화되어 조성된 잔디밭의 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방법이 어려워 높은 제작비용 및 장기간의 시공기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은, 보행자 통행 시에 가로바를 딛고 보행하도록 되어있으나, 이는 보행 시 보행자의 발을 전체적으로 디딜 수 없기 때문에 보행과정에서 미끄러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은, 부품들 사이의 연결구조가 복작하기 때문에 보도블록의 설치가 용이치 않으며, 보도블록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보도블록의 설치시 잔디가 조성된 지면의 절토공정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자 통행으로 인한 하중 전달시 지면에 맞닿아 있는 지지체가 지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하중을 완충하도록 함으로써, 보도블록의 침하방지 및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가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보도블록 설치공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잔디가 조성된 지면에 상단이 돌출되도록 매설설치되며, 상부에 힌지공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체결하되, 일측에 상기 지주가 유입되는 절개홈과 체결공을 갖는 연결편이 마련되고, 타측에 통공을 갖는 결속편이 형성된 지지체;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 상부에 안착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속편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유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유입홈의 상면에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볼트부가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구비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체결되는 연결바가 돌출형성되고,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유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유입홈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연결홈이 구비된 결속구; 및 보행자가 통행 시에 디딤 부위에서 마찰력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유입홈에 삽입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화스너가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바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유입홈과 상기 유입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홈부가 형성되는 결합패널; 및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결합패널 사이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장홈부 또는 상기 유입홈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볼트부가 형성되는 조작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본체의 저면에는 고정홀부가 구비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홀부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유입홈은 상기 결합패널의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홈부는 상기 유입홈의 상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은, 보도블록의 구조개선을 통해 보도블록의 설치 시에 잔디가 조성된 지면의 절토공정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자 통행으로 인한 연결구에 하중 전달시 지면에 맞닿아 있는 지지체가 지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하중을 완충하도록 함으로써, 보도블록의 침하방지 및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가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은, 잔디가 조성된 지면에 설치되어 보도블록의 주요 목적인 잔디보호와 보행자 통행기능은 충실히 수행하는 한편, 그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작비용 절감 및 시공 후 자연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은, 보도블록을 이용한 잔디밭 보행 시에 보행자의 발 전면을 디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도블록의 최상부에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보행 도중 미끄러짐 없이 더욱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의 연결구는, 연결본체, 조작패널 및 결합패널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므로 지지체를 결합패널에 삽입한 후에 조작패널을 회전시키면 지지체와 연결구의 결합을 행할 수 있어 보도블록의 설치를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의 연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결블록의 결속편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의 연결구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결블록의 결속편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이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은, 지면에 매설설치되는 복수개의 지주(110)와, 각 지주(110)의 상단에 체결된 지지체(120)와, 지지체(120)의 상부에 안착설치되는 연결구(130)와, 연결구(130)의 상부에 안착설치되는 결속구(140)와, 결속구(140)의 상부에 설치되는 미끄럼방지패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지주(110)는 보도블록(100)의 횡방향 변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즉, 지주(110)는 잔디가 조성된 지면에 상단이 돌출되도록 매설설치되며, 그 상부에 힌지공(111)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지주(110)는 보도블록(100)이 설치될 장소의 지면에 4조 1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체(120)는 지면과 맞닿아 보도블록(100)이 침하하지 않도록 지면에 대해 지지력을 갖으며, 보행자 통행으로 인한 압력이 발생 시에 그 압력을 탄성복원력에 의해 흡수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지지체(120)는 각 지주(110)의 상단에 체결되며, 일측에 개구부(121)가 마련되고, 개구부(121)의 하단에 지주(110)가 유입되는 절개홈(123)이 형성되며, 절개홈(123)의 인접한 전후방에 체결공(125)을 갖는 연결편(126)이 마련되고, 개구부(121)의 상단에 통공(127)을 갖는 결속편(128)이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체(120)는 상부에서 가압하는 압력이 발생 시에 탄성복원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원형의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결구(130)는 복수개의 지지체(120) 상부에 안착설치되어 개별적으로 구성된 복수개의 지지체(120)들을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연결구(130)는 하부에 각 결속편(128)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유입홈(131)이 마련되고, 유입홈(131)의 상면에 상기 통공(127)에 삽입되는 볼트부(133)가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결합홈(135)이 마련된다.
연결구(130)는, 연결바(141)가 결합되는 결합홈(135)이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본체(130a)와, 연결본체(130a)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유입홈(131)과 유입홈(131)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홈부(131b)가 형성되는 결합패널(131a)과, 연결본체(130a)와 결합패널(131a) 사이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연장홈부(131b) 또는 유입홈(131) 내부에 배치되는 볼트부(133)가 형성되는 조작패널(133a)을 포함한다.
연결본체(130a)의 저면에는 고정홀부(130c)가 구비되는 회전축(130b)이 형성되고, 결합패널(131a)의 상면에는 고정홀부(130c)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부(131c)가 형성된다.
유입홈(131)은 결합패널(131a)의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되고, 연장홈부(131b)는 유입홈(131)의 상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개방된다.
연결본체(130a)의 저면 중앙부에는, 조작패널(133a)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통과홀부(133c)를 관통하여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회전축(130b)이 형성되고, 회전축(130b)의 저면에는 고정홀부(130c)가 형성된다.
결합패널(131a)의 상면 중앙부에는 고정홀부(130c)에 볼트결합방식으로 체결되는 고정돌기부(131c)가 형성되므로 고정돌기부(131c)를 고정홀부(130c)에 삽입한 후에 연결본체(130a) 또는 결합패널(131a)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고정돌기부(131c)가 고정홀부(130c) 내부로 삽입되면서 연결본체(130a)와 결합패널(131a)이 조립된다.
여기서, 고정홀부(130c)의 길이는 회전축(130b)의 길이와 비교하여 짧게 형성되므로 고정돌기부(131c)의 체결을 완료하여도 연결본체(130a)와 결합패널(131a)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에 조작패널(133a)이 회전 가능하게 개재되도록 회전축(130b)을 통과홀부(133c)에 삽입한 후에 고정홀부(130c)와 고정돌기부(131c)의 결합을 행한다.
또한, 볼트부(133)는 유입홈(131)에 대향되도록 조작패널(133a)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조작패널(133a)의 둘레면에는 복수 개의 손잡이부(133b)가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잡이부(133b)를 잡고 조작패널(133a)을 회전시키면 조작패널(133a)이 회전축(130b)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볼트부(133)가 유입홈(131)으로부터 이격되어 연장홈부(131b) 내측에 배치된다.
연장홈부(131b)는 상면이 개방되고 저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므로 볼트부(133)가 통공(127)에 삽입되도록 결속편(128)을 유입홈(131)에 삽입한 후에 조작패널(133a)을 회전시켜 볼트부(133)를 연장홈부(131b) 내부에 배치시키면 볼트부(133)의 하단면이 연장홈부(131b)의 바닥면에 밀착되면서 볼트부(133)로부터 결속편(128)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본 실시예는 별도의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볼트부(133)에 결속편(128)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결속구(140)는 연결구(130)의 상부에 안착설치되어 상술한 연결구(130)와 후술할 미끄럼방지패드(150)를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결속구(140)는 그 하부에 결합홈(135)에 삽입체결되는 연결바(141)가 돌출형성되고,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홈(145)이 마련되며, 삽입홈(145)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연결홈(143)이 마련된다.
한편, 미끄럼방지패드(150)는 삽입홈(145)에 삽입연결되어 보행자가 보도블록(100)을 통행 시에 미끄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미끄럼방지패드(150)는 그 하부에 연결홈(143)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화스너(151)가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미끄럼방지패드(150)는 계단과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어 통행자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공지된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잔디 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블록은 설치 시에 잔디가 조성된 지면의 절토공정 없이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보행자 통행으로 인한 연결구에 하중 전달 시 지면에 맞닿아 있는 지지체가 지면에 지지됨과 동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그 하중을 완충하도록 함으로써, 보도블록의 침하방지 및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가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결합관계 및 시공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지주(110)를 지지체(120)의 절개홈(123) 내에 유입시킨 후, 서로 연통을 이루는 힌지공(111)과 체결공(125)에 힌지핀(113)을 삽입연결하여 지지체(120)에 지주(110)를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후, 지주(110)들을 4조 1쌍으로 하여 보도블록(100)이 설치될 장소의 지면에 십자 형태로 매설한다. 이때, 지지체(120)는 그 하단이 지면과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지지체(120)는 지면에 지지되어 보도블록(100)의 침하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보행자 통행 시에 탄성복원력에 의해 보행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보행자가 편안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4조 1쌍으로 이루어진 지지체(120)들의 상부에 연결구(130)를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유입홈(131)에는 결속편(128)이 삽입되며, 볼트부(133)는 통공(127)에 삽입된다.
볼트부(133)가 통공(127)에 삽입된 후에 작업자가 손잡이부(133b)를 잡고 조작패널(133a)을 회전시키면 볼트부(133)가 연장홈부(131b)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볼트부(133)의 하단면 및 결속편(128)의 저면이 연장홈부(131b) 바닥면에 안착된다.
따라서 결속편(128)은 볼트부(133)의 하단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되어 지지체(120)와 연결구(130)의 결합을 이루게 되며, 개별적으로 설치된 지지체(120)들은 연결구(13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이후, 연결구(130)의 상부에 결속구(140)을 안착설치한다. 이때, 결합홈(135)에는 연결바(141)가 볼트체결방식에 의해 체결된다. 이에 따라, 결속구(140)는 연결구(130)와 긴밀한 체결관계를 이루게 된다.
이후, 삽입홈(145)에 미끄럼방지패드(150)가 삽입연결되며, 그 과정에서 미끄럼방재패드(150)의 화스너(151)는 연결홈(143)에 삽입되어 미끄럼방지패드(150)가 삽입홈(145)에 긴밀히 결속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보도블록(100)을 이용한 잔디밭 보행시 보행자의 발 전면을 디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도블록의 최상부에 미끄럼방지패드를 설치함으로써, 보행 도중 미끌림 없이 더욱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단순화된 구성요소들의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의해 보도블록의 주요 목적인 잔디보호와 보행자 통행기능은 충실히 수행하는 한편, 그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제작비용 절감 및 시공 후 자연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보도블록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보도블록 110 : 지주
120 : 지지체 128 : 결속편
130 : 연결구 131 : 볼트부
135 : 결합홈 140 : 결속구
141 : 연결바 150 : 미끄럼방지패드

Claims (3)

  1. 잔디가 조성된 지면에 상단이 돌출되도록 매설설치되며, 상부에 힌지공이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 상기 지주의 상단에 체결하되, 일측에 상기 지주가 유입되는 절개홈과 체결공을 갖는 연결편이 마련되고, 타측에 통공을 갖는 결속편이 형성된 지지체; 상기 복수개의 지지체 상부에 안착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속편이 삽입되는 복수개의 유입홈이 마련되고, 상기 유입홈의 상면에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볼트부가 돌출형성되며, 내측에 상방으로 개구된 결합홈이 구비된 연결구; 상기 연결구의 상부에 안착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결합홈에 삽입체결되는 연결바가 돌출형성되고, 상부에 상방으로 개구된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복수개의 연결홈이 구비된 결속구; 및 보행자가 통행 시에 디딤 부위에서 마찰력을 일으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연결홈에 삽입되어 결속되는 화스너가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건축용 조경보도블록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연결바가 결합되는 상기 결합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연결본체;
    상기 연결본체의 저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유입홈과 상기 유입홈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홈부가 형성되는 결합패널; 및
    상기 연결본체와 상기 결합패널 사이의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장홈부 또는 상기 유입홈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볼트부가 형성되는 조작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본체의 저면에는 고정홀부가 구비되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패널의 상면에는 상기 고정홀부에 결합되는 고정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홈은 상기 결합패널의 저면으로부터 상면까지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장홈부는 상기 유입홈의 상부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면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2. 삭제
  3. 삭제
KR1020140094231A 2014-07-24 2014-07-24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KR101542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231A KR101542601B1 (ko) 2014-07-24 2014-07-24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231A KR101542601B1 (ko) 2014-07-24 2014-07-24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601B1 true KR101542601B1 (ko) 2015-08-17

Family

ID=54060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231A KR101542601B1 (ko) 2014-07-24 2014-07-24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6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053B1 (ko) * 2005-09-20 2006-01-23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단지 내 잔디 구간의 블록 구조
KR100651827B1 (ko) * 2006-09-14 2006-12-01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053B1 (ko) * 2005-09-20 2006-01-23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건축단지 내 잔디 구간의 블록 구조
KR100651827B1 (ko) * 2006-09-14 2006-12-01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3633B1 (ko) 화단용 빗물 침투장치
KR20120059468A (ko) 고가 및 다리난간용 화분 및 화분 브라켓트
KR101542601B1 (ko) 건축용 조경보도블록
KR100490960B1 (ko) 건축 부대시설용 볼라드
JP3111306U (ja) 植木の整枝・剪定用脚立
KR100544053B1 (ko) 건축단지 내 잔디 구간의 블록 구조
KR100538107B1 (ko) 건축 단지 조경 구간에 설치되는 조경 블록 구조
KR101507550B1 (ko) 보도블록 방초시트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시공방법
US10287732B1 (en) Temporary walkway
TWI602666B (zh) 管理機的手柄裝置
KR200459245Y1 (ko) 가로수보호판
KR101741173B1 (ko) 고가나 다리난간용 다목적 식재장치
KR101167978B1 (ko) 매립형 수목 보호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45656B1 (ko) 친환경적인 도로의 배수시설
KR100950325B1 (ko) 잔디보호를 이룰 수 있는 건축단지용 보도블록
US9493915B2 (en) Tree well and related methods
KR20200120192A (ko)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20100118456A (ko) 잔디블럭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71733B1 (ko) 규석알과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공동 주택 단지내 미끄럼방지 블럭
KR100483309B1 (ko) 건축구간 부대시설용 보도 블록
KR20100026070A (ko) 가로수 보호덮개
KR100667609B1 (ko) 공원 녹지용 보도블록
CN205821928U (zh) 一种市政人行道地砖
JP3246364U (ja) 安全グレーチング
KR200348695Y1 (ko) 자연석 수목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