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56B1 -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556B1
KR101542556B1 KR1020150064754A KR20150064754A KR101542556B1 KR 101542556 B1 KR101542556 B1 KR 101542556B1 KR 1020150064754 A KR1020150064754 A KR 1020150064754A KR 20150064754 A KR20150064754 A KR 20150064754A KR 101542556 B1 KR101542556 B1 KR 101542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cutting
dimensional
layer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우
Original Assignee
김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우 filed Critical 김병우
Priority to KR1020150064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25/005Three-dimensional 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표면층과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제직된 직물의 마감을 단계별로 자동화하도록, 표면층과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연결사가 별도의 커팅사와 교차되며 양측면에 변부가 형성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사 끝단을 흡입수단을 통해 세우고 파지수단을 통해 파지한 후 이송수단를 통해 이동시켜 커팅사가 연결사를 절단하는 연결사커팅부와, 상기 변부의 수직 방향으로 칼날이 배치되어 변부를 커팅하는 변부커팅부와, 상기 변부가 커팅된 표면층 또는 이면층의 표면과 접착한 후 들어올리는 접착수단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층 및 이면층과 중간층이 접착된 부분을 이격수단으로 분리시키는 이격부로 이루어져, 직물을 자동으로 마감처리하여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3D Fabric automatic finishing devices}
본 발명은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층과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연결사가 별도의 커팅사와 교차되며 양측면에 변부가 형성된 입체직물의 마감을 단계별로 자동화하도록 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직물이라 함은 어떤 원료로부터 제조되어 제직(weaving), 편성(knitting), 프레이팅(plaiting) 또는 브레이딩(braiding)의 방법에 의해 구성되며 또한 섬유의 교차(interlock)방법에 의해 펠트(felt) 직물이 만들어진다. 직물의 기본적인 표준 종류는 직물, 편성물, 펠트, 프레이트, 부직포, 접착직물, 몰드직물로 구분될 수 있다.
협의의 직물(織物:woven)이란 수직 방향의 경사와 수평 방향의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interlace)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내의(under wear)와 외의(outer wear)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직물이며 대부분 사용된다. 한편 편성물(knitted)은 1계통의 실이 편환(loop)을 만들고 이들 편환이 전후 좌우 방향에서 서로 조합하여 편성을 구성한다. 편성물은 신속하게 제편되며, 착용하면 축 늘어지고 탄력성이 있다. 또한 펠트(felt)라 함은 1단의 섬유를 열, 습기, 압력, 타격에 의해 교차(interlock)케 하여 펠트를 구성하며, 실은 여기에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프레이트(plaited), 브레이드(braid), 레이스(lace)는 여러 실이 어느 한 방향으로 주행하며, 1계통의 실이 교차하여 요구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부직포(nonwoven)는 접착 재료의 응용, 또는 표면의 화학작용을 통한 부착 섬유, 또는 열가소성 섬유의 열에 의해 섬유의 웹(web) 또는 시트(sheet)가 서로 부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또한 접착직물(laminated)은 1장 또는 2장의 직물에 폼(foam)을 접착하여 직물을 구성한다. 일반적으로 유연하고 푹신푹신한 촉감과 효과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몰드직물(molded)은 몰드 면적은 이것이 추출되었던 원평면보다도 그 표면이 크다. 몰드 제품(의류)은 푹신하거나 또는 파일(pile) 형태로 또는 편평하게 되어 있다. 이 제품은 착용감이 좋고 신체의 기능에도 잘 맞으며, 그 모양이 잘 변하지 않는다.
직물은 2차원적 입체감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그 측면을 활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봉제나 기타 접합법에 의해 3차원적 입체형상을 구현하다.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0815579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층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표면층, 이면층,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형성되되, 상기 중간층은 제1중간층과 제2중간층으로 형성되며, 기본적으로 표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표면부와, 표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직조된 표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형성된 표면층과; 기본적으로 이면경사만으로 이루어진 이면부와, 이면경사 및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로 형성된 이면접결부가 순차 반복적으로 직조된 이면층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만으로 직조되어 상기 표면접결부 및 이면접결부에 순차 반복적으로 연결된 중간층을 포함하며 상기 이면부의 표면에는 상기 중간층을 구성하는 경사가 위사와의 교차없이 제직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제직 후 상기 노출된 경사를 전모시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었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나타낸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형성된 연결사에 교차된 커팅사를 제거하기 위해 직물을 수직으로 걸어놓고 변부부분에 돌출된 커팅사를 잡아당겨 제거한다. 이때, 복수개의 커팅사를 잡고 당겨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양측면에 형성된 변부를 커팅하기 위해 연결사가 제거된 직물을 다시 펴놓고 칼날을 이용해 변부를 절단하기 때문에 연속된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변부가 커팅된 직물은 표면층과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이 상호 접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의 접착부분을 일일이 손가락으로 벌려 이격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공보 제10-0815579호.(2008년03월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표면층과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제직된 직물의 마감을 단계별로 자동화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연결사에 교차된 커팅사를 끝단을 들어올린 후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부가 제거된 직물의 표면층과 이면층 및 중간층의 접착부분을 기계식 또는 공압식으로 분리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면층과 이면층 및 중간층의 접착부분을 기계식으로 분리시 기계장치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층과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연결사가 별도의 커팅사와 교차되며 양측면에 변부가 형성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사 끝단을 흡입수단을 통해 세우고 파지수단을 통해 파지한 후 이송수단를 통해 이동시켜 커팅사가 연결사를 절단하는 연결사커팅부와, 상기 변부의 수직 방향으로 칼날이 배치되어 변부를 커팅하는 변부커팅부와, 상기 변부가 커팅된 표면층 또는 이면층의 표면과 접착한 후 들어올리는 접착수단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층 및 이면층과 중간층이 접착된 부분을 이격수단으로 분리시키는 이격부로 이루어진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입수단은, 복수개의 진공이젝터를 마련하여 복수개의 커팅사 끝단을 동시에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지수단은, 한 쌍의 파지부재가 이격되어 있고 이격되어 있던 파지부재가 상호 접촉되도록 한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착수단은, 복수개의 접착층이 배치된 제1블록을 실린더를 통해 승하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격수단은, 길이를 갖는 바형상의 기초바 끝에 판형상의 삽입헤드가 장착된 하나 이상의 이격수단을 이송수단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접착수단을 통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격수단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이격수단의 하부에 안내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접착수단과 근접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배출관을 배치하여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착수단의 근접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가압부재가 배치된 제2블럭을 승하강 시켜 표면층 또는 이면층의 표면에 접착된 접착수단을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사는, 경사로 형성되는 연결경사 또는 위사로 형성되는 연결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는 표면층과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제직된 직물의 마감을 단계별로 자동화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한 커팅부, 변부커팅부 와, 이격수단을 마련하여, 직물을 자동으로 마감처리하여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는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연결사에 교차된 커팅사의 끝단을 들어올린 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커팅사 끝단을 흡입수단을 통해 세우고 파지수단을 통해 파지한 후 이송수단를 통해 이동시켜 커팅사가 연결사를 절단하는 연결사 커팅부를 마련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는 변부가 제거된 직물의 표면층과 이면층 및 중간층의 접착부분을 기계식 또는 공압식으로 분리하도록, 변부가 커팅된 표면층 또는 이면층의 표면과 접착한 후 들어올리는 접착수단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층 및 이면층과 중간층이 접착된 부분을 이격수단으로 분리시키는 이격부를 마련하여,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는 표면층과 이면층 및 중간층의 접착부분을 기계식으로 분리시 기계장치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격수단의 하부에 안내부재를 배치하여, 작동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아 정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의 파지수단에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의 이송수단에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의 이격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에 이격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의 이격수단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을 나타낸 단면도 및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의 파지수단에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의 이송수단에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의 이격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에 이격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의 이격수단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의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표면층 2과 이면층 3 및 상기 표면층 2과 이면층 3을 연결하는 중간층 4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표면층 2은 표면부 2b 및 표면접결부 2a로 이루어져 있고 이면층 3은 이면부 3b 및 이면접결부 3a로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상기 표면층 2과 이면층 3을 연결하는 연결사 5에 별도의 커팅사 7가 교차되어 있다. 이러한, 커팅사 7는 표면접결부 2a를 구성한 후 이면접결부 3a를 구성한 연결사 5 중 별도의 커팅사 7와 교차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사 5는 경사로 형성되는 연결경사 또는 위사로 형성되는 연결위사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연결경사인 경우 커팅사 7는 위사로 형성되는 커팅경사로 이루어지고, 연결위사인 경우 커팅사 7는 경사로 형성되는 커팅경사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사 5와 교차된 커팅사 7가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의 표면으로 노출된 돌출부 8를 형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 양측면에 변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직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을 자동으로 마감하기 위한 자동 마감장치 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팅부 100, 변부커팅부 200, 이격부 300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1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 마감장치 10는 테이블 20의 상부에 커팅부 100, 변부커팅부 200, 이격부 300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마감 전 직물 1a이 일측에서 공급되고 마감된 직물 1b이 타측에 보관된다.
결국,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10는 표면층 2과 이면층 3 및 상기 표면층 2과 이면층 3을 연결하는 중간층 4으로 제직된 직물의 마감을 단계별로 자동화하도록, 순차적으로 배치한 커팅부 100, 변부커팅부 200와, 이격수단 320을 마련하여, 직물을 자동으로 마감처리하여 제품의 품질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한편, 연결사 커팅부 100는 파지수단 120과 이송수단 1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연결사 커팅부 100는 흡입수단 110을 통해 들어올린 커팅사 7의 끝단을 파지수단 120이 파지한 후 이송수단 130를 통해 이동시키면 커팅사 7가 연결사 5를 절단한다.
이러한, 흡입수단 11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이젝터 111를 통해 공기압으로 커팅사 7 끝단을 들어올린다. 특히, 복수개의 진공이젝터 111가 배치되어 복수개의 커팅사 7 끝단을 동시에 흡입할 수 있다.
특히, 흡입수단 110은 커팅사 7의 배치상태와 대응된 간격을 갖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이러한, 진공이젝터 111의 주변에 파지수단 120을 설치하여 커팅사 7의 끝단을 파지한다. 여기서, 진공이젝터 111의 일측에 클립형태의 파지수단 120a이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파지수단 120은 한 쌍의 파지부재 121가 이격되어 있다. 이처럼, 이격되어 있던 파지부재 121가 상호 접촉되도록 한 작동수단 12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파지수단 120은 다양한 형태의 작용이 가능하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기어가 치합되어 회전하는 작동수단 123에 일체로 파지수단 120을 결합하여 회동된다. 이러한, 파지수단 120b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파지부재 121가 마주보게 설치된다.
덧붙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파지부재 121가 마주보게 설치되고 파지부재 121의 타측에는 탄성부재 125가 각각 설치되며 파지부재 121의 하부에는 인열강도가 강한 플라스틱 바가 연결된 파지수단 120c의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플라스틱 바에 모터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작동수단 123이 설치되어 모터가 회전하면 플라스틱 바가 말리면서 탄성부재 125의 탄성력을 통해 파지부재 121가 맞닿아 커팅사 7의 끝단을 파지하게 된다.
나아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형상의 파지부재 121가 이격되게 설치된 파지수단 120d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러한, 파지수단 120d의 상부에는 흡입수단 110이 배치되어 도 8(a)와 같이 커팅사 7의 끝단을 흡입한 후 도 8(b)와 같이 한 쌍의 파지부재 121가 모이면서 커팅사 7의 끝단을 파지하고 도 8(c)와 같이 파지수단 120d을 이동시켜 커팅사 7가 연결사 5를 절단한다.
아울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 방식으로 커팅사 7 끝단을 흡입하는 흡입수단 110과 흡입수단 110의 하부에 복수개의 파지수단 120e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파지수단 120e은 등간격으로 배치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결국, 도 9 (a)와 같이 흡입수단 110을 통해 커팅사 7를 흡입한 후 복수개의 (b)와 같이 파지수단 120e이 모이면서 커팅사 7를 파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지수단 120을 이송수단 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하여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수단 130의 타측에는 LM가이드(미도시)를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파지수단 120을 이송한다.
결국,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10는 표면층 2과 이면층 3을 연결하는 연결사 5에 교차된 커팅사 7의 끝단을 들어올린 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커팅사 7 끝단을 흡입수단 110을 통해 세우고 파지수단 120을 통해 파지한 후 이송수단 130를 통해 이동시켜 커팅사 7가 연결사 5를 절단하는 연결사 커팅부 100를 마련하여, 작업속도가 향상된다.
한편, 연결사 커팅부 100와 연속되게 변부커팅부 200를 테이블 20에 설치한다. 이러한, 변부커팅부 200는 변부 9의 수직 방향으로 칼날 210이 배치되어 변부 9를 절단한다.
이러한, 변부커팅부 200는 회전칼날 방식이 적합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연결사 커팅부 100와 연속되게 설치된 변부커팅부 200를 통해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작업이 가능하다.
한편, 이격부 300는 변부커티부 200와 연속되게 테이블 20에 설치한다.
이때, 이격부 30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수단 310과 이격수단 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이격부 300는 변부 9가 커팅된 표면층 2 또는 이면층 3의 표면과 접착한 후 들어올리는 접착수단 310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층 2 및 이면층 3과 중간층 4이 접착된 부분을 이격수단 320으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접착수단 310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부 9가 커팅된 표면층 2 또는 이면층 3의 표면과 접착한 후 들어올린다. 이때, 복수개의 접착층 313이 배치된 제1블록 311을 실린더 315를 통해 승하강 시킨다.
나아가, 이격수단 320은 표면층 2과 이면층 3 및 중간층 4의 접착부분을 기계식 또는 공압식으로 분리한다. 이때,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를 갖는 바형상의 기초바 321 끝에 판형상의 삽입헤드 323가 장착된 하나 이상의 이격수단 320을 마련한다. 이러한, 삽입헤드 323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사각형 판형상이 바람직하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격수단 320을 이송수단 1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하여 상기 접착수단 310을 통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한다.
이때, 이격수단 320의 길이가 길어지면 이격수단 320의 하중으로 인해 쳐짐과 같이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이격수단 320의 하부에 안내부재 350를 배치한다. 이러한, 안내부재 350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수단 320의 하부에 복수개의 롤러를 배치하거나 마찰계수가 낮은 재질의 블럭을 배치하여 이격수단 320의 변형을 방지한다.
결국,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10는 표면층 2과 이면층3 및 중간층 4의 접착부분을 기계식으로 분리시 기계장치의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격수단 320의 하부에 안내부재 350를 배치하여, 작동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아 정확성이 향상된다.
더불어, 도 12와 같이, 접착수단 310의 근접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가압부재 329가 배치된 제2블럭 327을 승하강 시켜 표면층 2 또는 이면층 3의 표면에 접착된 접착수단 310을 이탈시킨다.
즉, 도 13(a)와 같이 접착수단 310이 하강하여 표면층 2의 표면에 접착층 313을 접착한다. 그리고 도 13(b)와 같이 접착수단 310을 상승시켜 표면층 2을 이격시킨 후 이격수단 320을 삽입하여 표면층 2과 이면층 3 및 중간층 4의 접착부분을 분리한다.
나아가, 도 13(c)와 같이 접착수단 310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제2블록 330의 가압부재 329가 표면층 2의 표면에 닿도록 제2블록 330을 하강시킨다. 더불어, 가압부재 329가 표면층 2을 가압한 상태에서 제1블럭 311을 상승시키면 접착층 313이 직물에서 분리된다.
아울러, 이격수단 320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수단 310과 근접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배출관 325을 배치하여 3차원 입체형상 직물 1에 공기를 배출시킨다.
즉, 복수개의 접착층 313이 배치된 제1블록 311을 실린더 315를 통해 하강시켜 접착층 313을 직물 1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제1블록 311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배출관 325을 통해 공기를 배출시켜 표면층 2과 이면층 3 및 중간층 4을 이격시킨다.
특히, 제1블록 311이 삽입되는 제3블록 340을 마련하여 접착층 313을 교체시 제1블록 311을 일체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송수단 130은 상부에 좌우로 이동하는 베이스 131가 안착되고 베이스 131의 상부에 연결사커팅부 100 또는 이격부 300를 안착시켜 이송시킨다.
나아가, 이송수단 130은 공압방식과 기계방식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압실린더 133의 상부에 베이스 131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압실린더 133는 대표적으로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를 이용함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때, 로드리스 실린더(Rodless cylinder)는 피스톤 로드가 없는 공압 실린더라 해서 로드리스 실런더라고 불리며 피스톤 로드에 의한 출력 방식이 아니라 피스톤의 움직임을 요크나 마그넷, 체인 등을 통하여 행정길이 범위 내에서 테이블을 직선 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송수단 13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수단 13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밸트 137의 상부에 베이스 131를 고정하여 베이스 131가 좌우로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10는 변부 9가 제거된 직물 1의 표면층 2과 이면층 3 및 중간층 4의 접착부분을 기계식 또는 공압식으로 분리하도록, 변부 9가 커팅된 표면층 2 또는 이면층 3의 표면과 접착한 후 들어올리는 접착수단 310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층 2 및 이면층 3과 중간층 4이 접착된 부분을 이격수단 320으로 분리시키는 이격부 300를 마련하여, 안정성이 향상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3차원 입체형상 직물
2 : 표면층 3 : 이면층
4 : 중간층 5 : 연결사
7 : 커팅사 9 : 변부
10 : 자동 마감장치 100 : 연결사커팅부
110 : 흡입수단 111 : 진공이젝터
120 : 파지수단 121 : 파지부재
123 : 작동수단 130 : 이송수단
200 : 변부커팅부 210 : 칼날
300 : 이격부 310 : 접착수단
311 : 제1블록 313 : 접착층
315 : 실린더 320 : 이격수단
321 : 기초바 323 : 삽입헤드
325 : 배출관 327 : 제2블럭
329 : 가압부재

Claims (9)

  1. 표면층과 이면층 및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중간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면층과 이면층을 연결하는 연결사가 별도의 커팅사와 교차되며 양측면에 변부가 형성된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팅사 끝단을 흡입수단을 통해 세우고 파지수단을 통해 파지한 후 이송수단를 통해 이동시켜 커팅사가 연결사를 절단하는 연결사커팅부와,
    상기 변부의 수직 방향으로 칼날이 배치되어 변부를 커팅하는 변부커팅부와,
    상기 변부가 커팅된 표면층 또는 이면층의 표면과 접착한 후 들어올리는 접착수단을 통해 공간을 형성하고 표면층 및 이면층과 중간층이 접착된 부분을 이격수단으로 분리시키는 이격부로 이루어진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복수개의 진공이젝터를 마련하여 복수개의 커팅사 끝단을 동시에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수단은,
    한 쌍의 파지부재가 이격되어 있고 이격되어 있던 파지부재가 상호 접촉되도록 한 작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은,
    복수개의 접착층이 배치된 제1블록을 실린더를 통해 승하강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길이를 갖는 바형상의 기초바 끝에 판형상의 삽입헤드가 장착된 하나 이상의 이격수단을 이송수단의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접착수단을 통해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이격수단의 하부에 안내부재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접착수단과 근접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배출관을 배치하여 3차원 입체형상 직물에 공기를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수단의 근접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가압부재가 배치된 제2블럭을 승하강 시켜 표면층 또는 이면층의 표면에 접착된 접착수단을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사는,
    경사로 형성되는 연결경사 또는 위사로 형성되는 연결위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KR1020150064754A 2015-05-08 2015-05-08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KR101542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54A KR101542556B1 (ko) 2015-05-08 2015-05-08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54A KR101542556B1 (ko) 2015-05-08 2015-05-08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556B1 true KR101542556B1 (ko) 2015-08-06

Family

ID=5388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54A KR101542556B1 (ko) 2015-05-08 2015-05-08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5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00B1 (ko) 2013-08-19 2015-01-26 오성희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 장치,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000B1 (ko) 2013-08-19 2015-01-26 오성희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 장치, 3차원 입체 형상 직물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61345A (en) Nonwoven structure for reinforcing resinous material
CA115319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dge uniformity in nonwoven fabrics
KR20140034240A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 성형품을 제조하는 중에 평면형 직물로부터 절단된 섬유 콘투어를 이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72246A (ko) 회전체형 니들펀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회전체형 섬유제품 제조 방법과 그 섬유조성물
KR102036911B1 (ko) 물품을 위한 픽업 및 배치 도구
PT1002892E (pt) Produto textil para revestimento superficial
KR101542556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자동 마감장치
JP5363053B2 (ja) 生地の切断装置及び生地切断積層装置
US9950865B2 (en) Conveyor belt
CN104205318B (zh) 真空操纵装置和使用方法
CN107245812B (zh) 一种无纺布制造机
US20220378129A1 (en) Nonwoven textile garment array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20380953A1 (en) Nonwoven entanglement system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2788069A (en) Method and means of subdividing sheet material into pieces
US3894320A (en) Method of producing textile product
JPS6030769B2 (ja) 経編機
US3690990A (en)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non-woven fabric
TWI825750B (zh) 非織造織物衣物批組及其製造方法
KR101868689B1 (ko) 무기포 부직포 제조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무기포 부직포 제조방법
CN114606752B (zh) 一种智能型服装生产加工用粘毛装置
EP4022117B1 (en) Un metodo per la creazione di un tessuto non tessuto
TWI841968B (zh) 製造複合非織造織物的方法及纏結系統
KR101483231B1 (ko) 패딩용 극세사 웨브 제조장치
KR20230170799A (ko) 부직 직물 의복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
KR101875531B1 (ko) 펠트 또는 부직포의 결속력을 증가시키는 패턴 펀칭 방식의 완충 부직포 제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