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453B1 -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453B1
KR101542453B1 KR1020130106452A KR20130106452A KR101542453B1 KR 101542453 B1 KR101542453 B1 KR 101542453B1 KR 1020130106452 A KR1020130106452 A KR 1020130106452A KR 20130106452 A KR20130106452 A KR 20130106452A KR 101542453 B1 KR101542453 B1 KR 101542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separation
separation membrane
carbon dioxide
ga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967A (ko
Inventor
전용우
권오훈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기술시험원 filed Critical 한국산업기술시험원
Priority to KR102013010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45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5Multiple stage diffusion
    • B01D53/226Multiple stage diffusion in serial connex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62Carbo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58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2053/221Devices
    • B01D2053/223Devices with hollow tubes
    • B01D2053/224Devices with hollow tubes with hollow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5Bio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2Cooling or 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7/00Membrane module arrangements within a plant or an apparatus
    • B01D2317/02Elements in s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체분리막유니트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해낸다. 이를 통해 바이오가스로부터 메탄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분리,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carbon dioxide of bio-gas}
본 발명은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오가스로부터 메탄 함유량이 적은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회수할 수 있도록 된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에서도 바이오가스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바이오가스는 가축분뇨, 음식물쓰레기, 하폐수 슬러지와 같은 바이오매스 함량이 높은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조에 투입하여 메탄화미생물에 의해 혐기소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바이오가스에서 황화수소와 실록산 및 습기를 제거하여 바이오가스를 정제한 후, 고질화 공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순도 높은 메탄가스를 생산하고, 이를 청정 연료로 이용하고 있다.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원료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메탄을 농축하는 공정으로는 주로 흡수법과 흡착법이 이용된다.
흡수법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13588호에 흡수제(예 ; 모노에탄올아민 수용액)가 담긴 흡수기에 연소배가스를 공급하여 이산화탄소 흡수반응을 통해 흡수제에 이산화탄소를 흡수시켜 메탄을 농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습식아민법)
또한, 흡착법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83220호에 흡착제가 충진된 흡착탑에 바이오가스를 도입시키고 압력 스윙 흡착법(Pressure swing absorption)에 의해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메탄을 농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공정을 수행하는 설비의 설치 면적이 크고, 설비 운영 유지비가 많이 들며, 기체 분리시 상변화가 수반되어 에너지 소비측면에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주로 고부가가치를 가진 고순도 메탄을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산화탄소는 불순물로 인식하고 있는 바, 이러한 메탄 중심의 바이오가스 분리 고질화 설비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에는 다량의 메탄이 함유되어 있어 활용처가 없으므로 대기 중으로 방출하여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분리된 이산화탄소에 다량의 메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메탄 생산 관점에서 볼 때 메탄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바이오가스에서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회수해 내기 위한 기술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설비에 비해 소규모의 설비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로부터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분리 회수할 수 있도록 된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제 바이오가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컴프레서에서 압축된 바이오가스를 저장하는 버퍼탱크와, 상기 버퍼탱크에서 공급된 바이오가스를 중공사막결합체를 통과시켜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분리하는 기체분리막유니트를 포함한다.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는 외부에 대해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에 이산화탄소배출포트가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에 내장되는 상기 중공사막결합체와, 케이싱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고 가스공급포트가 형성된 전방커버와, 케이싱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고 메탄배출포트가 형성된 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의 후방에 동일한 구성의 또 다른 기체분리막유니트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가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가스공급포트에 앞에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이산화탄소배출관이 연결되고, 추가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메탄배출포트에 연결된 메탄배출관이 앞에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메탄배출관에 연결되며, 추가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이산화탄소배출포트에 이산화탄소배출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가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전방과 후방에 컴프레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들에 가온설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들에 냉각설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들 중 후방에 위치한 기체분리막유니트는 전방에 위치한 기체분리막유니트에 비해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이 30% ~ 70% 축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사막결합체의 선택적 가스 투과 원리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이오가스로부터 실제 활용이 가능한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분리해낼 수 있게 되며, 이때 메탄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메탄의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분리 생산된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는 채소 재배 하우스에서 작물의 생장 증진용으로 공급하거나, 냉동제로 사용되는 드라이아이스의 제조, 화재 진압용 소화제(消火劑)의 제조 등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기체분리막유니트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및 메탄 분리 설비는 종래의 흡수법 및 흡착법을 이용하는 분리 설비에 비해 설비의 구성이 단순하고 크기가 작으므로 설치 면적이 작게 소요되고, 설치 및 운영 유지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되며,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분리시 상변화가 수반되지 않으므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기체분리막유니트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도 4는 제2기체분리막유니트의 전방에 컴프레서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기체분리막유니트의 후방에 컴프레서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서, 도 6은 제3기체분리막유니트의 전방에 컴프레서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3기체분리막유니트의 후방에 컴프레서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오가스공급관(11)에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가 연결되고,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후단에 제1메탄배출관(12)이 연결되고,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측면에 제1이산화탄소 배출관(13)이 연결된다.
바이오가스공급관(11)에는 황화수소와 실록산 가스 및 그 외 불순물을 제거한 정제 바이오가스가 공급된다.
상기 바이오가스공급관(11)에는 바이오가스를 압축 공급하기 위한 컴프레서(31)가 설치되고, 컴프레서(31)와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사이에 바이오가스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탱크(4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바이오가스를 버퍼탱크(41)에 압축 저장해둠으로써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로 바이오가스를 유량의 급격한 변동 없이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측면에 연결된 제1이산화탄소배출관(13)에는 또 다른 컴프레서(32)가 설치된다.
바이오가스공급관(11)의 버퍼탱크(41) 후단과,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후단에 연결된 제1메탄배출관(12)에는 관로의 개폐 및 유량 제어를 위한 밸브(51,52)가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에 대해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에 이산화탄소배출포트(21aa)가 형성된 케이싱(21a)과,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싱(21a)에 내장되는 중공사막결합체(21b)와, 케이싱(21a)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고 가스공급포트(21ca)가 형성된 전방커버(21c)와, 케이싱(21a)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고 메탄배출포트(21da)가 형성된 후방커버(21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공급포트(21ca)에 바이오가스공급관(11)이 연결되고, 메탄배출포트(21da)에 제1메탄배출관(12)이 연결되며, 이산화탄소배출포트(21aa)에 제1이산화탄소배출관(13)이 연결된다.
상기 중공사막결합체(21b)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수백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수많은 중공사막(hollow fiber membrane)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것으로, 원통 형상 케이싱(21a)에 내장되기 용이하도록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양측 커버(전방커버(21c)와 후방커버(21d))와 중공사막결합체(21b)의 양측 단부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중공사막결합체(21b)의 단부가 커버에 밀착되지 않는다.) 바이오가스가 중공사막결합체(21b) 외곽 부분의 중공사막에도 원활히 유입될 수 있고, 외곽 부분의 중공사막을 통과한 메탄이 메탄배출포트(21da)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공사막결합체(21b)를 이루는 중공사막은 선택적 가스투과 성질을 가지는 것으로, 바이오가스가 개별 중공사막을 통과할 때 이산화탄소는 중공사막의 반경방향으로 빠르게 투과되고 메탄은 매우 느리게 투과된다. 결과적으로 이산화탄소는 중공사막의 반경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출되고 메탄은 중공사막의 내부 중공을 통해 중공사막의 길이 방향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가스의 이동은 중공사막결합체(21b) 전체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스공급포트(21ca)를 통해 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내부로 바이오가스가 유입되면, 이산화탄소는 중공사막결합체(21b)를 반경방향으로 투과하여 이산화탄소배출포트(21aa)를 통해 배출되고, 메탄은 중공사막결합체(21b)를 길이 방향으로 통과하여 메탄배출포트(21da)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에서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에서 메탄과 분리되어 배출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순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후방에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를 추가 설치할 수 있다.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의 구성은 상기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구성과 동일하다. 단,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중공사 외경 × 중공사 길이 × 중공사 가닥수)은 상기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중공사막결합체 막면적의 30% ~ 70%로 축소된다.(추후 설명할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의 구성도 제1 및 제2 기체분리막유니트(21,22)와 동일하고,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도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 중공사막결합체 막면적의 30% ~ 70% 로 축소된다.)
이는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에서 분리되는 이산화탄소 양이 바이오가스 공급량의 30% ~ 70%이기 때문에 그 양에 비례하여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을 축소하는 것이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즉,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 축소량이 30%보다 작으면 막면적이 불필요하게 커서 중공사막결합체 제작시 중공사막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소요 비용이 증가하고,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 축소량이 70%보다 크면 공급된 이산화탄소를 모두 투과시킬 수 있는 막면적이 확보되지 않으므로 이산화탄소 분리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앞쪽에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에 비해 뒤쪽에 설치되는 기체분리막유니트는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이 상기한 바와 같이 30% ~ 70% 범위에서 축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산화탄소배출관(13)은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의 가스공급포트에 연결되고,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의 메탄배출포트에는 제2메탄배출관(14)이 연결되며, 제2메탄배출관(14)은 상기 제1메탄배출관(12)으로 연결된다.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의 측면에 구비된 이산화탄소배출포트에는 제2이산화탄소 배출관(15)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에서 1차 분리 배출된 이산화탄소가스가 제1이산화탄소배출관(13)을 통해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로 공급되고,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에서 동일한 분리 과정을 거쳐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분리된다.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에서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제2이산화탄소배출관(15)으로 배출되고, 메탄은 제2메탄배출관(14)으로 배출되어 제1메탄배출관(12) 내를 흐르는 선 분리된 메탄가스와 혼합되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기체분리막유니트(21,22)가 설치된 경우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메탄의 회수율을 아래 표1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3081216343-pat00001
표 1에서와 같이, 토탈 스테이지 컷(Total Stage cut ; 바이오가스 공급량에 대한 이산화탄소 투과량의 비를 나타내는 인자)이 0.14인 조건에서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Stage2)를 통해 분리 배출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농도는 96.0%로서 95% 이상의 농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메탄의 회수율(recovery efficiency)은 99.05%로서 99%를 상회하는 매우 높은 회수율을 달성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오가스로부터 95% 이상의 순도를 가지는 이산화탄소를 분리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작물 재배 온실에 공급하여 작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용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때 메탄의 손실은 최소화되며,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99% 이상의 높은 메탄 회수율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프레서(32)를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할 수 있다.
기체분리막유니트는 중공사막을 경계로 형성되는 분압차에 의해 기체의 이동과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도 4와 같이 컴프레서(32)를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앞쪽에 두는 경우 공급가스를 밀어줄 수 있고, 도 5와 같이 뒤쪽에 두는 경우 분리된 가스를 뽑아낼 수 있어서, 두 경우 모두 중공사막결합체를 이용한 기체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컴프레서(32)를 기체분리막유니트의 뒤쪽에 두는 경우, 분리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역류가 미연에 방지되고, 기체분리막유니트로부터 이산화탄소의 배출이 보다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제2실시예의 경우에도, 제2메탄배출관(14)에 밸브(53)가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가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의 후방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이산화탄소배출관(15)이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의 가스공급포트에 연결되고,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의 메탄배출포트에 제3메탄배출관(16)이 연결되며, 제3메탄배출관(16)이 상기 제1메탄배출관(12)에 연결되고,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의 이산화탄소배출포트에 제3이산화탄소배출관(17)이 연결된다. 상기 제3메탄배출관(16)에 밸브(5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3개의 기체분리막유니트(21,22,23)가 설치된 경우의 이산화탄소 농도와 메탄의 회수율을 아래 표2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3081216343-pat00002
표 2에서와 같이, 토탈 스테이지 컷(Total Stage cut)이 0.26인 조건에서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Stage3)를 통해 분리 배출된 이산화탄소 가스의 농도는 98.7%로서 98% 이상의 높은 순도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메탄의 회수율(recovery efficiency)은 99.45%로서 99%를 상회하는 매우 높은 회수율을 달성하였다.
상기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의 경우에도,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에 비해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을 30% ~ 70%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의 막면적을 제1기체분리막유니트(21)의 막면적에 대해 축소시키는 이유와 동일하다.
한편,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수를 더 늘릴 경우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분리해낼 수 있다. 그러나, 바이오가스 내에 원래 함유되어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30% ~ 40% 정도임을 고려할 때 3개를 초과하여 4개 이상의 기체분리막유니트를 두는 것은 실용성이 없으며,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음을 밝혀둔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 기체분리막유니트에 가온설비 및 냉각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체분리막유니트의 기체 분리 성능은 온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기체 분리 성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려면 분리하고자 하는 기체 즉, 바이오가스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바이오가스에는 다량의 메탄이 포함되어 있어 가스 자체를 가열하는 것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전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체분리막유니트에 가온설비 및 냉각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체분리막유니트에 가온설비 및 냉각설비를 설치함으로써 기체분리막유니트의 기체 분리 성능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고순도 이산화탄소의 생산량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컴프레서(33)를 제3기체분리막유니트(23)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할 수 있다. 그 각 경우의 효과는 제2기체분리막유니트(22)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기체분리막유니트를 이용하여 설비를 구성하므로 기존에 흡착탑 등을 이용하는 설비에 비해 설비의 크기와 설치 면적이 크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체분리막유니트가 관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설비의 배치가 용이하고 레이아웃을 간결히 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오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 및 메탄을 분리해냄에 있어서, 대상물질이 설비 전체에서 가스 상태로만 존재하고 상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상변화에 따른 에너지 소비가 발생하지 않아 설비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복수의 기체분리막유니트를 이용하여 바이오가스에서 고순도의 이산화탄소를 분리해내므로 이산화탄소 가스에 포함되던 메탄의 양이 최소화되어 결과적으로 메탄 손실율이 감소되고, 이에 메탄 회수율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 : 바이오가스공급관 12 : 제1메탄배출관
13 : 제1이산화탄소배출관 14 : 제2메탄배출관
15 : 제2이산화탄소배출관 16 : 제3메탄배출관
17 : 제3이산화탄소배출관 21 : 제1기체분리막유니트
22 : 제2기체분리막유니트 23 : 제3기체분리막유니트
31, 32,33 : 컴프레서 41 : 버퍼탱크

Claims (8)

  1. 정제 바이오가스를 압축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컴프레서에서 압축된 바이오가스를 저장하는 버퍼탱크와;
    상기 버퍼탱크에서 공급된 바이오가스를 중공사막결합체를 통과시켜 바이오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기체분리막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의 후방에 동일한 구성의 또 다른 기체분리막유니트가 더 설치되어 이산화탄소를 추가 분리하며,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들 중 후방에 위치한 기체분리막유니트는 전방에 위치한 기체분리막유니트에 비해 중공사막결합체의 막면적이 30% ~ 70% 축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는 외부에 대해 밀폐 공간을 형성하며 측면에 이산화탄소배출포트가 형성된 케이싱과, 케이싱에 내장되는 상기 중공사막결합체와, 케이싱의 전방 단부에 설치되고 가스공급포트가 형성된 전방커버와, 케이싱의 후방 단부에 설치되고 메탄배출포트가 형성된 후방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가스공급포트에 앞에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이산화탄소배출관이 연결되고, 추가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메탄배출포트에 연결된 메탄배출관이 앞에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메탄배출관에 연결되며, 추가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이산화탄소배출포트에 이산화탄소배출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가 설치된 기체분리막유니트의 전방과 후방에 컴프레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들에 가온설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체분리막유니트들에 냉각설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8. 삭제
KR1020130106452A 2013-09-05 2013-09-05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KR101542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452A KR101542453B1 (ko) 2013-09-05 2013-09-05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6452A KR101542453B1 (ko) 2013-09-05 2013-09-05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67A KR20150027967A (ko) 2015-03-13
KR101542453B1 true KR101542453B1 (ko) 2015-08-06

Family

ID=5302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6452A KR101542453B1 (ko) 2013-09-05 2013-09-05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8097B2 (en) 2019-09-03 2021-10-19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Low-temperature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at high concent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818B1 (ko) 2015-05-27 2016-03-03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sa 및 멤브레인을 이용한 바이오 메탄 및 액체 이산화탄소 생산용 병렬식 가스 정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572A (ja) * 2006-03-23 2007-10-04 Ngk Insulators Ltd メタン濃縮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JP2013010098A (ja) * 2011-05-31 2013-01-17 Ube Industries Ltd 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572A (ja) * 2006-03-23 2007-10-04 Ngk Insulators Ltd メタン濃縮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JP2013010098A (ja) * 2011-05-31 2013-01-17 Ube Industries Ltd ガス分離膜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8097B2 (en) 2019-09-03 2021-10-19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Low-temperature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at high concent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967A (ko) 2015-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83292A1 (en) Multistage Membran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High Purity Methane Gas
Harasimowicz et al. Application of polyimide membranes for biogas purification and enrichment
Al Mamun et al. Methane enrichment of biogas by carbon dioxide fixation with calcium hydroxide and activated carbon
WO2014206248A1 (zh) 集装箱式沼气净化膜法提纯系统
US20140053724A1 (en) Method for separating off carbon dioxide in biogas plants
US8158378B2 (en) Utilizing waste tail gas from a separation unit biogas upgrade systems as beneficial fuel
CN101028579A (zh) 膜分离技术净化沼气的方法
US201902414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Upgrading of Biogas and Hydrogen Production From Anaerobic Fermentation of Biological Material
CN104745260B (zh) 一种沼气制取高品质天然气并储存的方法及其设备
CA2872873C (en) Plant and process for treating methane-containing gas from natural sources
US20210060486A1 (en) Facility For Producing Gaseous Biomethane By Purifying Biogas From Landfill Combining Membranes, Cryodistillation And Deoxo
KR101529130B1 (ko) 저온 저압의 운전조건을 특징으로 하는 고순도 메탄가스의 분리를 위한 다단계 막분리 정제공정 및 장치
CN108641944A (zh) 一种co2生物转化为甲烷的装置及方法
JP2016108418A (ja) 天然ガス精製装置及びシステム
EP1647531A1 (en) Method for concentrating methane from sewage sludge and methane storage equipment
KR101542453B1 (ko) 바이오가스의 이산화탄소 회수장치
KR101863058B1 (ko) 가변 운전이 가능한 고순도 바이오메탄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1840337B1 (ko) 고순도 바이오메탄 및 고순도 이산화탄소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1840340B1 (ko) 가변운전이 가능한 다단계 막분리 고순도 바이오메탄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1840343B1 (ko) 고순도 바이오메탄 정제 방법 및 장치
CN102826509A (zh) 将普通氢气提纯至高纯度氢气的设备
CN106497760B (zh) 生物沼气膜分离提纯装置
KR101717480B1 (ko)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US20130060074A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 Purity Biomethane Without Adding Unacceptable Quantities of Moisture
KR101965104B1 (ko) 이산화탄소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