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329B1 -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329B1
KR101542329B1 KR1020140142481A KR20140142481A KR101542329B1 KR 101542329 B1 KR101542329 B1 KR 101542329B1 KR 1020140142481 A KR1020140142481 A KR 1020140142481A KR 20140142481 A KR20140142481 A KR 20140142481A KR 101542329 B1 KR101542329 B1 KR 10154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data
unit
program
backup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용
Original Assignee
박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용 filed Critical 박기용
Priority to KR1020140142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8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burst mode transfer, e.g. direct memory access DMA, cycle ste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백업을 실행하고, 누적된 백업 데이터를 삭제하여 여분의 디스크공간을 확보하도록 설계한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백업 프로그램을 설치 구비하며, 백업 프로그램 실행 시에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백업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기 위한 외장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Automatic Data Backup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백업을 실행하고, 백업을 통해 누적된 백업 데이터 중 하드디스크의 설정 용량을 초과한 양만큼을 생성된 일자와 비교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를 삭제하여 여분의 디스크공간을 확보하도록 설계한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의 장애 또는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이 있는 경우에, 손실된 데이터의 빠른 복구와 업무적인 손실을 줄이기 위한 백업 Solution으로는 일반적으로 데이터 백업 시스템이 이용되어 왔다.
데이터 백업 시스템이라 함은, 사용자의 단말기 상에서 생성 및 처리된 데이터 정보를 별도의 백업 공간에 사본화함을 지칭한다. 이러한 데이터 백업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원본 데이터를 입력 받아, 원본 데이터가 저장된 단말기의 저장 공간 내의 백업 영역에 이를 저장하거나, 단말기 외부에 별도의 백업 공간을 갖는 시스템을 설치하여 데이터 파일을 백업하여 기능을 수행하였다. 기존의 데이터 파일 백업 시스템은, 일정 주기 마다 백업을 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백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다수의 단말기에 접속된 데이터 파일 백업 시스템의 경우에는, 각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의하여 수시로 또는 일정 주기로 원본 데이터를 백업 저장 공간에 저장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9419호(2010.07.08. 공개)는 단말기의 데이터 파일 생성, 수정 및 삭제에 관한 이벤트를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 파일을 백업하여, 사무 환경에서 발생되는 데이터 파일을 신속하게 백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파일의 복구 또한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실시간 데이터 파일 백업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데이터 파일을 생성, 삭제 및 수정하는 파일 핸들링 모듈 및 파일 핸들링 모듈에 의한 데이터 파일 핸들링 동작에 따라 시스템 이벤트 신호를 생성하는 운영체제부를 갖는 단말기; 및 백업된 데이터 파일이 저장된 백업 저장부를 구비하고, 시스템 이벤트 신호 발생 시 해당 파일 핸들링 모듈에 의해 핸들링 중인 새로이 백업될 데이터 파일의 정보와 백업 저장부에 저장된 백업된 데이터 파일의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 파일이 없을 경우, 새로이 백업될 데이터 파일을 백업 저장부에 저장하는 백업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단말기의 운영체제에서 생성된 시스템 이벤트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파일을 백업함으로 실시간으로 데이터 파일을 백업하며, 새로이 백업될 데이터 파일을 미리 백업된 데이터 파일과의 동일 여부를 판단함으로 인해 데이터 파일의 중복되는 백업을 방지하여 백업 공간을 사용할 수 있어 백업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백업될 데이터 파일을 압축 저장하여 백업 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데이터 파일을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데이터 파일의 손상을 방지하고, 손상된 데이터 파일의 복원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9212호(2009.01.09. 등록)는 암호화파일로 백업된 경우에도 항상 원본파일을 기록하도록 하여 원본파일관리에 이점을 제공하며, 1차 백업서버에서 2차 백업서버로 백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파일시스템 전체를 검색하는 단계를 생략하여 백업속도를 높이는 이점을 제공하는 이중파일백업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이중파일백업 방법에 있어서, 원본파일을 암호화하여 백업하는 경우, 원본파일을 암호화파일로 만드는 단계; 암호화파일을 1차 백업서버에 기록하고, 이 암호화파일을 푸는 데 필요한 복호화정보와 1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암호화파일의 위치정보를 2차 백업서버에 기록하는 단계; 2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1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암호화파일을 2차 백업서버에 기록하는 단계; 2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암호화파일을 2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복호화정보를 이용하여 원본파일로 복원하는 단계; 2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암호화파일과 복호화정보, 위치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원본파일을 암호화 없이 원본 그대로 백업하는 경우, 원본파일을 1차 백업서버에 기록하고, 1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원본파일의 위치정보를 2차 백업서버에 기록하는 단계; 2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1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원본파일을 2차 백업서버에 기록하는 단계; 및 2차 백업서버에 기록된 위치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데이터 백업 시스템은, 데이터를 백업할 시 SQL(Structure Query Language) 서버와 같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종료하여야 했고, 백업을 완료한 후 이를 다시 실행시켜 주어야 ERP System이 작동하는 것과 같은 불편함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데이터 백업 시스템은, 단일의 백업 데이터만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바, 해당 백업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에 이로부터 본래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79419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79212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과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백업을 실행하여 저장하고, 누적된 백업데이터에서 하드디스크의 설정 용량을 초과한 양만큼을 생성된일 자와 비교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를 삭제하여 새로이 들어올 백업 데이터를 위한 여분의 디스크공간을 확보하도록 설계한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백업 프로그램을 설치 구비하며, 백업 프로그램 실행 시에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백업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기 위한 외장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는, 백업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 저장해 두고, 스케줄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에 따라 백업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구동시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스케줄을 판독하고 판독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시킨 백업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백업 데이터를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기 저장되어 있는 백업 데이터를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에 따라 삭제하기 위한 기준용량을 설정하고,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판독하여, 판독한 백업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기준용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기준용량을 초과할 시,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FIFO 방식에 따라 삭제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기 위한 영구 메모리 공간과 영구 저장 외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메모리 공간을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할당하고, 상기 형성된 백업 데이터의 영구 저장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영구 메모리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백업시간을 입력받고 백업시간 예약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시간 예약 요청에 따라 입력된 백업시간을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 줄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고 백업 사전작업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 사전작업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실행시켜 줄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고 백업 사후작업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 사후작업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데이터를 기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기 위한 지정 폴더명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고 지정 백업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지정 백업 설정 요청에 따라 입력된 지정 폴더명을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후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의 자동 종료 여부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고 자동 종료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자동 종료 설정에 따라 입력된 자동 종료 여부를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용자용 단말기가 백업 프로그램을 설치 구비하며, 백업 프로그램 실행 시에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외장 메모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백업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며, 하드디스크의 특성키값을 저장하여 프로그램의 정품여부를 판단하고, 실행여부를 결정하여 저작권을 보호하며, 매일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백업을 실행하고, 누적된 백업 데이터 중 용량 초과 부분을 파악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 중 용량 초과 부분만을 삭제하여 여분의 디스크공간을 확보하도록 설계한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데이터를 백업할 시 SQL(Structure Query Language) 서버와 같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종료할 필요가 없어지며, 백업을 완료한 후에도 ERP System이 자동적으로 재시동하는 효과가 있고, 다수의 백업 데이터를 누적 생성하고 이를 개별 저장하여, 해당 백업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에도 다른 백업 데이터로부터 본래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사용자용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삭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백업시간 예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백업 사전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백업 사후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자동 종료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지정 백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백업 프로그램의 정품 여부 확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백업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있는 백업 데이터의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며,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은, 사용자용 단말기(100) 및 외장 메모리 장치(200)를 포함한다.
사용자용 단말기(100)는, 제어부(130)(도 2를 참조)에 의해서, 백업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10)(도 2를 참조)에 설치 구비하며, 백업 프로그램 실행 시에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50)(도 2를 참조)를 통해서 외장 메모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용 단말기(100)는, 데이터 파일을 생성, 삭제 및 수정할 수 있는 전자장치(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PC), 서버컴퓨터, 노트북 등)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백업 대상 데이터는, 사용자용 단말기(100)에 의해 생성, 삭제 및 수정되는 데이터 파일(예를 들어, 문서 데이터 파일, 이미지 데이터 파일, 영상 데이터 파일, 음향 데이터 파일 및 시스템 데이터 파일 등)로서 사용자용 단말기(100) 내에서 처리될 수 있는 데이터 파일이 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 장치(200)는, 사용자용 단말기(100)에 형성된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사용자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백업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외장 메모리 장치(200)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즉, USB연결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의 공급을 받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상용 전원의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사용자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백업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장 메모리 장치(200)는, 백업 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 해당 백업 데이터의 복사본을 형성시켜 원본과는 별도로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원본 백업 데이터가 손상을 받는 등에 의해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은,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백업을 실행하고, 정해진 스케줄에 따라 매일 백업을 실행하고, 누적된 백업 데이터 중 설정용량 초과 여부를 감지하여 백업데이터의 생성일자를 비교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의 초과된 용량부분만큼을 삭제하여 여분의 디스크공간을 지속적으로 확보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시스템 가동 후 자동으로 매일 백업을 실시하며, 누적된 데이러로 인하여 디스크공간 부족시 설정된 용량 초과여부를 스스로 판단하여 디스크공간을 확보하고, 데이터를 백업할 시 SQL(Structure Query Language) 서버와 같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종료할 필요가 없어지며, 백업을 완료한 후에도 SQL(Structure Query Language)서버를 자동적으로 재시동하므로, 백업 시 관리자의 컨트롤이 전혀 필요하지 않으며, 백업 완료 후 자동으로 시스템을 종료할 수 있으며, 다수의 백업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개별 저장하여 해당 백업 데이터가 손상된 경우에도 누적된 백업 데이터로부터 선별적하여 본래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사용자용 단말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용 단말기(100)는, 메모리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및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110)는, 백업 프로그램이 제어부(130)에 의해 미리 설치되어 이를 저장하며, 백업스케줄, 다수 개의 백업데이터 폴더, 백업 사전작업 프로세서, 백업 사후작업프로세서, 백업 완료 후 종료여부 등의 설정사항들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둔다.
입력부(120)는,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 백업시간(도 4를 참조),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 줄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도 5를 참조),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실행시켜 줄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도 6을 참조),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기 지정된 개수의 폴더(도 7을 참조) 및 백업 후 사용자용 단말기(100) 자동 종료 여부(도 8을 참조)를 제어부(130)로 입력한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되는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에 따라 백업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10)로부터 판독하여 구동시켜, 메모리부(110)로부터 스케줄을 판독하고 판독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외장 메모리 장치(2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함에 있어, 백업 대상 데이터의 원본 그대로 백업 데이터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줄여서 외장 메모리 장치(200)로 전달함으로써, 외장 메모리 장치(200)의 저장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기 위한 영구 메모리 공간과 영구 저장 외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메모리 공간을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할당하고, 형성된 백업 데이터의 영구 저장 여부를 확인하며,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 영구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누적 저장된 백업 데이터 중 설정된 용량을 초과하여, 초과된 부분을 삭제할 시, 일반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만 삭제하고 영구 메모리 공간에 별도로 저장된 백업 데이터는 삭제하지 아니함으로써, 사용자가 계속해서 보유하여야만 하는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백업 데이터의 폴더명을 입력할 시, 명칭이 입력되지 않은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할 백업 데이터로 할당함으로써, 명칭이 설정하지 않은 백업 데이터를 영구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여, 해당 백업 데이터가 삭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백업된 데이터를 외장 메모리장치에 저장할 때에 기 설정된 백업폴더명(G:\SmartA_BACKUP)에 백업이 실시된 날짜와 시간을 (예(G:\SmartA_BACKUP201406151210) 추가하여 저장함으로써, 매일 누적된 백업데이터의 백업일자와 시간을 알 수 있게 하여 데이터 복구 시 원하는 날짜의 데이터를 백업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30)에서 구동시킨 백업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용 단말기(100) 상의 작업표시줄(예를 들어, Windows PC의 경우에는 화면 하단의 작업표시줄 등)에 백업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백업 프로그램의 설정값(예를 들어, 백업시간 또는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 줄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 등)을 입력하기 위한 설정창을 사용자용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장치(즉,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140)는,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이 시작된 후 또는 종료된 후 팝업창(즉, 특정 웹사이트가 어떠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갑자기 생성되는 새 창)에 의해 사용자에게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를 시각적인 수단에 의해 알려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사용자용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소리 재생수단(예를 들어, 외장 스피커 또는 내장 스피커 등)을 통해 청각적인 수단에 의해서도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제어부(130)로부터 전달되는 백업 데이터를 외장 메모리 장치(200)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서, 인터페이스부(150)는, 유선 연결(예를 들어, USB 케이블 등)에 의해 백업 데이터를 외장 메모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삭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백업 데이터를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에 따라 삭제하기 위한 기준용량을 설정하여 메모리부(110)에 저장하며,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판독하여, 메모리부(110)로부터 판독한 기준용량과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이 기준용량을 초과할 시,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생성된 백업데이터 중 설정용량을 초과한 부분만큼을 FIFO 방식에 따라 삭제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이 외장 메모리 장치(200)의 가용 저장 용량의 일정 비율(예를 들어, 외장 메모리 장치(200)의 가용 저장 용량의 80%)을 초과하게 되면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 중 생성된 날짜를 비교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 중 용량이 초과한 부분만큼을 삭제함으로써, 외장 메모리 장치(200)가 새로이 들어오는 백업 데이터를 위한 가용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를 삭제할 시, 기 기정된 용량(예를 들어, 외장 메모리 장치(200)의 가용 저장 용량의 10% 등)을 삭제하거나, 새롭게 들어오는 백업 데이터 용량만큼의 용량을 삭제하는 방법에 의해, 외장 메모리 장치(200)가 새로이 들어오는 백업 데이터를 위한 가용 저장 공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외장 메모리 장치(200)에 백업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서 저장해 놓은 영상 데이터 또는 이미지 데이터 등)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백업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와 백업 데이터를 합산된 용량을 기준으로 기준용량을 판독하도록 함으로써, 새롭게 들어오는 백업 데이터를 위한 가용 저장 공간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백업시간 예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백업시간을 입력받고 백업시간 예약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시간 예약 요청에 따라 입력된 백업시간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백업시간을 설정함에 있어, 매일 같은 시간에 백업 프로그램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어 업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백업 사전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야 할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백업 사전작업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 사전작업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야 할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입력받음에 있어,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사이에 ";"표시를 넣어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다수 개의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입력받아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이를 자동으로 종료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부(130)은, 데이터를 백업할 시 SQL(Structure Query Language) 서버와 같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자동으로 종료시켜 줌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프로그램들을 일일이 수동으로 종료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백업 사후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실행시켜 줄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백업 사후작업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 사후작업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실행시켜야 할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입력받음에 있어,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사이에 ";"표시를 넣어 구분하도록 함으로써, 다수 개의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입력받아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이를 자동으로 실행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부(130)은, 백업을 완료한 후 종료된 SQL(Structure Query Language) 서버와 같은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자동으로 재시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종료되었던 프로그램들을 일일이 수동으로 재시동할 필요가 없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자동 종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백업 후 사용자용 단말기(100) 자동 종료 여부를 입력받고 자동 종료를 요청받는 경우에, 자동 종료 요청에 따라 입력된 백업 후 사용자용 단말기(100) 자동 종료 여부를 메모리부(110)에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부(130)은, 백업 후 사용자용 단말기(100)의 자동 종료 여부를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자동 종료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자동 종료 설정에 따라 입력된 자동 종료 여부를 메모리부(110)에 설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부(130)은, 백업 후 사용자용 단말기(100)를 자동으로 종료시킴으로써, 백업 시간이 길어짐(예를 들어, 백업 시간이 5시간 이상의 경우 등)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백업 완료 시까지 기다린 후 사용자용 단말기(100)를 수동으로 종료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지정 백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백업 데이터를 기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기 위한 지정 폴더명을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지정 백업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지정 백업 설정 요청에 따라 입력된 지정 폴더명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지정 백업을 함에 있어, 각각의 지정된 폴더별로 별도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폴더별로 다른 시간에 백업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지정된 데이터 폴더의 백업작업을 수행한 후 백업데이터가 저장되는 폴더명의 설정된 값에 날짜와 시간을 추가하여 저장함으로써, 매일 누적백업 시 동일한 폴더명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백업된 데이터를 복구할 시에, 백업이 생성된 날짜와 시간을 구별하여, 선별적으로 복구 할 수 있게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부(130)은, 백업 데이터를 기 지정된 개수만큼 기 지정된 폴더에 각각 저장하기 위한 다수 개의 폴더명을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다중 백업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다중 백업 설정 요청에 따라 입력된 다수 개의 폴더명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있는 제어부의 백업 프로그램의 정품 여부 확인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 시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백업 프로그램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고, 백업 프로그램이 정품이 아닌 경우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 시 외장 메모리 장치(200)의 저장된 특정 키 값을 읽어와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백업 프로그램의 키 값과 비교하며, 비교된 두 값이 상이할 경우 오류 메시지를 나타내고,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함으로써, 백업 프로그램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여 프로그램 개발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제어부(130)은, 하드디스크의 특성키값을 저장하여 프로그램의 정품여부를 판단하고, 실행여부를 결정하여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백업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있는 백업 데이터의 전송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용 단말기(100)가 백업 프로그램을 설치 구비하며, 백업 프로그램 실행 시에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송한다(S910).
상술한 단계 S910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10)에 미리 설치 저장해 두고, 스케줄과 백업데이터의 폴더, 사전작업프로세서, 사후작업프로세서, 백업완료 후 시스템 종료여부를 미리 설정하여 스케줄을 메모리부(110)에 저장할 수 있다(S911).
상술한 단계 S911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로부터 백업시간을 입력받고 백업시간 예약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시간 예약 요청에 따라 입력된 백업시간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할 수 있다(S9111).
상술한 단계 S911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야 할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백업 사전작업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 사전작업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할 수 있다(S9112).
상술한 단계 S911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실행시켜야 할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백업 사후작업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 사후작업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할 수 있다(S9113).
상술한 단계 S911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백업 데이터를 기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기 위한 지정 폴더명을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지정 백업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지정 백업 설정 요청에 따라 입력된 지정 폴더명을 메모리부(110)에 설정할 수 있다(S9114).
상술한 단계 S911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백업 후 사용자용 단말기(100)의 자동 종료 여부를 입력부(120)로부터 입력받고 자동 종료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자동 종료 설정에 따라 입력된 자동 종료 여부를 메모리부(110)에 설정할 수 있다(S9115).
상술한 단계 S910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해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을 입력을 수 있다(S912).
상술한 단계 S910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에 따라 백업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10)로부터 판독하여 구동시켜 줄 수 있다(S913).
상술한 단계 S913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10)에 기 설정된 백업시간을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백업시간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백업 프로그램을 메모리부(110)로부터 판독하여 구동시켜 줄 수 있다(S9131).
상술한 단계 S913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10)에 기 설정된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를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 줄 수 있다(S9132).
상술한 단계 S913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10)에 기 설정된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를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실행시켜 수 있다(S9133).
상술한 단계 S913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10)에 기 설정된 지정 폴더명을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지정 폴더명에 따라 지정 백업을 할 수 있다(S9134).
상술한 단계 S913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10)에 기 설정된 자동 종료 여부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자동 종료 여부에 따라 자동 종료를 할 수 있다(S9135).
상술한 단계 S910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10)로부터 스케줄을 판독하고 판독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할 수 있다(S914).
상술한 단계 S910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S915).
상술한 단계 S910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백업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표시하며, 백업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장 메모리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S916).
외장 메모리 장치(200)가 사용자용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백업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한다(S920).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사용자용 단말기
110: 메모리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인터페이스부
200: 외장 메모리 장치

Claims (11)

  1. 백업 프로그램을 설치 구비하며, 백업 프로그램 실행 시에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용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백업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기 위한 외장 메모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는,
    백업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 저장해 두고, 스케줄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에 따라 백업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구동시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스케줄을 판독하고 판독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시킨 백업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백업 데이터를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기 저장되어 있는 백업 데이터를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에 따라 삭제하기 위한 기준용량을 설정하고,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판독하여, 판독한 백업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기준용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기준용량을 초과할 시,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누적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생성시간을 비교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 중 용량 초과부분만큼을 FIFO 방식에 따라 삭제시켜 주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기 위한 영구 메모리 공간과 영구 저장 외의 백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일반 메모리 공간을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할당하고, 상기 형성된 백업 데이터의 영구 저장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영구 저장해야 하는 경우에 상기 영구 메모리 공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백업시간을 입력받고 백업시간 예약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시간 예약 요청에 따라 입력된 백업시간을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프로그램을 구동시키기 전 종료시켜 줄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고 백업 사전작업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 사전작업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전작업 서비스명을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프로그램의 구동 종료 후 실행시켜 줄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고 백업 사후작업을 요청받는 경우에, 백업 사후작업 요청에 따라 입력된 사후작업 프로세스명 또는 사후작업 서비스명을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데이터를 기 지정된 폴더에 저장하기 위한 지정 폴더명을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고 지정 백업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지정 백업 설정 요청에 따라 입력된 지정 폴더명을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후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의 자동 종료 여부를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고 자동 종료 설정을 요청받는 경우에, 자동 종료 설정에 따라 입력된 자동 종료 여부를 상기 메모리부에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 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백업 프로그램의 정품 여부를 확인하고, 백업 프로그램이 정품이 아닌 경우 백업 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11. 사용자용 단말기가 백업 프로그램을 설치 구비하며, 백업 프로그램 실행 시에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외장 메모리 장치가 상기 사용자용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백업 데이터를 수신 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백업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메모리부가 백업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 저장해 두고, 스케줄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단계;
    입력부가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백업 프로그램 실행 명령에 따라 백업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구동시켜,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스케줄을 판독하고 판독한 스케줄에 따라 백업 대상 데이터를 지정하고, 지정된 백업 대상 데이터를 백업 데이터로 형성시켜 형성된 백업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어부에서 구동시킨 백업 프로그램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백업 데이터를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백업 데이터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기 저장되어 있는 백업 데이터를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에 따라 삭제하기 위한 기준용량을 설정하고,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을 판독하여, 판독한 백업 데이터의 용량과 상기 기준용량을 비교하여, 비교 결과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용량이 상기 기준용량을 초과할 시, 상기 외장 메모리 장치에 누적 저장된 백업 데이터의 생성시간을 비교하여 먼저 생성된 데이터 중 용량 초과부분만큼을 FIFO 방식에 따라 삭제시켜 주는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40142481A 2014-10-21 2014-10-21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54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81A KR101542329B1 (ko) 2014-10-21 2014-10-21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481A KR101542329B1 (ko) 2014-10-21 2014-10-21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329B1 true KR101542329B1 (ko) 2015-08-05

Family

ID=5388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481A KR101542329B1 (ko) 2014-10-21 2014-10-21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065A (ko) * 2021-03-10 2022-09-19 김근형 비대면 기반의 컴퓨터 자동 유지보수장치
WO2022260399A1 (ko) * 2021-06-11 2022-12-15 주식회사 엘룩스 작성된 리스트 기반 백업 데이터 자동 압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065A (ko) * 2021-03-10 2022-09-19 김근형 비대면 기반의 컴퓨터 자동 유지보수장치
KR102500039B1 (ko) * 2021-03-10 2023-02-15 김근형 비대면 기반의 컴퓨터 자동 유지보수장치
WO2022260399A1 (ko) * 2021-06-11 2022-12-15 주식회사 엘룩스 작성된 리스트 기반 백업 데이터 자동 압축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1689B (zh) 在不同连接状态期间保护数据
JP2009070143A (ja) Nas装置の差分リモートバックアップにおけるデータ復旧方法及び計算機システム
US20180260408A1 (en) Efficient data storage utilization and recycling by gradual data degradation
US89228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20110082140A (ko)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탈착가능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JP4521446B2 (ja) 画像処理装置
US936147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WO2013181957A1 (zh) 一种移动终端数据恢复的方法和系统
KR101542329B1 (ko) 데이터 자동 백업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858216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age forming provided with managing log of a time designated print job
US2004010735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data on computer hard disk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computer readable programs stored therein
US881084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ata stor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at stores data storing program
JP4962727B2 (ja) データ保存装置
JP2017060154A (ja) デジタル証拠作成装置、デジタル証拠作成プログラム及びデジタル証拠作成方法
US11874954B2 (en) Electronic data management device, electronic data management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579041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3258511A (ja) 画像形成装置、バックアップレストア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9490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95880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533861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6358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25689B2 (ja) 複数環境の運用方法および記録媒体
JP538696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53265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90032936A (ko) 휴대 메모리 장치 및 휴대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의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