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118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118B1
KR101542118B1 KR1020090001262A KR20090001262A KR101542118B1 KR 101542118 B1 KR101542118 B1 KR 101542118B1 KR 1020090001262 A KR1020090001262 A KR 1020090001262A KR 20090001262 A KR20090001262 A KR 20090001262A KR 101542118 B1 KR101542118 B1 KR 10154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door panel
cam
suc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1844A (ko
Inventor
김강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118B1/ko
Publication of KR2010008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1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고정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패널과; 상기 토출 패널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가리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이 하강되어 공기 흡입 유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도어 패널이 상승되어 상기 흡입 패널을 차폐하게 상기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도어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상기 도어 패널과 흡입 패널 중 하나에 회전되게 배치된 캠과;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캠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도어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토출 패널을 본체와 분해하지 않고 승강기구를 간편하게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01262
공기조화기, 토출 패널, 흡입 패널, 도어 패널, 승강기구, 캠, 캠 구동기구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흡입구를 여닫는 도어 패널을 갖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 상측에 설치되어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된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서로 연결시키는 냉매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가 천장에 설치된 본체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고 실내로 노출되며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프론트 패널과, 공기 흡입구를 보호하도록 프론트 패널에 배치된 흡입 그릴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흡입 그릴이 실내에 상시 노출되어 있어 천장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고, 이물질 등이 흡입 그릴에 끼어 청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패널을 간단한 구조와 저비용으로 효율 좋게 승강시킬 수 있고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정화유닛 등의 서비스가 편리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패널을 분리하는 것에 의해 승강기구를 간편하게 서비스 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기구의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고정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패널과; 상기 토출 패널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가리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이 하강되어 공기 흡입 유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도어 패널이 상승되어 상기 흡입 패널을 차폐하게 상기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도어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상기 도어 패널과 흡입 패널 중 하나에 회전되게 배치된 캠과;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캠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캠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복수개의 캠이 함께 회전되게 상기 복수개의 캠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한다.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연결축의 일부와 나란한 회전축을 갖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연결축을 연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캠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연결축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축을 상기 도어 패널 또는 흡입 패널에 지지시키는 축 서포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캠의 회전중심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이다.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캠이 상기 도어 패널을 하측으로 밀어내게 상기 흡입 패널에 설치된다.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캠이 상기 도어 패널을 미는 반작용으로 상기 도어 패널이 하강되게 상기 도어 패널에 설치된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도어 패널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 패널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 패널에는 상기 도어 패널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 패널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통되는 가이드부재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에 착탈된다.
상기 도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캠에 올려지는 캠 팔로우어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패널은 상기 캠 팔로우어가 관통되는 캠 팔로우어 관통부가 형성된다.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도어 패널의 열림시 상기 캠 팔로우어 및 도어 패널이 상승되게 상기 캠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회전시키고, 상기 도어 패널의 닫힘시 상기 캠 팔로우어 및 도어 패널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게 상기 캠을 좌우 방향으로 길게 회전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토출 패널을 분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승강기구를 서비스할 수 있고, 승강기구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이점이 있다.
또한, 캠이 복수개로 이루어져 도어 패널을 보다 안정감있게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축이 복수개의 캠을 연결하여 하나의 모터로 복수개의 캠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도어 패널을 흔들림없이 안정감있게 승강시킬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캠 구동기구가 연결축 옆에 설치되어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흡입 패널을 필요이상으로 길게 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축 서포터가 연결축을 안정감있게 지지하여 연결축 및 도어 패널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캠 구동기구가 캠과 직결된 모터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캠 구동기구가 도어 패널을 하측으로 밀어내고 탄성부재가 도어 패널을 상측으로 끌어당기므로, 도어 패널을 상승시키기 위한 모터 등의 별도 부품 등이 불필요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캠 구동기구가 도어 패널에 설치되어 흡입 패널을 분리하지 않고 도어 패널를 흡입 패너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승강기구를 서비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가 도어 패널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여 도어 패널이 임의 탈거되는 것을 막고 도어 패널이 일정 높이 미만으로 과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가이드부재가 도어 패널의 승강을 안내하므로 도어 패널이 보다 안정감있게 승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어 패널이 캠에 의해 상승되고 자중에 의해 하강되므로 흡입 패널과 기구적으로 연결할 필요없이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도어 패널을 승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1)과 그 하부에 배치된 천장 마감재(2) 사이에 배치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박스체이고 저면이 개방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토출시키는 송풍기(12) 와,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4)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1개의 공기 흡입구와 1개의 공기 토출구를 갖는 1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1개의 공기 흡입구와 4개의 공기 토출구를 갖는 4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1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송풍기(12)와 열교환기(14)는 본체 내부에 좌우 혹은 전후 배치되고, 4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로 이루어질 경우 열교환기(14)가 송풍기(12)의 둘레 주변에 송풍기(12)를 둘러싸듯이 배치된다. 이하, 4way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송풍기(12)는 하측의 공기를 흡인하여 둘레로 송풍하는 원심 송풍기로 이루어지고, 본체(10)의 상판부에 회전축이 하향 돌출되게 설치된 모터(15)와, 모터(15)의 회전축에 연결된 팬(16)과, 팬(16)으로 흡인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17)를 포함한다.
열교환기(14)는 송풍기(12)의 둘레를 둘러싸는 전,후,좌,우측부로 이루어진다.
본체(2)의 하부에는 천장 마감재(2)에 형성된 본체 설치홀을 덮고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는 송풍기(12)의 하측에 실내 공기가 본체(2)로 흡입되게 개구된 공기 흡입구(205)가 형성되고, 공기 흡입구(110)의 주변인 공기 흡입구(205)의 전,후,좌,우측에 공기 토출구(112)가 각각 이격 형성된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는 공기 흡입구(205)와 공기 토출구(112)가 함께 형성된 하나의 흡/토출 패널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공기 토출구(112)가 형성된 토출 패널(110)과 공기 흡입구(205)가 형성된 흡입 패널(200)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는 공기 흡입구(205)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유닛(210)이 배치된다. 정화유닛(210)은 공기 흡입구(205)의 상측에 위치되게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 올려져 설치된다.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는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이 별도로 구 성됨과 아울러 흡입 패널(200)이 토출 패널(110)에 착탈될 경우,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 전체를 본체(10)에서 분리하지 않고 흡입 패널(200)만을 토출 패널(110)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정화유닛(210)과 후술하는 승강기구(230)를 편리하게 서비스할 수 있고, 이하 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이 별도로 구성됨과 아울러 흡입 패널(200)이 토출 패널(110)에 착탈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는 공기 토출구(112)를 개폐하고 공기 토출구(112)의 개방시 공기 토출구(112)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토출 베인(115)과, 토출베인(115)을 회전 동작시키는 토출베인 구동기구(미도시)가 배치된다.
토출 베인(115)은 공기 토출구(112) 각각에 회전되게 위치되고, 토출베인 구동기구는 하나의 토출베인 혹은 복수개의 토출베인을 회전동작시킨다.
그리고,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에는 공기 흡입구(205)를 가리는 도어 패널(300)이 배치된다.
도어 패널(300)은 하강시 흡입 패널(200)과 이격되어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이고, 상승시 흡입 패널(200)을 덮어 흡입 패널(200)과 도어 패널(300)의 사이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게 막는 커버로서, 그 높이에 상관없이 실내에서 공기 흡입구(205)가 잘 보이지 않게 가리는 일종의 가리개로 기능한다.
도어 패널(300)은 공기 흡입구(205)의 크기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거나 공기 흡입구(205) 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어 패널(300)은 상승시 흡입 패널(200) 전체를 가리면서 흡입 패널(200)을 덮도록 흡입 패널(200)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토출 패널(100)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 일부 외관을 형성하고, 도어 패널(300)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 나머지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 패널(300)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게 하강되고,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와 같은 높이에 위치되거나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100) 저면에 접하는 높이에 위치되게 상승된다.
흡입 패널 어셈블리(100)와 도어 패널(3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도어 패널(300)이 하강되어 공기 흡입 유로(P)를 형성하거나 도어 패널(300)이 상승되어 흡입 패널(200)을 차폐하게 도어 패널(300)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230)가 배치되고, 승강기구(230)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토출 패널에서 흡입 패널 및 도어 패널을 함께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입 패널과 도어 패널을 함께 회전시켰을 때의 단면도이다.
토출 패널(110)은 그 중간 부분에 흡입 패널(200)이 배치되는 개구부(105)가 형성되고, 개구부(105)의 주변 전,후,좌,우측에 공기 토출구(112)가 각각 이격 형성되되 개구부(105)와 이격 형성된다.
흡입 패널(200)은 개구부(105)의 내측에 위치되게 토출 패널(110)에 착탈된다.
흡입 패널(200)은 공기 흡입구(205)가 중앙 부분에 상하로 개구된 형성되고, 그 상측에는 정화 유닛(210)이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설치되는 정화 필터 설치부(215)가 형성된다. 즉, 흡입 패널(200)은 정화 유닛(210)이 설치되는 설치 장소를 제공하는 일종의 정화 유닛 케이스로 기능한다.
흡입 패널(200)은 공기 흡입구(205)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정사각형 또는 그 외의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 패널(200)은 공기 흡입구(205)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실내 공기가 흡입될 때 가운데로 집중되어 하여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조절하는 오리피스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공기 흡입구(205)가 원형으로 형성될 경우 보다 큰 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공기의 신속한 흡입이 가능해진다.
흡입 패널(200)은 토출 패널(110)에 대하여 회전되는 동작으로 상기 개구부(105)를 개폐할 수 있다.
흡입 패널(200)은 일단이 개구부(105)의 일측에 힌지(220)에 의하여 연결되고, 타단이 개구부(105)의 타측에 착탈부(224)에 의해 착탈된다.
힌지(220)는 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힌지축(221)과, 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 중 다른 하나에 힌지축이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 지지부(222)로 이루어진다.
착탈부(224)는 토출 패널(100)과 흡입 패널(200)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드되게 배치된 슬라이더(225)와, 토출 패널(100)과 흡입 패널(200) 중 다른 하나에 슬라이더(225)가 삽입되어 걸리게 형성된 슬라이더 걸이부(226)로 이루어진다.
흡입 패널(200)은 슬라이더(225)를 이동시켜 슬라이더(225)를 슬라이더 걸이부(226)에서 걸림 해제시킨 후 힌지축(221)이 힌지축 지지부(222)에 건 상태에서 하측으로 회전되면 도어 패널(300) 및 정화유닛(210)과 함께 하측으로 회전되고, 이때 흡입 패널(200) 및 도어 패널(300)와 정화유닛(210)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개구부(105)는 개방된다.
반대로, 흡입 패널(200)을 힌지축(221)이 힌지축 지지부(222)에 건 상태에서 수평하게 회전시키고, 슬라이더(225)를 슬라이더 걸이부(226)로 삽입되면 흡입 패널(200)은 도어 패널(300)와 함께 개구부(105)를 차폐한다.
즉, 흡입 패널(200)은 본체(10)의 내부를 서비스하여야 할 경우, 도어 패널(300)과 함께 힌지(22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구부(105)를 개방하고, 작업자는 토출 패널(110)을 분리/분해하지 않고서도 본체(10) 내부를 간편하게 서비스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흡입 패널(200)에 설치된 정화유닛(210)이나 승강기구(230) 등 서비스할 경우, 흡입 패널(200)을 도어 패널(300)과 함께 토출 패널(110)에서 분리하고, 작업자는 토출 패널(110)을 분리/분해하지 않고서도 정화유닛(210)이나 승강기구(230) 등을 간편하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입 패널 및 도어 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하강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상승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이다.
승강기구(230)는 도어 패널(3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되게 배치된 캠(232)과, 캠(232)을 회전시키는 캠 구동기구(234)를 포함하고, 도어 패널(300)을 안정감있게 승강시키도록 복수 셋트가 이격되게 설치된다.
캠(232)과 캠 구동기구(234)는 흡입 패널(200)측에 위치되어 캠(232)이 도어 패널(300)을 밀어내는 것에 의해 도어 패널(300)을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어 패널(300)측에 위치되어 캠(232)이 흡입 패널(200)을 밀어내는 반작용으로 도어 패널(300)을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캠(232)과 캠 구동기구(234)가 도어 패널(300)을 하측으로 밀어내게 흡입 패널(200)에 설치된 예를 설명한다.
승강기구(230)는 하나의 캠 구동기구(234)가 하나의 캠(232)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캠 구동기구(234)가 복수개의 캠(232)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승강기구(230)는 하나의 캠 구동기구(234)가 하나의 캠(232)을 회전시킬 경우 캠 구동기구(234)가 캠(232)의 회전중심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로 이루어진다.
승강기구(230)는 하나의 캠 구동기구(234)가 복수개의 캠(232)을 회전시킬 경우 복수개의 캠(232)은 이격되게 배치되고, 캠 구동기구(234)는 복수개의 캠(232)을 연결시키는 연결축(236)과, 연결축(236)을 회전시키는 연결축 회전기구(238)를 더 포함한다.
연결축 회전기구(238)가 연결축(236)을 회전시키고, 연결축(236)이 복수개의 캠(232)을 함께 회전시킬 경우, 복수개의 캠(232)이 동시 동작되는 것에 의해 오작동 가능성이 최소화되는 등의 이점이 있고, 이하 승강기구(230)는 복수개의 캠(232)과, 복수개의 캠(232)을 연결하는 연결축(236)과, 연결축(236)을 회전시키는 연결축 회전기구(238)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연결축 회전기구(238)는 연결축(236)의 연장선상에 배치되어 연결축(236)을 직접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연결축(236)의 주변 옆에서 연결축(236)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축 회전기구(238)는 연결축(236)을 직접 회전시킬 경우 연결축(236)의 일단에 연결되고 연결축(236)의 연장선상에 설치되고, 연결축(236)의 주변 옆에서 연결축(236)을 회전시킬 경우 연결축(236) 중 복수개의 캠(232)의 사이 위치에 연결되고 연결축(236)의 연장선상 이외에 설치된다.
연결축 회전기구(238)는 연결축(236)의 일단에 연결됨과 아울러 연결축(236)의 연장선상에 설치될 경우 구조가 간단하나 흡입 패널(200)의 길이 특히, 연결축(236)의 길이 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 반면에, 연결축(236) 중 복수개의 캠(232)의 사이 위치에 연결되고 연결축(236)의 연장선상 이외에 설치될 경우 흡입 패널(200)의 길이 특히, 연결축(236)의 길이 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될 필요가 없게 되며, 이하 연결축(236)의 연장선상 이외에 연결축(236) 중 복수개의 캠(232)의 사이 위치에 연결되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연결축 회전기구(238)는 연결축(236)의 일부와 나란한 회전축(239)을 갖는 모터(240)와, 회전축(239)과 연결축(236)을 연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242)(244)를 포함한다.
모터(240)는 연결축(236)의 주변 일측에 설치된다.
동력전달부재(242)(244)는 모터(240)의 회전축(239)에 설치된 구동기어(242)와, 구동기어(242)와 치합되게 연결축(236)에 설치된 종동기어(244)로 이루어진다.
종동 기어(244)는 연결축(236) 중 복수개의 캠(232)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흡입 패널(220)에는 연결축(236)을 흡입 패널(200)에 지지시키는 축 서포터(250)와, 모터(240) 및 동력전달부재(242)(244)를 덮는 모터 커버(254)가 결합된다.
축 서포터(250)는 연결축(236)을 보다 안정감 있게 지지하면서 연결축(236)이 흔들리거나 임의 탈거되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연결축 중 종동기어(244)와 이격된 부분을 둘러싸게 배치된다.
회전축 연결기구(238)는 복수개의 캠(232) 중 어느 하나에 더 가깝게 설치되고, 축 서포터(250)는 복수개의 캠(232) 중 다른 하나에 더 가깝게 설치된다.
승강기구(230)는 흡입 패널(200)에 올려져 설치될 경우, 연결축(236)과 연결축 회전기구(238) 등이 흡입 패널(200)에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반면에 캠(232) 등이 관통되는 관통부가 흡입 패널(200)에 형성되고, 흡입 패널(200)에 매달려지게 설치될 경우 캠(232) 등이 관통되는 관통부가 흡입 패널(200)에 형성될 필요가 없으나 연결축(236)과 연결축 회전기구(238) 등이 공기 흡입 통로(P)를 통해 외부에 서 보일수 있고, 연결축(236)과 연결축 회전기구(238) 등이 공기의 원활한 흡입을 방해할 수 있게 되고, 이하 승강기구(230)는 흡입 패널(200)에 올려져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흡입 패널(200)에는 연결축(23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축 지지부(260)가 형성된다.
흡입 패널(200)에는 캠(232)이 도어 패널(300)을 하측으로 밀어내기 위해 관통되는 캠 관통부(262)가 홀 형상으로 형성된다.
승강 기구(230)는 도어 패널(300)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270)를 더 포함한다.
탄성부재(270)는 캠(232)이 도어 패널(300)을 이동시키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도어 패널(300)의 위치를 복원시키는 것으로서, 캠(232)이 도어 패널(300)을 하측으로 밀어내게 설치될 경우 도어 패널(300)을 상측으로 끌어당기게 설치되고, 반대로 캠(232)이 도어 패널(300)을 상측으로 밀어내게 설치될 경우 도어 패널(300)을 하측으로 끌어당기게 설치된다.
탄성부재(270)는 일단이 흡입 패널(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도어 패널(300)에 연결된 코일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270)는 상단에 상단 연결부(272)가 형성되고, 하단에 하단 연결부(274)가 형성된다.
흡입 패널(200)에는 탄성부재(270)의 상단에 형성된 상단 연결부(272)가 걸어져서 고정되는 상부 고정부(278)가 고리 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도어 패널(300) 에는 탄성부재(270)의 하단에 형성된 하단 연결부(274)가 걸어져서 고정되는 하부 고정부(302)가 고리 형상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도어 패널(30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310)와, 도어 패널(30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320)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부재(310)는 하부가 도어 패널(300)에 후크 등의 걸이부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고 흡입 패널(200)에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며 도어 패널(300)의 승강시 흡입 패널(200)에 안내된다.
흡입 패널(200)은 가이드부재(320)가 관통되는 가이드부재 관통홀(280)이 형성된다.
스토퍼(320)는 가이드 부재(310) 중 흡입 패널(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위치되게 가이드부재(310)의 상부에 착탈된다.
스토퍼(320)는 도어 패널(300)의 상승시 가이드부재(310)와 함께 상승되고, 도어 패널(300)의 하강시 가이드부재(310)와 함께 하강되며, 도어 패널(300)이 소정 높이 이하로 내려오면, 흡입 패널(200) 특히 가이드부재 관통홀(280) 주변에 하측 방향으로 걸리고, 이때 흡입 패널(200)은 소정 높이 이하로의 하강이 제한된다.
도어 패널(300)는 가벼울수록 승강기구(230) 특히 모터(240)의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탄성부재(270)의 수명 등이 증대되어 최대한 가볍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관을 형성하고 견고한 재질의 하측 부재(330)와 실내 공기를 안내하고 하측 부재(330)보다 경량의 상측 부재(34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 람직하다.
하측 부재(330)는 실내에서 볼 때 보이는 일종의 외관부재로서, 고급화가 가능한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금속재질이나 유리 재질보다 경량인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측 부재(340)는 실내에서 공기 흡입구(205)로 흡입되는 공기가 안내되는 에어 가이드로서, 통상적인 플라스틱 보다 경량 재질인 발포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내 공기의 흡입 안내가 잘 이루어지도록 상면이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어 패널(300)는 하측 부재(330)가 평판체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측 부재(330)가 하측 부재(330)의 상측에 올려질 경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하측 옆에서 상측부재(340)가 일부 보일수 있고, 미관의 고급화를 위해 하측 부재(330)가 도어 패널(300)의 둘레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 패널(300)는 하측 부재(330)가 하판부(332)와, 하판부(332)의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된 사각 띠 형상의 리브(334)를 포함하고, 상측부재(340)가 리브(334)의 내측에 위치된다.
한편, 도어 패널(300)는 탄성부재(270)가 연결되고 가이드부재(320)가 체결되므로, 가이드부재(320)가 체결되는 가이드 부재 체결부(332)는 하측 부재(330)의 하판부(332) 상면에 돌출되고, 탄성부재(270)가 연결되는 하부 고정부(302)는 하측 부재(330)의 하판부(332) 상면에 돌출된다.
그리고, 도어 패널(300)는 상측부재(340)에 가이드부재(320)가 관통되는 가 이드 부재 관통부(342)가 형성되고, 탄성부재(270)의 하단 연결부(274)가 연결되는 하부 고정부(302)가 관통되는 하부 고정부 관통부(344)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승강기구(230)의 모터(240)는 도어 열림 모드로 구동되고, 토출베인 구동기구는 토출 베인(115)이 공기 토출구(112)를 개방시키게 구동되며, 송풍기(12)의 모터(15)는 구동된다.
승강기구(230)의 모터(240)가 도어 열림모드로 구동되면, 구동기어(242)와 종동기어(244)와 연결축(236)은 회전되고, 캠(23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위치되게 회전되며, 이때 캠(232)은 도어 패널(300)을 하측으로 밀어낸다.
도어 패널(300)은 탄성부재(270)를 인장시키면서 캠(232)에 의해 하측으로 밀리고, 이때,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P)가 형성된다.
도어 패널(300)은 그 하강시 가이드부재(310)가 가이드부재 관통홀(280)의 안내를 받으면서 하측으로 안정감있게 밀리고, 스토퍼(320)가 흡입 패널(200)에 걸리면 그 하강이 멈춘다.
송풍기(12)의 모터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는 공기 흡입 통로(P)를 통해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의 사이로 흡입되고, 이후 흡입 패널(200)의 공기 흡입구(205)를 통과해 그 상측으로 유동된다.
공기 흡입구(205)를 통과한 공기는 정화유닛(210)을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송풍기(12)로 흡입되고, 이후 열교환기(14)에서 열교환된 후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112)를 통해 실내로 분산 토출된다.
반면에, 공기조화기의 정지시, 승강기구(230)의 모터(240)는 도어 닫힘모드로 구동되고, 토출베인 구동기구는 토출 베인(115)이 공기 토출구(112)를 차폐시키게 구동되며, 송풍기(12)의 모터(15)는 정지된다.
승강기구(230)의 모터(240)가 도어 닫힘모드로 구동되면, 구동기어(242)와 종동기어(244)와 연결축(236)은 도어 열림시와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되고, 캠(23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수평하게 위치되게 회전되며, 이때 탄성부재(270)는 도어 패널(300)을 상측으로 끌어당긴다.
탄성부재(270)는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도어 패널(300)을 끌어올리고, 이때, 공기 흡입 통로(P)가 점차 좁혀지며, 도어 패널(300)이 탄성부재(270)에 의해 최대한 올려지는 위치 즉, 외부에서 흡입 패널(200)과 도어 패널(300) 사이의 틈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이른다.
이때,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도어 패널(300)이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 중앙 외관을 형성하고, 토출 패널(110)이 그 주변의 외관을 형성한다.
한편, 도어 패널(300)은 그 상승시 가이드부재(310)가 가이드부재 관통홀(280)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측으로 안정감있게 당겨진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흡입 패널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정지시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캠 구동기구(234′)가 캠(232)이 도어 패널(300)을 미는 반작용으로 도어 패널(300)이 하강되게 도어 패널(300)에 설치되고, 캠 구동기구(234′)의 설치 이외의 토출 패널(110)과 흡입 패널(200)과 탄성부재(270)와 가이드부재(310)와 스토퍼(320) 등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캠(232)은 도어 패널(300) 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캠(232)의 회전시 도어 패널(300)과 함께 승강된다.
캠 구동기구(234′)는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연결축(236)과 연결축 회전기구(238)를 포함하고, 본 발명 일실시예와 달리 도어 패널(30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축 서포터(250)와 모터 커버(254)가 도어 패널(300)에 설치되고, 흡입 패널(200)에는 캠(232)이 관통되기 위한 캠 관통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승강기구(230)의 모터(240)가 도어 열림모드로 구동되면, 구동기어(242)와 종동기어(244)와 연결축(236)은 회전되고, 캠(23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위치되게 회전되며, 이때 캠(232)은 도어 패널(300)을 밀어내는 힘의 반작용에 의해 하측으로 밀려난다.
도어 패널(300)은 탄성부재(270)를 인장시키면서 캠(232)과 함께 하측으로 밀리고, 이때,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P)가 형성된다.
승강기구(230)의 모터(240)가 도어 닫힘모드로 구동되면, 구동기어(242)와 종동기어(244)와 연결축(236)은 도어 열림시와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되고, 캠(23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위치되게 회전되며, 이때 탄성부재(270)는 도어 패널(300)을 상측으로 끌어당긴다.
탄성부재(270)는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면서 도어 패널(300)을 끌어올리고, 이때, 공기 흡입 통로(P)가 점차 좁혀지며, 도어 패널(300)이 탄성부재(270)에 의해 최대한 올려지는 위치 즉, 외부에서 흡입 패널(200)과 도어 패널(300) 사이의 틈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이른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캠 구동기구(234′)가 도어 패널(300)에 설치되므로 탄성부재(270)을 흡입 패널(200)에서 분리하면서 도어 패널(300)을 흡입 패널(200)에서 분리하는 것에 의해 캠 구동기구(234′)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주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의 정지시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도어 패널(300)에 연결되고 캠(232)에 올려지는 캠 팔로우어(350)를 더 포함하고, 캠 팔로우어(350)이외의 캠 구동기구(324) 등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캠 팔로우어(350)는 하부가 도어 패널(300)과 연결되는 수직부(310′)와, 수직부(310)의 상부에서 수평하게 형성되어 캠(232)에 올려지는 수평부(320′)를 포함한다.
수직부(310′)는 하단이 도어 패널(300)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로 체결된다.
수평부(320′)는 수직부(310′)의 상단에서 일체로 직교하게 절곡되는 것도 가능하고, 수직부(310′)의 상단에 직교하게 착탈되는 것도 가능하다.
캠 팔로우어(350)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가이드 부재(310)와 스토퍼(320)와 별도로 설치되어 캠 팔로우어(350)가 도어 패널(300)을 승강시키는 기능을 하고 가이드 부재(310)가 도어 패널(300)의 승강을 안내하며 스토퍼(320)가 도어 패널(300)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 일실시예의 가이드 부재(310)와 스토퍼(320)가 캠 팔로우어(350)로 기능하여 가이드 부재(310)와 스토퍼(320)가 도어 패널(300)을 승강시키는 기능을 하면서 도어 패널(300)의 승강 안내 및 도어 패널(300)의 하강 높이 제한을 함께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캠 구동기구는 도어 패널(300)의 닫힘시 캠 팔로우어(350) 및 도어 패널(300)이 하강되게 캠(232)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회전시키고, 도어 패널(300)의 열림시 캠 팔로우어(350) 및 도어 패널(300)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게 캠을 좌우 방향으로 길게 회전시킨다.
흡입패널(300)은 캠 팔로우어(350)가 관통되는 캠 팔로우어 관통부(35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승강기구(230)의 모터(240)가 도어 열림모드로 구동되면, 구동기어(242)와 종동기어(244)와 연결축(236)은 회전되고, 캠(232)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회전된다. 이때 캠 팔로우어(350)는 도어 패널(300)과 캠 팔로우어(350)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고, 도어 패널(300)과 흡입 패널(200)의 사이에 공기 흡입 통로(P)가 형성된다.
승강기구(230)의 모터(240)가 도어 닫힘모드로 구동되면, 구동기어(242)와 종동기어(244)와 연결축(236)은 도어 열림시와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되고, 캠(23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하게 회전된다. 이때, 캠 팔로우어(350)는 캠(352)과 접촉된 상태에서 올려져서 상승되고, 도어 패널(300)은 흡입 패널(200)과 도어 패널(300) 사이의 틈이 보이지 않는 위치로 상승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캠(352)이 도어 패널(300)를 이동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도어 패널(300)을 이동시키는 구성이 불필요하여 최소한의 구성으로 도어 패널(300)을 승강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운전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지시 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토출 패널에서 흡입 패널 및 도어 패널을 함께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입 패널과 도어 패널을 함께 회전시켰을 때의 단면도,
도 7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입 패널 및 도어 패널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의 평면도,
도 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하강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
도 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도어 패널 상승시의 주요부 확대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흡입 패널이 도시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주요부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정지시 주요부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의 운전시 주요부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 또 다른 실시예의 정지시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송풍기
15: 열교환기 100: 흡/토출 패널 어셈블리
110: 토출 패널 300: 흡입 패널
210: 정화유닛 220: 힌지
230; 승강기구 232: 캠
234: 캠 구동기구 236: 연결축
238: 연결축 회전기구 240: 모터
242: 구동기어 244: 종동기어
250; 축 서포터 254: 모터 커버
270: 탄성부재 272: 상단 연결부
274: 하단 연결부 300: 도어 패널
310: 가이드 부재 320: 스토퍼
330: 하측 부재 340: 상측 부재

Claims (19)

  1. 천장에 고정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패널과;
    상기 토출 패널에 결합되고, 공기 흡입구가 형성된 흡입 패널과;
    상기 공기 흡입구를 가리는 도어 패널과;
    상기 도어 패널이 하강되어 공기 흡입 유로를 형성하거나 상기 도어 패널이 상승되어 상기 흡입 패널을 차폐하게 상기 도어 패널을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도어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상기 도어 패널과 흡입 패널 중 하나에 회전되게 배치된 캠과;
    상기 캠을 회전시키는 캠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복수개가 이격되게 설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복수개의 캠이 함께 회전되게 상기 복수개의 캠을 연결하는 연결축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연결축의 일부와 나란한 회전축을 갖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연결축을 연동시키는 동력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캠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연결축에 설치된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구동기어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을 상기 도어 패널 또는 흡입 패널에 지지시키는 축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캠의 회전중심에 회전축이 연결된 모터인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캠이 상기 도어 패널을 하측으로 밀어내게 상기 흡 입 패널에 설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캠이 상기 도어 패널을 미는 반작용으로 상기 도어 패널이 하강되게 상기 도어 패널에 설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도어 패널을 상측으로 잡아당기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의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패널에는 상기 도어 패널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패널은 상기 가이드부재가 관통되는 가이드부재 관통홀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에 착탈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에 연결되고 상기 캠에 올려지는 캠 팔로우어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패널은 상기 캠 팔로우어가 관통되는 캠 팔로우어 관통부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캠 구동기구는 상기 도어 패널의 열림시 상기 캠 팔로우어 및 도어 패널이 상승되게 상기 캠을 상하 방향으로 길게 회전시키고,
    상기 도어 패널의 닫힘시 상기 캠 팔로우어 및 도어 패널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게 상기 캠을 좌우 방향으로 길게 회전시키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패널은 상승시 상기 토출 패널과 함께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 외관을 구성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패널의 상면에 설치된 정화 유닛을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090001262A 2009-01-07 2009-01-07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54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262A KR101542118B1 (ko) 2009-01-07 2009-01-07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1262A KR101542118B1 (ko) 2009-01-07 2009-01-07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844A KR20100081844A (ko) 2010-07-15
KR101542118B1 true KR101542118B1 (ko) 2015-08-05

Family

ID=4264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262A KR101542118B1 (ko) 2009-01-07 2009-01-07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1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506Y1 (ko) * 2017-11-22 2018-09-28 도스코산업 주식회사 천장 매립형 환풍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968A (ja) 1998-10-16 2000-04-25 Nhk Spring Co Ltd 昇降装置
JP2000121145A (ja) 1998-10-16 2000-04-28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3176928A (ja) 2001-12-12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968A (ja) 1998-10-16 2000-04-25 Nhk Spring Co Ltd 昇降装置
JP2000121145A (ja) 1998-10-16 2000-04-28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3176928A (ja) 2001-12-12 2003-06-27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1844A (ko) 201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546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49293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KR10104538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2154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90043232A (ko) 공기조화기
KR20100086313A (ko) 공기조화기
EP2206974B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with movable intake panel
KR2010008184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542118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45265B1 (ko) 공기조화기
KR20070107195A (ko) 환기 청정 장치
KR101558577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43992A (ko) 공기 조화기
CN101726044A (zh) 空调
KR10128294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10169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325767B1 (ko) 공기조화기
KR101450565B1 (ko) 공기조화기
JP2008180484A (ja) 空気調和機
KR10235474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20080056510A (ko) 공기조화기
KR20090067344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필터가이드
CN101382317A (zh) 空调机
KR102453155B1 (ko) 에어컨
KR101450564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