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769B1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769B1
KR101541769B1 KR1020140161909A KR20140161909A KR101541769B1 KR 101541769 B1 KR101541769 B1 KR 101541769B1 KR 1020140161909 A KR1020140161909 A KR 1020140161909A KR 20140161909 A KR20140161909 A KR 20140161909A KR 101541769 B1 KR101541769 B1 KR 101541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ocket
overflow
i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하
Original Assignee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이앤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769B1/ko
Priority to US14/608,968 priority patent/US9857117B2/en
Priority to CN201510079851.4A priority patent/CN10598755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25C1/045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with the open end pointing downw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C2500/06Spillage or flooding of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22Cleaning means for refriger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장치 내에 배수를 위한 배관설비가 구비된 제빙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제빙기는 본체캐비닛; 상기 본체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얼음저장고; 상기 얼음저장고의 저면에 형성되며, 제1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제1 체결부; 상기 본체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방에 구비되며, 외부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유로를 구비하는 드레인부; 및 상기 제1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얼음저장고를 상기 드레인부에 서로 결속시키고, 상기 얼음저장고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배수유로로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오버플로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얼음저장고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 구비되는 오버플로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에 연결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은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연결홀과, 상기 연결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내부유로와 상기 오버플로우관 사이에 배수간격을 형성하는 간격형성돌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빙기는 분해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 내에 배수를 위한 배관설비가 구비된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 중에서 셀프 콘테인드 타입(Self-Contained Type) 제빙기는 일반적으로 빌트-인(Built-in)형태로 카운터나 싱크대 등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셀프 콘테인드 타입의 제빙기는 내부에 얼음저장고를 구비하고, 장치의 전면에 구비된 도어를 개폐하며 얼음저장고에 저장된 얼음을 추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빌트-인 형태의 제빙기를 수리하거나 청소하는 경우에는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부품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제빙기에는 얼음저장고에서 발생되는 물과 물탱크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구비되는데, 일반적으로 배수구가 제품의 후방에 구비되므로, 배수장치의 배관이 제품의 후방부에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제빙기는 애프터서비스 및 제품 청소를 위해 얼음저장고를 분리하는 경우에 배수장치의 배관을 얼음저장고 및 물탱크로부터 분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공개특허 제5,245,841호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빙기 중에는 배수장치의 배관이 제품의 앞쪽에서 얼음저장고 및 물탱크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제품의 앞쪽에서 배관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제빙기는 배관이 제품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수구에서 제품의 앞쪽까지 연장되므로, 배관의 길이가 상당히 길어지게 되며, 이러한 배관이 적절하게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배관에 물이 완전히 배수되지 않고 장시간 동안 고여있게 되어 배관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배관 내부가 오염되는 경우에는 얼음저장고의 얼음도 오염시킬 수 있는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배관은 길이가 상당하므로, 내부 청소가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배관을 얼음저장고 및 물탱크에 연결하기 위한 추가 부품(클램프 등)이 필요하며, 이러한 추가 부품은 조립 및 분리시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고 장기간 사용시 변형되어 기능이 상실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분해조립이 용이한 제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캐비닛; 상기 본체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얼음저장고; 상기 얼음저장고의 저면에 형성되며, 제1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제1 체결부; 상기 본체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방에 구비되며, 외부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유로를 구비하는 드레인부; 및 상기 제1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얼음저장고를 상기 드레인부에 서로 결속시키고, 상기 얼음저장고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배수유로로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오버플로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얼음저장고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 구비되는 오버플로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에 연결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은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연결홀과, 상기 연결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내부유로와 상기 오버플로우관 사이에 배수간격을 형성하는 간격형성돌기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내측 벽면에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은 외측면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은 상기 제1 체결구멍에 삽입 결합된 경우에 상단이 상기 얼음저장고의 내부 바닥보다 같거나 낮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얼음저장고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얼음저장고의 저면에 형성되며, 제2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얼음저장고를 상기 드레인부에 서로 결속시키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유로로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드레인 소켓;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내측 벽면에 돌출된 돌출편을 구비하며, 상기 드레인 소켓은 외측면에 상기 돌출편이 결속되는 후크를 구비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후크에 상기 돌출편이 결속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 소켓은 상기 얼음저장고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호스연결부와, 상기 호스연결부의 상단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이 연결되는 제1 배수유로; 상기 드레인 소켓이 연결되는 제2 배수유로; 및 상기 제1 배수유로와 상기 제2 배수유로에 연결되고, 끝단이 외부 배수구에 연결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제1 배수유로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오버플로우 연결구; 및 상기 제2 배수유로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 소켓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드레인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제2 배수유로를 개폐시키는 드레인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에 포함되는 부품들의 분해조립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배관 내부에 물이 잔존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장치의 사용상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에 포함되는 오버플로우 소켓과 드레인 소켓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에 포함되는 얼음저장고, 물탱크, 드레인부, 오버플로우 소켓 및 드레인 소켓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
도 4는 드레인부의 사시도.
도 5는 오버플로우 소켓의 사시도.
도 6은 오버플로우 소켓의 평면도.
도 7은 오버플로우 소켓의 측단면도.
도 8은 오버플로우 소켓, 얼음저장고 및 드레인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
도 9는 드레인 소켓의 사시도.
도 10은 드레인 소켓의 측면도.
도 11은 드레인 소켓, 얼음저장고 및 드레인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 사시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분해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본체캐비닛(110), 얼음저장고(120), 제1 체결부(130), 제2 체결부(140), 물탱크(150), 오버플로우관(160), 드레인부(170), 오버플로우 소켓(180) 및 드레인 소켓(1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캐비닛(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후술할 얼음저장고(120), 물탱크(150), 드레인부(170)를 포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에 포함되는 각종 전장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캐비닛(1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얼음저장고(120)에 저장된 얼음을 추출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11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캐비닛(110)의 상면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는 상부커버(11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본체캐비닛(110)은 각종 전장부품들이 설치되는 하방 캐비닛(112)과 상기 하방 캐비닛(112)을 덮도록 구성되는 분리형 캐비닛(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리형 캐비닛(114)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 캐비닛(112)으로부터 상방 및 전방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얼음저장고(120)는 본체캐비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빙유닛(미도시)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될 수 있는 박스 형태의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얼음저장고(120)는 분리형 캐비닛(114)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캐비닛(114)의 분리동작에 따라 하방 캐비닛(1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음저장고(120)는 본체캐비닛(110)과 분리형으로 구성되어, 본체캐비닛(110)과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체결부(1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고(120)의 저면에 형성되며 제1 체결구멍(132)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130)는 얼음저장고(120)의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구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상 구조부의 내측 개구는 상기 제1 체결구멍(132)에 해당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130)는 제1 체결구멍(132)을 형성하는 내측 벽면에 돌출된 걸림턱(13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34)은 후술할 오버플로우 소켓(180)의 걸림돌기(186)가 걸려서 체결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턱(134)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벽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드레인부(17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얼음저장고(120)의 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체결부(130)가 얼음저장고(12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구조는 후술할 드레인부(170)에 구비되는 배수유로(172)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제1 체결부(130)의 위치는 얼음저장고(120)의 후방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음저장고(120)의 바닥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14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고(120)의 저면에 형성되며, 제2 체결구멍(142)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부(130)는 얼음저장고(120)의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의 구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상 구조부의 내측 개구는 상기 제2 체결구멍(142)에 해당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2 체결부(140)는 제2 체결구멍(142)을 형성하는 내측 벽면에 돌출된 돌출편(14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편(144)은 후술할 드레인 소켓(190)의 후크(196)에 끼워져서 결속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일 실시예에서, 돌출편(144)은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벽면에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제2 체결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드레인부(170)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얼음저장고(120)의 후방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체결부(140)가 얼음저장고(120)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구조는 후술할 드레인부(170)에 구비되는 배수유로(172)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제2 체결부(140)의 위치는 얼음저장고(120)의 후방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얼음저장고(120)의 바닥에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150)는 얼음저장고(120)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빙수(제빙에 사용되는 물)를 저장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물탱크(150)에는 외부 급수설비로부터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관(160)은 물탱크(150)에 구비되며, 물탱크(150)의 수위가 적정수위를 초과하는 경우 물탱크(150)에서 물이 넘치지 않도록 적정수위 이상의 물이 후술할 드레인부(170)로 배출되는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에서, 오버플로우관(160)의 물탱크(150)의 내부에서 적정수위의 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버플로우관(1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저장고(120)의 내측에 배치되며, 물탱크(150)의 저면에서 후술할 오버플로우 소켓(18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플로우관(160)의 하단은 후술할 오버플로우 소켓(18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오버플로우관(160) 중에서 물탱크(150)의 저면부터 오버플로우 소켓(180)까지 연결되는 부분은 물탱크(150)로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드레인부(170)는 본체캐비닛(110)의 내부에서 얼음저장고(120)의 하방에 구비되며, 물탱크(150) 및 얼음저장고(120)에서 배출되는 물을 외부 배수구로 유동시키는 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드레인부(170)는 배수유로(172), 오버플로우 연결구(174), 드레인 연결구(176) 및 드레인 밸브(17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수유로(172)는 제1 배수유로(172a), 제2 배수유로(172b) 및 연결유로(17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수유로(172a)는 상단이 상기 제1 체결부(130)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후술할 연결유로(172c)에 연결되는 파이프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수유로(172a)에는 후술할 오버플로우 소켓(18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배수유로(172b)는 상단이 상기 제2 체결부(140)의 직하방에 배치되고 하방으로 연장되어 하단이 후술할 연결유로(172c)에 연결되는 파이프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배수유로(172b)에는 후술할 드레인 소켓(19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172c)는 제1 배수유로(172a)와 제2 배수유로(172b)에 연결되고, 끝단이 외부 배수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유로(172c)는 제1 배수유로(172a)를 통해 유동하는 물과 제2 배수유로(172b)를 통해 유동하는 물을 모두 수용하여 외부 배수구로 배출시키는 유로를 구성한다.
상기 오버플로우 연결구(174)는 제1 배수유로(172a)의 상단에 구비되어, 후술할 오버플로우 소켓(180)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소켓 형태의 부재이다.
상기 드레인 연결구(176)는 제2 배수유로(172b)의 상단에 구비되어, 후술할 드레인 소 켓의 하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소켓 형태의 부재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방 캐비닛(112)에는 오버플로우 연결구(174)와 드레인 연결구(176)를 고정시키는 브라켓(179)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밸브(178)는 제2 배수유로(172b)에 구비되어, 제2 배수유로(172b)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 밸브(178)는 물탱크(150)에 제빙수가 저장되고 제빙동작을 수행하는 동안에 제2 배수유로(172b)를 폐쇄하여 물탱크(150)에 제빙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물탱크(150)의 제빙수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동작시에 제2 배수유로(172b)를 개방하여 물탱크(150)에 저장된 물이 제2 배수유로(172b) 및 연결유로(172c)를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물탱크(150)의 청소 및 유지보수 그리고 제빙수 교환을 위해 물탱크(150)에 저장된 물을 배수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드레인 밸브(178)를 열어서 물탱크(150)의 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 밸브(178)는 전자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오버플로우관(160)과 제1 배수유로(172a)를 연결시키며, 동시에 얼음저장고(120)를 드레인부(170)에 결속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얼음저장고(120)가 본체캐비닛(110) 내부에 장착된 경우에, 제1 체결부(130)의 제1 체결구멍(132)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오버플로우 연결구(174)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오버플로우 관을 통해 유동하는 물이 제1 배수유로(172a)로 유동하는 유동경로와 얼음저장고(120)에 수용된 물이 제1 배수유로(172a)로 배출되는 배출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몸체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에 연결홀(182), 간격형성돌기(184) 및 걸림돌기(18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결홀(182)은 오버플로우 소켓(180)의 상단에 형성되며 오버플로우관(160)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확관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형성돌기(184)는 연결홀(182)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오버플로우 소켓(180)의 내부유로와 오버플로우관(160) 사이에 배수간격(185)을 형성할 수 있다.
즉, 간격형성돌기(184)는 연결홀(18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오버플로우관(160)을 압박 지지하는 핑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하는 간격형성돌기(184) 사이에 상기 배수간격(185)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얼음저장고(120)에 생성된 물은 상기 배수간격(185)을 통해 오버플로우 소켓(180)의 내부유로로 유동한 뒤 제1 배수유로(172a)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얼음저장고(120)에 생성된 물이 원활하게 배수간격(185)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제1 체결구멍(132)에 삽입 결합된 경우에 상단이 얼음저장고(120)의 내부 바닥보다 같거나 낮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186)는 오버플로우 소켓(180)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체결부(130)에 구비된 걸림턱(134)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걸림돌기(186)는 걸림턱(134)에 대응하여 오버플로우 소켓(18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걸림돌기(186)와 걸림턱(134)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제1 체결구멍(132)에 삽입된 후 회전되어 걸림돌기(186)가 걸림턱(134)에 걸리도록 배치되어, 얼음저장고(120)에 체결될 수 있다.
반대로,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회전되어 걸림돌기(186)가 걸림턱(134)에서 분리되도록 배치된 후 제1 체결구멍(132)에서 빠질 수 있게 된다.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얼음저장고(120)에 체결되는 경우에 상단부가 얼음저장고(120)에 체결되고 하단부가 드레인부(170)의 오버플로우 연결구(174)에 체결됨으로써, 얼음저장고(120)를 드레인부(170)에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오버플로우 소켓(180)은 돌출된 간격형성돌기(184)에 별도의 도구를 걸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오버플로우 소켓(180)에는 제1 체결구멍(132) 및 오버플로우 연결구(174)와 접촉되는 부위의 실링을 위한 패킹부재(188)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소켓(190)은 물탱크(150)에 저장된 물이 제2 배수유로(172b)로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며, 동시에 얼음저장고(120)를 드레인부(170)에 결속시키는 부재이다.
이러한 드레인 소켓(190)은 얼음저장고(120)가 본체캐비닛(110) 내부에 장착된 경우에, 제2 체결부(140)의 제2 체결구멍(142)에 삽입되고 하단부가 드레인 연결구(176)에 체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탱크(150)와 드레인 소켓(190)에는 물탱크(150)의 물을 드레인 소켓(190)으로 안내하는 호스부재(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참고로, 물탱크(150)의 내부에는 펌프(미도시)의 공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펌프의 임펠러가 잠길 수 있는 일정수위의 물이 잔존한다. 이와 같이 물탱크(150) 내부에 잔존하는 물이 장시간 동안 방치되면 물탱크(150) 내부의 제빙수를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물탱크(15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일정주기마다 자동으로 배수되는 동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스부재, 드레인 소켓(190) 및 제2 배수유로(172b)는 물탱크(15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레인 밸브(178)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운전 중에 일정주기마다 자동으로 개방되어 물탱크(150)에 잔존하는 물을 배수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드레인 소켓(190)은 몸체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단에 호스연결부(1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호스연결부(192)는 얼음저장고(120)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호스부재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호스연결부(192)에는 절개홈(194)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194)은 호스연결부(192)의 상단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홈(194)은 드레인 소켓(190)의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구가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사용자는 절개홈(194)에 걸릴 수 있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드레인 소켓(19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절개홈(194)은 호스연결부(192)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한 쌍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드레인 소켓(190)의 외측면에는 후크(19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크(196)는 제2 체결부(140)의 돌출편(144)이 수용되어 걸리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드레인 소켓(190)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후크(196)는 돌출편(144)에 대응하여 드레인 소켓(19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드레인 소켓(190)은 후크(196)와 돌출편(144)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제2 체결구멍(142)에 삽입된 후 일방으로 회전되어 돌출편(144)이 후크(196)에 수용되어 걸리도록 배치됨으로써, 얼음저장고(120)에 체결될 수 있다.
반대로, 드레인 소켓(190)은 타방으로 회전되어 돌출편(144)이 후크(196)에서 분리되도록 배치된 후 제2 체결구멍(142)에서 빠질 수 있게 된다.
드레인 소켓(190)은 얼음저장고(120)에 체결되는 경우에 상단부가 얼음저장고(120)에 체결되고 하단부가 드레인부(170)의 드레인 연결구(176)에 체결됨으로써, 오버플로우 소켓(180)과 협력하여 얼음저장고(120)를 드레인부(170)에 결속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드레인 소켓(190)은 절개홈(194)에 별도의 도구를 걸어서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드레인 소켓(190)에는 제2 체결구멍(142) 및 드레인 연결구(176)와 접촉되는 부위의 실링을 위한 패킹부재(198)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분해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18)를 제거한다. 상부커버(118)를 제거하는 경우 얼음저장고(120)의 내측이 노출되므로, 사용자는 본체캐비닛(110)의 상측에서 오버플로우 소켓(180) 및 드레인 소켓(190)을 분리할 수도 있고, 개폐도어(116)를 개방하여 개폐도어(116)를 통해 오버플로우 소켓(180) 및 드레인 소켓(190)을 분리할 수도 있다.
상부커버(118)를 제거하고, 오버플로우관(160) 및 호스부재(미도시)를 오버플로우 소켓(180)과 드레인 소켓(190)에서 분리한 다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소켓(180)과 드레인 소켓(190)을 회전시킨 후 제1 체결구멍(132)과 제2 체결구멍(142)에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버플로우 소켓(180)과 드레인 소켓(190)이 분리되면, 얼음저장고(120)가 드레인부(170)에서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 캐비닛(112)의 전면에 구비된 전면 흡입부(119)를 하방 캐비닛(112)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형 캐비닛(114)을 하방 캐비닛(112)에서 분리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서 얼음저장고(120)는 분리형 캐비닛(114)에 결합된 형태이므로, 얼음저장고(120)는 분리형 캐비닛(114)과 함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물탱크(150) 및 얼음저장고(120)의 배수유로(172)가 장치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유로가 짧게 구성되고 거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배수유로(172)에 물이 잔류하여 오염될 염려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오버플로우 소켓(180)과 드레인 소켓(190)을 통해 물탱크(150)에 연결되는 유로를 배수유로(172)에 연결시킬 수 있고, 동시에, 얼음저장고(120)를 본체캐비닛(110)에 안정적으로 결속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물탱크(150) 및 얼음저장고(120)의 물 배출 유로와 배수유로(172) 간을 연결시키는 오버플로우 소켓(180)과 드레인 소켓(190)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장치의 분해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제빙기 110: 본체캐비닛
112: 하방 캐비닛 114: 분리형 캐비닛
116: 개폐도어 118: 상부커버
119: 전면 흡입부 120: 얼음저장고
130: 제1 체결부 132: 제1 체결구멍
134: 걸림턱 140: 제2 체결부
142: 제2 체결구멍 144: 돌출편
150: 물탱크 160: 오버플로우관
170: 드레인부 172: 배수유로
172a: 제1 배수유로 172b: 제2 배수유로
172c: 연결유로 174: 오버플로우 연결구
176: 드레인 연결구 178: 드레인 밸브
179: 브라켓 180: 오버플로우 소켓
182: 연결홀 184: 간격형성돌기
185: 배수간격 186: 걸림돌기
190: 드레인 소켓 192: 호스연결부
194: 절개홈 196: 후크

Claims (11)

  1. 본체캐비닛;
    상기 본체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본체캐비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얼음저장고;
    상기 얼음저장고의 저면에 형성되며, 제1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제1 체결부;
    상기 본체캐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방에 구비되며, 외부 배수구에 연결되는 배수유로를 구비하는 드레인부; 및
    상기 제1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얼음저장고를 상기 드레인부에 서로 결속시키고, 상기 얼음저장고에 수용된 물이 상기 배수유로로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오버플로우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얼음저장고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에 구비되는 오버플로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버플로우관은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에 연결되며,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은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연결홀과, 상기 연결홀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내부유로와 상기 오버플로우관 사이에 배수간격을 형성하는 간격형성돌기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내측 벽면에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은 외측면에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은 상기 제1 체결구멍에 삽입 결합된 경우에 상단이 상기 얼음저장고의 내부 바닥보다 같거나 낮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저장고의 상방에 배치되며, 제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
    상기 얼음저장고의 저면에 형성되며, 제2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제2 체결부; 및
    상기 제2 체결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배수유로에 연결되어 상기 얼음저장고를 상기 드레인부에 서로 결속시키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배수유로로 배출되는 경로를 구성하는 드레인 소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얼음저장고의 하방으로 돌출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구멍을 형성하는 내측 벽면에 돌출된 돌출편을 구비하며,
    상기 드레인 소켓은 외측면에 상기 돌출편이 결속되는 후크를 구비하고, 회전을 통해 상기 후크에 상기 돌출편이 결속되거나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소켓은 상기 얼음저장고의 바닥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호스연결부와, 상기 호스연결부의 상단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로는,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이 연결되는 제1 배수유로;
    상기 드레인 소켓이 연결되는 제2 배수유로; 및
    상기 제1 배수유로와 상기 제2 배수유로에 연결되고, 끝단이 외부 배수구에 연결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제1 배수유로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오버플로우 소켓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오버플로우 연결구; 및
    상기 제2 배수유로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드레인 소켓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드레인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부는 상기 제2 배수유로를 개폐시키는 드레인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빙기.
KR1020140161909A 2014-11-19 2014-11-19 제빙기 KR101541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909A KR101541769B1 (ko) 2014-11-19 2014-11-19 제빙기
US14/608,968 US9857117B2 (en) 2014-11-19 2015-01-29 Ice maker
CN201510079851.4A CN105987552B (zh) 2014-11-19 2015-02-13 制冰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909A KR101541769B1 (ko) 2014-11-19 2014-11-19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769B1 true KR101541769B1 (ko) 2015-08-05

Family

ID=5388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909A KR101541769B1 (ko) 2014-11-19 2014-11-19 제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57117B2 (ko)
KR (1) KR101541769B1 (ko)
CN (1) CN10598755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5129A (zh) * 2016-04-01 2016-08-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用于冰箱的卡持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07538B2 (en) 2012-09-10 2018-10-23 Hoshizaki America, Inc. Ice cube evaporator plate assembly
USD802857S1 (en) * 2016-02-29 2017-11-14 Electrolux Professional S.P.A. Dishwasher
USD802858S1 (en) * 2016-08-19 2017-11-14 Electrolux Professional S.P.A. Dishwasher
US11255588B2 (en) 2018-08-03 2022-02-22 Hoshizaki America, Inc. Ultrasonic bin control in an ice machine
EP3604984B1 (en) * 2018-08-03 2024-03-06 Hoshizaki America, Inc. Ice mak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ice maker
US11293688B2 (en) * 2020-09-02 2022-04-05 Whirlpool Corporation Drainage assembly
USD985025S1 (en) * 2021-01-05 2023-05-02 Mohawk Group Inc Nugget ice maker
USD985629S1 (en) * 2021-06-29 2023-05-09 Sub-Zero Group, Inc. Ice maker assembly
USD1014574S1 (en) * 2021-10-19 2024-02-13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vehicles
USD971277S1 (en) * 2022-01-10 2022-11-29 Shenzhen Jingyuan Network Technology Co., Ltd. Ice maker
USD995579S1 (en) * 2022-02-25 2023-08-1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ce mak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541A (ja) * 2000-04-05 2001-10-19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JP2004176971A (ja) * 2002-11-26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JP2005221221A (ja) 2004-01-09 2005-08-18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排水構造
JP2010255928A (ja) 2009-04-24 2010-11-11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排水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2031A (en) * 1947-01-17 1952-01-08 Gen Electric Drain mounting and sealing arrangement
US4843835A (en) * 1988-09-27 1989-07-04 Amana Refrigeration, Inc. Refrigerator drain funnel
US5245841A (en) * 1992-11-24 1993-09-21 Scotsman Group, Inc. Undercounter ice making machine
CN1212498C (zh) * 2002-08-01 2005-07-27 星崎电机株式会社 自动制冰机
US7007496B2 (en) * 2003-12-30 2006-03-07 Lotte Engineering & Machinery Mfg., Co., Ltd. Internal temperature difference preventing structure for refrigerator
US7451603B2 (en) * 2004-03-22 2008-11-18 General Mills, Inc. Portable cooled merchandizing unit
CN2906488Y (zh) * 2006-04-28 2007-05-30 马尼托瓦(中国)制冷有限公司 一种制冰机储冰箱的内衬组件
US20080264090A1 (en) * 2007-04-24 2008-10-30 Scotsman Ice Systems Llc Ice machine with drai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9541A (ja) * 2000-04-05 2001-10-19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
JP2004176971A (ja) * 2002-11-26 2004-06-24 Sanyo Electric Co Ltd 製氷装置
JP2005221221A (ja) 2004-01-09 2005-08-18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排水構造
JP2010255928A (ja) 2009-04-24 2010-11-11 Hoshizaki Electric Co Ltd 製氷機の排水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65129A (zh) * 2016-04-01 2016-08-17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用于冰箱的卡持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38846A1 (en) 2016-05-19
US9857117B2 (en) 2018-01-02
CN105987552A (zh) 2016-10-05
CN105987552B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769B1 (ko) 제빙기
US11530869B2 (en) External water-purifying filter case,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and steriliz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928940B1 (ko) 냉장고 제빙 장치
US10502477B2 (en) Refrigerator appliance
US9157677B2 (en) Refrigerator water filter assembly
US9835371B2 (en) Refrigerator and filter device
KR20110026602A (ko) 냉장고
JP2014156958A (ja) ショーケースの排水装置
KR100722052B1 (ko) 얼음저장용기 결합구조
KR100558697B1 (ko) 냉장고의 정수장치
KR20120098273A (ko) 세면대용 팝업식 개폐장치
KR200465267Y1 (ko) 온수세정기의 노즐청소커버 결합구조
JP3885608B2 (ja) ストレーナ収容部材を備えた給水構造
JP4950512B2 (ja) 冷蔵ショーケース
KR20190032785A (ko) 드럼 제빙기
JP5361290B2 (ja) 排水器具
KR101485985B1 (ko) 분리 가능한 얼음 저장고를 구비하는 얼음 정수기 및 얼음 냉온수기
JP2010053673A (ja) 洗面ボウルへの排水器具の取付構造
JP4680629B2 (ja) 製氷機
KR20120006884U (ko) 싱크대배수구 본체
KR20000005080U (ko) 냉장고용 급수탱크 구조
KR20130029928A (ko) 냉장고의 호스 연결 커넥터
JP2004353909A (ja) 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KR100610503B1 (ko) 냉장고
CN115682587A (zh) 一种用于制冷设备的排水管组件及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