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376B1 -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Google Patents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1376B1 KR101541376B1 KR1020130149615A KR20130149615A KR101541376B1 KR 101541376 B1 KR101541376 B1 KR 101541376B1 KR 1020130149615 A KR1020130149615 A KR 1020130149615A KR 20130149615 A KR20130149615 A KR 20130149615A KR 101541376 B1 KR101541376 B1 KR 1015413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pole radiating
- radiating elements
- periodic antenna
- dipole
- lo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제1 편파용 다수 주기 안테나와 제2 편파용 다수 주기 안테나가 하나로 집적화하되, 안테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일측에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이때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수 주기 안테나(log periodic antenna; LP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크기 증가를 억제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는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dual type)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안테나는 무선통신에서 통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간에 효율적으로 전파를 방사하거나, 또는 전파에 의해 효율적으로 기전력을 유기시키기 위해 공중에 가설한 도선을 의미한다. 즉 안테나는 송수신을 위해 전자파를 공간으로 보내거나 받는 장치이다.
따라서 안테나는 전압/전류로 표현되는 전기적 신호와 전기장/자기장으로 표현되는 전자기파를 서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안테나의 종류에는 다이폴 안테나, 모노폴 안테나, 패치 안테나, 혼 안테나, 파라볼릭 안테나, 헬리컬 안테나, 슬롯 안테나, 대수 주기 안테나 등이 있다.
여기서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이폴 안테나를 일정한 비율로 유사하게 정렬한 것으로, 인접한 안테나 소자 길이의 비나 간격의 비율이 일정하며,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이 있는 광 대역 안테나이다.
따라서 대수 주기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과 적당한 이득으로 TV 수신용이나 통신용 안테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대수 주기 안테나는 광대역 특성으로 인해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이동통신 기지국과 같이 하나의 이용 목적에 복수의 주파수 대역이 필요한 곳에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들에 비해 임피던스와 방사특성이 주파수에 대수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안테나로써, 주파수 대역에 걸친 특성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독립 안테나로 간주되며, 안테나의 형태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광대역 혹은 이중, 삼중 대역 등을 커버할 수 있는 안테나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대수 주기 안테나의 활용도가 더욱 증가되고 있다.
대주 수기 안테나는 그 반복되는 구조 형태에 따라, 톱니형 평면 안테나, 톱니형 사다리꼴 안테나, 사다리꼴 도선 안테나, 지그재그형 도선 안테나 등이 있다. 다양한 형태의 대수 주기 안테나들 중에서 일반적으로 평판 혹은 도선형 다이폴이 배열된 대수 주기 다이폴 안테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대역 대수 주기 다이폴 안테나는 일련의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직렬 급전되어 있는 형태로서, 설계 파라미터인 대수 주기의 비, 간격정수 및 특정 대역의 단일 다이폴 안테나 길이(l/2)와 연관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다이폴 방사 소자의 길이 단축 및 전체 크기의 감소에 한계가 있다. 즉, 이득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대수 주기의 비와 간격정수를 크게 하면, 이득은 증가시킬 수 있으나 대신 안테나 붐의 길이가 길어지고, 방사 소자의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전체 안테나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대수 주기 안테나는 단일 편파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단일 편파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이로 인해 대수 주기 안테나로 수직 편파와 수평 편파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수직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와 수평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 두 개를 별도로 설치해야 했다.
이와 같이 수직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와 수평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 두 개를 별도로 설치할 경우, 두 배의 설치 시간과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와 제2 편파용 대수 주기 안테나가 하나로 집적화하되, 안테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편파 또는 제2 편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일측에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듀얼 전송선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2 듀얼 전송선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배치된 쪽이 상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소 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1 방사폴 방사 소자 중 일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1 방사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작게 형성되며, 절곡되는 상기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제2-1 방사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된 각도는 4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2 방사폴 방사 소자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서로 먼 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의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듀얼 전송선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2 듀얼 전송선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배치된 쪽이 상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소 소자에서 먼 쪽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 중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작게 형성되며, 절곡되는 상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1 및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된 각도는 4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1 및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되, 서로 인접한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하더라도 안테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서로 인접한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 간의 간격을 줄이면서도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되, 서로 먼 쪽의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하더라도 안테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서로 인접한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더라도, 서로 먼 쪽의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하더라도 안테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제1 및 제2 편파용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1 편파 또는 제2 편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은 설치판(10)에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30,5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30,50)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와,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로 구성된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3)들을 구비한다. 이때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소재로는 금속판, 예컨대 동판, 알루미늄 판, 주석 도금된 알루미늄 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 편파는 +45도 편파일 수 있다.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일측에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3)들을 구비한다. 이때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소재로는 금속판, 예컨대 동판, 알루미늄판, 주석 도금된 알루미늄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와 동일한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2 편파는 제1 편파에 수직한 -45도 편파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는 각각 제1 및 제2 설치대(39,59)를 매개로 설치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설치판(10) 위에 설치된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는 케이스에 의해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된다. 케이스는 설치판(10)에 결합되며,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포함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는 각각 급전 케이블에 의해 근접이 이루어진다.
이때 설치판(10) 내에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함께 근접하게 설치하더라도,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의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서로 근접하게 설치할 경우,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일반적인 경우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별도의 케이스에 넣어 개별적으로 설치한다.
하지만 제1 실시예의 경우,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의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는 외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서로 근접하게 설치하면서 하나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의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도 1의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듀얼 전송선로(31)를 중심으로 한쪽에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가 형성되고, 반대쪽에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듀얼 전송선로(31)는 제1-1 전송선로(31a)와, 제1-1 전송선로(31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2 전송선로(31b)를 포함한다. 제1-1 및 제1-2 전송선로(31a,31b)에는 각각 지그재그로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이 양쪽으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1 전송선로(31a)에 형성된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와, 제1-2 전송선로(31b)에 형성된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는 서로 반대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전송선로(31a)의 하부에서 상부로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와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가 교대로 형성된다면, 제1-2 전송선로(31b)의 하부에서 상부로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이 교대로 형성된다.
제1-1 전송선로(31a) 및 제1-2 전송선로(31b)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같은 위치에 형성된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은 같은 위치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1 및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5,37)는 듀얼 전송선로에 ±90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는 각각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3)를 일정한 비율로 유사하게 정렬한 것으로, 인접한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3) 길이의 비나 간격의 비율이 일정하며,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이 있는 광 대역 안테나이다.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2 듀얼 전송선로(51)를 중심으로 한쪽에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가 형성되고, 반대쪽에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듀얼 전송선로(51)는 제2-2 전송선로(51a)와, 제2-2 전송선로(51a)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2 전송선로(51b)를 포함한다. 제2-1 및 제2-2 전송선로(51a,51b)에는 각각 지그재그로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와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가 양쪽으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2 전송선로(51a)에 형성된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와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와, 제2-2 전송선로(51b)에 형성된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와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는 서로 반대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2 전송선로(51a)의 하부에서 상부로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가 교대로 형성된다면, 제2-2 전송선로(51b)의 하부에서 상부로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와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가 교대로 형성된다.
제2-2 전송선로(51a) 및 제2-2 전송선로(51b)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같은 위치에 형성된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는 같은 위치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1 및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5,57)는 제2 듀얼 전송선로(51)에 ±90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3)를 일정한 비율로 유사하게 정렬한 것으로, 인접한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3) 길이의 비나 간격의 비율이 일정하며, 사용 주파수 대역 내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특성이 있는 광 대역 안테나이다.
이때 제1 및 제2 대수 수기 안테나(30,50)는 서로 직교하면서 서로 근접하게 설치하는 경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복수의 제2-2 방사폴 방사 소자(57)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들과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들 중 설치판(10)에 가까울수록 길이가 길기 때문에, 해당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과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를 기존과 동일한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할 경우,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과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 간에 충분한 분리도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과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 중 일부를 외측으로 일정 각도로 절곡하여 제1 및 제2 절곡부(38,56)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충분한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1 절곡부(38)는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에 형성된다. 제2 절곡부(56)는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에 형성된다. 제1 절곡부(38)는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의 끝 부분이고, 제2 절곡부(56)는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의 끝 부분이다. 제1 및 제2 절곡부(38,56)는 설치판(10)의 안쪽이 아닌 바깥쪽을 향하게 절곡된다.
이때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와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는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31,51)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작게 형성되며, 절곡되는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과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는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31,51)의 아래쪽, 즉 설치판(10)에 가까운 쪽에 위치한다.
제1-2 및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37,55)에 형성된 제1 및 제2 절곡부(38,56)의 절곡된 각도는 45도 이하이다. 이때 각도는 절곡되지 않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 부분과 제1 절곡부(38)가 이루는 각도와, 절곡되지 않은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 부분과 제2 절곡부(56)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제1 및 제2 절곡부(38,56)를 45도 이하로 절곡하는 이유는, 45도 이상으로 절곡할 경우,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는 있지만,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에서 송수신되는 제1 또는 제2 편파의 왜곡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2 및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37,55)들의 절곡부(38,56)의 절곡된 각도는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31,51)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31,51)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제1-2 및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37,55)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절곡되는 각도를 점차적으로 줄이더라도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의 20dB 이상의 충분한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제1 절곡부(38)는 제1 듀얼 전송선로(31)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제1-1 절곡부(38a), 제1-2 절곡부(38b),…, 제1-n 절곡부라 한다(n은 자연수). 제2 절곡부(56)는 제2 듀얼 전송선로(51)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제2-1 절곡부(56a), 제2-2 절곡부(56b),…, 제1-m 절곡부라 한다(m은 자연수).
예컨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들 중 아래쪽에 있는 두 개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가 아래에서부터 제1 각도(θ1)와, 제2 각도(θ2)로 제1 절곡부(38a,38b)가 형성된 경우, 제1-1 절곡부(38a)의 제1 각도(θ1)가 제1-2 절곡부(38b)의 제2 각도(θ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들 중 아래쪽에 있는 두 개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가 아래에서부터 제3 각도(θ3)와, 제4 각도(θ4)로 제2 절곡부(56a,56b)가 형성되는 경우, 제2-1 절곡부(56a)의 제3 각도(θ3)가 제2-2 절곡부(56b)의 제4 각도(θ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절곡되지 않는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과 제2-1 방사폴 방사 소자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은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30,50)가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되, 서로 인접한 다이폴 방사 소자들(37,55)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하더라도 안테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은 서로 인접한 다이폴 방사 소자들(37,55)이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100)은 제1 및 제2 편파용으로 사용되는 두 개의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구비하기 때문에, 제1 또는 제2 편파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다.
제2 및 제3 실시예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의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서로 먼 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200)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200)은 설치판(10)에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3)들을 구비한다.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일측에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3)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는 각각 제1 및 제2 설치대(39,59)를 매개로 설치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대수 수기 안테나(30,50)는 서로 직교하면서 서로 근접하게 설치하는 경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와 복수의 제2-1 방사폴 방사 소자(55)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된다.
설치판(10) 내에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함께 근접하게 설치하더라도,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와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의 서로 먼 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서로 근접하게 설치할 경우,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런 이유로 일반적인 경우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별도의 케이스에 넣어 개별적으로 설치한다.
하지만 제2 실시예의 경우,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들이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더라도, 서로 먼 쪽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들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3,53)를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하더라도 안테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들과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들 중 설치판(10)에 가까울수록 길이가 길기 때문에, 해당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과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를 기존과 동일한 평평한 판 형태로 형성하여 근접시킬 경우,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과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 간에 충분한 분리도가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37)과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55)를 판 형태로 형성하여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하되, 복수의 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 중 일부를 내측으로, 즉 설치판(10)의 중심 쪽을 향하여 제3 및 제4 절곡부(36,58)를 형성함으로써,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충분한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3 절곡부(36)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에 형성된다. 제4 절곡부(56)는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에 형성된다. 제3 절곡부(36)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의 끝 부분(단부)이고, 제4 절곡부(58)는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의 끝 부분이다. 제3 및 제4 절곡부(36,58)는 설치판(10)의 안쪽을 향하게 절곡된다.
이때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와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는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31,51)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작게 형성되며, 절곡되는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과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는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31,51)의 아래쪽, 즉 설치판(10)에 가까운 쪽에 위치한다.
제1-1 및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35,57)에 형성된 제3 및 제4 절곡부(36,58)의 절곡된 각도는 45도 이하이다. 이때 각도는 절곡되지 않은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35) 부분과 제3 절곡부(36)가 이루는 각도와, 절곡되지 않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57) 부분과 제4 절곡부(58)가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제3 및 제4 절곡부(36,58)를 45도 이하로 절곡하는 이유는, 45도 이상으로 절곡할 경우, 안테나의 크기 증가를 좀 더 줄일 수 있지만,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에서 송수신되는 제1 또는 제2 편파의 왜곡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1 및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35,57)들의 절곡부(36,58)의 절곡된 각도는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31,51)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31,51)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제1-1 및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35,57)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절곡되는 각도를 점차적으로 줄이더라도 안테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200)의 전파 특성과 분리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절곡되지 않은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를 갖는 비교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과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는 도 6, 도 7 및 표 1과 같다. 여기서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의 신호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비교예(183.85mm) | 제2 실시예(153.26mm) | |||
LOW | HIGH | LOW | HIGH | |
+45 | 1.8221 | 1.5464 | 2.0874 | 1.5204 |
-45 | 1.6544 | 1.6864 | 1.5934 | 1.6351 |
분리도 | 22.070 | 28.169 | 21.800 | 23.146 |
제2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모두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의 간격이 40mm이다. 비교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절곡되지 않은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를 갖기 때문에, 케이스의 직경은 183.85mm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절곡된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를 갖기 때문에, 케이스의 직경은 153.26mm으로 비교예에 비해서 작다.
표 1에서, LOW는 로 밴드(low band), HIGH(high band)는 하이 밴드를 나타내며, 로 밴드와 하이 밴드에서의 +45도 및 ??45도에서의 편파 특성을 나타낸다.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의 크기가 비교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보다는 작지만, +45도 및 ??45도에서의 편파 특성은 유사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분리도 측면에서도,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은 비교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와 유사한 분리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교예 및 제2 실시예의 경우 모두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안테나 시스템의 크기는 비교예에 비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이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300)은 설치판(10)에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는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33)들을 구비한다. 제2 대수 주기 안테나(50)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의 일측에 제1 대수 주기 안테나(30)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53)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는 각각 제1 및 제2 설치대(39,59)를 매개로 설치판(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의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의 서로 먼 쪽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33,53)들의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30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도 2의 100)의 특징과, 제2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도 5의 200)의 특징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제3 실시예에 따른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300)은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 간에 20dB 이상의 분리도를 확보하면서, 제1 및 제2 대수 주기 안테나(30,50)를 하나의 케이스에 설치하더라도 안테나의 크기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광대역화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설치판
30 : 제1 대수 주기 안테나
31 : 제1 듀얼 전송선로
31a : 제1-1 전송선로
31b : 제1-2 전송선로
33 : 제1 다이폴 방사 소자
35 :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
36 : 제3 절곡부
37 :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
38 : 제1 절곡부
39 : 제1 설치대
50 : 제2 대수 주기 안테나
51 : 제2 듀얼 전송선로
51a : 제2-1 전송선로
51b : 제2-2 전송선로
53 : 제2 다이폴 방사 소자
55 :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
56 : 제2 절곡부
57 :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
58 : 제4 절곡부
59 : 제2 설치대
100,200,300 :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30 : 제1 대수 주기 안테나
31 : 제1 듀얼 전송선로
31a : 제1-1 전송선로
31b : 제1-2 전송선로
33 : 제1 다이폴 방사 소자
35 :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
36 : 제3 절곡부
37 :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
38 : 제1 절곡부
39 : 제1 설치대
50 : 제2 대수 주기 안테나
51 : 제2 듀얼 전송선로
51a : 제2-1 전송선로
51b : 제2-2 전송선로
53 : 제2 다이폴 방사 소자
55 :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
56 : 제2 절곡부
57 :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
58 : 제4 절곡부
59 : 제2 설치대
100,200,300 :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Claims (13)
- 제1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1 대수 주기 안테나;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의 일측에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제2 편파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제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을 구비하는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의 단부는 절곡되되,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듀얼 전송선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2 듀얼 전송선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배치된 쪽이 상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소 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 중 일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의 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작게 형성되며, 절곡되는 상기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된 각도는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및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와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의 서로 먼 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다이폴 방사 소자의 단부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수 주기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1 듀얼 전송선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대수 주기 안테나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제2 듀얼 전송선로를 중심으로 양쪽에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가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이 배치된 쪽이 상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소 소자에서 먼 쪽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 중 일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길이가 작게 형성되며, 절곡되는 상기 제1-1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및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된 각도는 45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및 제2-2 다이폴 방사 소자들의 절곡된 각도는 상기 제1 및 제2 듀얼 전송선로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2 다이폴 방사 소자와 상기 복수의 제2-1 다이폴 방사 소자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9615A KR101541376B1 (ko) | 2013-12-04 | 2013-12-04 |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49615A KR101541376B1 (ko) | 2013-12-04 | 2013-12-04 |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4825A KR20150064825A (ko) | 2015-06-12 |
KR101541376B1 true KR101541376B1 (ko) | 2015-08-03 |
Family
ID=53503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49615A KR101541376B1 (ko) | 2013-12-04 | 2013-12-04 |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137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579330A (zh) * | 2017-08-31 | 2018-01-12 | 华桂星 | 一种天线装置及其应用在电梯井道内的信号覆盖方法 |
KR101971659B1 (ko) * | 2018-12-26 | 2019-04-23 | 주식회사 선우커뮤니케이션 | 고이득 야기 안테나 |
KR102388480B1 (ko) * | 2021-12-23 | 2022-04-20 | 성준기 | 와이어와 인쇄회로기판이 조합되어 조립성을 향상시킨 lpda 안테나 |
-
2013
- 2013-12-04 KR KR1020130149615A patent/KR1015413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4825A (ko) | 2015-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21424B2 (ja) | 2偏波共用アンテナ | |
US9590313B2 (en) | Planar dual polarization antenna | |
US8525741B2 (en) | Multi-loop antenna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 |
WO2016175171A1 (ja) | 複合アンテナ装置 | |
KR20090038465A (ko) | 안테나 장치 | |
US20140118210A1 (en) | Stacked antenna assembly with removably engageable components | |
CN109728413B (zh) | 天线结构及终端 | |
US8730116B2 (en) | Wideband high gain antenna | |
EP3474373B1 (en) | Vehicular antenna | |
JP4910197B2 (ja) | アンテナ装置 | |
KR101541376B1 (ko) | 듀얼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
KR101541377B1 (ko) | 크로스 타입의 대수 주기 안테나 시스템 | |
KR101288237B1 (ko) | 원형 편파 및 선형 편파 수신을 위한 패치 안테나 | |
JP2007135212A (ja) |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装置 | |
KR20180003515A (ko) | 소형 광대역 대수 주기 안테나 | |
US6853348B1 (en) | Dual band linear antenna array | |
US20080094303A1 (en) | Planer inverted-F antenna device | |
KR101523026B1 (ko) | 다중대역 옴니 안테나 | |
JP4878024B2 (ja) | アンテナ | |
KR200441931Y1 (ko) | 슬롯형 다중대역 옴니안테나 | |
JP4823274B2 (ja) | 車両ウィンドウ用アンテナ装置 | |
KR101612839B1 (ko) | 차량용 무지향성 3폴 안테나 | |
KR101235748B1 (ko) | 대수 주기 안테나 | |
JP5232577B2 (ja) | 広帯域アンテナ | |
JP5568368B2 (ja) | 広帯域アンテ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