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099B1 -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099B1
KR101541099B1 KR1020150013038A KR20150013038A KR101541099B1 KR 101541099 B1 KR101541099 B1 KR 101541099B1 KR 1020150013038 A KR1020150013038 A KR 1020150013038A KR 20150013038 A KR20150013038 A KR 20150013038A KR 101541099 B1 KR101541099 B1 KR 101541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data
terminal
reference data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반호영
최용근
이수빈
송호영
김향중
서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펙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펙트
Priority to KR1020150013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S100); 수신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특정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수행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산출된 수행결과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를 재설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훈련환자들과 같은 신체움직임 상태를 측정해야 하는 사용자들에게 특정한 신체부위의 특정한 움직임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부합하는 목표치를 제공해주어 재활환자에 맞춤형으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METHOD AND APPLICATION FOR EVALUATING BODY MOVEMENT}
본 발명은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 신체의 움직임데이터를 획득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상태를 평가하고, 이를 반영한 움직임 목표기준을 제시하는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교통사고 등에 의한 재활훈련을 받는 환자가 많아지고 있으며, 질병에 의한 마비증상에 의한 재활 훈련을 받아야 하는 환자도 많다. 그러나 기존의 재활 훈련 방식들은 환자의 재활 상태를 수치를 통해 객관적으로 알려주지 못하였다. 즉, 기존의 재활훈련방식으로는, 재활환자가 어떠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지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재활훈련방식은 환자에 적합한 재활훈련난이도 또는 훈련종류를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환자들은 점진적으로 훈련 강도를 높이면서 재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즉, 환자들의 현재 상태를 적절하게 반영한 목표기준을 제시하여 수행하지 못하였다.
또한, 기존의 방식은 환자들에게 재활훈련의 동기부여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의 재활훈련은 환자들에게 힘들고 재미가 없다는 인식이 심어져 있었다.
사용자의 움직임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평가한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사용자가 스스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평가된 사용자의 신체상태를 고려한 기준데이터(목표치)를 제시하여 사용자의 운동 또는 재활훈련을 장려하는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특정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수행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수행결과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를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센싱주기(Ts)마다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비교수행주기(Tm)마다 상기 학습데이터 자체 또는 평균값을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수행하여 차이값을 측정하고, 상기 차이값을 수행결과 데이터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학습데이터는 상기 센싱주기마다 수신된 상기 움직임데이터로 업데이트되거나 상기 센싱주기마다 수신된 상기 움직임데이터가 누적된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단계는, 기준재설정주기(Ta)마다 대표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데이터가 소정의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준데이터를 특정기준에 따라 높이고, 상기 소정의 설정값 미만이면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기준데이터를 낮추어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대표데이터는 상기 차이값의 누적값, 평균값, 또는 최대값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인디케이터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 단계는 상기 재설정된 기준데이터로 상기 인디케이터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 일측에 표시된 운동범위도형, 상기 운동범위도형 내에 표시되는 상기 기준데이터에 해당하는 위치 또는 범위, 상기 운동범위도형 내에 표시되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최대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인디케이터를 초기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1차원 움직임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반영한 실시간 영상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단계는, 운동범위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운동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운동방향별로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움직임측정유형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움직임데이터 중 상기 선택된 움직임측정유형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단계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와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기준데이터의 일치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단계는 상기 일치율을 바탕으로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기준데이터의 변경범위 또는 변경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수행시간 내의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분석결과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 어플리케이션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기 언급된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재활훈련환자들과 같은 신체움직임 상태를 측정해야 하는 사용자들에게 특정한 신체부위의 특정한 움직임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부합하는 목표치를 제공해주어 재활환자에 맞춤형으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의 물리적으로 신체부위를 움직일 수 있는 최대범위를 측정하여 초기설정하므로, 사용자가 신체구조상 수행할 수 없는 과도한 움직임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정상상태와 비교한 정확한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단말기는 다양한 인디케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는 인디케이터를 통해 목표치(기준데이터표지)와 현재 움직임데이터 표지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최대한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동기부여를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단말기는 게임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장려하여 재미있게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단말기는 다양한 신체움직임 측정유형을 제공하여 다양한 신체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신체부위의 움직임유형 별로 움직임의 크기 측정뿐만 아니라 움직임의 정확도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단말기는 측정한 다양한 수행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결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본인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신체움직임측정장치와 단말기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예시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예시도면이다.
도 6은 1차원 운동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분석결과데이터를 표시한 평가화면의 예시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신체움직임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신체움직임을 센싱하여 유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 움직임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움직임이 손 부위의 움직임인 경우, 손에 착용하는 손착용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재활운동을 위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구비된 센서들에 의해 사용자의 특정한 신체의 세밀한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움직임데이터는, 신체움직임측정장치가 센싱하여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에 해당한다. 즉, 상기 움직임데이터는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포함된 센서들에 의해 측정된 측정값들의 집합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준데이터는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움직임데이터와 비교하는 기준이 되는 값에 해당하며, 단말기의 신체움직임 평가에 따라 재조정되는 값을 말한다. 상기 기준데이터는 특정한 수치값 또는 수치범위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행결과 데이터는, 단말기에 의해 움직임데이터와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신체움직임을 평가한 수치결과 데이터에 해당한다.
본 명세서에서 움직임측정유형은, 움직임데이터를 측정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상기 움직임측정유형은 착용하는 신체움직임측정장치의 종류,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할 움직임의 종류 또는 상기 움직임 요청을 위해 표시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신체움직임측정장치가 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손 착용형 장치인 경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요청할 움직임의 종류는 손을 뒤집는 움직임, 손을 펴고 접는 움직임, 손가락을 차례대로 움직이는 움직임, 손목을 펴고 접는 움직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손을 펴고 접는 움직임의 경우, 제공하는 영상의 종류에 따라 야구글러브로 특정한 타이밍에 공을 잡는 형태, 날아오는 나비를 잡는 형태, 오렌지를 잡고 짜는 형태 등 다양한 유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신체움직임측정장치와 단말기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예시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디스플레이부 일측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예시도면이다. 도 6은 1차원 운동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분석결과데이터를 표시한 평가화면의 예시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는 단말기(100); 제어부(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움직임도형(140); 인디케이터(150); 기준데이터지표(151); 움직임데이터지표(152); 기준점(153) 및 신체움직임측정장치(200);가 도시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신체움직임측정장치와 단말기를 연동하여 사용하는 예시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시스템은,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에 의해서 구현된다.
상기 단말기는 제어부; 통신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 및 고정 단말기로 나뉠 수 있는데,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단말기가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는 이동단말기에 해당하는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의 이동 단말기,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ao phone), 모바일 게임기, 태블릿 PC, 넷북, 노트북(Note Book)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고정단말기에 해당하는 데스크 탑 PC, 텔레비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통신, 디스플레이부상의 재생을 위한 영상처리, 신체움직임 평가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가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통신부는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수신한 움직임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된 평가결과에 따른 출력을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통신부 또는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는 무선 인터넷 모듈; 또는 근거리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비콘(Beac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움직임측정유형(예를 들어, 게임 종류)을 선택받으면,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움직임측정유형에 상응하는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도 4a 또는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서 전송하는 움직임데이터 또는 기준데이터에 따라 화면상의 움직임도형 또는 인디케이터를 변경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 또는 신체움직임 평가 수행 중에 생성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학습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제어부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S100); 수신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특정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수행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S200); 및 상기 산출된 수행결과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를 재설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수신한다(S100). 상기 단말기는 유무선통신 방식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특정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수행결과 데이터를 산출한다(S200). 즉, 상기 단말기는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사용자의 신체움직임의 평가기준(또는 사용자의 목표치)에 해당하는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기준데이터에 비해 나은 움직임을 수행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손가락을 펴고 접는 움직임을 수행할 때, 상기 기준데이터는 손을 접는 정도를 대응시킨 특정한 수치에 해당하고 상기 움직임데이터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손을 접는 정도에 해당하는 수치에 해당할 수 있다. 손을 많이 접을수록 수치가 높다고 가정할 때, 상기 단말기는 상기 움직임데이터 값과 상기 기준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상기 움직임데이터가 기준데이터에 비해 높은 값을 가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단말기는 상기 기준데이터와 상기 움직임데이터의 차이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단계(S200)은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단계(S200)는, 상기 단말기가 센싱주기(Ts)마다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비교수행주기(Tm)마다 상기 학습데이터 자체 또는 평균값을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수행하여 차이값을 측정하고, 상기 차이값을 수행결과 데이터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단말기가 센싱주기(Ts)마다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측정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여, 학습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학습데이터는 상기 센싱주기마다 수신된 상기 움직임데이터로 업데이트되거나 상기 센싱주기마다 수신된 상기 움직임데이터가 누적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즉, 상기 단말기는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소정의 센싱주기(Ts)마다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한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상기 학습데이터의 저장공간으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는, 비교수행 직전에 수신한 움직임데이터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학습데이터를 최신 움직임데이터로 센싱주기마다 계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비교수행 전까지 들어온 움직임데이터 중에서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기 저장된 학습데이터와 최신의 움직임데이터를 비교하여 업데이트 수행여부를 결정하여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비교수행 전까지 들어온 움직임데이터의 평균값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센싱주기마다 수신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상기 학습데이터에 누적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단말기는 비교수행주기(Tm)마다 상기 학습데이터 자체 또는 평균값을 상기 기준데이터와 비교수행하여 차이값을 측정하고, 상기 차이값을 수행결과 데이터로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가 상기 학습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진행한 경우, 상기 학습데이터 자체와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차이값을 측정하고, 상기 차이값을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학습데이터에 상기 센싱주기마다 수신한 움직임데이터를 누적한 경우, 제어부가 상기 학습데이터를 상기 센싱주기의 수만큼 나누어 평균값을 계산하고, 상기 평균값과 상기 기준데이터를 비교하여 산출된 차이값을 수행결과 데이터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비교수행주기는 상기 센싱주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싱주기와 비교수행주기가 일정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비교수행주기는 상기 센싱주기의 배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을 위한 알고리즘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움직임데이터와 기준데이터를 비교하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산출된 수행결과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를 재설정한다(S300). 즉,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가 움직임 능력치에 부합하는 운동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를 반영하여 기준데이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가 재활훈련장치인 경우,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의 재활상태에 적절한 정도의 운동을 요구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더 높은 강도의 움직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면 기준데이터를 높이고, 사용자의 움직임데이터가 기준데이터에 미치지 못하여 현재 기준데이터보다 낮은 정도가 사용자의 상태인지 판단할 필요가 있으면 기준데이터를 낮출 수 있다.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단계(S300)는, 기준재설정주기(Ta)마다 대표데이터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대표데이터가 소정의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준데이터를 특정기준에 따라 높이고, 상기 소정의 설정값 미만이면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기준데이터를 낮추어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단말기는 기준재설정주기(Ta)에 대표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차이값이 상기 움직임데이터에서 상기 기준데이터를 뺀 값일 때, 상기 차이값을 누적한 누적값, 상기 누적값을 상기 비교수행주기의 수만큼 나누어 계산한 평균값, 또는 상기 기준재설정주기 내에 계산된 차이값 중에서 최대값을 대표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기준재설정주기는 상기 비교수행주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준재설정주기와 비교수행주기가 일정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상기 기준재설정주기는 상기 비교수행주기의 배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대표데이터가 소정의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기준데이터를 특정기준에 따라 높이고, 상기 소정의 설정값 미만이면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기준데이터를 낮추어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상기 기준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지를 판단하는 기준에 해당한다. 상기 설정값은 특정한 값(양수, 0, 또는 음수)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가 재활훈련장치에 해당할 경우, 상기 움직임데이터가 상기 기준데이터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상기 기준데이터와 많이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재활훈련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기준데이터를 높힐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상기 설정값을 음수로 처리하여 상기 대표값이 상기 설정값 이상에 해당하면 상기 기준데이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설정값을 0으로 하여, 상기 움직임데이터가 상기 기준데이터 이상이 되어야 상기 기준데이터를 더 높은 값으로 재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기준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기가 상기 대표데이터와 상기 설정값과의 차이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값만큼 상기 기준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고, 상기 차이 크기에 따라 비례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특정한 함수에 차이 크기를 적용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단계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와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기준데이터의 일치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단계는 상기 일치율을 바탕으로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기준데이터의 변경범위 또는 변경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움직임의 정확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기준데이터를 별의 위치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데이터를 움직임도형으로 표시하여 정확도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움직임데이터에 상응하는 움직임도형의 위치가 기준데이터에 해당하는 별 위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측정하여 일치율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산출된 일치율을 바탕으로 기준데이터를 재설정하여, 상기 일치율이 특정기준 값보다 높을 경우에는 난이도를 높여서 상기 별 위치의 변경범위 또는 변경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상기 일치율이 특정기준 값보다 낮을 경우에는 난이도를 낮추어 상기 별 위치의 변경범위 또는 변경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움직임측정유형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움직임데이터 중 상기 선택된 움직임측정유형별로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따라 측정할 수 있는 상기 움직임측정유형이 다양할 수 있으며, 동일한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서도 측정하는 움직임측정유형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 착용형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손목의 움직임, 손을 접고 펴는 움직임, 손을 엎치고 뒤치는 움직임, 손가락을 차례대로 조절하는 움직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일한 신체움직임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동일한 움직임을 사용자에게 수행하도록 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가 생성하여 제공하는 영상에 따라 다양한 움직임측정유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착용형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손목 움직임을 측정하는 경우, 움직임측정유형은 도 4a와 같이 페인트칠을 하는 방식, 낚시를 하는 방식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움직임측정유형을 선택받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터치조작을 수행하여 움직임측정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별도의 리모컨과 같은 장치에 의해서 상기 움직임측정유형을 선택받을 수 있고,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 조작을 통해 선택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착용형의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손목 움직임에 의해 움직임측정유형을 선택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데이터 중 상기 선택된 움직임측정유형에서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선택 또는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인디케이터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 일측에 표시된 운동범위도형, 상기 운동범위도형 내에 표시되는 상기 기준데이터에 해당하는 위치 또는 범위, 상기 운동범위도형 내에 표시되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의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의 운동범위도형은 움직임측정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 일정한 구간을 왕복하는 움직임측정유형은, 도 5a에서와 같이, 직선 또는 막대 형태의 운동범위도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을 접고 펴는 움직임의 경우, 상기 손을 최대한 펼친 제1상태에서 주먹을 진 제2상태 사이에서 움직임이 진행되므로 1차원 데이터로 변환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손목을 돌리는 것과 같이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는 움직임의 경우, 도 5b에서와 같이, 원형의 운동범위도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는 원형의 운동범위도형 내에 사용자의 수행결과 데이터를 방향에 따라 반영한 기준데이터표지를 타원 등의 폐곡선으로 표현할 수 있고, 전체 운동범위도형에서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데이터표지를 구별 가능한 점, 원형 등의 모양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데이터는 상기 움직임데이터가 넘어서야 하는 특정한 수치일 수 있고, 기준점을 중심으로 여러 방향으로 움직임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범위도형 내에 표시되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의 위치는 특정한 기준점을 기초로 하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의 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움직임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상을 실시간으로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 단계(S300)는 상기 재설정된 기준데이터로 상기 인디케이터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설정된 기준데이터에 상응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최대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인디케이터를 초기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마다 물리적으로 특정 신체부위를 움직일 수 있는 최대범위가 상이하므로, 상기 단말기는 각 움직임 방향의 최대움직임데이터를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통해 획득하여 사용자의 신체움직임 정도를 측정하는 기준범위 및 상기 인디케이터의 표시범위를 초기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활훈련 환자들의 경우 정상적인 상태에 비해 현재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되므로, 정상일 때에 비해 현재 어느 정도 재활이 되었는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사용자가 신체구조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최대범위를 파악하여야 이에 대한 현재 움직임데이터의 비율을 계산해서 재활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물리치료사 등의 도움을 받아 물리적 최대움직임데이터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정상상태와 비교한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1차원 움직임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수행 정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직선 형태(또는 막대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움직임은 2차원상 또는 3차원상의 움직임인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손을 펴고 접는 움직임의 경우, 2차원의 움직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단말기는 상기 2차원 또는 3차원의 움직임데이터를 1차원 움직임데이터로 변환을 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본인의 수행결과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가 분석결과데이터 산출할 때에도 최대운동범위에 대한 비율 계산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이하 기술하는 다차원 움직임데이터(2차원 또는 3차원 움직임데이터)를 1차원 움직임데이터로 변환하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다만, 다차원 움직임데이터를 1차원 움직임데이터로 변환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여러 센서 데이터 중에서 필요한 센서 데이터만 추출하거나, 하나의 센서에서 나오는 데이터가 다차원일 경우에는 필요한 한 차원의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착용형의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사용하여 손뒤집기 움직임을 수행하는 경우, x축, y축, z축 각각에 대한 가속도 센서 데이터 중에서 손바닥에 수직인 특정 축(예를 들어, z축)방향의 데이터만 추출하여 손바닥이 향하고 있는 방향을 인식하고, 특정 축 방향의 데이터 크기를 바탕으로 1차원 움직임데이터로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모델링을 통해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가 센싱한 다차원의 움직임 데이터를 1차원의 움직임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착용하고 손목과 같은 관절의 움직임 각도를 측정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는 제1상태에서의 센싱값(제1데이터)과 제2상태에서의 센싱값(제2데이터)을 바탕으로 모델링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관절이 움직인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전체 움직일 수 있는 각도 범위에 대한 상기 각도의 비율을 바탕으로 1차원 움직임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반영한 실시간 영상을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한 움직임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제어부는 화면 내의 움직임도형이 사용자의 실시간 움직임에 부합하는 영상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손목을 움직이는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가 사용자의 실시간 손목 움직임에 대응하여 변하는 손 형태의 움직임도형을 포함한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와 같이, 제어부는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에 따라 물고기 형태의 움직임도형이 상하로 움직이는 실시간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의 실시간 움직임데이터를 반영하여 인디케이터의 움직임데이터지표를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단계는, 운동범위의 기준점을 설정하고,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운동방향을 판단하여 상기 운동방향별로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운동범위의 기준점은 운동방향을 나누는 기준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손을 뒤집는 움직임을 측정하는 경우, 손바닥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상태가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의 수치를 분석하여 상기 기준점을 기초로 운동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손 뒤집기 운동의 경우, 손등의 수직방향을 z축이라고 가정할 때, 가속도 센서 데이터 중 z축 데이터가 0인 경우(손이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경우)를 기준점으로 하여, 상기 단말기는 z축 데이터가 양수인 경우를 손등이 위를 향하는 경우로 인식하고 z축 데이터가 음수인 경우를 손바닥이 위를 향하는 경우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가 운동방향별로 움직임 수행 정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예를 들어, 재활훈련환자가 손목을 다친 경우에 특정방향으로만 손목이 꺾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인식된 운동방향별로 수행결과 데이터를 산출하고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수행시간 내의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를 기초로 산출된 분석결과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가 움직임을 수행할 제한시간(또는 수행시간)을 부여하고, 상기 시간 동안 특정한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행시간 내에 상기 움직임을 수행한 횟수, 상기 움직임의 정확도, 각 움직임방향별 성취도 등을 반영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분석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생성된 분석결과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화면 상에 어떤 게임(신체움직임 유형)을 통해 어떠한 신체움직임(예를 들어, 아래팔의 엎침 및 뒤침)을 수행하였는지, 수행한 시간 또는 신체움직임을 수행한 횟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전체 신체움직임의 움직임방향별 성취도를 평균 계산한 값(예를 들어, 완벽한 신체움직임 수행을 100으로 하였을 때, 움직임방향별 성취도의 평균값)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전 수행에 비해 성취도의 증가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신체움직임(예를 들어, 재활훈련)을 수행한 일자별로 성취도 변화를 제공해줄 수 있으며,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신체부위(예를 들어, 손가락)의 세부적인 움직임(예를 들어, 엄지의 굽힘 또는 펴짐, 검지의 굽힘 또는 펴짐)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체움직임 평가방법은, 하드웨어인 클라이언트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클라이언트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클라이언트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클라이언트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클라이언트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재활훈련환자들과 같은 신체움직임 상태를 측정해야 하는 사용자들에게 특정한 신체부위의 특정한 움직임을 측정하고,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부합하는 목표치를 제공해주어 재활환자에 맞춤형으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의 물리적으로 신체부위를 움직일 수 있는 최대범위를 측정하여 초기설정하므로, 사용자가 신체구조상 수행할 수 없는 과도한 움직임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정상상태와 비교한 정확한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단말기는 다양한 인디케이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자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기는 인디케이터를 통해 목표치(기준데이터표지)와 현재 움직임데이터 표지를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최대한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동기부여를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단말기는 게임을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장려하여 재미있게 재활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단말기는 다양한 신체움직임 측정유형을 제공하여 다양한 신체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신체부위의 움직임유형 별로 움직임의 크기 측정뿐만 아니라 움직임의 정확도도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분석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여섯째, 단말기는 측정한 다양한 수행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결과 제공하여, 사용자가 본인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단말기 200 : 신체움직임측정장치
110 : 제어부 120: 통신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움직임도형
150 : 인디케이터 151 : 기준데이터지표
152 : 움직임데이터지표 153: 기준점

Claims (11)

  1. 단말기와 연동된 신체움직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움직임을 평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의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특정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수행결과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수행결과 데이터를 반영하여 상기 기준데이터를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움직임데이터를 인디케이터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 단계는,
    상기 재설정된 기준데이터로 상기 인디케이터를 업데이트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 일측에 표시된 운동범위도형, 상기 운동범위도형 내에 표시되는 상기 기준데이터에 해당하는 위치 또는 범위, 상기 운동범위도형 내에 표시되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체움직임 평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체움직임이 2차원 운동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기준데이터 범위는 폐곡선으로 표시되며, 상기 움직임데이터의 위치는 상기 폐곡선의 내부, 외부 또는 상기 폐곡선 상의 특정한 지점을 나타내는 점 지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 단계는,
    상기 점 지표의 위치 누적을 통해 형성된 도형과 상기 폐곡선의 비교를 수행하여, 상기 재설정된 기준데이터에 따라 상기 폐곡선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움직임 평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움직임측정장치에 의해 획득된 상기 사용자의 최대움직임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인디케이터의 상기 운동범위도형을 초기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체움직임 평가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결과 데이터 산출단계는,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상기 움직임데이터와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상기 기준데이터의 일치율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준데이터 재설정단계는,
    상기 일치율을 바탕으로, 특정기준에 따라 상기 기준데이터의 변경범위 또는 변경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움직임 평가 방법.
  5. 하드웨어인 단말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신체움직임 평가 어플리케이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013038A 2015-01-27 2015-01-27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1541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038A KR101541099B1 (ko) 2015-01-27 2015-01-27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038A KR101541099B1 (ko) 2015-01-27 2015-01-27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099B1 true KR101541099B1 (ko) 2015-08-03

Family

ID=5387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038A KR101541099B1 (ko) 2015-01-27 2015-01-27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0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50A1 (ko) * 2016-08-24 2018-03-01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비율 결정방법 및 프로그램
WO2018038449A1 (ko) * 2016-08-24 2018-03-01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KR20180100105A (ko) 2018-09-03 2018-09-07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비율 결정방법 및 프로그램
KR20190015438A (ko) * 2019-01-31 2019-02-13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002290B1 (ko) * 2018-02-23 2019-07-23 주식회사 네오펙트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073765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인지 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20037021A (ko) * 2020-09-16 2022-03-24 주식회사 델바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420A (ja) * 1999-06-16 2001-01-0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目標達成度評価装置及び目標達成度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0420A (ja) * 1999-06-16 2001-01-09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目標達成度評価装置及び目標達成度評価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449A1 (ko) * 2016-08-24 2018-03-01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KR20180022494A (ko) 2016-08-24 2018-03-06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비율 결정방법 및 프로그램
KR101896510B1 (ko) * 2016-08-24 2018-09-10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비율 결정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46341B1 (ko) * 2016-08-24 2019-02-11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WO2018038450A1 (ko) * 2016-08-24 2018-03-01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비율 결정방법 및 프로그램
US11325004B2 (en) 2016-08-24 2022-05-10 Neofect Co., Ltd. Method for setting difficulty level of train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the same
KR102002290B1 (ko) * 2018-02-23 2019-07-23 주식회사 네오펙트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100105A (ko) 2018-09-03 2018-09-07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비율 결정방법 및 프로그램
KR101988847B1 (ko) * 2018-09-03 2019-06-13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비율 결정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31139B1 (ko) 2018-12-14 2020-07-08 대한민국 인지 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200073765A (ko) * 2018-12-14 2020-06-24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인지 장애 아동을 위한 인지 훈련 장치 및 방법
KR20190015438A (ko) * 2019-01-31 2019-02-13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KR102073376B1 (ko) 2019-01-31 2020-02-04 주식회사 네오펙트 훈련 컨텐츠의 난이도를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운용하는 전자 장치
KR20220037021A (ko) * 2020-09-16 2022-03-24 주식회사 델바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KR102399326B1 (ko) * 2020-09-16 2022-05-20 주식회사 델바인 페그보드형 재활운동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099B1 (ko) 신체움직임 평가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US10635166B2 (en) Motion predictions of overlapping kinematic chains of a skeleton model used to control a computer system
KR101986327B1 (ko) 자세 가이드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097190B1 (ko) 스마트 미러를 이용하여 실시간 운동 동작을 분석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스마트 미러
US11474593B2 (en) Tracking user movements to control a skeleton model in a computer system
US9477312B2 (en) Distance based modelling and manipulation methods for augmented reality systems using ultrasonic gloves
US20100228487A1 (en) Postur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US20200218355A1 (en) Simulating touch in a virtual environment
CN106999106A (zh) 用于使用可穿戴设备的测量结果生成健康数据的系统和方法
US20100228489A1 (en) Postur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KR20160063126A (ko) 운동 정보 제공 방법과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20160166180A1 (en) Enhanced Real Time Frailty Assessment for Mobile
US11079860B2 (en) Kinematic chain motion predictions using results from multiple approaches combined via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US11175729B2 (en) Orientation determination based on both images and inertial measurement units
US20220155866A1 (en) Ring device having an antenna, a touch pad, and/or a charging pa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based on user motions
US11867530B2 (en) Tracking a moving sports object in varied environmental conditions
US20210068674A1 (en) Track user movements and biological responses in generating inputs for computer systems
WO2020009715A2 (en) Tracking user movements to control a skeleton model in a computer system
KR102356599B1 (ko) 이미지의 관심 영역 결정 방법 및 관심 영역 결정 장치
KR102169079B1 (ko) 어깨 폭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2352680B1 (ko) 촬영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4019B1 (ko) 측정센서장치의 부착위치 초기설정시스템, 초기설정방법 및 초기설정프로그램
JP201619479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158052A (ja) 運動解析装置、運動解析システム、運動解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083424B1 (ko) 덤벨 디바이스를 이용한 운동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