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005B1 -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005B1
KR101541005B1 KR1020150014235A KR20150014235A KR101541005B1 KR 101541005 B1 KR101541005 B1 KR 101541005B1 KR 1020150014235 A KR1020150014235 A KR 1020150014235A KR 20150014235 A KR20150014235 A KR 20150014235A KR 101541005 B1 KR101541005 B1 KR 101541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pipe
perforation hole
urethane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석
Original Assignee
현주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주건설(주) filed Critical 현주건설(주)
Priority to KR1020150014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은, 터널 라이닝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선단측 외주면에는 돌출단턱이 형성되고 후단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관; 상기 삽입관 중단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을 이루되, 선단이 상기 돌출단턱에 걸리는 패킹우레탄; 상기 삽입관의 후단측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패킹우레탄의 후단에 밀착되는 가압블록; 및 상기 삽입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삽입관의 선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가압블록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패킹우레탄은 상기 가압블록에 의해 가압될 때 중단 외경이 증가하도록 변형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측면에 압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은 중앙벽체 상부공간에 고여 있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천공홀 내측면에 압착되므로 중앙벽체 상부공간의 물이 중앙벽체를 타고 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Packing type drainpipe, drain apparatus for tunnel and constructing methode thereof}
본 발명은 터널의 중앙벽체 상부공간에 고여 있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패킹형 배수유도관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중앙벽체 상부공간과 대응되는 라이닝에 형성된 천공홀 내측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패킹형으로 제작되는 배수유도관과,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측에 고이는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배수관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중앙벽체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의 라이닝이 아크 형상으로 타설된 투 아치 터널의 경우, 중앙벽체의 상부공간에는 다량의 물이 고일 수 있으므로, 상기 중앙벽체의 내부에는 상부공간에 고인 물을 아래로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이 마련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 내측에 고인 물은 상기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상기 배수관이 석회질이나 백태에 의해 막히는 경우 원활한 배수가 불가해 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콘크리트 벽체(투 아치 터널의 경우 라이닝)에 별도의 천공홀 형성하면 배수관이 막히더라도 천공홀을 통해 물이 배출될 수 있으나, 천공홀을 통해 배출된 물은 콘크리트 벽체의 외측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므로, 콘크리트 벽체가 오염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천공홀에 별도의 배수파이프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될 수 있으나, 단순히 배수파이프를 천공홀에 삽입하는 경우 천공홀과 배수파이프 사이로 물이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KR 20-0337975 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고여 있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천공홀 내측면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천공홀을 통해 물이 유출된 이후 콘크리트 벽체를 타고 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패킹형 배수유도관과, 상기 패킹형 배수유도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은, 터널 라이닝에 형성된 천공홀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선단측 외주면에는 돌출단턱이 형성되고 후단측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관; 상기 삽입관 중단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을 이루되, 선단이 상기 돌출단턱에 걸리는 패킹우레탄; 상기 삽입관의 후단측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패킹우레탄의 후단에 밀착되는 가압블록; 및 상기 삽입관의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삽입관의 선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가압블록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패킹우레탄은 상기 가압블록에 의해 가압될 때 중단 외경이 증가하도록 변형되어 상기 천공홀의 내측면에 압착된다.
상기 천공홀 내측면과 상기 패킹우레탄과 상기 가압너트 사이에 주입되어, 상기 천공홀과 패킹우레탄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가압너트의 회전을 방지하는 우레탄을 더 포함한다.
상기 패킹우레탄은, 내주면 중단에 오목면이 형성되어, 중단측 내경이 선단측 내경이나 후단측 내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킹형 배수유도관;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삽입관의 후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터널 바닥판의 배수로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관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배수로로 안내하는 발열배수관;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배수관은, 상기 삽입관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전기열선과, 상기 내관 및 전기열선을 감싸는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를 감싸는 외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관의 후단과 상기 내관의 선단에 결합되는 엘보와, 상기 삽입관의 후단과 상기 내관의 선단과 상기 엘보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보온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 시공방법은, 터널의 라이닝 중 중앙벽체의 상단과 대응되는 부위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패킹형 배수유도관을 상기 천공홀 내에 삽입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삽입관의 선단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너트를 회전시켜, 상기 패킹우레탄을 상기 천공홀의 외측면에 압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삽입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터널의 바닥판에 형성된 배수로로 유입되도록, 상기 삽입관의 후단에 발열배수관을 설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패킹우레탄을 상기 천공홀의 외측면에 압착시킨 이후 상기 천공홀 내측면과 상기 패킹우레탄과 상기 가압너트 사이에 우레탄을 주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발열배수관 연결부위에 보온부재를 장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에 고여 있는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천공홀 내측면에 압착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물이 벽체를 타고 흐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상기 패킹형 배수유도관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내의 물이 배수유도관과 천공홀 사이로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터널의 중앙벽체에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가 설치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에 포함되는 발열배수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 제2 실시예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패킹우레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터널의 중앙벽체에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가 설치된 형상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두 개의 본선터널(10) 사이에 세워진 중앙벽체(20)의 상부공간(22)으로 물이 포집되어 고일 때, 이를 바닥판(30) 측에 형성된 배수로(32)로 배수하기 위한 장치로서, 터널 라이닝(12)에 삽입되는 패킹형 배수유도관(100)과, 길이방향 일측(도 1에서는 상측)이 상기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의 후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도 1에서는 하측)이 터널 바닥판(30)의 배수로(32)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패킹형 배수유도관(100)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배수로(32)로 안내하는 발열배수관(200)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부공간(22)에 고인 물은 천공홀(14)로 유입된 후 패킹형 배수유도관(100) 및 발열배수관(200)을 지나 배수로(32)로 배출된다.
이때,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이 천공홀(14)의 내측면에 완벽하게 밀착되지 못하면, 천공홀(14)로 유입된 물이 천공홀(14) 내측면과 패킹형 배수유도관(100) 사이를 통해 누수되어 중앙벽체(20)의 외측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은 천공홀(14)의 내측면에 완벽하게 밀착됨이 바람직한데,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이 천공홀(14)의 내측면에 완벽하게 밀착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면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을 천공홀(14)에 삽입시키는 작업이 어려워지므로, 상기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은 천공홀(14)에 삽입되기 전에는 천공홀(14)의 내경보다 작게 제작되되 천공홀(14)에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외경이 증가하여 천공홀(14)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은, 터널 라이닝(12)에 형성된 천공홀(14)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선단측 외주면에는 돌출단턱(112)이 형성되고 후단측 외주면에는 나사산(114)이 형성된 삽입관(110)과, 상기 삽입관(110) 중단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을 이루되 선단이 상기 돌출단턱(112)에 걸리는 패킹우레탄(120)과, 상기 삽입관(110)의 후단측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패킹우레탄(120)의 후단에 밀착되는 가압블록(130)과, 상기 삽입관(110)의 나사산(114)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삽입관(110)의 선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회전됨에 따라 상기 가압블록(130)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너트(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삽입관(110)은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기준치 이상의 강도를 갖되 물과 장시간 접촉되더라도 부식되지 아니하도록 내수성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면서도, 천공홀(14) 내측면에 압착되었을 때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성 및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외경이 천공홀(14)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단순히 삽입관(110)의 중단을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는 천공홀(14) 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가압너트(140)가 나사산(114)에 나사결합되어 삽입관(110)의 선단측 즉, 돌출단턱(112)이 형성된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가압블록(130)을 삽입관(110)의 선단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압블록(130)은 패킹우레탄(120)의 후단측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패킹우레탄(120)은 길이가 짧아지고 가운데 부위가 부풀어 오르도록 변형되면서 천공홀(14)의 내측면에 압착되는바, 천공홀(14)로 유입된 물은 패킹우레탄(120)과 천공홀(14) 사이로 누수되지 아니하고 모두 삽입관(110)의 내부관통홀을 통해 발열배수관(200) 측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발열 배수관은,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배수로(32) 측으로 안내하되, 물이 내부를 지나는 동안 얼지 아니하고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발열 배수관의 상세 구조는,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는, 이웃하는 두 개의 라이닝(12) 사이 중 중앙벽체(20)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 즉, 중앙벽체(20) 상부공간(22)에 포집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되,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이 천공홀(14)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하여 상기 패킹형 배수유도관(100)과 천공홀(14) 사이로 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중앙벽체(20)가 배수되는 물에 의해 오염될 우려 없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 효과상의 특징이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의 설치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 시공방법은 중앙벽체(20)의 상부공간(22)에 모인 물을 배수로(32) 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터널 배수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으로서, 먼저 터널의 라이닝(12) 중 중앙벽체(20)의 상단과 대응되는 부위를 천공하여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14)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상부공간(22) 내의 물이 천공홀(14)을 따라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천공홀(14)은 상부공간(22)과 연통되는 끝단(도 3에서는 우측끝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천공홀(14) 형성이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110)과 패킹우레탄(120)과 가압블록(130)과 가압너트(140)가 일체로 결합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을 천공홀(14)에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가압너트(140)는 삽입관(110)의 나사산(114)에 결합만 되어 있을 뿐, 패킹우레탄(120)을 가압하지는 아니하므로,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천공홀(14) 내측면에 압착되지 아니하는 원상태를 유지하는바 천공홀(14) 내측으로 원활하게 삽입이 가능해진다.
패킹형 배수유로관이 천공홀(14)에 삽입되면, 가압너트(140)를 체결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가압블록(130)을 삽입관(110) 선단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패킹우레탄(120)의 후단을 선단 방향으로 가압한다.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선단이 돌출단턱(112)에 걸려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므로, 가압블록(130)에 의해 후단이 선단측으로 이동되는 거리만큼 길이가 짧아지고, 길이가 짧아지는 만큼 외경이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길이가 짧아지는 대신 항아리 형상을 이루도록 가운데 부위의 외경이 증가하게 되는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킹우레탄(120)의 외측면이 천공홀(14)의 내측면에 압착된다. 이와 같이 패킹우레탄(120)이 천공홀(14) 내측면에 압착되면, 천공홀(14)로 유입된 물은 패킹우레탄(120)과 천공홀(14) 사이로는 흐르지 못하고, 모두 삽입관(110)의 내측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중앙벽체(20)와 같은 콘크리트 벽체 내부로 각종 전선을 인입시켜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상기 전선이 콘크리트 벽체를 직접 관통하도록 매설되는 경우, 전선이 매설된 부위를 통해 물이 유출되어 중앙벽체(20)를 타고 흘러 내리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이 장착된 경우, 상기 전선을 삽입관(110) 내측으로 삽입시켜 매설할 수 있으므로, 천공홀(14)을 통해 물이 유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일정수준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상태가 되면 상기 가압너트(140)는 후진하는 방향으로 패킹우레탄(120)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너트(14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패킹우레탄(120)은 원상태로 복원되어 외측면이 더 이상 천공홀(14) 내측면에 압착되지 아니하므로, 천공홀(14)로 유입된 물이 패킹우레탄(120)과 천공홀(14) 사이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너트(140)를 나사산(114)에 나사결합시켜 패킹우레탄(120)을 천공홀(14) 내측면에 압착시킨 이후에는, 상기 가압너트(140)가 쉽게 풀리지 아니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14) 내측면과 패킹우레탄(120)과 가압너트(140) 사이에 실리콘(150)을 주입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실리콘(150)이 주입되면, 가압너트(140)가 풀어짐으로 인해 패킹우레탄(120)이 원상태로 복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공홀(14)과 패킹우레탄(120) 사이를 한 번 더 실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천공홀(14)과 패킹우레탄(120) 사이의 밀폐력이 더욱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이 천공홀(14)에 압착 고정되면, 삽입관(110)의 내측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배수로(32)로 안내하기 위한 발열배수관(200)의 길이방향 일단을 상기 삽입관(110)의 후단에 연결한다. 이때, 발열배수관(200)을 삽입관(110) 후단에 직접 결합시키면 발열배수관(200)의 방향 전환에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발열배수관(200)이 삽입관(110)으로부터 쉽게 탈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발열배수관(200)은 엘보(300)를 연결 매개체로 삽입관(11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열배수관(200)은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가지므로 상기 발열배수관(200) 내의 물은 얼지 아니하지만, 일반적으로 엘보(300)는 발열 기능이 없으므로 상기 엘보(300) 내의 물은 상대적으로 쉽게 얼 수 있다. 따라서 발열배수관(200)과 삽입관(110)을 엘보(300)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삽입관(110)의 후단과 엘보(300)와 발열배수관(200)의 선단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보온부재(310)를 추가 시공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부재(310)는 엘보(300)를 지나는 물이 얼지 아니하도록 엘보(300)를 보온시킬 수만 있다면, 스티로폼 등과 같은 단열재나, 보온테이프 등 어떠한 종류의 보온재료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에 포함되는 발열배수관(200)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발열배수관(200)은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내부를 흐르는 물이 얼지 아니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삽입관(110)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내관(210)과, 상기 내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관(210)을 가열시키는 전기열선(220)과, 상기 전기열선(220)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아니하도록 상기 내관(210) 및 전기열선(220)을 감싸는 보온재(230)와, 상기 보온재(23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보온재(230)를 감싸는 외관(24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관(210)은 전기열선(220)에서 발생된 열이 쉽게 전도될 수 있도록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온재(230)는 높은 단열성을 갖도록 폴리실리콘(150)폼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외관(240)은 외부 충격이 인가되더라도 쉽게 깨지거나 찢어지지 아니하도록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내관(210)과 보온재(230)와 외관(240)은 상기 언급한 재료 이외에도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재료로도 대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 제2 실시예의 장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패킹우레탄(12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은, 가압너트(140)의 회전방향에 따라 패킹우레탄(120)이 압축 및 복원되도록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너트(140)와 패킹우레탄(120)이 직접 접촉되면 가압너트(140)에 밀착된 패킹우레탄(120)의 후단이 가압너트(140)를 따라 회전하여 패킹우레탄(120)이 전체적으로 비틀어지므로, 패킹우레탄(120)이 정상적으로 천공홀(14) 내측면에 압착되지 아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우레탄(120)과 가압너트(140) 사이에는, 가압너트(140)에 의해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패킹우레탄(120)의 후단을 가압하되 상기 가압너트(140)와의 마찰력이 낮아 상기 가압너트(140)와는 일체로 회전되지 아니하는 가압블록(130)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이 천공홀(14)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작업자가 가압너트(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가압너트(140)는 항상 라이닝(12) 외측에 위치되어야 함이 바람직한데, 상기 가압블록(130)이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면 패킹우레탄(120)은 항상 가압너트(140)와 인접한 지점 즉, 천공홀(14)의 출구측 끝단에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킹우레탄(120)이 천공홀(14)의 출구측 끝단에 위치되면 상기 패킹우레탄(120)이 외부충격에 의한 파손 우려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에 포함되는 가압블록(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블록(130)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면, 가압너트(140)가 천공홀(14) 외측에 위치하더라도 패킹우레탄(120)을 천공홀(14) 안쪽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패킹우레탄(120)과 천공홀(14) 간이 밀폐신뢰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패킹우레탄(120)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면, 가압블록(130)에 의해 압축될 때 가운데 부위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형상으로 변형되지 아니하고 주름관 형상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패킹우레탄(120)이 주름관 형상으로 변형되면 패킹우레탄(120)과 천공홀(14) 간의 밀착력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가압블록(130)에 의해 압축될 때 항상 가운데 부위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 중단에 오목면(122)이 형성된 형상 즉, 중단측 내경이 선단측 내경이나 후단측 내경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킹우레탄(120)의 내주면 중단에 오목면(122)이 형성되면 상기 패킹우레탄(120)에 길이방향으로 압축력이 인가될 때 오목면(122)이 형성된 부위가 우선적으로 접히게 되므로, 최종적으로는 가운데 부위가 외측으로 부풀어 오르는 형상으로 변형되고, 이에 따라 패킹우레탄(120)과 천공홀(14) 간의 밀착력은 항상 높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이 터널에 적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한 패킹형 배수유도관(100)은 터널뿐만 아니라, 교량이나 댐, 콘크리트 건축물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본선터널 12 : 라이닝
14 : 천공홀 20 : 중앙벽체
22 : 상부공간 30 : 바닥판
32 : 배수로 100 : 패킹형 배수유도관
110 : 삽입관 112 : 돌출단턱
114 : 나사산 120 : 패킹우레탄
122 : 오목면 130 : 가압블록
140 : 가압너트 150 : 실리콘
200 : 발열배수관 210 : 내관
220 : 전기열선 230 : 보온재
240 : 외관 300 : 엘보
310 : 보온부재

Claims (7)

  1. 터널 라이닝(12)에 형성된 천공홀(14)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선단측 외주면에는 돌출단턱(112)이 형성되고 후단측 외주면에는 나사산(114)이 형성된 삽입관(110)과,
    상기 삽입관(110) 중단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튜브 형상을 이루되, 선단이 상기 돌출단턱(112)에 걸리는 패킹우레탄(120)과,
    상기 삽입관(110)의 후단측이 내부를 관통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패킹우레탄(120)의 후단에 밀착되는 가압블록(130) 및
    상기 삽입관(110)의 나사산(114)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삽입관(110)의 선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가압블록(130)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너트(140)를 포함하여,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상기 가압블록(130)에 의해 가압될 때 중단 외경이 증가하도록 변형되어 상기 천공홀(14)의 내측면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형 배수유도관(100);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삽입관(110)의 후단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터널 바닥판(30)의 배수로(32)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삽입관(110) 내부를 통해 배출되는 물을 상기 배수로(32)로 안내하는 발열배수관(200);
    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배수관(200)은, 상기 삽입관(110)과 연통되도록 결합되는 내관(210)과, 상기 내관(21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전기열선(220)과, 상기 내관(210) 및 전기열선(220)을 감싸는 보온재(230)와, 상기 보온재(230)를 감싸는 외관(2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배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공홀(14) 내측면과 상기 패킹우레탄(120)과 상기 가압너트(140) 사이에 주입되어, 상기 천공홀(14)과 패킹우레탄(120) 사이를 실링하고, 상기 가압너트(140)의 회전을 방지하는 실리콘(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배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우레탄(120)은, 내주면 중단에 오목면(122)이 형성되어, 중단측 내경이 선단측 내경이나 후단측 내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배수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110)의 후단과 상기 내관(210)의 선단에 결합되는 엘보(300)와, 상기 삽입관(110)의 후단과 상기 내관(210)의 선단과 상기 엘보(30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보온부재(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배수장치.
  6. 터널의 라이닝(12) 중 중앙벽체(20)의 상단과 대응되는 부위에 천공홀(14)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의한 터널 배수장치를 상기 천공홀(14) 내에 삽입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삽입관(110)의 선단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압너트(140)를 회전시켜, 상기 패킹우레탄(120)을 상기 천공홀(14)의 외측면에 압착시키는 제3 단계;
    상기 삽입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이 터널의 바닥판(30)에 형성된 배수로(32)로 유입되도록, 상기 삽입관(110)의 후단에 발열배수관(200)을 설치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터널 배수장치 시공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패킹우레탄(120)을 상기 천공홀(14)의 외측면에 압착시킨 이후 상기 천공홀(14) 내측면과 상기 패킹우레탄(120)과 상기 가압너트(140) 사이에 실리콘(150)을 주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발열배수관(200) 연결부위에 보온부재(310)를 장착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터널 배수장치 시공방법.
KR1020150014235A 2015-01-29 2015-01-29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541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35A KR101541005B1 (ko) 2015-01-29 2015-01-29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235A KR101541005B1 (ko) 2015-01-29 2015-01-29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005B1 true KR101541005B1 (ko) 2015-08-03

Family

ID=53873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235A KR101541005B1 (ko) 2015-01-29 2015-01-29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0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3523A (zh) * 2021-08-31 2021-12-24 山东大学 一种适用于富水软岩地层隧道台阶开挖的排水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67B1 (ko) 2005-02-18 2005-08-26 주식회사 태조엔지니어링 드레인 유공관을 이용한 중앙 연결부 누수 방지 투아치 터널
KR101501453B1 (ko) 2014-03-20 2015-03-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용 앵커 겸용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67B1 (ko) 2005-02-18 2005-08-26 주식회사 태조엔지니어링 드레인 유공관을 이용한 중앙 연결부 누수 방지 투아치 터널
KR101501453B1 (ko) 2014-03-20 2015-03-12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용 앵커 겸용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3523A (zh) * 2021-08-31 2021-12-24 山东大学 一种适用于富水软岩地层隧道台阶开挖的排水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4401C1 (ru) Способ динамической подачи воды и заделывания отверстий с помощью смолы с высокой водопоглощающей способностью
CN101551046B (zh) 液体输送用管道
RU2502009C1 (ru)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и трубопровод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US4410391A (en) Apparatus for relining an underground gas line or the like without excavation
BR112012032195B1 (pt) acoplamentos encrespados ou estampados para mangueiras reforçadas com cabos
EA007078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кладки кабеля в пакере из набухающего материала
JP2007285522A (ja) 配管配線用挿通ダクト
KR101541005B1 (ko) 패킹형 배수유도관, 이를 이용한 터널 배수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44516B1 (ko) 멀티캡을 포함하는 락볼트 및 그를 이용한 락볼트 시공방법
EP3336268A1 (en) Sealing connector for pipes, such as for outlet pipes
JP2009072574A (ja) 高圧医療ホース用結合ソケット
RU2015136334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пособ защиты соединений труб и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установки
US20150273776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seal a junction between a lined main pipe and a lateral pipe connected thereto
KR20170001881U (ko) 대구경 슬리브 조립체
KR101288061B1 (ko) V형 이중벽관용 이음관
KR100719439B1 (ko) 배관 보수장치의 튜브
JP4828332B2 (ja) 管体接続継手
JP6713296B2 (ja) 閉塞具および管路更生方法
KR101338034B1 (ko) 동파방지용 급수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화장실의 동파방지시스템
JP6904555B2 (ja) 排水路付き閉塞栓
JP2008240940A (ja) 管路を流体で満たすための補助具および管路に流体を注入するための流体注入方法
JP2007046415A (ja) 目地止水用シール材及び目地止水方法
JP4939321B2 (ja) 管路を流体で満たすための補助具および管路に流体を注入するための流体注入方法
JP2007120026A (ja) 埋設計器設置方法および埋設計器保持装置
JP2016017290A (ja) コンクリート型枠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