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464B1 -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464B1
KR101540464B1 KR1020130112713A KR20130112713A KR101540464B1 KR 101540464 B1 KR101540464 B1 KR 101540464B1 KR 1020130112713 A KR1020130112713 A KR 1020130112713A KR 20130112713 A KR20130112713 A KR 20130112713A KR 101540464 B1 KR101540464 B1 KR 101540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ortable terminal
interface unit
base station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3123A (ko
Inventor
김옥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쏠리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쏠리드
Priority to KR102013011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464B1/ko
Publication of KR20150033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이 개시된다.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는 유선 연결을 통해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휴대 단말과의 결합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지국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증폭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 단말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증폭된 신호를 무선 신호 형태로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REPEATER INTERWORKING CRADL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그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계기는 도서 지역, 건물 지하 및 고층 빌딩의 내부 등과 같이 통화가 불가능한 음역 지역에서 통화 품질 향상을 위해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통신 커버리지의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설치, 이용된다.
이러한 중계기는 통신 음역 지역 해소를 위해 실내/외 벽 등에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어 단말기로의 통신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실내/외 벽 등과 같은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어 외관 및 미관에 따른 거부감을 일으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미관에 따른 거부감으로 중계기가 천정 뒤쪽에 설치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며, 이와 같은 경우, 안테나 출력이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서비스 지역이 감소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이 결합되는 경우, 휴대 단말의 통신 기능을 공유하여 음영 지역에서 중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의 결합에 따라 휴대 단말의 통신 기능을 공유함으로써 별도의 안테나 및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아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선 연결을 통해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휴대 단말과의 결합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지국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증폭하는 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 단말의 결합 여부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상기 증폭된 신호를 무선 신호 형태로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 단말의 결합 여부에 따라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 단말로 출력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안테나 및 통신부를 상기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와 공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중계 지원 모드로 설정되되, 상기 중계 지원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써 외부로 전송하며, 외부 장치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바이패스하여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 단말이 결합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중계기 위치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중계 연동 장치 내부 구성으로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결합되면,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치 온(On) 신호를 상기 스위치로 출력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온(On) 신호에 따라 전원을 상기 내부 구성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가 휴대 단말과의 결합을 통해 휴대 단말의 안테나 및 통신 기능을 공유하여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가 휴대 단말과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신호를 중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과의 결합 여부가 감지되면, 상기 휴대 단말로 모드 변경 신호를 출력하여 안테나 및 통신 기능을 공유하도록 설정을 제어하는 단계; 및 기지국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결합된 휴대 단말을 통해 공유된 안테나 및 통신 기능을 통해 무선 신호로써 외부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계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과 결합 여부가 감지되면,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치를 온(On)시켜 상기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에 휴대 단말이 결합되는 경우, 휴대 단말의 통신 기능을 공유하여 음영 지역에서 중계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의 결합에 따라 휴대 단말의 통신 기능을 공유함으로써 별도의 안테나 및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아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의 망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에서 기지국 신호를 중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유선 연결을 통해 기지국과 직접 연결되며, 휴대 단말이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결합되는 경우에만 휴대 단말(120)의 통신 기능을 공유하여 무선 신호를 통신 음영 지역에 송출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휴대 단말(120)이 거치되는 동안 해당 휴대 단말(120)로 전원을 공급하여 휴대 단말(120)을 충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휴대 단말(120)의 안테나 및 통신 기능을 공유하여 기지국 신호를 무선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중계기로, 휴대 단말(120)이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거치되지 않은 경우,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의 전원 스위치를 오프(Off) 시킬 수도 있다. 즉,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휴대 단말(120)이 거치된 경우에만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 스위치를 온(On)시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요금(예를 들어, 전기 요금) 부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제1 인터페이스부(210), 제2 인터페이스부(215), 스위치(220), 신호처리부(225), 메모리(230) 및 제어부(2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인터페이스부(210)는 기지국과 유선 통신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유선 통신을 통해 기지국과 직접 연결되어 기지국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제1 인터페이스부(210)는 기지국을 통해 수신된 기지국 신호를 신호처리부(225)로 출력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215)는 휴대 단말(120)과의 결합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휴대 단말(120)로 신호를 출력하거나 휴대 단말(12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가 기지국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휴대 단말(120)을 통해 무선 중계하는 것만을 가정하고 있으나, 역으로 휴대 단말(120)이 외부의 다른 전자 장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바이패스하여 신호처리부(225)로 출력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함은 당연하다.
스위치(220)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220)는 제어부(235)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 온(On) 신호가 입력되면,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의 내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스위치(220)는 디폴트 상태로 스위치 오프(Off) 상태로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의 내부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차단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휴대 단말(120)이 거치 또는 결합되는 경우, 제어부(235)는 스위치 온(On) 신호를 스위치(220)로 출력하고, 스위치(220)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의 내부 구성들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휴대 단말(120)을 거치하지 않는 경우, 일일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의 전원 차단을 위한 플러그 또는 스위치를 오프가 필요치 않아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전기 요금이 부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220)는 제2 인터페이스부(215)의 인터럽트 신호에 따라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의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즉, 제2 인터페이스부(215)는 휴대 단말(120)과의 결합시, 당해 제2 인터페이스부(215)에 구비된 단자의 일부 핀 인터럽트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120)의 결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인터페이스부(215)는 휴대 단말(120)의 결합이 감지되면, 스위치 온(On) 신호를 스위치(220)로 출력하여 전원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의 내부 구성으로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신호처리부(225)는 제1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입력된 기지국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신호처리한 후 증폭하기 위한 수단이다. 중계기의 신호처리 방법 자체는 이미 공지된 사항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를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저장한다.
제어부(2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10), 제2 인터페이스부(215), 스위치(220), 신호처리부(225), 메모리(23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제어부(235)는 제2 인터페이스부(215)를 통해 휴대 단말(120)이 결합되면, 기지국으로 중계기 위치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계기 위치 등록 절차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235)는 제2 인터페이스부(215)를 통해 휴대 단말(120)의 결합에 따라 모드 변경 신호를 휴대 단말(120)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인터페이스부(215)를 통해 모드 변경 신호가 출력되면, 휴대 단말(120)은 당해 휴대 단말(120)의 안테나 및 통신 기능을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와 공유하도록 설정된다. 이에, 휴대 단말(120)은 제2 인터페이스부(215)를 통해 증폭된 신호가 출력되면, 해당 증폭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20)은 외부 전자 장치를 통해 무선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바이패스하여 제2 인터페이스부(215)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20)은 외부 인터페이스부(310), 통신부(315), 설정부(320), 메모리(325) 및 제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부 인터페이스부(310)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와 결합을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부(310)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와 결합되어 해당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부터 모드 변환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235)로 출력할 수 있다.
통신부(315)는 외부 다른 장치(미도시)와 무선 신호(RF signal)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통신부(315)는 당해 휴대 단말(120)이 중계 지원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외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입력된 증폭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5)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받아 외부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 출력할 수 있다.
설정부(320)는 제어부(330)의 제어에 따라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모드는 중계 지원 모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계 지원 모드는 당해 휴대 단말(120)의 통신 기능을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와 공유하는 모드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를 통해 수신된 증폭된 신호를 통신부(315)를 통해 무선 신호로 전송할 수 있으며, 통신부(315)를 통해 수신된 신호는 별도의 신호처리 없이 바이패스하여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3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20)을 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알고리즘,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이다.
제어부(3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외부 인터페이스부(310), 통신부(315), 설정부(320), 메모리(32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에서 기지국 신호를 중계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휴대 단말(120)이 거치(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당해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휴대 단말(120)이 결합되는 경우, 단자 중 적어도 하나의 핀 인터럽트에 의해 해당 휴대 단말(120)의 거치(결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만일 휴대 단말(120)이 거치(결합)되지 않은 경우, 단계 410에서 대기한다.
그러나 만일 휴대 단말(120)이 거치(결합)된 경우, 단계 415에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치를 온(On)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내부 구성 요소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디폴트 상태로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치가 오프(Off) 상태일 수 있다. 즉,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내부 구성 요소들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전원 차단 상태에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에 휴대 단말(120)이 거치(결합)되면,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치가 온(On)되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어, 단계 420에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모드 변환 신호를 거치(결합)된 휴대 단말(120)로 출력한다.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부터의 모드 변환 신호가 입력되면, 휴대 단말(120)은 모드를 중계 지원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25에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휴대 단말(120)의 거치(결합)에 따라 기지국으로 중계기 위치 등록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4에서 단계 425는 단계 420 이후에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단계 420 이전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단계 420과 병렬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단계 430에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유선 연결된 기지국으로부터 기지국 신호를 수신받아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신호처리하여 증폭한다.
단계 435에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증폭된 신호를 거치(결합)된 휴대 단말(120)로 출력하여 휴대 단말(120)을 통해 무선 신호의 형태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휴대 단말(120)은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와의 거치(결합)에 따라 중계 지원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부터 입력되는 증폭된 신호를 무선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역으로, 휴대 단말(120)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당해 휴대 단말(120)이 중계 지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수신된 신호를 바이패스하여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110)는 휴대 단말(120)과 결합된 경우, 해당 휴대 단말(120)의 안테나 및 통신 기능을 공유하여 중계기로 동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120: 휴대 단말

Claims (8)

  1.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로서,
    유선 연결을 통해 기지국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휴대 단말과의 결합을 위한 제2 인터페이스부; 상기 기지국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증폭하는 신호처리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 단말이 결합된 경우 모드 변경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드 변경 신호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휴대 단말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모드 변경 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의 안테나 및 통신부가 상기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와 공유되는 중계 지원 모드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신호처리부를 통해 증폭된 신호가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로 전달되어 상기 휴대 단말의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외부로부터 상기 휴대 단말을 통해 수신되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로 바이패스된 신호가 상기 제1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기지국 측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신호 경로를 제어하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휴대 단말이 결합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중계기 위치 등록을 수행하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내부 구성으로의 전원 공급 또는 차단을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결합되면, 전원 공급을 위한 스위치 온(On) 신호를 상기 스위치로 출력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온(On) 신호에 따라 전원을 상기 내부 구성으로 공급하는,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30112713A 2013-09-23 2013-09-23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 KR101540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13A KR101540464B1 (ko) 2013-09-23 2013-09-23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2713A KR101540464B1 (ko) 2013-09-23 2013-09-23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23A KR20150033123A (ko) 2015-04-01
KR101540464B1 true KR101540464B1 (ko) 2015-07-30

Family

ID=53030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713A KR101540464B1 (ko) 2013-09-23 2013-09-23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4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672A (ko) * 2007-06-22 200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90115023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펨토셀 구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캐쉬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672A (ko) * 2007-06-22 2008-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중계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090115023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케이티 모바일 펨토셀 구성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캐쉬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123A (ko) 2015-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811B2 (en) Architecture of managing beacons using access points
US10630374B2 (en) Allocating and adjusting power between active ports of a multi-port booster
EP3011704B1 (en) A configuration connection device
US20190123930A1 (en) Multiprotocol Audio/Voice Internet-Of-Things Devices and Related System
US11223415B2 (en) Repeater with low power mode for mobile operations
WO2018191432A1 (en) Signal booster with coaxial cable connections
JP6523810B2 (ja) 無線中継システム、無線中継システムの子機、及び、無線中継システムの復帰方法
WO2003036183A1 (fr) Systeme de commande de conditionneur d'air et conditionneur d'air
KR101540464B1 (ko) 거치대 일체형 중계 연동 장치 및 중계 방법
US20150022724A1 (en) Remote controller and remote controller set applied to display device
US20210049898A1 (en) Wirel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Apparatus
KR101631875B1 (ko) 통신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7182133B (zh) 一种wifi信号中继装置及其控制方法
US10404223B2 (en) Frequency re-bander with UE and power efficiency features
KR20150030948A (ko) 전등 일체형 중계기
EP20861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ensitivity of dual-standby portable terminal
JP2017045226A (ja) 無線通信装置
JP2004320370A (ja) 通信システム
KR20160076332A (ko) 중계 장치
KR20170025770A (ko) 블루투스 절전 어댑터 및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대기전력을 절감하는 방법
JP7043473B2 (ja) スイッチ装置
US11665552B2 (en) Roaming device able to perform a repeater or extender function
JP7291903B2 (ja) 無線装置、センサ無線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負荷システム
CN106465260B (zh) 一种天线设备、供电控制方法及装置
KR100373502B1 (ko) 단말기간 직접 통신이 가능한 무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