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187B1 -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187B1
KR101540187B1 KR1020140138910A KR20140138910A KR101540187B1 KR 101540187 B1 KR101540187 B1 KR 101540187B1 KR 1020140138910 A KR1020140138910 A KR 1020140138910A KR 20140138910 A KR20140138910 A KR 20140138910A KR 101540187 B1 KR101540187 B1 KR 101540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ter
steam
food contain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군
Original Assignee
이해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군 filed Critical 이해군
Priority to KR1020140138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열증기를 식품에 직접 분사하여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증기발생장치가 설치된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기발생장치와 결합되어 과열증기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니들이 케이스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가 거치되어 승·하강하는 조리대가 설치되고, 상기 니들이 식품용기에 담겨진 물에 침수된 상태에서 과열증기를 직접 분사하여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에 고온의 과열증기가 직접 분사되도록 하여 식품의 내·외부가 고르게 익도록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 즉석식품을 단시간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 및 식품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식품을 즉석에서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식품용기 내에 담겨진 끓여지지 않은 물에 고온의 과열증기를 직접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에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용기 내부에서 물을 직접 끓일 수 있도록 하여 식품용기의 재질이 내열성이나 불연성이 높은 특정 재질에 한정되지 않게 되어 종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겨진 식품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Steam generator for cooking food}
본 발명은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열증기를 식품에 직접 분사하여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열증기는 보일러 안에서 발생한 증기를 압력의 변화없이 가열한 열량이 높은 증기이다. 압력을 일정하게 해 두고 액체를 가열하면 온도가 올라가고, 일정온도에 달하면 증발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다시 가열하더라도 전부가 증발할 때까지는 온도가 변하지 않고 액체와 증기가 공존한다. 이것을 습윤포화증기라 하고, 전부 증기가 되어 버린 것을 건조포화증기라 한다. 건조포화증기를 다시 가열하면 증기의 온도는 상승하는데, 이것을 과열증기라 한다.
이러한 고온의 과열증기는 식품산업이나 건조산업 또는 환경 산업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즉 식품의 조리나 건조, 농축, 살균, 멸균이나, 하수슬러지, 축산분뇨, 음식물쓰레기, 하수슬러지, 돼지나 소 등의 동물배설물의 건조 등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증기발생용기에 공급된 물을 증기발생용 히터가 증기로 가열하고, 가열된 증기는 과열증기용 히터에 의하여 과열증기로 가열되어 조리실로 공급하는 과열증기 조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급수라인으로 공급된 물이 분무기를 통해 구획공간으로 분무되면 구획공간 아래의 히터가 분무된 물을 과열증기로 발생시키고 과열증기는 탑재대의 배출구를 통해 조리용기의 공간부로 공급되도록 하는 과열증기를 이용한 조리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리장치는 발생된 증기를 식품의 표면에 분사되도록 하거나 증기가 식품에 간접적으로 가해지도록 설계되어 있어 식품의 내·외부가 고르게 익지 않거나 식품을 조리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로 인하여 식품 조리에 소요되는 가스나 전력 등 에너지의 증가로 식품 조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식품이 용기에 담겨진 상태에서 데우거나 쪄내는 방법 외에 컵라면 등의 끓여진 물을 붓거나 끓여지지 않은 물을 부은 상태에서 물을 끓여 조리해야 하는 식품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조리실 내에서 과열증기를 분사하여 조리해야 하기 때문에 끓여지지 않은 물을 부은 상태에서 물을 끓여 조리해야할 경우에는 식품이 담겨진 용기의 재질이 내열성이나 불연성이 높은 특정 재질에만 한정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6056호(2005.06.1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7527호(2007.05.07.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고온의 과열증기를 식품에 직접 분사하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고, 즉석식품을 단시간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의 절감 및 식품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휴대가 용이한 식품을 즉석에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끓여지지 않은 물을 부은 상태에서 물을 끓여 조리하는 식품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식품용기의 재질에도 제한이 없도록 하는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증기발생장치가 설치된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기발생장치와 결합되어 과열증기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니들이 케이스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가 거치되어 승·하강하는 조리대가 설치되고, 상기 니들이 식품용기에 담겨진 물에 침수된 상태에서 과열증기를 직접 분사하여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리대는,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전산볼트와, 상기 전산볼트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의 승·하강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스토퍼가 결합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하는 가이드봉과, 상기 전산볼트 및 가이드봉에 폭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가 올려진 상태에서 전산볼트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승·하강되는 리프트플레이트와, 상기 전산볼트의 하단에 결합되고,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가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감속기가 연결 설치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은 케이스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복수개의 절곡부가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과 인접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구성되어 리프트플레이트에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를 올려놓고 니들의 증기배출구가 식품용기에 담겨진 물에 침수되도록 리프트플레이트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증기배출구로 물에 직접 과열증기를 배출하여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은 식품을 담는 콘이 끼워지는 콘홀더가 끼움 결합되되, 상기 콘홀더는 중공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니들에 결합되고, 개방된 상부로 식품을 담는 콘이 끼워지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니들은 상부에 지지플레이트가 결합되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식품을 담는 컵의 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식품을 담는 컵의 저면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올려져 지지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식품에 고온의 과열증기가 직접 분사되도록 하여 식품의 내·외부가 고르게 익도록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 즉석식품을 단시간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 및 식품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식품을 즉석에서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식품용기 내에 담겨진 끓여지지 않은 물에 고온의 과열증기를 직접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에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고, 식품용기 내부에서 물을 직접 끓일 수 있도록 하여 식품용기의 재질이 내열성이나 불연성이 높은 특정 재질에 한정되지 않게 되어 종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겨진 식품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리프트플레이트의 승·하강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본 발명은 과열증기를 식품에 직접 분사하여 식품을 조리하기 위한 증기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증기발생장치(10)가 설치된 케이스(1)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증기발생장치(10)는 케이스(1)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케이스(1)에는 증기발생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하여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고, 히터의 온도와 과열증기의 온도를 설정하며, 식품 조리를 위한 과열증기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제어패널(2)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장치(10)와 연결 결합되어 과열증기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니들(20a, 20b)이 케이스(1)의 상단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상기 니들(20a, 20b) 중 어느 하나의 니들(20b)은 케이스(1)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복수개의 절곡부(21)가 구성되어 케이스(1)의 일측면과 인접되도록 케이스(1)의 상단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절곡 및 연장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1)는 일측면에 니들(20b)로부터 분사되는 과열증기로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하기 위하여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를 거치시킬 수 있는 조리대(10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리대(100)는 케이스(1)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전산볼트(110)가 설치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를 승·하강시키고, 상기 전산볼트(110)의 양측에 평행하도록 가이드봉(120)이 설치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의 승·하강을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전산볼트(110) 및 가이드봉(120)은 케이스(1)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에 구비된 고정플레이트(150)에 체결 고정되어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산볼트(110) 및 가이드봉(120)에 폭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리프트플레이트(130)가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플레이트(130)의 평면에는 내측에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가 올려져 지지되며, 상기 리프트플레이트(130)는 전산볼트(110)와 나사 결합하여 전산볼트(110)의 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리프트플레이트(130)가 상·하측으로 이동함으로써 평면에 거치된 식품용기(C)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전산볼트(110)의 하단에는 구동모터(140)를 결합하여 전산볼트(110)를 회전시키거나 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리프트플레이트(130)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어패널(2)로 구동모터(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구동모터(140)는 감속기(141)가 연결 설치되어 전산볼트(110)의 회전 또는 역회전의 속도를 제어하여 리프트플레이트(130) 승·하강의 속도도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가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게 되어 리프트플레이트(130)의 승·하강시에 리프트플레이트(130)에 거치된 식품용기(C)의 이탈 또는 유동에 의한 쓰러짐 등을 방지하고, 식품용기(C) 내부의 물 또는 식품이 용기로부터 쏟아져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봉(120)은 스토퍼(121)가 결합되어 리프트플레이트(130)의 승강을 제한함에 따라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리프트플레이트(130)가 승강하되 식품용기(C)가 니들(20b) 및 고정플레이트(15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억제하여 니들(20b) 및 고정플레이트(15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조리대(100)를 통하여 리프트플레이트(130)에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를 올려놓고,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절곡 및 연장 구성된 니들(20b)의 증기배출구(22)가 식품용기(C)의 내측에 위치되어 식품용기(C)에 담겨진 물에 침수되도록 리프트플레이트(130)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과열증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단시간에 물을 끓여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끓여지지 않은 물을 부은 상태의 컵라면용기를 상기 리프트플레이트(130)에 올려놓고, 상기 전산볼트(110)를 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리프트플레이트(130)를 승강시키되 상기 니들(20b)의 증기배출구(22)가 컵라면용기 내에 부어진 물에 일정 깊이 침수되도록 리프트플레이트(130)를 승강시킨 다음, 고온의 과열증기를 물에 직접 분사시키게 되면 단시간에 물을 끓여 컵라면을 익힐 수 있게 된다.
즉, 물을 끓이기 위해 예열할 필요없이 이미 100℃를 초과한 상태의 고온인 과열증기를 물에 직접 분사하여 단시간에 물을 끓이게 됨으로써, 식품 조리에 소요되는 가스나 전력 등 에너지를 절감하여 식품 조리 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됨은 물론, 식품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식품용기(C) 내부에서 고온의 과열증기를 직접 물에 분사하여 물을 끓일 수 있도록 하여 식품용기(C)에 불이나 전기 등을 통해 직접 열을 가하여 물을 끓이지 않을 수 있게 됨으로써 식품용기(C)의 재질이 내열성이나 불연성이 높은 특정 재질에 한정되지 않게 되어 종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겨진 식품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리프트플레이트(130)의 상·하 이동을 통해 식품용기(C)를 승·하강 시킴은 물론 이를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식품용기(C)에 담겨진 물의 양에 제한 없이 물의 양에 맞추어 니들(20b)의 증기배출구(22)가 적절한 깊이에서 식품용기(C)에 담겨진 물에 침수될 수 있도록 식품용기(C)를 승·하강 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더욱 증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니들(20a, 20b) 중 어느 하나의 니들(20a)은 케이스(1)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식품을 담는 콘이 끼워지는 콘홀더(200)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콘홀터(200)는 중공 형성되어 하부가 니들(20a)에 결합되고, 개방된 상부로 식품을 담는 콘이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콘홀더(200)는 내부에 떡의 재료가 되는 쌀가루 등이 채워진 콘 형상의 즉석식품으로 내부에 과열증기의 분사로 떡이 만들어지는 일명 '콘떡(T)'이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상기 콘떡(T)의 외부 재질은 종이팩이나 합성수지팩 등으로 콘홀더(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중공된 콘홀더(200)의 내부로 돌출된 니들(20a)에 꽂혀져 콘떡(T)의 저면에 통공이 형성되면서 니들(20a)이 콘떡(T)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휴대가 용이한 콘떡(T)을 콘홀더(200)에 간편하게 꽂아 콘떡(T) 내부로 삽입된 니들(20a)을 통해 과열증기를 콘떡(T)에 직접 분사함으로써, 단시간에 콘떡(T)의 내·외부를 고르게 익힐 수 있게 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는 복수개의 상기 니들(20a, 20b) 중 어느 하나의 니들(20a)은 케이스(1)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상부에 지지플레이트(30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식품을 담는 컵의 저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식품을 담는 컵의 저면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올려져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플레이트(300)는 내부에 밥의 재료가 되는 쌀 등이 채워진 컵 형상의 즉석식품으로 내부에 과열증기의 분사로 밥이 만들어지는 일명 '컵밥(R)'이 거치 및 고정된다.
이때, 상기 컵밥(R)의 외부 재질은 종이팩이나 합성수지팩 등으로 지지플레이트(300)에 올려진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300) 상측의 니들(20a)에 꽂혀져 컵밥(R)의 저면에 통공이 형성되면서 니들(20a)이 컵밥(R)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휴대가 용이한 컵밥(R)을 지지플레이트(300)에 간편하게 올린 상태에서 니들(20a)에 꽂아 컵밥(R) 내부로 삽입된 니들(20a)을 통해 과열증기를 컵밥(R)에 직접 분사함으로써, 단시간에 컵밥(R)의 내·외부를 고르게 익힐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냉동식품이 담겨진 컵이 상기 지지플레이트(300)에 올려져 과열증기를 통해 조리될 때, 냉동된 식품이 해동되는 과정을 거쳐 조리됨에 따른 응결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물이 자연스럽게 지지플레이트(300)의 가장자리를 타고 내려가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를 사용하면 식품에 고온의 과열증기가 직접 분사되도록 하여 식품의 내·외부가 고르게 익도록 조리할 수 있음은 물론 즉석식품을 단시간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 및 식품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휴대가 용이한 식품을 즉석에서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으며, 식품용기 내에 담겨진 끓여지지 않은 물에 고온의 과열증기를 직접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단시간에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용기 내부에서 물을 직접 끓일 수 있도록 하여 식품용기의 재질이 내열성이나 불연성이 높은 특정 재질에 한정되지 않게 되어 종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용기에 담겨진 식품도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시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 케이스 2 : 제어패널
10 : 증기발생장치 20a, 20b : 니들
21 : 절곡부 22 : 증기배출구
100 : 조리대 110 : 전산볼트
120 : 가이드봉 121 : 스토퍼
130 : 리프트플레이트 140 : 구동모터
141 : 감속기 150 : 고정플레이트
200 : 콘홀더 300 : 지지플레이트
C : 식품용기 R : 컵밥
T : 콘떡

Claims (5)

  1. 내부에 증기발생장치(10)가 설치된 케이스(1)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기발생장치(10)와 결합되어 과열증기가 배출되는 복수개의 니들(20a)이 케이스(1)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개방된 상부로 식품을 담는 콘이 끼워지는 콘홀더(200)의 하부가 상기 니들(20a)에 끼움 결합되고, 식품을 담는 컵의 저면이 올려져 지지되는 지지플레이트(300)가 상기 니들(20a)의 상부에 결합되는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에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가 거치되어 승·하강하는 조리대(100)가 설치되고, 니들(20b)이 식품용기(C)에 담겨진 물에 침수된 상태에서 과열증기를 직접 분사하여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하되,
    상기 조리대(100)는,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를 승·하강시키는 전산볼트(110)와,
    상기 전산볼트(110)의 양측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의 승·하강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스토퍼(121)가 결합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의 지나친 상승을 억제하는 가이드봉(120)과,
    상기 전산볼트(110) 및 가이드봉(120)에 폭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어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가 올려진 상태에서 전산볼트(110)의 회전 또는 역회전을 통해 승·하강되는 리프트플레이트(130)와,
    상기 전산볼트(110)의 하단에 결합되고,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가 안정적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감속기(141)가 연결 설치된 구동모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20b)은 케이스(1)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되, 복수개의 절곡부(21)가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1)의 일측면과 인접되도록 하측으로 연장 구성되어 리프트플레이트(130)에 물이 담겨진 식품용기(C)를 올려놓고 니들(20b)의 증기배출구(22)가 식품용기(C)에 담겨진 물에 침수되도록 리프트플레이트(130)를 승강시킨 상태에서 증기배출구(22)로 물에 직접 과열증기를 배출하여 물을 끓여 식품을 조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38910A 2014-10-15 2014-10-15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KR101540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910A KR101540187B1 (ko) 2014-10-15 2014-10-15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910A KR101540187B1 (ko) 2014-10-15 2014-10-15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0187B1 true KR101540187B1 (ko) 2015-07-28

Family

ID=5387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910A KR101540187B1 (ko) 2014-10-15 2014-10-15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1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6648A (zh) * 2018-10-25 2020-05-0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和烹饪装置
CN115959431A (zh) * 2023-02-23 2023-04-14 中山市顶盛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卸料功能的苏打饼干生产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542B2 (ja) * 1999-08-30 2007-01-10 豊田テクノ株式会社 過熱水蒸気を用いた食品の調理設備
KR20140109589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 레인지
KR20140112342A (ko) * 2013-03-27 2014-09-23 주식회사 휴먼네이처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542B2 (ja) * 1999-08-30 2007-01-10 豊田テクノ株式会社 過熱水蒸気を用いた食品の調理設備
KR20140109589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 오븐 레인지
KR20140112342A (ko) * 2013-03-27 2014-09-23 주식회사 휴먼네이처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96648A (zh) * 2018-10-25 2020-05-0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和烹饪装置
CN115959431A (zh) * 2023-02-23 2023-04-14 中山市顶盛食品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卸料功能的苏打饼干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74747A1 (en) Device for cooking and heating and/or reviving of portions of fresh and/or frozen pre-cooked pasta and other food preparations
KR20060006472A (ko) 가열조리장치
CN202521667U (zh) 双层微波炉
KR101540187B1 (ko)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RU2017143889A (ru) Парова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огрева и/или варки на пару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емкости
KR101525350B1 (ko) 스팀 조리기
KR101541615B1 (ko) 중탕기
JP2003144308A (ja) 炊飯器
KR20170056741A (ko) 스팀노즐의 세척기능이 포함된 즉석식품 조리장치
JP2012187295A (ja) 炊飯器
KR101319980B1 (ko) 식품 조리용 증기발생장치
KR20170056740A (ko) 스팀노즐의 세척이 가능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CN105395044A (zh) 电蒸炉
KR102050669B1 (ko) 무압 증기발생장치
CN201925977U (zh) 炒菜烧水组合机
JP2007044459A (ja) 電子レンジ用蒸し器
JP2012102917A (ja) 蒸気調理器
JP6825993B2 (ja) 加熱調理器
KR200399918Y1 (ko) 빨래 삶기 용기
JP4186821B2 (ja) 炊飯器
KR200199917Y1 (ko) 밥 조리장치
JP2004057546A (ja) 炊飯器
KR200392587Y1 (ko) 수산물 증숙장치
CN207011669U (zh) 煮果装置
JP2019095088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