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325B1 -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325B1
KR101539325B1 KR1020150013930A KR20150013930A KR101539325B1 KR 101539325 B1 KR101539325 B1 KR 101539325B1 KR 1020150013930 A KR1020150013930 A KR 1020150013930A KR 20150013930 A KR20150013930 A KR 20150013930A KR 101539325 B1 KR101539325 B1 KR 101539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creen
generator
valu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지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지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지에스
Priority to KR102015001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Circuit Breakers, Generators, And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몸체와, 상기 단말기몸체에 설치되는 터치패널과, 상기 단말기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패널을 제어하는 MCU로 이루어지는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있어서, 발전기의 기본정보를 설정부화면에 입력하는 입력단계;상기 발전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임계값을 세팅하는 세팅단계; 상기 정해진 임계값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구동박식으로 부하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방식과 부하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부하를 투입한 후 각 부하에 사용된 시간이 저장되고, 저장된 내용은 부하를 운영하는데 사용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Exbank using generator test system}
본 발명은 EX뱅크(Exhaustion Banks, 일반적으로 부하 측정기라고 하며, 로드뱅크라고 불린다)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EX뱅크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부하시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드뱅크는 동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2782호의 배경기술로 기재된 바와 같이 발전기나 무정전 전원장치(UPS)와 같은 전력원을 시험하기 위한 전기 부하들을 제공하도록 고안된 장치이며, 발전기의 테스트, 무정전 전원장치의 테스트, 배터리 시스템 테스트 및 터빈 공장 테스트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로드뱅크는 발전기, 연료전지, 태양전지, 풍력발전기 등의 전력발생장치나 배터리, UPS, 인버터, 변압기 등의 전력변환장치를 시험하기 위한 장치로서, 히터, 저항기와 리액터 또는 콘덴서 등의 부하기기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뱅크는 일반적으로 저항기(RESISTOR)와 리액터(REACTOR)를 조합한 구성을 가지며, 순수한 정격출력을 저항기로만 시험할 경우와 역률부하를 시험할 경우를 각각 대비하여 저항기와 리액터가 조합되어 제작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2782호의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승템에 의하면, 히터 어레이와 리액터 어레이가 부하로 이루어지며, 병렬회로로 구성되는 다수의 로드뱅크; 상기 로드뱅크의 병렬회로 구성에 의해 로드뱅크를 독립 제어하거나 그룹 제어하되, 부하 설정치와 히터용량, 리액터 용량을 비교하여 히터와 리액터를 투입 혹은 차단하는 메인 PLC 또는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각 로드뱅크의 전류, 전압, 역률, 전력값을 측정하여 메인 PLC 또는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하는 파워미터; 및 상기 전 로드뱅크에 수행명령을 입력하거나 전 파워미터의 측정값들을 출력하며, 로드뱅크별로 제어하고자 하는 유효전력과 역률을 독립적으로 입력하거나 동등하게 분배하여 입력하는 메인 HMI를 포함하는 로드뱅크 병렬제어 시스템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86747호의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의 부하투입 제어방법에 의하면, 히터 어레이와 리액터 어레이가 부하로 이루어지며, 병렬회로로 구성되는 다수의 로드뱅크; 상기 로드뱅크의 병렬회로 구성에 의해 로드뱅크를 독립 제어하거나 그룹 제어하되, 부하 설정치와 히터용량, 리액터 용량을 비교하여 히터와 리액터를 투입 혹은 차단하는 메인 PLC 또는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각 로드뱅크의 전류, 전압, 역률, 전력값을 측정하여 메인 PLC 또는 메인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하는 파워미터; 및 상기 전 로드뱅크에 수행명령을 입력하거나 전 파워미터의 측정값들을 출력하며, 로드뱅크별로 제어하고자 하는 유효전력과 역률을 독립적으로 입력하거나 동등하게 분배하여 입력하는 메인 HMI;를 포함하는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용량(A1,A2,…,AN)을 갖는 다수의 히터로 이루어진 히터 어레이를 부하로 갖는 로드뱅크의 부하투입을 제어하는 방법은: 용량이 가장 큰 히터값(A1)을 설정 부하값(X)과 비교하여 가장 큰 히터값이 설정 부하값 보다 작은 경우, 가장 큰 히터값을 갖는 히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투입하는 제1단계와, 상기 가장 큰 히터값이 설정 부하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 두 번째 큰 히터값(A2)을 설정 부하값과 비교하여 두 번째 큰 히터값이 설정 부하값 보다 작은 경우 두 번째 큰 히터값을 갖는 히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투입하는 제2단계와, 상기 가장 큰 히터값을 갖는 히터를 투입한 경우에 두 번째 큰 히터값(A2)과 설정 부하값에서 가장 큰 히터값을 뺀 값(X-A1=X1)을 비교하여, 두 번째 큰 히터값이 설정 부하값에서 가장 큰 히터값을 뺀 값(X1)보다 작으면 두 번째 큰 히터값을 갖는 히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투입하는 제3단계와, 상기 두 번째 큰 히터값이 설정 부하값보다 작지 않은 경우에 세 번째 큰 히터값을 설정 부하값과 비교하여 세 번째 큰 히터값이 설정 부하값 보다 작은 경우, 세 번째 큰 히터값을 갖는 히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투입하는 제4단계와, 상기 두 번째 큰 히터값을 갖는 히터를 투입한 경우에 세 번째 큰 히터값(A3)과 상기 X1에서 두 번째 큰 히터값을 뺀 값(X1-A2=X2)을 비교하여, A3이 X2보다 작으면 세 번째 큰 히터값을 갖는 히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투입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4단계와 제5단계를 가장 작은 히터값(AN)을 갖는 히터의 전기적 연결에 의한 투입까지 반복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의 부하투입 제어방법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어방법은 부하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방식과 부하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으며, 부하를 투입한 후 각 부하에 사용 시간이 저장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용량의 발전기를 목표한 부하 설정치의 최대 근사값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몸체와, 상기 단말기몸체에 설치되는 터치패널과, 상기 단말기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패널을 제어하여 MCU로 이루어지는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있어서, 발전기의 기본정보를 설정부화면에 입력하는 입력단계;상기 발전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임계값을 세팅하는 세팅단계; 상기 정해진 임계값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박식으로 부하를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방식과 부하를 동시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부하를 투입한 후 각 부하에 사용된 시간이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부하를 운영하는데 사용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단말기 사진.
도 2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메인화면 상세도.
도 3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설정부화면 상세도.
도 4는 발전기 테스티 제어시스템의 설정부화면에 다이얼패드가 표시된 상세도.
도 5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설정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6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쿨링팬 제어부화면 상세도.
도 7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쿨랭팬 제어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8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부하 제어부화면 상세도.
도 9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부하 제어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10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거버너 제어부화면 상세도.
도 11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거버너 제어부화면에 다이얼패드가 표시된 상세도.
도 12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거버너 제어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13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측정부화면 상세도.
도 14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측정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15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감시부화면 상세도.
도 16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감시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17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에러 발생 시의 알고리즘도.
도 18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전체 알고리즘도.
도 19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운전시 투입부하 알고리즘도.
본 발명은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몸체(10)와, 상기 단말기몸체(10)에 설치되는 터치패널(20)과, 상기 단말기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패널(20)을 제어하는 MCU로 이루어지는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있어서, 발전기의 기본정보를 설정부화면(21)에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발전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임계값을 세팅하는 세팅단계; 상기 정해진 임계값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팅단계는 단말기몸체(10)에 내장된 MCU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이 제어부화면(22)에 표시되되, 상기 제어부화면(22)은 쿨링팬화면, 부하화면, 가버너화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정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에 대한 전력값이 표시되는 측정부화면(23)과,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에 대한 부하값이 표시되는 감시부화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단말기 사진, 도 2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메인화면 상세도, 도 3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설정부화면 상세도, 도 4는 발전기 테스티 제어시스템의 설정부화면에 다이얼패드가 표시된 상세도, 도 5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설정부화면 알고리즘도, 6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쿨링팬 제어부화면 상세도, 도 7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쿨랭팬 제어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8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부하 제어부화면 상세도, 도 9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부하 제어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10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거버너 제어부화면 상세도, 도 11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거버너 제어부화면에 다이얼패드가 표시된 상세도, 도 12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거버너 제어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13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측정부화면 상세도, 도 14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측정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15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감시부화면 상세도, 도 16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감시부화면 알고리즘도, 도 17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에러 발생 시의 알고리즘도, 도 18은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전체 알고리즘도, 도 19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의 운전시 투입부하 알고리즘도 도면이다.
단말기몸체(10)와, 상기 단말기몸체(10)에 설치되는 터치패널(20)과, 상기 단말기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패널(20)을 제어하는 MCU로 이루어지는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은 발전기의 기본정보를 설정부화면(21)에 입력하는 입력단계와, 상기 발전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임계값을 세팅하는 세팅단계와, 상기 정해진 임계값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몸체가 부팅되면 터치패널에는 메인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터치패널은 단말기몸체에 내장된 MCU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따라 제어되는 각각의 설정부화면, 제어부화면, 측정부화면, 감시부화면이 터치패널에 표시된다.
즉, 사용자가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각각의 설정부화면, 제어부화면, 측정부화면, 감시부화면의 아이콘을 터치하게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는 MCU에 입력되어 처리되고, 상기 MCU에서 처리된 데이터는 터치패널에 출력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인화면에서 설정부화면의 아이콘을 터치하게되면, 입력되는 데이터에 의해서 터치패널에는 설정부화면이 출력되어 표시된다.
상기 설정부화면은 테스트 하고자 하는 발전기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다.
즉, 설정부화면에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발전기의 발전기용량, 발전기주파수, 발전기 전격전압, 부하용량, 부하전력, 부하역률의 아이콘들이 배열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설정부화면에 표시되는 각각 아이콘의 우측에는 발전기의 기본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숫자 창이 표시된다.
또한, 단말기몸체에는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의 좌측에 OP KEY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OP KEY를 누르고 터치패널에 표시된 원하는 숫자 창을 터치하게 되면 숫자로 구성된 다이얼패드가 설정부화면에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테스트 하고자 하는 발전기의 기본정보 값을 다이얼패드에 입력하게되면 테스트하고자 하는 발전기의 기본정보와 같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설정부화면의 하단에는 각각의 제어부화면, 측정부화면, 감시부화면, 메인화면 아이콘들로 구성된 탭이 있어 원하는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패널에 표시된다.
한편, 세팅단계는 단말기몸체(10)에 내장된 MCU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이 제어부화면(22)에 표시되되, 상기 제어부화면(22)은 쿨링팬화면, 부하화면, 가버너화면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메인화면상에서 제어부화면을 터치하거나, 또는 설정부화면에서 제어부화면탭 아이콘을 터치하여 누르게 되면, 입력되는 데이터 의해서 터치패널에는 제어부화면이 출력되어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화면의 하단에는 각각의 쿨링팬, 부하, 가버너, 메인화면 탭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쿨링팬 탭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화면의 쿨링팬화면에는 발전기의 팬 가동상태와 운전가능 상태가 표시된다.
즉, 제어부화면의 쿨링팬화면에는 팬 가동아이콘과 정지아이콘이 터치패널의 좌측 상단에 표시되며, 쿨링팬 정지시간 설정이 가능하고, 쿨링팬의 잔여 정시시간을 알 수 있도록 터치패널에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화면의 쿨링팬화면 중심부에는 FAN1 ~ FAN12 총 12가지의 팬 동작 상태를 알리는 아이콘이 터치패널에 배열되어 표시된다.
또한, 제어부화면의 쿨링팬화면 아이콘들은 작동 시 녹색으로 표시되고, 정지 시에는 적색으로 표시되며, 에러나 알람이 발생할 경우 적색 점멸이 표시된다.
즉, 제어부화면의 쿨링팬화면에는 FAN1 ~ FAN12까지의 냉각팬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화면의 쿨링팬화면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각각 에러가 발생된 냉각팬 아이콘들은 적색 점멸이 표시되며, 상기 에러를 알리는 알람의 종류는 팬알람, 리액터알람, 히터알람, 비상정지알람 아이콘들로 구성된다.
상기 팬알람은 발전기의 팬이 작동되지 않을 경우 단말기몸체에 내장된 MCU에 팬이 작동되지 않는 데이터에 대한 입력신호가 MCU에 전달되어 처리되고, 상기 MCU에 전달되어 처리된 입력신호는 제어부화면으로 데이터가 출력되어 팬알람 아이콘이 적색으로 점멸된다.
상기 리액터알람은 발전기 작동 중에 리액터의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온도로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면 측정된 데이터는 단말기몸체에 내장된 MCU에 전달되어 처리되고, 상기 MCU에 전달되어 처리된 입력신호는 제어부화면으로 데이터가 출력되어 리액터알람 아이콘이 적색으로 점멸된다.
상기 히터알람은 발전기 작동중에 히터의 설정된 온도보다 높은온도로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면 측정된 데이터는 단말기몸체에 내장된 MCU에 전달되어 처리되고, 상기 MCU에 전달되어 처리된 입력신호는 제어부화면으로 데이터가 출력되어 리액터알람 아이콘이 적색으로 점멸된다.
비상정지알람은 비상정지 스위치를 ON하게되면 스위치 상태에 대한 데이터가 단말기몸체에 내장된 MCU에 전달되어 처리되고, 상기 MCU에 전달되어 처리된 입력신호는 제어부화면으로 데이터가 출력되어 비상정지알람 아이콘이 적색으로 점멸된다.
사용자가 부하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화면의 부하화면에는 부하와 역률에 대한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부하탭은 단말기몸체가 실행되어야지만 설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단말기몸체가 실행된 상태에서 부하화면의 부하와 역률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부하화면의 부하 창에서 표시되는 0.1%, 0.2%, 0.5%, 1.0%, 2.0%, 5.0% 아이콘을 선택하여 녹색으로 표시되게 한다.
그리고 OP KET(30)를 누른 후 부하 아이콘 우측에 표시되는 상부를 가르키는 화살표와 하부를 가르키는 화살표를 터치하여 부하값을 변경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OP KET를 누르고 부하율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숫자로 구성된 다이얼패드가 부화화면에 나타나게 되고, 상기 다이얼패드를 터치하면 부하율은 수정된다.
또한, 변경된 부하와 부하율 값으로 발전기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단말기몸체에 구비된 TRIM 기능을 사용하면 작동 중 변경된 부하와 부하율값이 반영되고 역률값은 MCU에 의해 측정되어 역률창에 표시된다.
부하화면에서 에러가 발생할 경우 해당하는 알람이 점멸되고, 일정시간 이상 알람이 점멸될 경우 MCU가 알람을 감지하여 LOAD-STOP 시킨다.
그리고 상기 MCU는 FAN-STOP 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제어부화면의 가버너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가버너시험 모드로 화면이 전환된다.
가버너시험 모드는 무효전력, 유효전력, 역률에 대한 실제 값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버너화면에는 무효전력, 유효전력, 역률에 대한 실제 값이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해당하는 부하값에 대한 무효전력, 유효전력, 역률의 실제값을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측정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에 대한 전력값이 표시되는 측정부화면(23)과,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에 대한 부하값이 표시되는 감시부화면으로 구성된다.
메인화면에서 측정화면 탭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패널에는 측정화면이 표시되며, 다양한 측정값을 더 세밀하게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메인화면에서 감시화면을 터치하게 되면, 터치패널에는 감시화면이 표시되며, 발전기 운전 중 실제 저항용량 및 리액터용량별 부하를 확인 할 수 있게 터치패널에 표시된다.
?
한편, 발전기 운전 시 투입부하에 대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투입해야 하는 부하값을 확인한다.
그리고 가장 큰값 단위 용량을 KW로 나눗셈 계산을 하여 몫과 나머지를 구한다.
나머지가 몫에 해당하는 부하를 할당한 후 나머지 KW를 구하고, 다음 용량값을 제수로 지정한다.
나머지 KW의 용량이 최소용량보다 적을 경우 계산된 부하를 투입한다.
또한 발전기 운전 시 투입부하에 대한 알고리즘 구동방식은 부하 순차 구동과 부하 동시 구동방식이 있다.
부하를 투입한 후 각 부하에 사용된 시간은 MCU에 의해서 저장되고, 저장된 내용은 부하를 운영하는데 사용된다.
10 : 단말기몸체 20 : 터치패널 21 : 설정부화면
22 : 제어부화면 23 : 측정부화면 24 : 감시부화면
30 : OP KEY

Claims (3)

  1. 단말기몸체(10)와, 상기 단말기몸체(10)에 설치되는 터치패널(20)과, 상기단말기몸체(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터치패널(20)을 제어하는 MCU로 이루어지는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에 있어서,
    발전기의 기본정보를 설정부화면(21)에 입력하는 입력단계;
    상기 발전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임계값을 세팅하는 세팅단계;
    상기 임계값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측정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세팅단계는 단말기몸체(10)에 내장된 MCU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이 제어부화면(22)에 표시되되, 상기 제어부화면(22)은 쿨링팬화면, 부하화면, 가버너 화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정단계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에 대한 전력값이 표시되는 측정부화면(23)과,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계값에 대한 부하값이 표시되는 감시부화면(24)으로 구성되고,
    또한, 발전기 운행 시 투입부하에 대한 알고리즘은 발전기에 투입해야 하는 부하 값을 확인한 후 가장 큰 값의 단위 용량을 KW로 나눗셈 계산을 하여 몫과 나머지를 구하고, 상기 몫과 나머지에 해당하는 부하를 할당한 후 나머지 KW를 구하며 다음 용량 값을 제수로 지정하되, 상기 나머지 KW의 용량이 최소용량보다 적을 경우 계산된 부하를 투입하고,
    발전기 운행 시 투입부하에 대한 알고리즘 구동방식은 부하 순차구동과 부하 동시구동 방식으로 구분되고, 상기 부하를 투입한 후 각 부하에 사용된 시간은 MCU에 의해서 저장되며, 저장된 내용은 부하를 운영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50013930A 2015-01-29 2015-01-29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 KR101539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30A KR101539325B1 (ko) 2015-01-29 2015-01-29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930A KR101539325B1 (ko) 2015-01-29 2015-01-29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325B1 true KR101539325B1 (ko) 2015-07-24

Family

ID=5387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930A KR101539325B1 (ko) 2015-01-29 2015-01-29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3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782B1 (ko) * 2012-06-01 2012-11-19 이종만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
KR101286747B1 (ko) * 2012-08-31 2013-07-23 이종만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의 부하투입 제어방법
KR101359635B1 (ko) * 2013-09-17 2014-02-06 이종만 로드뱅크의 병렬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782B1 (ko) * 2012-06-01 2012-11-19 이종만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
KR101286747B1 (ko) * 2012-08-31 2013-07-23 이종만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의 부하투입 제어방법
KR101359635B1 (ko) * 2013-09-17 2014-02-06 이종만 로드뱅크의 병렬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965B1 (ko) 부하 연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86747B1 (ko)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의 부하투입 제어방법
JP6958287B2 (ja) 電力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
JP2020109720A (ja) 蓄電池評価装置、蓄電池評価方法及び蓄電池評価システム
KR101539333B1 (ko) 발전기 테스트 제어시스템
JP5608485B2 (ja) 電池残量算出回路
KR101359635B1 (ko) 로드뱅크의 병렬제어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CN108072841A (zh) 用于确定电池的相对充电状态的方法和装置
KR101202782B1 (ko) 로드뱅크 병렬제어시스템
JP5332062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およびバッテリの充電方法
KR101539325B1 (ko) Ex뱅크를 이용하는 발전기 테스트 제어방법
JP2011075443A (ja) 配電システム及び蓄電池残容量算出方法
JP6202988B2 (ja) 電力計測システム、電力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631322A (zh) 电气负载选择性脱网系统及方法
CN101614758A (zh) 电子式指示器
JP7173180B2 (ja) 情報処理方法
JP7078254B2 (ja) 3つ以上の蓄電池を夫々独立に制御可能な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を用いた方法、プログラム、及び蓄電システム
JP658188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08872915A (zh) 判定方法和判定装置
JP2017195717A (ja) 制御システム
CN208674875U (zh) 电气负载选择性脱网系统
JP6081119B2 (ja) Pvパネル診断装置、診断方法、診断プログラム及びインピーダンス調節回路
CN207022367U (zh) 散热装置和电池检测设备
JP6911195B2 (ja) 蓄電装置、蓄電装置の制御装置、及び蓄電装置の制御方法
KR102189325B1 (ko) Ex-bank 시뮬레이터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