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265B1 -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265B1
KR101539265B1 KR1020140026023A KR20140026023A KR101539265B1 KR 101539265 B1 KR101539265 B1 KR 101539265B1 KR 1020140026023 A KR1020140026023 A KR 1020140026023A KR 20140026023 A KR20140026023 A KR 20140026023A KR 101539265 B1 KR101539265 B1 KR 10153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antenna
circular
bar
antenna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구
양상열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14002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Landscapes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는 휴대기기 본체에 고정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부쉬와, 중공을 진퇴하며 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고 꺾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안테나바와, 중공에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방향 진퇴를 제한하는 길이제한부와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Antena Stand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기기의 안테나를 스탠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MP 등의 휴대기기는 대화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 액자, TV, 영화, 인터넷 강의 등 동영상 시청용으로 애용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가벼운 스마트폰은 장시간 들고 있기가 용이하지만, 태블릿이나 PMP 등은 무게로 인해 장시간 들고 있기가 용이하지 않다.
일부 휴대기기는 휴대기기 본체를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도록 별도의 거치대를 제품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충전기 등에 거치대의 기능을 추가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휴대기기 본체와 분리해서 휴대해야 하므로 불편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0-0068533호(2010.06.24.) 상기 문헌은 PMP의 보조 장치로, PMP 후면부 상단 또는 하단의 중앙에 내장한 상하좌우 회전, 각도,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안테나 겸용 PMP 받침대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안테나 겸용 받침대는 360도 회전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 시 유격이 발생하면서 위치 고정이 용이하지 않으며, 또한 높은 회전 자유도로 인해 적정한 경사 각도를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용 및 경사도 조절이 용이한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기기 본체에 고정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부쉬와, 중공을 진퇴하며 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고 꺾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안테나바와, 중공에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방향 진퇴를 제한하는 길이제한부와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길이제한부는 상기 중공 내측에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직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제1중공과 제2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중공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중공은 내주면에 대향 마련되는 한 쌍의 원호중공면과, 원호중공면 사이에 마련되며 원호중공면의 직경보다 간격이 짧은 한 쌍의 절단중공면을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바는 상기 원호중공면에 대응하며 서로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원호안테나면을 포함하여, 상기 원호안테나면이 회전하여 원호중공면에서 절단중공면으로 대응 진입하면 탄성력이 발생하여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원호안테나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안테나면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중공은 제1중공과 제2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중공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중공은 내주면에 제1요철면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바는 상기 제1요철면에 대향하는 제2요철면을 포함하여, 제2요철면이 제1요철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바는 대직경부와, 대직경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소직경부를 갖는 하단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안테나의 소직경부에는 제2중공의 제1요철면에 대응하는 요철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요철부재는 제1요철면과 선택적으로 치합하는 제2요철면을 갖는 요철파이프와, 요철파이프의 내부에 마련되어 직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원통형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쉬는 플레이트로 마련되며 단부가 밴딩되어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쉬는 중공을 횡방향을 따라 제1중공과 제2중공으로 분리 마련하여, 상기 제1중공은 제2중공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중공은 원호 형상의 중공원호면과 중공원호면의 끝단을 면 형태로 밴딩하여 마련되며 중공원호면보다 직경이 작은 중공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바는 제2중공의 중공원호면과 중공평면에 각각 대응 삽입되는 원호안테나면과 절단안테나면을 구비하여, 상기 원호안테나면이 회전하여 중공원호면에서 중공평면으로 대응 진입하면 탄성력이 발생하여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는 휴대기기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안테나바의 길이를 고정하는 길이제한부와, 인출된 안테나바의 본체에 대한 경사 각도를 고정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함으로써 안테나바를 이용하여 휴대기기 본체를 다양한 각도로 경사지게 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는 안테나바 및 안테나바를 고정하는 부쉬의 탄성 지지력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저하되지 않기 때문에 부품 수명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가 마련된 휴대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가 장착된 휴대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갖는 휴대폰을 일례로 예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이나 PMP 등의 휴대기기에 적절히 수정 및 변형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100)는 휴대기기(1)에 설치된다. 안테나 스탠드(100)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휴대기기(1)의 본체 내부에 수납되며, 사용할 때는 휴대기기(1)로부터 인출된다. 인출 시 안테나 스탠드는 스탠드뿐만 아니라 안테나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횡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제 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100)는 내부에 중공을 구비한 부쉬(110)와, 부쉬(110)의 중공을 진퇴하는 안테나바(120)와, 부쉬(110)와 안테나바(120)에 마련되어 안테나의 길이방향 진퇴를 제한하는 길이제한부와, 안테나의 몸통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한다.
부쉬(110)는 합성수지재로 마련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마련되어 있는 부쉬 몸체(111)와, 부쉬 몸체(111)의 일측에 마련되어 부쉬(110)를 휴대기기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쉬 브라켓(113)을 포함한다. 부쉬 몸체(111)는 박스형으로 마련되고, 브쉬 브라켓(113)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부쉬 몸체(111)의 중공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제1중공(112)과 제2중공(114)을 포함한다.
제1중공(112)은 휴대기기의 본체로부터 입출하는 안테나바(120)가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길이에서 용이하게 정지 및 고정되도록 하는 길이제한부로서 탄성부재(115)를 구비한다. 탄성부재(115)는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되며, 단면이 길이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심부의 직경이 끝단부 직경보다 감소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안테나바(120)는 탄성부재(115)의 중심부와 접촉되는 부위가 탄성적으로 가압되면서 길이방향으로의 진퇴가 제한된다.
제2중공(114)은 안테나바(120)가 사용자가 원하는 경사 각도에서 용이하게 정지되도록 하는 회전제한부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대향 마련되는 한 쌍의 원호중공면(114a, 114c)과, 원호중공면(114a, 114c) 사이에 마주보도록 마련되는 한 쌍의 절단중공면(114b, 114d)를 구비한다. 절단중공면(114b, 114d)은 제2중공(114)의 내주면 중 일부를 평면 형상으로 가공해서 마련되며, 이로 인해 원호중공면(114a, 114c)보다 직경이 작다.
한편, 안테나바(120)는 금속재로 마련되며 상단안테나(121)와 하단안테나(123)를 포함한다. 상단안테나(121)는 외부로 노출되는 안테나의 끝단이며, 하단안테나(123)는 휴대기기의 본체(1) 내부에 항상 수용되어 있는 안테나의 끝단이다. 상단안테나(121)와 하단안테나(123)는 직경방향으로 관통 지지되는 축핀(122)에 의해 XZ 평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일례로, 상단안테나(121)와 하단안테나(123)는 스탠드로 사용 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안테나로 사용 시 평면 방향을 따라 적절회 회동하거나 또는 밴딩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하단안테나(123)는 회전제한부로 외주면을 따라 원호안테나면(123a, 123c)과 절단안테나면(123b, 123d)을 구비하여, 상술한 제2중공(114)의 원호중공면(114a, 114c)과 절단중공면(114b, 114d)에 대응 삽입된다. 한 쌍의 원호안테나면(123a, 123b)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안테나면(123b, 123d)에 형성된 슬릿(124)에 의해 상호 이격된다. 슬릿(124)에 의해 이격되는 원호안테나면(123a, 123c) 사이의 간격은 부쉬 몸체(111)의 절단중공면(114b, 114d)과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도 4 및 도 5는 제 1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테나 스탠드(100)를 휴대기기의 스탠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테나바(120)를 휴대기기 본체(1)로부터 적정 길이만큼 인출한다. 안테나바(120)를 스탠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단안테나(121)가 하단안테나(123)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길이로 노출되어야 하며,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112)의 탄성부재(115)와 하단안테나(123)가 접촉해야 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단안테나(121)의 직경은 하단안테나(123)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안테나바(120)의 인출이 보다 쉽도록 할 수 있다.
상단안테나(121)와 하단안테나(123)가 휴대기기 본체(1)로부터 인출되어 길이제한부에 의해 고정되면, 사용자는 상단안테나(121)를 꺾은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하단안테나(123)를 회전한다.
즉, 외력이 가해지면 하단안테나(123)는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때 원호안테나면(123a, 123c)은 제2중공(114)의 원호중공면(114a, 114c)으로부터 이탈하여 절단중공면(114b, 114d)으로 이동하여 진입한다. 절단중공면(114b, 114d) 사이의 간격(거리)은 원호안테나면(123a, 123b)의 간격(지름)보다 좁기 때문에, 하부안테나(123)는 회전은 하되 원하는 위치에서 하단안테나(123)의 원호안테나면(123a, 123c)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테나바(120)를 스탠드로 사용할 경우 원하는 경사 각도에서 휴대기기 본체(1)에 대해 안테나바(120)를 용이하게 위치 고정할 수 있다(도 1 참조).
한편, 안테나바(120)를 스탠드로 사용 후 휴대기기 본체(1) 내부에 수용할 경우 먼저, 원호안테나면(123a, 123c)이 절단중공면(114b, 114d)으로부터 이탈하여 원호중공면(114a, 114c)에 대향하도록 안테나바(120)를 회전한다.
원호안테나면(123a, 123c)과 원호중공면(114a, 114c)이 상호 접촉하면, 원호안테나면(123a, 123c) 사이의 간격이 탄성적으로 정상화되면서 클릭감이 발생한다. 안테나바(120)와 제2중공(114)이 정상적으로 대향되면, 안테나바(120)를 휴대기기 본체(1)에 밀어 넣어 하단안테나(123)가 제1중공(112)의 탄성부재(115)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2실시 예는 상술한 제 1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200)의 부쉬(210)는 하나의 금속 플레이트를 밴딩하여 마련된다. 예컨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쉬 몸체(211)는 부쉬 브라켓(213)의 단부를 원형으로 밴딩하여 마련되며, 이로 인해 부쉬 몸체(211)에는 중공이 마련된다.
부쉬 몸체(211)는 안테나바(220)의 길이 및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길이제한부로서의 제1중공(212)과, 회전제한부로서의 제2중공(214)을 포함한다. 제1중공(212)과 제2중공(214)은 부쉬 몸체(211)의 중공을 횡방향으로 절단하여 분리 마련한다.
제1중공(212)은 원통의 중공 형태로 마련되며, 제2중공(214)은 원호 형상의 중공원호면(214a)과 중공원호면(214a)의 끝단을 면 형태로 밴딩하여 마련되는 중공평면(214b)을 포함한다. 제1중공(212)의 직경은 제2중공(214)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된다.
한편, 안테나바(2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안테나(221)와 하단안테나(223)로 이루어지며, 하단안테나(223)는 제2중공(214)의 중공원호면(214a)과 중공평면(114b)에 각각 대응 삽입되는 원호안테나면(223a)과 절단안테나면(223b)을 갖는다. 상단안테나(221)와 하단안테나(223)는 직경방향으로 관통 지지되는 축핀(222)에 의해 평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일례로, 상단안테나(221)와 하단안테나(223)는 스탠드로 사용 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안테나로 사용 시 평면 방향을 따라 적절회 회동하거나 또는 밴딩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하단안테나(223)는 제1중공(212)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휴대기기 본체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중공(212)의 내경(직경)이 제2중공(214)의 내경(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길이방향 진퇴시 제1중공(212)에 의해서만 탄성 가압력을 받기 때문이다. 안테나바(220)에 가해지는 탄성력은 제1중공(212)의 직경으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 2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테나 스탠드(200)를 휴대기기의 스탠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테나바(220)를 휴대기기 본체(1)로부터 적정 길이만큼 인출한다. 안테나바(220)를 스탠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단안테나(221)가 하단안테나(223)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하며, 또한 제1중공(212)에는 하단안테나(223)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하고, 제2중공(214)에는 하단안테나(223)가 마찰이 발생하지 않도록 접촉되지 않는다. 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단안테나(221)의 직경은 하단안테나(223)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안테나바(120)의 인출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단안테나(221)와 하단안테나(223)가 휴대기기 본체(1)로부터 인출되어 제1중공(212)에 의해 적정 길이로 고정되면, 사용자는 상단안테나(121)를 꺾은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하단안테나(223)를 회전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이 가해지면 하단안테나(223)는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때 원호안테나면(223a)은 제2중공(214)의 중공원호면(214a)으로부터 이탈하여 중공평면(214)으로 이동 진입한다. 중공평면(214b)은 중공원호면(214a)보다 직경이 좁기 때문에, 중공평면(214b)에 진입한 하단안테나(223)의 원호안테나면(223a)은 회전하되 원하는 위치에서 제2중공(214)의 중공평면(214b)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테나바(220)를 스탠드로 사용할 경우 원하는 경사 각도에서 휴대기기 본체(1)에 대해 안테나바(22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도 1 참조).
한편, 안테나바(220)를 스탠드로 사용 후 휴대기기 본체(1) 내부에 수용할 경우는 먼저, 원호안테나면(223a)이 중공평면(214b)으로부터 이탈하여 중공원호면(214a)에 대향하도록 안테나바(220)를 회전한다.
원호안테나면(223a)과 중공원호면(214a)이 상호 접촉하면, 중공평면(214b)이 탄성적으로 정상화되면서 클릭감이 발생한다. 안테나바(220)와 제2중공(214)이 정상적으로 대향되면, 안테나바(220)를 휴대기기 본체(1)에 밀어 넣어 하단안테나(223)가 제1중공(212)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제 3실시 예는 상술한 제 1실시 예 및 제 2실시 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300)는 제1중공(312)과 제2중공(314)을 갖는 부쉬 몸체(311) 및 부쉬 브라켓(313)을 포함하는 부쉬(310)와, 부쉬(310)의 중공에 진퇴하는 안테나바(320)를 포함한다.
길이제한부로서 제1중공(312)은 내주면에 탄성부재(315)를 구비하며, 회전제한부로서 제2중공(314)은 산과 골로 이루어진 제1요철면(314a)을 포함한다.
한편, 안테나바(320)는 상단안테나(321)와 하단안테나(323)를 포함한다. 상단안테나(321)와 하단안테나(323)는 직경방향으로 관통 지지되는 축핀(322)에 의해 평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일례로, 상단안테나(321)와 하단안테나(323)는 스탠드로 사용 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안테나로 사용 시 평면 방향을 따라 적절회 회동하거나 또는 밴딩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다.
하단안테나(323)는 상단안테나(321)와 연결되는 대직경부(323a)와, 대직경부(323a)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소직경부(323b)를 포함한다.
하단안테나(323)의 소직경부(323b)에는 제2중공(314)의 제1요철면(314a)에 대응하는 요철부재(325)가 마련된다. 요철부재(325)는 제1요철면(314a)과 선택적으로 치합하는 제2요철면(325a)을 갖는 요철파이프(325b)와, 요철파이프(325b)의 내부에 마련되어 직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원통형 판스프링(326)을 포함한다. 판스프링(326)은 결합돌기(326a)가 요철파이프(325b)의 결합홈(325c)에 끼워져 위치 고정된다.
요철파이프(325b)는 하단안테나(323)의 소직경부(323b)에 삽입되며, 소직경부(323b)의 끝부에 마련되는 너트(327)에 의해 고정된다. 요철파이프(325b)와 너트(327) 사이에 개재되는 미설명된 참조부호 328은 휴대기기 본체(1) 내부에서 안테나바(320)의 흔들림을 억제하기 위한 스페이서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안테나 스탠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안테나 스탠드(300)를 휴대기기의 스탠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테나바(320)를 휴대기기 본체(1)로부터 적정 길이만큼 인출한다. 안테나바(320)를 스탠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단안테나(321)가 하단안테나(323)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꺾일 수 있는 길이를 가져야 하며,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중공(312)의 탄성부재(315)와 하단안테나(323)가 접촉해야 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단안테나(321)의 직경은 하단안테나(323)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안테나바(120)의 인출이 보다 쉽도록 할 수 있다.
상단안테나(321)와 하단안테나(323)가 휴대기기 본체(1)로부터 인출되어 길이제한부에 의해 고정되면, 사용자는 상단안테나(321)를 꺾은 상태에서 원하는 각도로 하단안테나(323)를 회전한다.
즉, 외력이 가해지면 하단안테나(323)는 회전하기 시작하며, 이때 하단안테나(323)의 제2요철면(325a)은 제2중공(314)의 제1요철면(314a)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과 산 및 골과 골의 치합 상태에서 산과 골의 치합 상태로 진입한다. 제1요철면(314a)의 골과 제2요철면(325a)의 산이 접촉하면, 요철파이프(325b)는 직경이 좁아지면서 원통형 판스프링(326)을 가압하기 때문에, 하부안테나(323)는 제2중공(314)에 대해 회전하되 원하는 위치에서 원통형 판스프링(3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테나바(320)를 스탠드로 사용할 경우 원하는 경사 각도에서 휴대기기 본체(1)에 대해 안테나바(320)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도 1 참조).
한편, 안테나바(320)를 스탠드로 사용 후 휴대기기 본체(1) 내부에 수용할 경우는 제2중공(314)의 제1요철면(314a) 골과 하단안테나(323)의 제2요철면(325a) 골 또는 제2중공(314)의 제1요철면(314a) 산과 하단안테나(323)의 제2요철면(325a) 골이 대응하도록 하단안테나(323)를 회전한다.
제2중공(314)과 하단안테나(323)의 산과 산 또는 골과 골이 상호 접촉하면, 원통형 판스프링(326)이 탄성적으로 정상화되면서 클릭감이 발생한다. 안테나바(320)와 회전제한부가 정상적으로 대향되면, 안테나바(320)를 휴대기기 본체(1)에 밀어 넣어 하단안테나(323)가 제1중공(312)의 탄성부재(315)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1..휴대기기 본체 100,200,300..안테나 스탠드
110,210,310..부쉬 112,212,312..제1중공
114,214,414..제2중공 115,315..탄성부재
120,220,320..안테나바 121,221,321..상단안테나
123,223,323..하단안테나 325..요철부재

Claims (8)

  1. 휴대기기 본체에 고정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부쉬와,
    상기 중공을 진퇴하며 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고 꺾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안테나바와,
    상기 중공에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방향 진퇴를 제한하는 길이제한부와,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되,
    상기 길이제한부는 상기 중공 내측에 안테나바의 직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중공은 제1중공과 제2중공을 포함하여, 상기 제1중공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중공은 내주면에 대향 마련되는 한 쌍의 원호중공면과, 원호중공면 사이에 마련되며 원호중공면의 직경보다 간격이 짧은 한 쌍의 절단중공면을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바는 상기 원호중공면에 대응하며 서로 이격 마련되는 한 쌍의 원호안테나면을 포함하여, 상기 원호안테나면이 회전하여 원호중공면에서 절단중공면으로 대응 진입하면 탄성력이 발생하여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원호안테나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절단안테나면에 형성된 슬릿에 의해 상호 이격되는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5. 휴대기기 본체에 고정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부쉬와,
    상기 중공을 진퇴하며 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고 꺾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안테나바와,
    상기 중공에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방향 진퇴를 제한하는 길이제한부와,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되,
    상기 길이제한부는 상기 중공 내측에 안테나바의 직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중공은 제1중공과 제2중공을 포함하여, 상기 제1중공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중공은 내주면에 제1요철면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바는 상기 제1요철면에 대향하는 제2요철면을 포함하여, 제2요철면이 제1요철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면서 탄성력이 발생하여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바는 대직경부와, 대직경부로부터 연장 마련되는 소직경부를 갖는 하단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안테나의 소직경부에는 제2중공의 제1요철면에 대응하는 요철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요철부재는 제1요철면과 선택적으로 치합하는 제2요철면을 갖는 요철파이프와, 요철파이프의 내부에 마련되어 직경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원통형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7.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쉬는 플레이트로 마련되며 단부가 밴딩되어 중공을 형성하는 안테나 스탠드.
  8. 휴대기기 본체에 고정 마련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는 부쉬와,
    상기 중공을 진퇴하며 본체 내측에서 외측으로 인출되고 꺾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안테나바와,
    상기 중공에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방향 진퇴를 제한하는 길이제한부와,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되,
    상기 부쉬는 중공을 횡방향을 따라 제1중공과 제2중공으로 분리 마련하여,
    상기 제1중공은 제2중공보다 직경이 작게 마련되어 안테나바의 길이를 탄성적으로 제한하고,
    상기 제2중공은 원호 형상의 중공원호면과 중공원호면의 끝단을 면 형태로 밴딩하여 마련되며 중공원호면보다 직경이 작은 중공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바는 제2중공의 중공원호면과 중공평면에 각각 대응 삽입되는 원호안테나면과 절단안테나면을 구비하여, 상기 원호안테나면이 회전하여 중공원호면에서 중공평면으로 대응 진입하면 탄성력이 발생하여 안테나바의 회전을 제한하는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KR1020140026023A 2014-03-05 2014-03-05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KR10153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23A KR101539265B1 (ko) 2014-03-05 2014-03-05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023A KR101539265B1 (ko) 2014-03-05 2014-03-05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265B1 true KR101539265B1 (ko) 2015-07-28

Family

ID=53875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023A KR101539265B1 (ko) 2014-03-05 2014-03-05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26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9U (ja) * 1993-06-01 1995-01-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機のアンテナ構造
JPH0832335A (ja) * 1994-07-15 1996-02-02 Canon Inc 無線電話機用アンテナ
KR20110032106A (ko) * 2009-09-22 2011-03-30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탄성연결부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9U (ja) * 1993-06-01 1995-01-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無線通信機のアンテナ構造
JPH0832335A (ja) * 1994-07-15 1996-02-02 Canon Inc 無線電話機用アンテナ
KR20110032106A (ko) * 2009-09-22 2011-03-30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탄성연결부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KR101049653B1 (ko) * 2009-09-22 2011-07-14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탄성연결부를 구비한 안테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4635B2 (en) Support for portable electrical device
TWI556999B (zh) 支架
JP5841456B2 (ja) クレードル装置
JP2015230487A (ja) 移動端末に用いられる携帯可能な挟持装置
TW201410123A (zh) 支架及具有該支架的電子裝置
US8708298B2 (en) Supporting apparatus
JP2019500550A (ja) 光学及び/又は電子装置をスタンダに取り付けるための球形ヘッド組立体
US11218791B2 (en) Headphone
KR101252066B1 (ko) 볼힌지 구조
US20130306807A1 (en) Support structure
US8286307B2 (en) Multi-staged hinge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TWI506220B (zh) 雲台
JP3228754U (ja) 支持装置
US9526343B1 (en) Footrest assembly of a chair
JP2011233144A (ja) タッチペン
KR101539265B1 (ko) 휴대기기의 안테나 스탠드
US20170192454A1 (en) Supporting element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upporting element
KR200470994Y1 (ko) 모바일기기용 스탠드 어셈블리
CN203913879U (zh) 具有可调式桌板的桌子
US9157263B2 (en) Supporting frame assembly having inclination adjustment mechanism
US20140355374A1 (en) Portable ultrasound imaging devices
JP6389413B2 (ja) 電子デバイス用保護カバー
JP2008311851A (ja) 携帯電気機器用充電台
CN107340892B (zh) 一种触笔及具有该触笔的智能设备
CN101749314A (zh) 转轴结构及应用该转轴结构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