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290B1 -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38290B1 KR101538290B1 KR1020150026009A KR20150026009A KR101538290B1 KR 101538290 B1 KR101538290 B1 KR 101538290B1 KR 1020150026009 A KR1020150026009 A KR 1020150026009A KR 20150026009 A KR20150026009 A KR 20150026009A KR 101538290 B1 KR101538290 B1 KR 101538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case
- column
- jig
- support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다수의 수평 기둥이 연속되어 설치되는 사다리형 구조물에서 하부 수평 기둥을 이용해 상부에 설치될 수평 기둥들이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평 기둥들의 수평 연결 및 상호 용접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하측 수평 기둥 간에 수평 및 수직 각도를 일치시키기 용이한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기둥들이 설치되는 형태의 사다리형 구조물에서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로서, 하측에 있는 지지대상 수평기둥을 파지하는 하단 서포트부; 상기 하단 서포트부의 상부면에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승강 샤프트부; 및 상기 승강 샤프트부의 상부 말단에 형성되며 상측에 있는 설치대상 수평기둥을 파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단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로 다수의 수평 기둥이 연속되어 설치되는 사다리형 구조물에서 하부 수평 기둥을 이용해 상부에 설치될 수평 기둥들이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평 기둥들의 수평 연결 및 상호 용접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하측 수평 기둥 간에 수평 및 수직 각도를 일치시키기 용이한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구조물은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서로 거의 평행한 수평 기둥들이 설치되는 형태의 사다리형 구조물로서 건축물, 도로블럭, 인도블럭, 인공구조물 등에서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도 1에는 이 같은 사다리형 구조물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다수의 수평 기둥(P)이 연속되어 설치되어 전체적인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데, 이 같은 수평 기둥(P)은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평 기둥(P)을 연결부위(C)에서 이어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되게 된다.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 같은 수평 기둥(P)의 연결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수평 기둥(P1, P2)을 직접 연결하는 작업은 용이치 않으므로 중간에 양측 수평 기둥(P1, P2)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간 기둥(M)을 배치시키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중간 기둥(M)에 양측의 수평 기둥(P1, P2)을 끼워 넣어서 양측의 수평 기둥(P1, P2)을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이나 나사(S) 등을 이용해 양측 수평 기둥(P1, P2)의 연결부위를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이 같은 수평 기둥의 연결 작업은 대부분 많은 수의 작업자가 인력으로 수평 기둥들을 받치고 있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에서 위험 요소가 많고 연결 작업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며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력에 의한 미시적인 수평 및 수직 측정으로 수평 기둥 간 연결 및 고정(용접 등)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연결 및 고정이 완료된 상하측 수평 기둥 간에 수평 평형(높이 평형)이 서로 달라 구조물의 형태를 어그러뜨리거나 상하측 수평 기둥 간에 수직 평형(전후 위치 평형)이 서로 맞지 않아 구조물에서 의도치 않은 배불림 현상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하로 다수의 수평 기둥이 연속되어 설치되는 사다리형 구조물에서 하부 수평 기둥을 이용해 상부에 설치될 수평 기둥들이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평 기둥들의 수평 연결 및 상호 용접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하측 수평 기둥 간에 수평 및 수직 각도를 일치시키기 용이한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기둥들이 설치되는 형태의 사다리형 구조물에서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로서, 하측에 있는 지지대상 수평기둥을 파지하는 하단 서포트부; 상기 하단 서포트부의 상부면에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승강 샤프트부; 및 상기 승강 샤프트부의 상부 말단에 형성되며 상측에 있는 설치대상 수평기둥을 파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단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단 서포트부는 내부에 파지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가지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일측 부위를 힌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구는 지지대상 수평기둥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기둥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부면에는 상기 파지구의 기둥 수용홈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판 상에 승강 샤프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 샤프트부는 이동판 상에 기립해 결합되는 하부 제 1 샤프트의 상부 말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을 따라 내측 나사산을 이용해 회전하는 승강 핸들에는 제 2 샤프트가 결합되어, 작업자의 승강 핸들 조정에 따라 제 2 샤프트가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면서 승강 샤프트부에 결합된 상단 지지부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지지부는 내부에 파지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가지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일측 부위를 힌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구는 설치대상 수평기둥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기둥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지지부들 중 일측 상단 지지부에는 수평계 또는 수직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계는 일측 상단 지지부의 상부면에 일측 말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말단이 타측 상단 지지부의 상부면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계는 일측 상단 지지부의 측부면에 일측 말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말단이 타측 상단 지지부의 측부면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로 다수의 수평 기둥이 연속되어 설치되는 사다리형 구조물에서 하부 수평 기둥을 이용해 상부에 설치될 수평 기둥들이 파지되도록 함으로써 수평 기둥들의 수평 연결 및 상호 용접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장에서 위험 요소를 줄이고 연결 작업에 소요되는 인력을 절감하며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하측 수평 기둥 간에 수평 및 수직 각도를 일치시키기 용이해 연결 및 고정이 완료된 상하측 수평 기둥 간에 수평 및 수직 각도가 완벽한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다리형 구조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구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그를 통한 수평 기둥 설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의 연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지구의 다양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그를 통한 수평 기둥 설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고 있는 구조물은 부분적으로 혹은 전체적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서로 거의 평행한 수평기둥들이 설치되는 형태의 사다리형 구조물로서 건축물, 도로블럭, 인도블럭, 인공구조물 등에서 사용되는 구조물이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구조물에서 수평기둥을 연결 및 고정할 때 안정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구조물에서 하측에 위치하며 이미 결합이 완료된 수평 기둥을 지지대상 수평기둥(100)이라 하고, 이 지지대상 수평기둥(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결합시키고자 하는 수평 기둥을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이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는, 하측에 있는 이미 설치가 완료된 지지대상 수평기둥(100)을 파지하는 하단 서포트부(10)와, 상기 하단 서포트부(10)의 상부면에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승강 샤프트부(20)와, 상기 승강 샤프트부(20)의 상부 말단에 형성되며 상측에 있는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파지하는 상단 지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 샤프트부(20) 및 상단 지지부(30)는 한 조를 이루어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하단 서포트부(10)의 상부면에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서포트부(10)는 내부에 파지구(1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의 수용홈을 가지는 제 1 케이스(11)와 제 2 케이스(12)로 구성되며 이 제 1 케이스(11)와 제 2 케이스(12)의 일측 부위를 힌지(13)로 연결하여 접철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파지구(14)는 상기 하단 서포트부(10)의 제 1 케이스(11)와 제 2 케이스(12)의 내부에 자유롭게 끼워 넣을 수 있는 교체형 구성으로, 이미 설치가 완료된 지지대상 수평기둥(100)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기둥 수용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둥 수용홈(14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을 갖는 수평 기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도 4의 (a))될 수 있고, 또한 사각형 단면을 갖는 수평 기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도 4의 (b))될 수도 있다. 즉 이 같은 파지구(14)의 내측 기둥 수용홈(14a)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수평 기둥의 형태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상기 제 2 케이스(12)의 상부면에는 상기 파지구(14)의 기둥 수용홈(14a)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판(16)을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 레일(15)에 설치된 이동판(16)은 수평 기둥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판(16)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은 레일(15) 및 이동판(16)은 한 조를 이루어 적어도 둘 이상이 상기 하단 서포트부(10)의 상부면에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이동판(16)에는 승강 샤프트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부(20)는 자체적으로 길이가 신축조절되어 상부에 고정되는 상단 지지부(30)를 지지하는 동시에 상단 지지부(30)의 높이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승강 샤프트부(20)가 이동판(16)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해당 이동판(16)의 위치에 따라 상단 지지부(30)의 수평 위치도 결정되게 된다.
상기 승강 샤프트부(20)는 이동판(16) 상에 기립해 결합되는 하부 제 1 샤프트(21)의 상부 말단에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22)을 따라 내측 나사산을 이용해 회전하는 승강 핸들(23)에는 제 2 샤프트(24)가 승강 핸들(23)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승강 핸들(23)을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제 2 샤프트(24)는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승강 샤프트부(20)에 결합된 상단 지지부(30)의 높이가 결정되게 된다.
상기 상단 지지부(30)는 내부에 파지구(3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사각형 형태의 수용홈을 가지는 제 1 케이스(31)와 제 2 케이스(32)로 구성되며 이 제 1 케이스(31)와 제 2 케이스(32)의 일측 부위를 힌지(33)로 연결하여 접철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파지구(34)는 상기 하단 서포트부(10)에서의 파지구(14)와 마찬가지로 상기 상단 지지부(30)의 제 1 케이스(31)와 제 2 케이스(32)의 내부에 자유롭게 끼워 넣을 수 있는 교체형 구성으로, 결합시키고자 하는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기둥 수용홈(34a)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 같은 파지구(34) 역시 교체 가능한 구성이며 내측 기둥 수용홈(34a)은 구조물을 구성하는 수평 기둥의 형태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따라서 좌우에 각각 상단 지지부(30)가 구성되는 구조라면, 좌우측의 상단 지지부(30)가 각각의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파지하게 되며, 작업자는 이 상단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움직이면서 결합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일측의 상단 지지부(30)에는 수평계(35)와 수직계(36)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계(35)는 좌측 상단 지지부(30)의 상부면에 일측 말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계(35)의 타측 말단이 우측 상단 지지부(30)의 상부면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좌측 상단 지지부(30)의 상부면에는 수평계(35)와의 결합을 위한 회동축이 구성되고 우측 상단 지지부(30)의 상부면에는 수평계(35)의 고정을 위한 걸림자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두 개의 상단 지지부(30)를 이용해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결합시키는 작업에서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간이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 수평계(35)를 확인하면서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 간의 높이 수평을 맞추게 되며, 높이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승강 샤프트부(20)의 승강 핸들(23)을 조절함으로써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 간의 높이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계(36)는 좌측 상단 지지부(30)의 측부면에 일측 말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수직계(36)의 타측 말단이 우측 상단 지지부(30)의 측부면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좌측 상단 지지부(30)의 측부면에는 수직계(36)와의 결합을 위한 회동축이 구성되고 우측 상단 지지부(30)의 측부면에는 수평계(35)의 고정을 위한 걸림자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두 개의 상단 지지부(30)를 이용해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결합시키는 작업에서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간이 결합시킨 상태에서 이 수직계(36)를 확인하면서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 간의 전후 위치에 대한 수평을 맞추게 되며, 전후 위치에 대한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승강 샤프트부(20)를 지지하는 이동판(16)을 이동시킴으로써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 간의 전후 위치에 대한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이 같은 수평계(35)와 수직계(36)를 통해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높이 평형과 전후 위치 평형이 정확하게 맞춰지기 때문에 구조물의 형태가 어그러지거나 구조물에서 의도치 않은 배불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이제 도 5 및 도 6을 통해 상술한 지그를 이용한 수평 기둥 설치 작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지그를 통한 수평 기둥 설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하단 서포트부(10)는 이미 결합이 완료된 지지대상 수평기둥(100)를 파지하고 있다. 그리고 승강 샤프트부(20)에 의해 일정한 높이에 위치한 좌우의 상단 지지부(30)는 결합시키고자 하는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각각 파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좌측의 상단 지지부(30)에 의해 파지된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에는 해당 설치대상 수평기둥(200) 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중간 기둥(150)이 끼워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의 (c)를 참조하면, 좌측의 설치대상 수평기둥(200)과 우측의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을 각각의 상단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이동시켜서 중간 기둥(150)을 중심으로 좌우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이 끼워지게 만들어 좌우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의 간이 결합을 만든다.
다음으로 도 6의 (a)를 참조하면, 좌측의 상단 지지부(30)에서 수평계(35)와 수직계(36)를 회전시켜 우측의 상단 지지부(30)에 체결시킴으로써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의 결합상태에 대해 높이 평형과 전후 위치 평형을 맞추게 된다.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높이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승강 샤프트부(20)의 승강 핸들(23)을 조절함으로써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 간의 높이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고 또한 전후 위치에 대한 수평이 맞지 않을 경우 승강 샤프트부(20)를 지지하는 이동판(16)을 이동시킴으로써 두 설치대상 수평기둥(200) 간의 전후 위치에 대한 수평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의 (b)를 참조하면, 간이 결합과 수평 조절이 완료된 좌우 설치대상 수평기둥(200)에 대해 용접이나 나사(S) 등을 이용해 연결부위를 완전히 고정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하단 서포트부 11 : 제 1 케이스
12 : 제 2 케이스 13 : 힌지
14 : 파지구 15 : 레일
16 : 이동판 20 : 승강 샤프트부
21 : 제 1 샤프트 22 : 나사산
23 : 승강 핸들 24 : 제 2 샤프트
30 : 상단 지지부 31 : 제 1 케이스
32 : 제 2 케이스 33 : 힌지
34 : 파지구 35 : 수평계
36 : 수직계 100 : 지지대상 수평기둥
150 : 중간 기둥 200 : 설치대상 수평기둥
12 : 제 2 케이스 13 : 힌지
14 : 파지구 15 : 레일
16 : 이동판 20 : 승강 샤프트부
21 : 제 1 샤프트 22 : 나사산
23 : 승강 핸들 24 : 제 2 샤프트
30 : 상단 지지부 31 : 제 1 케이스
32 : 제 2 케이스 33 : 힌지
34 : 파지구 35 : 수평계
36 : 수직계 100 : 지지대상 수평기둥
150 : 중간 기둥 200 : 설치대상 수평기둥
Claims (11)
- 상측과 하측에 각각 수평기둥들이 설치되는 형태의 사다리형 구조물에서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로서,
하측에 있는 지지대상 수평기둥을 파지하는 하단 서포트부;
상기 하단 서포트부의 상부면에 기립되어 형성되며 상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승강 샤프트부; 및
상기 승강 샤프트부의 상부 말단에 형성되며 상측에 있는 설치대상 수평기둥을 파지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상단 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서포트부는 내부에 파지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가지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일측 부위를 힌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는 지지대상 수평기둥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기둥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부면에는 상기 파지구의 기둥 수용홈과 수직 방향으로 이동판을 이동시킬 수 있는 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 상에 승강 샤프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샤프트부는 이동판 상에 기립해 결합되는 하부 제 1 샤프트의 상부 말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을 따라 내측 나사산을 이용해 회전하는 승강 핸들에는 제 2 샤프트가 결합되어, 작업자의 승강 핸들 조정에 따라 제 2 샤프트가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승강 샤프트부에 결합된 상단 지지부의 높이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는 내부에 파지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가지는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의 일측 부위를 힌지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는 설치대상 수평기둥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기둥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들 중 일측 상단 지지부에는 수평계 또는 수직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계는 일측 상단 지지부의 상부면에 일측 말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말단이 타측 상단 지지부의 상부면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계는 일측 상단 지지부의 측부면에 일측 말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말단이 타측 상단 지지부의 측부면에 고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6009A KR101538290B1 (ko) | 2015-02-24 | 2015-02-24 |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26009A KR101538290B1 (ko) | 2015-02-24 | 2015-02-24 |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38290B1 true KR101538290B1 (ko) | 2015-07-20 |
Family
ID=53874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26009A KR101538290B1 (ko) | 2015-02-24 | 2015-02-24 |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3829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12B1 (ko) * | 2017-02-28 | 2018-05-1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KR20200117195A (ko) * | 2019-04-03 | 2020-10-14 | 조경호 | 파이프 앵글 조절 지그 |
KR20220000488U (ko) | 2020-08-20 | 2022-03-02 | (주)파버나인 | 수평 지그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47474A (ja) * | 1996-11-15 | 1998-06-02 | Kandenko Co Ltd | ドラムシャフト着脱装置 |
-
2015
- 2015-02-24 KR KR1020150026009A patent/KR10153829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47474A (ja) * | 1996-11-15 | 1998-06-02 | Kandenko Co Ltd | ドラムシャフト着脱装置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58112B1 (ko) * | 2017-02-28 | 2018-05-15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KR20200117195A (ko) * | 2019-04-03 | 2020-10-14 | 조경호 | 파이프 앵글 조절 지그 |
KR102178840B1 (ko) * | 2019-04-03 | 2020-11-13 | 조경호 | 파이프 앵글 조절 지그 |
KR20220000488U (ko) | 2020-08-20 | 2022-03-02 | (주)파버나인 | 수평 지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8290B1 (ko) |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 |
CN109594784B (zh) | 一种装配式墙体辅助安装装置及使用方法 | |
CN110424724A (zh) | 一种工具式梁板模支架及其支模方法 | |
CN105737869A (zh) | 一种用于测试系统的升降机构 | |
CN206308990U (zh) | 一种可移动的悬挑式操作平台及建筑施工系统 | |
JP2005282353A (ja) | ヘリコプタによる鉄塔組立工法及び作業用治具 | |
CN212986558U (zh) | 一种土质勘探用稳固水准仪 | |
CN213857896U (zh) | 一种钢结构横梁多角度焊接装置 | |
US2666260A (en) | Bracing system for a masons's guide line supporting column | |
JPH0270847A (ja) | 面材構成部材の取付け方法及びガイド治具 | |
CN111005383B (zh) | 一种地铁钢管桩校位组件 | |
CN116950431A (zh) | 一种钢结构件安装装置及安装方法 | |
CN106065778B (zh) | 一种隧道钢拱架放置装置 | |
CN209755174U (zh) | 一种装配式预制墙板后插式放置架 | |
KR101057701B1 (ko) | 시설물 고정구의 중심축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 |
CN205577422U (zh) | 定型化模板竖向安装定位装置 | |
CN109296217B (zh) | 一种木柱的加固构件及其使用方法 | |
KR101518248B1 (ko) | 건설리프트의 마스트 부분 제작용 지그장치 | |
JP2013227767A (ja) | 架台の設置方法 | |
CN203875526U (zh) | 平地机配重焊接夹紧装置 | |
CN221463126U (zh) | 一种施工定位装置 | |
CN206468018U (zh) | 一种轻钢龙骨框架组装平台 | |
CN213809785U (zh) | 一种简易设备竖立支撑装置 | |
CN215984561U (zh) | 一种工程测量中定点标记装置 | |
CN110005213A (zh) | 一柱一桩垂直度调垂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