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112B1 -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Google Patents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112B1
KR101858112B1 KR1020170026353A KR20170026353A KR101858112B1 KR 101858112 B1 KR101858112 B1 KR 101858112B1 KR 1020170026353 A KR1020170026353 A KR 1020170026353A KR 20170026353 A KR20170026353 A KR 20170026353A KR 101858112 B1 KR101858112 B1 KR 101858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main body
sliding rail
heavy object
narrow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범
김희남
이추원
박영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6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1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중량물 핸들링 지그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는,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로서,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가 형성된 포크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와 포크 결속부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상하높이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Heavy Material Handling Jig For Narrowness Space}
본 발명은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협소한 압력용기(20) 내부에 중량물(1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이아이엠 멜팅박스(VIM Melting Box)가 내부에 설치된 브이아이엠 챔버(VIM Chamber)의 경우, 내부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중량물을 교체함에 있어 많은 애로사항이 따른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1)는 지게차(30)의 포크(31)를 이용하여 중량물(10)을 핸들링한다.
그러나, 지게차(30)를 이용하여 핸들링 할 경우, 미숙련자의 운용 미숙으로 인해 지게차(30)를 급작 구동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압력용기(20) 및 중량물(10)에 손상을 가할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협소한 내부 공간으로 인해 별도의 조명장치를 준비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협소한 내부 공간에서의 중량물 핸들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협소공간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127966 (2016년 11월 07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는,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로서,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가 형성된 포크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와 포크 결속부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상하높이 변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다수의 제 1 결속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에는 본체부에 형성된 제 1 결속구와 동일 한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결속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결속구와 제 2 결속구에 고정핀을 결속시켜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는, 내부에 지게차의 포크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의 일측면에는, 스위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자력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의 일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와 핀 또는 플러그에 의해 결속 고정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본체부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레일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구동판이 탑재되며, 상기 구동판의 상부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의 형성 방향과 평면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 상부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판 하부면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에 탑재되어 구동판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에는 제 2 슬라이딩 레일에 탑재되어 구동판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 또는 본체부의 하부면에는, 협소공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포크 결속부, 지지부 및 상하높이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가 형성된 포크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와 포크 결속부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상하높이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 1 결속구, 제 2 결속구 및 고정핀을 이용하여 지지부를 본체부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내부에 지게차의 포크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인 포크 결속부를 구비하고, 포크 결속부에는 자력발생장치 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어, 지게차의 포크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중량물을 핸들링함에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본체부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 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본체부, 제 2 슬랑이딩 레일이 형성된 구동판 및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협소공간 내에서 중량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구동력 발생장치가 장착된 구동판 및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의 위치를 더욱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지지부의 상부면 또는 본체부의 하부면에 협소공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협소공간 내부 작업 환경 조건을 극대화 시켜 협소공간 내부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는,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10)을 핸들링하는 지그로서,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포크 결속부(120), 지지부(130) 및 상하높이 변경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10)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부(110)에는 다수의 제 1 결속구(11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에는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 1 결속구(111)와 동일 한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결속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결속구(111)와 제 2 결속구(131)에 고정핀(112)을 결속시켜 지지부(1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ㄹ이 지그(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위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움직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포크 결속부(12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31)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 관통구(12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결속부(120)는, 내부에 지게차의 포크(31)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 관통구(121)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결속부(120)의 일측면에, 스위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자력발생장치(15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자력발생장치(150)를 이용하여 포크 결속부(120)와 지게차의 포크(31)를 서로 견고히 결속시키거나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결속부(120)의 일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31)와 핀 또는 플러그에 의해 결속 고정될 수 있는 관통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관통구(122)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포크(31)에 포크 결속부(120)를 손쉽게 결속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10)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10)을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하높이 변경부(140)는, 본체부(110)와 포크 결속부(120)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의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구동판(160)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구동판(160)의 상부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의 형성 방향과 평면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슬라이딩 레일(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61) 상부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구동판(160) 하부면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에 탑재되어 구동판(160)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162)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하부면에는 제 2 슬라이딩 레일(161)에 탑재되어 구동판(160)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132)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는, 구동력 발생장치(132)를 이용하여 중량물의 위치를 더욱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상부면 또는 본체부(110)의 하부면에는, 협소공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부재(17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협소공간 내부 작업 환경 조건을 극대화 시켜 협소공간 내부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작업자
10: 중량물
20: 압력용기
30: 지게차
31: 포크
100: 중량물 핸들링 지그
110: 본체부
111: 제 1 결속구
112: 고정핀
113: 제 1 슬라이딩 레일
120: 포크 결속부
121: 결속 관통구
122: 관통구
130: 지지부
131: 제 2 결속구
132: 구동력 발생장치
140: 상하높이 변경부
150: 자력발생장치
160: 구동판
161: 제 2 슬라이딩 레일
162: 구동력 발생장치
170: 발광부재

Claims (10)

  1.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10)을 핸들링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로서,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10)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31)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 관통구(121)가 형성된 포크 결속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10)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10)을 지지하는 지지부(130); 및
    상기 본체부(110)와 포크 결속부(120)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상하높이 변경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와 지지부(130)는, 다수의 결속구(111, 131)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위치를 고정하거나, 슬라이딩 레일(113, 161)을 장착하여 서로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에는 다수의 제 1 결속구(11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30)에는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 1 결속구(111)와 동일 한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결속구(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결속구(111)와 제 2 결속구(131)에 고정핀(112)을 결속시켜 지지부(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120)는, 내부에 지게차의 포크(31)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 관통구(121)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120)의 일측면에는, 스위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자력발생장치(1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120)의 일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31)와 핀 또는 플러그에 의해 결속 고정될 수 있는 관통구(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구동판(160)이 탑재되며,
    상기 구동판(160)의 상부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의 형성 방향과 평면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슬라이딩 레일(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61) 상부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160) 하부면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에 탑재되어 구동판(160)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16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의 하부면에는 제 2 슬라이딩 레일(161)에 탑재되어 구동판(160)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13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의 상부면 또는 본체부(110)의 하부면에는, 협소공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부재(17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KR1020170026353A 2017-02-28 2017-02-28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KR101858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53A KR101858112B1 (ko) 2017-02-28 2017-02-28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353A KR101858112B1 (ko) 2017-02-28 2017-02-28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112B1 true KR101858112B1 (ko) 2018-05-15

Family

ID=6218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353A KR101858112B1 (ko) 2017-02-28 2017-02-28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1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396A (ja) * 2000-12-15 2002-06-26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538290B1 (ko) * 2015-02-24 2015-07-20 주식회사 우주이앤씨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9396A (ja) * 2000-12-15 2002-06-26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538290B1 (ko) * 2015-02-24 2015-07-20 주식회사 우주이앤씨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36900A (en) Wafer support pin assembly
JP2012111019A (ja) クランプ装置
KR20140044294A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 전자 부품 실장 방법 및 하부 받침핀 모듈의 배치 변경 방법
EP1764340A3 (de) Flurförderzeug mit einem im Bereich eines Hubgerüsts angeordneten Umgebungssensor
KR101858112B1 (ko)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ATE437723T1 (de) Robotereinrichtung mit zwei von arbeitsstationen umgebenen und koxial angeordneten robotern
EP1649973A4 (en) LOCKING DEVICE
KR870007050A (ko) 갠트리 크레인용 정비플래트폼 장치
KR102450120B1 (ko) 붐대 가 용접 장치용 붐대 고정 장치
KR20200002172U (ko)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JP4286206B2 (ja) ワーク支持装置
JPH08177814A (ja) T溝タイプ油圧式クランプ装置
KR101995158B1 (ko) Lng 연료탱크 패널 조립용 수동 이송장치
JPH0769592A (ja) 高所作業用移動テーブルと機器の吊り込み方法
KR20210027923A (ko) 반목 장치
JP2002283277A (ja) 産業用ロボットの安全柵装置
CN216830432U (zh) 固定夹具及摄像头支架生产设备
KR20160002547U (ko) 중량물 승강 및 이송 장치
US3680837A (en) Precision hydraulic lifting device
JP3199067U (ja) スロット台装置
KR200408015Y1 (ko) 용수철을 이용한 높낮이조절작업대
KR20140003816U (ko) 블록 지지장치
CN109084201A (zh) 便携式故障警示灯
KR101499542B1 (ko) 입식 게시판 고정용 폴대 지지체
KR102556533B1 (ko) 항공기 날개 제작용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