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112B1 -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Google Patents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8112B1 KR101858112B1 KR1020170026353A KR20170026353A KR101858112B1 KR 101858112 B1 KR101858112 B1 KR 101858112B1 KR 1020170026353 A KR1020170026353 A KR 1020170026353A KR 20170026353 A KR20170026353 A KR 20170026353A KR 101858112 B1 KR101858112 B1 KR 1018581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k
- main body
- sliding rail
- heavy object
- narrow spa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4—Accessories, e.g. for towing, charging, 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중량물 핸들링 지그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는,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로서,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가 형성된 포크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와 포크 결속부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상하높이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이 협소한 압력용기(20) 내부에 중량물(10)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이아이엠 멜팅박스(VIM Melting Box)가 내부에 설치된 브이아이엠 챔버(VIM Chamber)의 경우, 내부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중량물을 교체함에 있어 많은 애로사항이 따른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1)는 지게차(30)의 포크(31)를 이용하여 중량물(10)을 핸들링한다.
그러나, 지게차(30)를 이용하여 핸들링 할 경우, 미숙련자의 운용 미숙으로 인해 지게차(30)를 급작 구동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압력용기(20) 및 중량물(10)에 손상을 가할 뿐만 아니라, 안전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협소한 내부 공간으로 인해 별도의 조명장치를 준비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협소한 내부 공간에서의 중량물 핸들링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협소공간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는,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로서,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가 형성된 포크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와 포크 결속부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상하높이 변경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다수의 제 1 결속구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에는 본체부에 형성된 제 1 결속구와 동일 한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결속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결속구와 제 2 결속구에 고정핀을 결속시켜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는, 내부에 지게차의 포크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의 일측면에는, 스위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자력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의 일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와 핀 또는 플러그에 의해 결속 고정될 수 있는 관통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본체부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레일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구동판이 탑재되며, 상기 구동판의 상부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의 형성 방향과 평면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 상부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판 하부면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에 탑재되어 구동판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의 하부면에는 제 2 슬라이딩 레일에 탑재되어 구동판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부면 또는 본체부의 하부면에는, 협소공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포크 결속부, 지지부 및 상하높이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구가 형성된 포크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와 포크 결속부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상하높이 변경부;를 구비함으로써,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 1 결속구, 제 2 결속구 및 고정핀을 이용하여 지지부를 본체부 상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내부에 지게차의 포크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 관통구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인 포크 결속부를 구비하고, 포크 결속부에는 자력발생장치 또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어, 지게차의 포크에 손쉽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중량물을 핸들링함에 있어 안전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본체부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제 1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본체부, 제 2 슬랑이딩 레일이 형성된 구동판 및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의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협소공간 내에서 중량물을 손쉽게 핸들링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구동력 발생장치가 장착된 구동판 및 지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중량물의 위치를 더욱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량물 핸들링 지그에 따르면, 지지부의 상부면 또는 본체부의 하부면에 협소공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협소공간 내부 작업 환경 조건을 극대화 시켜 협소공간 내부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압력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압력용기 내부에 설치된 중량물을 핸들링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지지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도 4에 도시된 지지부가 본체부를 기준으로 위치변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는,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10)을 핸들링하는 지그로서,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포크 결속부(120), 지지부(130) 및 상하높이 변경부(140)를 구비함으로써,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을 손쉽고 안정적으로 핸들링할 수 있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10)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부(110)에는 다수의 제 1 결속구(11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에는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 1 결속구(111)와 동일 한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결속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결속구(111)와 제 2 결속구(131)에 고정핀(112)을 결속시켜 지지부(13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ㄹ이 지그(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위치를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움직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포크 결속부(120)는, 본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31)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 관통구(121)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포크 결속부(120)는, 내부에 지게차의 포크(31)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 관통구(121)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결속부(120)의 일측면에, 스위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자력발생장치(150)를 장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자력발생장치(150)를 이용하여 포크 결속부(120)와 지게차의 포크(31)를 서로 견고히 결속시키거나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결속부(120)의 일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31)와 핀 또는 플러그에 의해 결속 고정될 수 있는 관통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관통구(122)를 이용하여 지게차의 포크(31)에 포크 결속부(120)를 손쉽게 결속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10)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10)을 지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하높이 변경부(140)는, 본체부(110)와 포크 결속부(120)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분해조립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중량물 핸들링 지그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의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구동판(160)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구동판(160)의 상부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의 형성 방향과 평면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슬라이딩 레일(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30)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61) 상부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구동판(160) 하부면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에 탑재되어 구동판(160)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162)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하부면에는 제 2 슬라이딩 레일(161)에 탑재되어 구동판(160)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132)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는, 구동력 발생장치(132)를 이용하여 중량물의 위치를 더욱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상부면 또는 본체부(110)의 하부면에는, 협소공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부재(17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협소공간 내부 작업 환경 조건을 극대화 시켜 협소공간 내부 작업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작업자
10: 중량물
20: 압력용기
30: 지게차
31: 포크
100: 중량물 핸들링 지그
110: 본체부
111: 제 1 결속구
112: 고정핀
113: 제 1 슬라이딩 레일
120: 포크 결속부
121: 결속 관통구
122: 관통구
130: 지지부
131: 제 2 결속구
132: 구동력 발생장치
140: 상하높이 변경부
150: 자력발생장치
160: 구동판
161: 제 2 슬라이딩 레일
162: 구동력 발생장치
170: 발광부재
10: 중량물
20: 압력용기
30: 지게차
31: 포크
100: 중량물 핸들링 지그
110: 본체부
111: 제 1 결속구
112: 고정핀
113: 제 1 슬라이딩 레일
120: 포크 결속부
121: 결속 관통구
122: 관통구
130: 지지부
131: 제 2 결속구
132: 구동력 발생장치
140: 상하높이 변경부
150: 자력발생장치
160: 구동판
161: 제 2 슬라이딩 레일
162: 구동력 발생장치
170: 발광부재
Claims (10)
- 협소공간 내부에 진입할 수 있는 장비에 장착되어 협소공간 내부에서 중량물(10)을 핸들링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100)로서,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10)의 밑면적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에 장착되고, 지게차의 포크(31)와 결속될 수 있는 결속 관통구(121)가 형성된 포크 결속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에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고, 핸들링하고자 하는 중량물(10)의 밑면과 접촉하여 중량물(10)을 지지하는 지지부(130); 및
상기 본체부(110)와 포크 결속부(120) 사이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상하 높이를 변경하는 상하높이 변경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와 지지부(130)는, 다수의 결속구(111, 131)에 의해 서로 결속되어 위치를 고정하거나, 슬라이딩 레일(113, 161)을 장착하여 서로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에는 다수의 제 1 결속구(111)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130)에는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 1 결속구(111)와 동일 한 패턴으로 다수의 제 2 결속구(1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결속구(111)와 제 2 결속구(131)에 고정핀(112)을 결속시켜 지지부(130)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120)는, 내부에 지게차의 포크(31)와 대응되는 구조의 결속 관통구(121)가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120)의 일측면에는, 스위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자력발생장치(15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속부(120)의 일측면에는, 지게차의 포크(31)와 핀 또는 플러그에 의해 결속 고정될 수 있는 관통구(1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 본체부(110)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구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면에는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구동판(160)이 탑재되며,
상기 구동판(160)의 상부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의 형성 방향과 평면상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 2 슬라이딩 레일(16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제 2 슬라이딩 레일(161) 상부에 위치 변경 가능하도록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판(160) 하부면에는 제 1 슬라이딩 레일(113)에 탑재되어 구동판(160)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16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의 하부면에는 제 2 슬라이딩 레일(161)에 탑재되어 구동판(160)을 일측 방향으로 위치변경 시키는 구동력 발생장치(13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의 상부면 또는 본체부(110)의 하부면에는, 협소공간 내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발광부재(17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353A KR101858112B1 (ko) | 2017-02-28 | 2017-02-28 |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6353A KR101858112B1 (ko) | 2017-02-28 | 2017-02-28 |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8112B1 true KR101858112B1 (ko) | 2018-05-15 |
Family
ID=6218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6353A KR101858112B1 (ko) | 2017-02-28 | 2017-02-28 |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8112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79396A (ja) * | 2000-12-15 | 2002-06-26 |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 |
KR101538290B1 (ko) * | 2015-02-24 | 2015-07-20 | 주식회사 우주이앤씨 |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
-
2017
- 2017-02-28 KR KR1020170026353A patent/KR1018581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79396A (ja) * | 2000-12-15 | 2002-06-26 | Sumitomonacco Materials Handling Co Ltd |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 |
KR101538290B1 (ko) * | 2015-02-24 | 2015-07-20 | 주식회사 우주이앤씨 | 사다리형 구조물의 수평 기둥 설치를 위한 지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200636900A (en) | Wafer support pin assembly | |
JP2012111019A (ja) | クランプ装置 | |
KR20140044294A (ko) | 전자 부품 실장 장치, 전자 부품 실장 방법 및 하부 받침핀 모듈의 배치 변경 방법 | |
EP1764340A3 (de) | Flurförderzeug mit einem im Bereich eines Hubgerüsts angeordneten Umgebungssensor | |
KR101858112B1 (ko) | 협소공간에 적용되는 중량물 핸들링 지그 | |
ATE437723T1 (de) | Robotereinrichtung mit zwei von arbeitsstationen umgebenen und koxial angeordneten robotern | |
EP1649973A4 (en) | LOCKING DEVICE | |
KR870007050A (ko) | 갠트리 크레인용 정비플래트폼 장치 | |
KR102450120B1 (ko) | 붐대 가 용접 장치용 붐대 고정 장치 | |
KR20200002172U (ko) | 선박 블록용 지지 장치 | |
JP4286206B2 (ja) | ワーク支持装置 | |
JPH08177814A (ja) | T溝タイプ油圧式クランプ装置 | |
KR101995158B1 (ko) | Lng 연료탱크 패널 조립용 수동 이송장치 | |
JPH0769592A (ja) | 高所作業用移動テーブルと機器の吊り込み方法 | |
KR20210027923A (ko) | 반목 장치 | |
JP2002283277A (ja) | 産業用ロボットの安全柵装置 | |
CN216830432U (zh) | 固定夹具及摄像头支架生产设备 | |
KR20160002547U (ko) | 중량물 승강 및 이송 장치 | |
US3680837A (en) | Precision hydraulic lifting device | |
JP3199067U (ja) | スロット台装置 | |
KR200408015Y1 (ko) | 용수철을 이용한 높낮이조절작업대 | |
KR20140003816U (ko) | 블록 지지장치 | |
CN109084201A (zh) | 便携式故障警示灯 | |
KR101499542B1 (ko) | 입식 게시판 고정용 폴대 지지체 | |
KR102556533B1 (ko) | 항공기 날개 제작용 거치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