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988B1 - 주름관 연결 기구 - Google Patents

주름관 연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988B1
KR101537988B1 KR1020140079412A KR20140079412A KR101537988B1 KR 101537988 B1 KR101537988 B1 KR 101537988B1 KR 1020140079412 A KR1020140079412 A KR 1020140079412A KR 20140079412 A KR20140079412 A KR 20140079412A KR 101537988 B1 KR101537988 B1 KR 10153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necting mechanism
groove
corrugated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0586A (ko
Inventor
정민화
조양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
Priority to KR102014007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9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90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0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07Joints with sleeve or socket clamped by a wedging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전선을 내장 설치하거나 기체나 유체 등이 흐르도록 외주면에 링 형태로 돌부와 요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주름관과 동일 구성의 다른 주름관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주름관을 결합 고정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연결 기구의 양측 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되어 중앙부가 빈 공간을 가짐은 물론 외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체결 돌부와; 상기 연결 기구에 각 주름관을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주름관의 요홈으로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고정부와, 상기 삽입 고정부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 돌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부 및 상기 삽입 홈부의 내측면에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체결 고정부를 포함하는 쐐기 부재와; 상기 연결 기구의 중앙 부분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기구에 삽입되는 각 주름관의 일단부의 절단 형태에 상관 없이, 상기 각 주름관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연결 기구 내부에서 각 주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기능과, 상기 각 주름관의 타단부가 상기 연결 기구의 양 개방 단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하여, 각 주름관의 타단부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항상 각 주름관의 요홈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위치 정렬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름관 연결 기구{CONNECTION DEVICE FOR CORRUGATED PIPES}
본 발명은 주름관 연결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연결 기구 내에서 주름관과 주름관의 일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로 연결된 각 주름관이 연결 기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주름관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주름관의 제조 오차(절단 오차), 조립 공차 등으로 인하여, 연결 기구와 제위치에서 체결되지 못하는 문제, 또 연결 기구 내에서 주름관이 고정되지 못한 채 체결되는 문제 등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주름관 연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름관은 전선이나 기체, 유체 등이 흐르도록 외주면에 링 형태로 돌부와 요홈이 등 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형성된 배관이다.
상기 주름관은 형태에 따라 하나의 관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내관과 외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 등이 있으며, 또한 용도에 따라 전선관, 지중 매설관 등 다양한 형태의 관이 있다.
통상, 상기 주름관은 파이프 성형장치에서 합성수지 재료를 녹여 일정한 형상의 합성수지 주름관을 성형하게 되는데, 상기 주름관의 길이를 무한정 길게 성형할 수 없으므로 상기 주름관을 설치하는 장소 간의 거리가 길 경우에는, 소정 길이로 주름관을 절단하고, 이들 절단된 두 주름관을 연결 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중공 형상을 갖는 연결 기구의 양단에 주름관을 각각 위치시킨 다음 상기 연결 기구 내로 삽입될 부분인 각 주름관의 각 요홈 중 어느 하나의 요홈에 링 형상의 패킹을 결합하고 나서 상기 패킹이 결합된 각 주름관의 단부를 연결 기구 내로 각각 삽입시켜 상기 각 주름관과 주름관의 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설치함으로, 상기 연결 기구에 의해 각 주름관은 서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상기 각 주름관의 요홈에 삽입 결합된 패킹의 외면이 연결 기구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로 눌려짐에 따라 상기 각 패킹에 의하여 연결 기구로부터 각 주름관이 탈거되지 않음은 물론 수밀성을 높인다.
이러한 종래의 연결 기구는, 상기 주름관과 주름관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와 상기 각 주름관이 링 형상의 패킹에 의해 체결됨에 따라 그 체결력이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패킹의 탄성력 저하로 인해 상기 각 주름관과 연결 기구는 견고하게 체결되지 못하여 상기 연결 기구와 각 주름관이 분리될 수 있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0-0368578호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 기구' 및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0-0296093호 '링형 콜게이트관의 연결 기구조'가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 이중벽관 연결 기구'는 연결 기구에 형성된 쐐기 결속공에 쐐기를 억지끼움하여 상기 쐐기의 삼각결속편 상면이 쐐기 결속공의 양측 가장자리에 억류되면서 장착되는 쐐기에 의해 이중벽관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쐐기 결속공으로 삽입되는 쐐기의 결속편이 쐐기 결속공의 길이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쐐기 결속공으로부터 쐐기가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상기 연결 기구로부터 이중벽관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링형 콜게이트관의 연결 기구조'는 링형 콜게이트관의 단부와 그 단부로부터 수피치 정도 안쪽으로 들어온 외주면상에 분할클립을 조립 고정하여 상기 양쪽 링형 콜게이트관의 단부가 서로 맞닿은 상태에서 조임로드를 이용하여 각 분할클립을 조임으로 링형 콜게이트관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링형 콜게이트관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분할클립 및 조임로드를 각각 구성함에 따라 많은 구성으로 인한 제작비 상승 및 작업공수가 많음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조임로드의 삽입 및 조임로드에 의해 조여지는 각 분할클립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하는 등 작업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주름관과 다른 주름관의 일단부가 맞닿도록 삽입되는 연결 기구의 양측 외주연부에 체결 돌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체결 돌부에 체결되는 삽입 고정부와 체결 고정부를 갖는 쐐기 부재가 구비된 주름관 연결 기구의 체결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체결 돌부에 쐐기 부재가 슬라이딩되면서 쐐기 부재의 체결 고정부가 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체결되는 쐐기 부재의 삽입 고정부는 주름관의 요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슬라이딩 체결구조에 의해 연결 기구와 각 주름관의 체결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기구와 각 주름관은 보다 견고하게 결합 고정됨에 따라 상기 연결 기구로부터 각 주름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관을 절단하여 연결 기구에 삽입할 때, 작업자에 따라서 주름관의 일단부가 상이한 형태로 절단되고, 이로 인해 위치 오정렬의 문제, 지지력의 저하 문제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된 주름관 연결 기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전선을 내장 설치하거나 기체나 유체가 흐르도록 외주면에 링 형태로 돌부와 요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주름관과 동일 구성의 다른 주름관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주름관을 결합 고정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연결 기구의 양측 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되어 중앙부가 빈 공간을 가짐은 물론 외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체결 돌부와; 상기 연결 기구에 각 주름관을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주름관의 요홈으로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고정부와, 상기 삽입 고정부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부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 돌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부 및 상기 삽입 홈부의 내측면에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체결 고정부를 포함하는 쐐기 부재와; 상기 연결 기구의 중앙 부분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기구에 삽입되는 각 주름관의 일단부의 절단 형태에 상관 없이, 상기 각 주름관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연결 기구 내부에서 각 주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기능과, 상기 각 주름관의 타단부가 상기 연결 기구의 양 개방 단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하여, 각 주름관의 타단부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항상 각 주름관의 요홈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위치 정렬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기구의 중심을 향해 연장하는 수직 돌출부와 수직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연결 기구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장부는 상기 수직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기 반대 방향으로 동일 길이만큼 연장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장부는 상기 연결 기구 내부로 삽입된 상기 각 주름관의 절단된 요홈 또는 돌부와 접촉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을 따라 360°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을 따라 불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부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 탈거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재 탈거 방지 수단은, 상기 체결 돌부의 개방된 일측인 연결 기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끼움홈, 상기 제1 끼움홈의 대응되는 측인 상기 체결 돌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끼움홈, 상기 쐐기 부재의 체결 고정부에 형성된 삽입 홈부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끼움홈에 삽입되는 제1 끼움 돌기, 상기 제1 끼움 돌기와 대응되는 측인 상기 체결고정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홈에 삽입되는 제2 끼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부의 빈 공간 내에 제1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 부재의 체결 고정부에 형성된 삽입 홈부 내에는 상기 체결 돌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되는 상기 쐐기 부재가 일정 위치에서 멈춰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스토퍼와 접촉하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전선을 내장 설치하거나 기체나 유체가 흐르도록 외주면에 링 형태로 돌부와 요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주름관과 동일 구성의 다른 주름관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주름관을 결합 고정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가 제공되는데,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연결 기구의 양측 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되는 체결 수단과; 상기 연결 기구에 각 주름관을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주름관의 요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체결 수단이 결합되는 쐐기 수단과; 상기 연결 기구의 중앙 부분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기구에 삽입되는 각 주름관의 일단부의 절단 형태에 상관 없이, 상기 각 주름관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연결 기구 내부에서 각 주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각 주름관의 타단부가 상기 연결 기구의 양 개방 단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하여, 각 주름관의 타단부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항상 각 주름관의 요홈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위치 정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토퍼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수단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기구의 중심을 향해 연장하는 수직 돌출부와 수직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연결 기구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 길이만큼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장부는 상기 연결 기구 내부로 삽입된 상기 각 주름관의 절단된 요홈 또는 돌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을 따라 360°연속적인 형태로 또는 불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에서 상기 쐐기 수단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 탈거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재 탈거 방지 수단은, 상기 체결 수단의 개방된 일측인 상기 연결 기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끼움홈, 상기 제1 끼움홈의 대응되는 측인 상기 체결 수단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끼움홈, 상기 쐐기 수단의 삽입 홈부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끼움홈에 삽입되는 제1 끼움 돌기, 상기 제1 끼움 돌기와 대응되는 상기 쐐기 수단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홈에 삽입되는 제2 끼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체결 수단의 빈 공간 내에 제1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 수단의 삽입 홈부 내에는 상기 체결 수단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되는 상기 쐐기 수단이 일정 위치에서 멈춰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스토퍼와 접촉하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관과 다른 주름관을 연결하는 연결 기구의 양측 외주연부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체결 돌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연결 기구의 외측방에 위치하는 각 주름관의 요홈으로 삽입되는 삽입 고정부 및 상기 삽입 고정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체결 돌부에 체결되는 가이드홈부를 갖는 체결 고정부로 이루어진 쐐기 부재로 구성된 주름관 연결 기구의 체결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쐐기 부재의 가이드홈부에 체결 돌부의 가이드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돌부를 따라 쐐기 부재가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체결 돌부와 쐐기 부재 간의 체결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연결 기구와 각 주름관의 결합 고정작업 또한 용이하여 작업시간 절감 및 인력손실 등을 절감하는 등 작업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돌부에 관통공을 형성함과 함께 상기 쐐기 부재의 체결 고정부에 관통공과 일치되게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일치된 관통공과 체결공으로 체결 부재를 삽입 체결함에 따라 상기 체결 돌부와 쐐기 부재를 한 번 더 결합 고정하여 줌으로 인해 상기 쐐기 부재는 체결 돌부 간의 체결력이 높아져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는 효과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체결 돌부와 쐐기 부재 간의 체결 그리고, 체결 부재를 사용으로 인하여 상기 체결 돌부와 쐐기 부재를 정확한 위치에서 숙련도의 상관없이 누구든지 손쉽고 용이하면서 빠른 시간에 체결작업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기구에 각 주름관이 매우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므로 상기 연결 기구로부터 각 주름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각 주름관을 서로 결합 고정하는 연결 기구에는 상기 연결 기구의 외면과 내면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각 주름관의 요홈에 패킹이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기구로 삽입될 때 상기 패킹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패킹에 의하여 각 주름관 내를 흐르는 유체의 누수를 용이하게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주름관과 연결 기구를 체결하기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상기 체결 돌부가 형성된 연결 기구 및 쐐기 부재의 제작이 용이함은 물론 제작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연결 기구 내주면에 스토퍼 유닛이 형성되어, 연결 기구 내부로 삽입된 각 주름관의 일단부가 그 절단 형태에 상관 없이 항상 스토퍼 유닛과 접촉하게 되어, 연결 기구 내부에서 각 주름관이 안정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각 주름관의 타단부가 연결 기구의 개방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돌출하게 되어, 주름관의 각 타단부에서 쐐기 부재가 항상 주름관의 요홈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단 공차시 발생하는 위치 오정렬의 문제, 이러한 오정렬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단부가 내측돌부)에 접촉하지 않은 채 주름관이 유지되어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연결 기구에 각 주름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주름관 연결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주름관 연결 기구에 주름관이 결합된 절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연결 기구의 체결 돌부에 쐐기 부재가 원호 형태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연결 기구의 체결 돌부에 쐐기 부재가 직선 형태로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연결 기구의 체결 돌부와 쐐기 부재가 결합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연결 기구를 이용하여 두 주름관을 연결할 때에 주름관의 제조 오차(절단 오차) 및 조립 공차로 인하여, 각 주름관이 연결 기구에 제위치에 고정되지 못하는 상태 및 연결 기구 내부에서 주름관이 안정적으로 장착되지 못한 채 고정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기구의 내부에서 두 주름관이 제조 오차나 조립 공차에 관계 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된 채 연결 기구에 장착되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 기구에 제공되는 스토퍼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름관 연결 기구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제1 실시예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선이 삽입 설치됨은 물론 기체나 유체 등이 흐르도록 하는 주름관(10)에 적용되고, 상기 주름관(10)의 외주면에는 링 형태로 돌부(11)와 요홈(12)이 등 간격으로 번갈아가면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관(10)은 복수 개의 돌부(11)와 요홈(12)이 형성된 하나의 관 또는 이중 관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전선관, 지중 매설관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돌부(11)와 요홈(12)이 등 간격으로 형성된 주름관(10)의 일단부와 상기 다른 주름관(10')의 일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각각 삽입됨은 물론 상기 삽입된 각 주름관(10,10')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중공형상의 연결 기구(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기구(20)의 양측부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상기 연결 기구(20)의 양측부 두께는 상기 연결 기구(20)의 중앙부 두께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기구(20)의 내주면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 기구(20) 내로 삽입되는 각 주름관(10,10')의 일단부가 접촉됨은 물론 상기 연결 기구(20) 내로 삽입되는 각 주름관(10,10')의 위치를 잡아주도록 하는 내측돌부(21)가 상기 연결 기구(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연결 기구(20) 내로 삽입되는 각 주름관(10,10')의 요홈(12) 중 어느 하나의 요홈(12) 즉, 연결 기구(20)의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는 각 주름관(10,10')의 각 요홈(12)에는 상기 각 주름관(10,10') 내를 흐르는 유체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주름관(10,10')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 기구(20)의 내주면 사이를 밀폐하도록 하는 패킹(30)이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 기구(20)의 양측부로부터 각각 삽입되어 일단부가 서로 맞닿는 상태인 각 주름관(10,10')을 상기 연결 기구(20)에 의해 서로 연결함은 물론 상기 연결 기구(20)에 각 주름관(10,10')을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체결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름관 연결 기구(20)의 체결 수단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기구(20)의 양측 외주연부에 형성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체결 돌부(100)와, 상기 각 체결 돌부(10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체결됨은 물론 상기 연결 기구(20)의 외측방인 각 주름관(10,10')의 요홈(12)으로 삽입되는 쐐기 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각 체결 돌부(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같이, 일측이 개방됨은 물론 중앙부가 빈 공간(101)을 갖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 돌부(100)에는 상기 체결 돌부(100)에 쐐기 부재(200)가 체결될 때 쐐기 부재(200)의 이동을 안내함은 물론 상기 체결 돌부(100)에 쐐기 부재(200)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가이드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는 체결 돌부(100)의 외측면에 형성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체결 돌부(100)의 외측면 중 어느 한 일측면 또는, 양측면 모두에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 돌부(100)의 가이드부(110) 형상은 일정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10)가 형성된 체결 돌부(100)는 상기 연결 기구(20)의 내경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연결 기구(20)의 내경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 개가 방사상 형태로 위치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연결 기구(20)의 체결구조에 따른 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다양한 요구조건에 따라 상기 체결 돌부(100)의 개수 및 형상 등을 다양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쐐기 부재(2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같이, 상기 연결 기구(20)의 외측방에 위치하는 상기 각 주름관(10,10')의 요홈(12)으로 삽입됨은 물론 상기 요홈(12)의 내면에 접촉 및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단부(211)를 갖는 삽입 고정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고정부(210)의 일측에는 상기 체결 돌부(100)의 외측면 즉, 체결 돌부(100)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상기 체결 돌부(100)에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되는 체결 고정부(220)가 연이어짐은 물론 상기 삽입 고정부(210)와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 고정부(210)의 단부(211)는 상기 각 주름관(10,10')의 외경 즉, 요홈(12)의 내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라운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고정부(220)의 내측부에는 상기 체결 돌부(100)와 쐐기 부재(200)가 체결될 때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에 체결 돌부(100) 전체를 감싸지도록 상기 체결 돌부(100)가 삽입 위치하는 삽입홈부(2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부(221)의 일측은 상기 체결 고정부(220)가 체결 돌부(100)에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개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부(2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체결 돌부(100)의 가이드부(110)가 삽입됨은 물론 상기 가이드부(110)의 안내를 받으면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쐐기 부재(200)를 체결 돌부(100)에 체결하도록 하는 가이드홈부(2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홈부(222)는 상기 체결 돌부(100)의 가이드부(110) 형성 위치 및 개수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 돌부(100)에 상기 쐐기 부재(200)는 원호 형태(도 4) 및 직선 형태(도 5)로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되는데, 즉,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 돌부(100)와 쐐기 부재(200)의 전체적인 형상을 상기 연결 기구(20)의 외경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체결 돌부(100)를 따라 쐐기 부재(200)가 원호 형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되거나 또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 돌부(1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과 함께 상면을 평편한 직선 구조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 돌부(100)의 상면 측에 위치하는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 저면을 평편한 직선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체결 돌부(100)를 따라 쐐기 부재(200)가 직선 형태로 슬라이딩되면서 체결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체결 돌부(100)와 쐐기 부재(200) 간의 체결방법이나 제작여건 및, 사용목적, 효과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체결 돌부(100)에 체결된 상기 쐐기 부재(200)가 체결되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쐐기 부재(200)가 슬라이딩되면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 탈거 방지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재 탈거 방지 수단은 도 2와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체결 돌부(100)의 개방된 일측인 연결 기구(20)의 외주면에는 제1끼움홈(1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체결 돌부(100)를 중심으로 하여 제1끼움홈(120)의 대응되는 측인 상기 각 체결 돌부(100)의 상면에는 제2끼움홈(1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고정부(220)에서 삽입홈부(221)의 개방된 일측에는 상기 제2끼움홈(121)으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제1끼움돌기(21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 고정부(220)를 중심으로 하여 제1끼움돌기(212)와 대응되는 측인 상기 체결 고정부(220)의 저면에는 제1끼움홈(120)으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돌기(2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끼움홈(120,121)과 상기 제1,2끼움돌기(211,212)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형성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형성 즉, 체결 돌부(100) 측에 끼움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 고정부(220) 측에 끼움홈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체결 돌부(100)에서 쐐기 부재(20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체결 돌부(100)와 쐐기 부재(200) 간의 체결력을 높임은 물론 보다 견고하게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 고정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 고정 수단은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기구(2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각 체결 돌부(100)을 관통하는 관통공(1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에는 상기 관통공(130)과 일치함은 물론 상기 체결 고정부(220)를 관통하는 체결공(2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치된 관통공(130)과 상기 체결공(223)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 부재(23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체결 부재(230)는 도면상에서와 같이 중앙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을 벌어졌다 오무려졌다 하는 핀 구조 및, 외주면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나 나사 등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핀 구조의 체결 부재를 사용한다.
상기 체결 돌부(100)의 중앙에 형성된 빈 공간(101) 내에는 제1스토퍼(14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에 형성된 삽입홈부(221) 내에는 상기 체결 돌부(10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결합되는 쐐기 부재(200)가 일정 위치에서 멈춰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상기 제1스토퍼(140)와 맞닿는 제2스토퍼(22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외주면에 복수 개의 돌부(11)와 요홈(12)을 갖는 주름관(10)과 다른 주름관(10')을 연결 기구(20)의 양측부에 각각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연결 기구(20)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주름관(10,10')의 일단부를 연결 기구(20) 내로 각각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연결 기구(20)의 내측돌부(21)의 양면에 상기 각 주름관(10,10')의 일단부가 접촉한 채 상기 연결 기구(20) 내에 위치하게 된다(도 3 참조).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기구(20)의 양측 외주연부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된 체결 돌부(100)의 일측방에 쐐기 부재(200)를 도 1에서와 같이 각각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쐐기 부재(200)를 체결 돌부(100) 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쐐기 부재(200)의 삽입 고정부(210)은 상기 연결 기구(20)의 외측방에 위치하는 각 주름관(10,10')의 각 요홈(12) 내로 삽입 즉, 상기 삽입 고정부(210)의 단부(211)가 상기 요홈(12) 내로 삽입됨은 물론 상기 요홈(12)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체결 돌부(100)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 내측부에 형성된 삽입홈부(221)의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부(222)에 체결 돌부(100)의 가이드부(210)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홈부(222)에 가이드부(2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쐐기 부재(200)는 체결 돌부(100)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 돌부(100)는 상기 쐐기 부재(200)의 삽입홈부(221) 내에 삽입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에 형성된 제1끼움돌기(212)는 상기 체결 돌부(100)의 상면에 형성된 제2끼움홈(121)으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됨과 함께 상기 체결 고정부(220)의 제2끼움돌기(213)는 상기 연결 기구(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끼움홈(120)으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체결 돌부(100)에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를 견고하게 결합 고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 돌부(100)로부터 쐐기 부재(20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 돌부(100)의 빈 공간(101) 내에 형성된 제1스토퍼(140)과 상기 체결 고정부(220)의 삽입홈부(221) 내에 형성된 제2스토퍼(224)가 접촉됨에 따라 상기 쐐기 부재(200)는 체결 돌부(100)의 체결방향 측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멈추게 된다.
상기 쐐기 부재(200)의 이동을 멈추게 하는 것을 제1,2스토퍼(140,224)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 돌부(100) 및, 쐐기 부재(200)의 외면 형상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 돌부(100)에 쐐기 부재(200)가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되면, 상기 체결 돌부(100)의 관통공(130)과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에 형성된 체결공(223)이 일치하게 되고, 상기 일치된 관통공(130)과 체결공(223)으로 체결 부재(230)를 삽입하여 상기 쐐기 부재(200)의 외측으로 튀어나온 체결 부재(230)의 양단부를 벌린다.
그러면, 상기 단부가 벌어진 체결 부재(230)에 의하여 상기 체결 돌부(100)에는 쐐기 부재(200)가 한 번 더 체결되므로 상기 쐐기 부재(200)는 체결 돌부(100)에 견고하게 체결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각 주름관(10,10')은 연결 기구(2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 고정된다.
한편, 상기 체결 돌부(100)와 쐐기 부재(200)에 의해 상기 연결 기구(20)에 결합 고정된 각 주름관(10,10')를 연결 기구(20)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체결 돌부(100)의 관통공(130)과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공(223)에 삽입 체결된 체결 부재(230)의 양단부를 오무리고 나서 상기 체결 부재(230)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상기 체결 돌부(100)에 체결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쐐기 부재(200)를 잡아당겨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쐐기 부재(200)의 삽입 고정부(210)는 각 주름관(10,10')의 각 요홈(12)으로부터 탈거됨과 동시에 상기 쐐기 부재(200)의 체결 고정부(220)는 체결 돌부(100)로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 기구(20)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각 주름관(10,1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각 주름관(10,10')은 연결 기구(20)로부터 분리된다.
2.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실제 주름관을 절단하여 상기 연결 기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때, 예기치 않게도 추가의 개선할 사항이 발견되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주름관(10, 10')은 이상적으로 절단되어지면(예컨대, 요홈(12)의 정중앙부에서 절단되는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일단부는 잘려진 요홈의 정 중앙부가 연결 기구(20) 내주면에 형성된 내측돌부(21)에 접촉한다. 이러한 접촉이 이루어지면, 각 주름관의 연결 기구 내부에서의 추가의 삽입이 방지되어, 작업자는 본 발명의 연결 기구를 이용하여 두 주름관을 연결하여야 하는 시점을 파악하고, 상기 연결 기구를 이용하여 두 주름관을 연결한다.
그런데, 각 주름관은 설치 작업의 환경에 맞춰, 작업자가 절단하는 작업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된다. 이때, 이상적으로 작업자가 각 주름관의 일단부의 요홈(12)의 절반 위치 혹은 돌부(11)의 절반 위치에서 정확히 주름관을 일정하게 절단하게 되면, 각 주름관은 내측돌부(21)에서 이상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연결 기구의 설치 작업과 관련하여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작업자의 스킬이나 경험에 따라서, 주름관의 절단 작업이 일정하지 않다는 데에서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예컨대, 요홈(12) 위치에서 각 주름관을 절단한다고 할 때에, 작업자에 따라서는 요홈(12)의 정확한 절반 위치에서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요홈 전체 폭의 1/3 지점, 1/4 지점 등에서 각 주름관을 절단할 수 있고, 또 한 주름관에서는 절반의 지점, 다른 주름관에서는 요홈의 1/4 지점에서 절단할 수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요홈을 따라 일정하게 절단하는 것이 아니라, 경사지게 절단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단 오차가 생긴채 절단된 각 주름관을 연결 기구(20) 내부에 삽입하면, 도 7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왼쪽 주름관(10)은 그 요홈(12)의 절반 위치에서 내측돌부(21)와 접촉하여, 쐐기 부재(200)를 제 위치에서 고정할 수가 있다(즉 왼쪽 주름관(10)은 요홈(12)의 정중앙부에서 절단된 경우에 해당). 그러나, 오른쪽 주름관(10')의 경우, 예컨대 요홈의 절반 위치에서 내측돌부(21)와 접촉하지 않게 되어, 반대쪽 단부에서 쐐기 부재(200)와 요홈(12)의 위치가 맞지 않게 되어, 쐐기 부재(200)를 요홈(12)에 올바르게 삽입할 수 없거나 그러한 쐐기 부재의 삽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작업자는 오른쪽 주름관(10')과 관련하여, 쐐기 부재(20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반대쪽 단부의 요홈 위치를 쐐기 부재(200)의 위치와 맞추어, 쐐기 부재(200)를 고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기구(20) 내부에 삽입된 주름관(10')의 일단부가 내측돌부(21)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즉 일단부와 내측돌기(21) 사이에 간격(B)이 형성), 그 일단부가 내측돌부(21)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주름관이 연결 기구(20)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기구의 연결 기구(20)의 내주면에는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연결 기구의 중심을 향해 연장하는 수직 돌출부(310)와 수직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연결 기구(20)의 길이 방향으로 즉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320)로 이루어진 스토퍼 유닛(300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실시예의 내측돌부(21)와는 달리, 스토퍼 유닛(300A)은 전체적으로 T-형 단면을 갖고 있다. 이때, 수평 연장부(320)는 수직 돌출부(310)를 중심으로 양 방향으로 동일 길이만큼 연장된다.
상기 구조의 스토퍼 유닛(300A)이 연결 기구(20)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작업자의 스킬 등에 의존하는 일이 없이 두 주름관을 항상 일정한 위치에서 쐐기 부재(200)로 연결할 수가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유닛(300A)의 수평 연장부(320)가 연결 기구의 길이 방향으로 동일 길이만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어, 작업자가 주름관(10, 10')의 각 일단부를 어떠한 형태로 절단하든지 간에 또 일정하게 절단하든지 아니면 경사지게 절단하는 지 등에 상관 없이(즉 돌부(11)나 요홈(12)에서 주름관을 절단할 때 그 위치에 상관 없이), 그 어떠한 형태의 일단부라도, 스토퍼 유닛(300A)의 수평 연장부(320)에 주름관의 각 일단부의 요홈(12) 또는 돌부(11)의 일부가 안정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주름관의 타단부가 연결 기구(20)의 양단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하고, 따라서 주름관의 각 타단부에서 쐐기 부재(200)가 항상 요홈(12)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절단 공차시 발생하는 위치 오정렬의 문제(도 7(a) 참조), 이러한 오정렬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단부가 내측돌부(21)에 접촉하지 않은 채 유지되어 지지력이 떨어지는 문제(도 7(b)) 참조)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320)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는 반드시 고정된 길이일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연결 기구가 사용되는 주름관의 요홈의 길이에 맞춰 디자인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홈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다(예컨대, 요홈의 수직 방향으로 높이의 중앙 부분에서의 요홈의 폭).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유닛(300A)은 연결 기구(20)의 내면에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유닛(300A)은 연결 기구(200)의 내주면을 따라 360°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주면을 따라 불연속적인 형태로, 예컨대 90°의 간격을 두고 상기 내주면에 제공될 수도 있다. 스토퍼 유닛(300A)이 연결 기구(200)의 내주면을 따라 360°연속적인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주름관의 일단부와의 접촉 면적이 커져, 보다 더 안정적으로 주름관을 지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름관의 절단시 작업자의 스킬이나 경험 등에 상관 없이, 어떠한 위치에서 각 주름관이 절단되더라도, 상기 구성의 스토퍼 유닛(300A)으로 인하여, 주름관의 타단부에서 일정하게 쐐기 부재(200)를 요홈(12)에 삽입할 수 있고 또 주름관의 일단부를 연결 기구 내에서 스토퍼 유닛에 의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지지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실시예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고, 이들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10: 주름관 10': 다른 주름관
11: 돌부 12: 요홈
20: 연결 기구 21: 내측돌부
30: 패킹 100: 체결 돌부
101: 빈 공간 110: 가이드부
120.121: 제1,2끼움홈 130: 관통공
140,224: 제1,2스토퍼 200: 쐐기 부재
210: 삽입 고정부 211: 단부
212,213: 제1,2끼움돌부 220: 체결 고정부
221: 삽입홈부 222: 가이드홈부
223: 체결공 230: 체결 부재
300A: 스토퍼 유닛 310: 수직 돌출부
320: 수평 연장부

Claims (15)

  1. 전선을 내장 설치하거나 기체나 유체가 흐르도록 외주면에 링 형태로 돌부와 요홈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주름관과 동일 구성의 다른 주름관의 일단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주름관을 결합 고정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로서,
    상기 연결 기구의 양측 외주연부에 각각 형성되어 중앙부가 빈 공간을 가짐은 물론 외측면에 가이드부가 형성된 체결 돌부와;
    상기 연결 기구에 각 주름관을 결합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주름관의 요홈으로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 고정부와, 상기 삽입 고정부에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부에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 돌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부 및 상기 삽입 홈부의 내측면에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부가 형성된 체결 고정부를 포함하는 쐐기 부재와;
    상기 연결 기구의 중앙 부분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기구 내부에 삽입되는 각 주름관의 일단부의 절단 형태에 상관 없이, 상기 각 주름관의 일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연결 기구 내부에서 각 주름관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기능과, 상기 각 주름관의 타단부가 상기 연결 기구의 양 개방 단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하여, 각 주름관의 타단부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항상 각 주름관의 요홈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는 위치 정렬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연결 기구의 중심을 향해 연장하는 수직 연장부와 수직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연결 기구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동일 길이만큼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 연장부로부터의 상기 수평 연장부의 연장 길이는 상기 주름관의 요홈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기구 내부로 삽입된 상기 각 주름관의 일단부가 상기 수평 연장부와 상기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지 않고도 상기 각 주름관의 일단부의 임의의 형태로 절단된 요홈 또는 돌부가 상기 수평 연장부의 각 단부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각 주름관의 타단부가 상기 연결 기구의 양 개방 단부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주름관의 각 타단부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항상 요홈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을 따라 360°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연결 기구의 내주면을 따라 불연속적인 형태로 상기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부에서 상기 쐐기 부재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부재 탈거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재 탈거 방지 수단은, 상기 체결 돌부의 개방된 일측인 연결 기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끼움홈, 상기 제1 끼움홈의 대응되는 측인 상기 체결 돌부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끼움홈, 상기 쐐기 부재의 체결 고정부에 형성된 삽입 홈부의 개방된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끼움홈에 삽입되는 제1 끼움 돌기, 상기 제1 끼움 돌기와 대응되는 측인 상기 체결고정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끼움홈에 삽입되는 제2 끼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돌부의 빈 공간 내에 제1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쐐기 부재의 체결 고정부에 형성된 삽입 홈부 내에는 상기 체결 돌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체결되는 상기 쐐기 부재가 일정 위치에서 멈춰 더 이상 진행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스토퍼와 접촉하는 제2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관 연결 기구.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79412A 2014-06-27 2014-06-27 주름관 연결 기구 KR10153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12A KR101537988B1 (ko) 2014-06-27 2014-06-27 주름관 연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412A KR101537988B1 (ko) 2014-06-27 2014-06-27 주름관 연결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7250A Division KR20140060671A (ko) 2012-11-12 2012-11-12 주름관 연결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586A KR20140090586A (ko) 2014-07-17
KR101537988B1 true KR101537988B1 (ko) 2015-07-21

Family

ID=51738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412A KR101537988B1 (ko) 2014-06-27 2014-06-27 주름관 연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88Y1 (ko) 2019-06-21 2019-12-04 정문식 통합형 조립식 이음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557B1 (ko) * 2016-02-03 2016-10-04 영일전설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보호관 연결 방법
KR101655285B1 (ko) * 2016-02-03 2016-09-07 영일전설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보호관 연결 유닛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390A (ja) * 1997-05-26 1999-02-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管継手
KR200385464Y1 (ko) * 2005-01-18 2005-05-27 윤석은 파형 강관 연결장치
KR101000666B1 (ko) * 2008-04-21 2010-12-10 주식회사 대경산업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20120100585A (ko) * 2011-03-04 2012-09-12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4390A (ja) * 1997-05-26 1999-02-1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管継手
KR200385464Y1 (ko) * 2005-01-18 2005-05-27 윤석은 파형 강관 연결장치
KR101000666B1 (ko) * 2008-04-21 2010-12-10 주식회사 대경산업 확장돌기를 이용한 양방향 관연결구
KR20120100585A (ko) * 2011-03-04 2012-09-12 일우산업 주식회사 주름관 연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588Y1 (ko) 2019-06-21 2019-12-04 정문식 통합형 조립식 이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0586A (ko) 2014-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4013B2 (en) Detachable plug-in connector
RU2658626C2 (ru) Кабельные вводы
KR101537988B1 (ko) 주름관 연결 기구
CN100464107C (zh) 卡箍式管接头
RU2509946C1 (ru) Профильный хомут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JP4885321B1 (ja) 配管固定具、配管固定方法、配管固定具の製造方法
US20120086196A1 (en) Conduit coupling with removable stop
RU2013141511A (ru) Угл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полых профилей
US20150316187A1 (en) Holding device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ing same
KR20150055608A (ko) 주름관 연결 기구
KR20150031841A (ko) 주름관 연결 기구
JP6347969B2 (ja) 流体制御装置および流体制御装置用継手部材
KR20220017503A (ko) 열 방호 장치를 가진 클램프 조립체
WO2018159201A1 (ja) 配管継手
KR20090106296A (ko) 파이프용 연결물
KR20140060671A (ko) 주름관 연결 기구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150011539A (ko) 반도체 배관 연결구조
AU2019312230B2 (en) Pipe joint structure
KR101202596B1 (ko) 주름관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CN203907904U (zh) 固定件
KR101983079B1 (ko) 배관 고정구
KR101661589B1 (ko) 안내판 걸이구
KR20180124660A (ko) 파형관 연결장치
CN210344646U (zh) 管路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