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935B1 -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935B1
KR101537935B1 KR1020090114961A KR20090114961A KR101537935B1 KR 101537935 B1 KR101537935 B1 KR 101537935B1 KR 1020090114961 A KR1020090114961 A KR 1020090114961A KR 20090114961 A KR20090114961 A KR 20090114961A KR 101537935 B1 KR101537935 B1 KR 10153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needle
needle bed
stitch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80359A (en
Inventor
아키토모 다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0008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03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f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경계부를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편침(13, 14)으로부터 녹 오버 되어 니들베드 갭(18)으로 이행하면 편성폭이 감소하기 때문에, 편성폭 종단의 편침(13)으로부터의 구 스티치(25)는 신 스티치(21)로부터 편성폭의 내측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수축되어 형성된다. 구 스티치(25)의 위치에 따라 확경부재(15)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면, 확경부재(15)의 선단을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시켜서 구 스티치(25) 내에 침입시킬 수 있다. 확경부재(15)의 선단 형상을 전체적으로 가늘고 지름의 변화가 작으며 끝이 가는 모양으로 하면, 구 스티치(25)에 용이하게 침입시켜서 구 스티치(25)를 서서히 지름이 커지게 할 수 있다. 편사(20)를 급사하는 방향을 반전하여 최후에 형성된 신 스티치(21)로서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주회편성 후에 구 스티치(25)로서 니들베드 갭(18)으로 이행한 후에, 확경부재(15)에 의하여 지름이 커지게 되어 스티치의 크기를 회복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90114961

(assignment)

A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capable of making a boundary hard to be seen.

(Solution)

The knit stitches 25 from the knitting needles 13 at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are separated from the knitting stitches 21 by the knitting widths 13, As shown in Fig. The distal end of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can be advanced into the needle bed gap 18 and infiltrated into the spherical stitch 25 by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spherical stitch 25. [ .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stitches 25 can be gradually increased by allowing the diameter of the diameter portion 15 to be easily entered into the spherical stitches 25 when the distal end of the spherical stitches 15 is small in overall shape and small in diameter and small in tip. Even if the size of the new stitch 21 formed at the end is reversed by reversing the yarn feeding direction of the knitting yarn 20, after shifting to the needle bed gap 18 as the stitch stitch 25 after main thread knitting, 15, the diameter of the stitch can be restored.

Figure R1020090114961

Description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통(筒) 모양으로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achine which is knitted in a tubular form by a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a pair of needle beds which face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therebetween. To a knitting method of a tubular knitted fabric knitting flat knitting machine and a tubular knitted fabric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종래로부터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전후에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는, 자루 편성(tubular knit)에 의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가 편성되고 있다. 자루 편성에서는, 양방의 니들베드에 걸쳐서 편사(編絲)를 일정 방향으로 주회(周回)시키면서 급사(給絲)하여, 각 니들베드에서 각각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의 편성포를 편성한다. 자루 편성에 의한 통 모양의 편성포는 예를 들면 장갑이나 양말 등에 이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0002] Conventionally, in a weft knitting machine in which a needle bed is provided before and after a needle bed gap is interposed therebetween, a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a tubular knit. In the knitting, knitting yarns are fed while being twis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cross both needle beds to knit plain stitch knitted fabrics on the respective needle beds. The tubular knitted fabric by the knitting is used, for example, in gloves and socks.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를 이동하는 코이동(loop transfer)의 기능을 구비하는 범용(汎用)의 횡편기에서는, 한쪽의 편성포를 각각 양방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편성하고, 편성폭(編成幅)의 단부(端部)에서 양측의 편성포가 연결되는 통 모양의 편성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장갑이나 양말 등의 편성을 목적으로 하는 횡편기에서, 편사로서 바탕실(base yarn)과 파일사(pile yarn)를 사용하고 바탕실과 파일사를 분리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싱커(sinker)를 이용하면, 파일 편성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In a general knitting machine having a loop transfer function of moving stitches between needle beds, one knitted fabric is knitted using both needle beds, and knitting widths (knitting widths Shaped knitted fabric to which the knitted fabric is connected at the ends of the knitted fabric (knitting width). A sinker having a function of using a base yarn and a pile yarn as knitting yarns and a function of separating a base yarn and a pile yarn in a wef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glove, , It is also possible to organize files (for example, see Patent Document 1).

횡편기에 의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편성폭의 단부에서의 편사의 급사방향은, 일방측(一方側)의 편성포와 타방측(他方側)의 편성포에서 반전된다. 급사방향이 반전되기 직전에 편성된 일방측 편성포의 스티치를 결합하고 있는 편침에서는, 타방측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결합하고 있는 스티치에 연결되는 편사가 니들베드 갭을 넘어서 대향하는 니들베드측으로 급사된다. 대향하는 니들베드측을 향하여 편사의 장력(張力)이 높아지면, 스티치 형성 시에 니들베드에 인입(引入)된 편침이 니들베드 갭측으로 인출되어, 결합하고 있는 스티치가 작아지게 됨으로써 통 모양 편성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특허문헌2에서는, 최후에 형성된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캐리지(carriage)에 탑재되는 캠(cam)에 의하여 니들베드로 인입하면서, 대향하는 니들베드측으로 급사하여 편성포를 편성함으로써 편침의 인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캐리지에 탑재되는 캠 중에서 적어도 스티치 캠(stitch cam)은 사용하고 또한 인하 캠(引下 cam)도 사용한다.When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the weft knitting machine, the yarn feeding direction of the knitting yarn at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s reversed in the knitted fabric on one side (one side) and the knitted fabric on the other side (the other side). In the knitting needle which combines the stitches of the one knitted fabric knitted immediately before the yarn feeding direction is reversed, the knitting yarn connected to the stitches engaged when knitting the knitted fabric on the other side is moved to the side of the needle bed opposite to the needle bed gap It is sudden. When the tension of the knitting yarn is increased toward the opposing needle bed side, the knitting needle drawn into the needle bed at the time of stitch formation is pulled toward the needle bed gap sid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t is deteriorated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In Patent Document 2, the knitting needle that combines the stitches formed last is fed to the needle bed side facing the needle bed by the cam mounted on the carriage, knitted with the knitted fabric to prevent the drawing of the knitting needle . At least a stitch cam is used among the cams mounted on the carriage, and a down cam is also used.

도6은,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파일 편성에 사용하는 파일편성용 싱커(pile 編成用 sinker)(1)의 예를, 정면의 구성으로서 1A로 나타내고, 평면의 구성으로서 1B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파일편성용 싱커(1)는, 선단측(先端側)의 작용 암(作用 arm)(2)을 니들베드 갭에 접촉시켜서 사용된다. 작용 암(2)의 선단은, 바탕실용 폴(3)과 파일사용 폴(4)로 나누어져 있다. 편침으로서는, 선단의 훅(hook)을 래치(latch)에 의하여 개폐하고, 또한 래치 부분의 훅과 대향하는 내측 테두리에 바탕실 결합용 훅을 구비하는 파일용 편침을 사용한다. 바탕실 결합용 훅은,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파일용 편침의 편사결합용 훅에 상당한다. 파일편성용 싱커(1)의 후단측(後端側)에는 버트(butt)(5)가 형성된다. 작용 암(2)과 버트(5) 사이의 오목부에 판자 모양의 캠(cam)이 삽입된다. 캠에는, 작용 암(2)측에 접촉하는 캠면(cam 面)과, 버트(5)측에 접촉하는 캠면이 형성된다. 파일편성용 싱커(1)의 니들베드 갭으로의 진퇴는, 작용 암(2)측 또는 버트(5)측의 캠에 의한 가압방향(加壓方向)에 의하여 전환된다.Fig. 6 shows an example of a pile knitting sinker 1 for use in pile knitting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which is denoted by 1A as a front structure and denoted by 1B as a planar structure. FIG. The sinker 1 for pile fabric is used by bringing the action arm 2 on the leading end side (leading end side) into contact with the needle bed gap. The distal end of the working arm 2 is divided into a backhoe pawl 3 and a pawl use pawl 4. As the knitting needles, a file knitting needle having a hook for a front end is opened and closed by a latch, and a hook for a base seal coupling is provided on an inner rim facing the hook of the latch portion. The base seal coupling hook corresponds to a hook for a knitting yarn of a pile needl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butt 5 is formed on the rear end side of the sinker 1 for pile knitting. A cam-like cam (cam) is inserted into the recess between the working arm 2 and the butt 5. The cam is provided with a cam surface contacting the acting arm 2 side and a cam surface contacting the butt 5 s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sinker 1 for pile knitting to the needle bed gap is switched by the urging direction by the cam on the side of the acting arm 2 or the side of the butt 5.

파일편성용 싱커(1)를 사용하는 파일 편성의 편성에서는, 우선 파일용 편침의 래치를 열어서 훅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고, 바탕실을 바탕실 결합용 훅에 걸리도록 급사한다. 다음에 바탕실 결합용 훅과 훅 사이의 위치에 파일사용 폴(4)의 선단을 삽입하여 파일사를 훅 내로 급사하면, 바탕 실과 파일사를 훅에 분리하여 급사할 수 있다. 스티치 형성 시에는, 훅을 바탕실용 폴(3)의 위치보다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인입(引入)한다. 스티치 중에서 니들 루프(needle loop)는, 바탕실과 파일사에 공통적으로 훅에 의하여 형성된다. 바탕실은, 바탕실용 폴(3)의 바탕실용 싱커부(3a)에 의하여 싱커 루프(sinker loop)를 형성한다. 파일사는, 파일사용 싱커부(4a)에 의하여 바탕실의 싱커 루프보다 긴 파일 루프(pile loop)를 형성한다.In the knitting of the pile using the sinker 1 for pile knitting, first, the latch of the pile needle is opened to advance the hook to the needle bed gap, and the base yarn is fed so as to be caught by the base yarn engaging hook. Next, when the tip of the pile use pawl 4 is inserted into the hook between the base seal hook and the hook and the pile yarn is fed into the hook, the base yarn and pile yarn can be separated into hooks and fed. At the time of stitch formation, the hook is pul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needle bed gap relative to the position of the base room pawl 3. A needle loop in the stitch is formed by a hook commonly to the base yarn and the filament yarn. In the base room, a sinker loop is formed by the base room sinker portion 3a of the base room pawl 3. The file creator forms a pile loop longer than the sinker loop of the background room by the file use sinker unit 4a.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고특허 특공소60-59333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60-59333

특허문헌2 : 국제공개 제06/103957호 팸플릿Patent Document 2: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06/103957 pamphlet

횡편기에 의하여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는, 니들베드 갭에 접하는 편성포 종단부에서 스티치가 작아지게 되어, 니들베드 갭에 상당하는 경계부(境界部)의 스티치 사이가 넓어짐으로써 벌어짐이 눈에 보일 우려가 있다. 벌어짐이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하는 대책으로서, 특허문헌2에서는 급사방향 반전 전의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을 캠에 의하여 낮추도록 캠에 의하여 안내하는 경로를 전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캠에 안내경로를 추가하여 경로를 전환하기 위한 제어를 필요로 한다.When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the weft knitting machine, the stitch becomes smaller at the knitted fabric end portion in contact with the needle bed gap, and the stitches at the boundary portion (boundary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needle bed gap are widen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may appear. As a countermeasure for preventing the widening from being visible, in Patent Document 2, it is necessary to switch the route guided by the cam so as to lower the knitting needle for binding the stitch before the yarn turning direction is reversed by the cam. It requires control to switch paths.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파일편성용 싱커(1)를 사용하여 파일 편성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는, 니들베드 갭으로 작용 암(2)을 진퇴(進退)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 갭이 넓어지게 된다. 급사방향이 반전되는 편성포 단부에서는, 파일사도 대향하는 니들베드측으로 끌려서 파일 루프가 작아진다. 파일 편성의 통 모양 편성포에서는, 경계부에서의 바탕실의 스티치 차이뿐만 아니라 파일 루프 길이의 차이도 발생하기 때문에, 경계부가 눈에 보이기 쉽다. 또한 파일 편성의 통 모양 편성포는, 고무재료(rubber 材料) 등을 코팅(coating)하는 장갑 등으로서 사용된다. 고무재료 등의 코팅은 재료액(材料液)에 침지(浸漬)시켜서 이루어지지만, 경계부의 스티치 사이가 넓어져 있으면 재료액이 내부로 침투하기 쉬워진다. 또한 파일 루프의 크기가 다르게 되면, 재료액이 부착되는 두께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한다.When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with a pile by using the sinker 1 for pile knitting as shown in Fig. 6, it is necessary to move the arm 2 forward and backward with the needle bed gap, The needle bed gap becomes wider. The filament yarn is also pulled toward the opposed needle bed side at the knitting yarn end where the yarn feeding direction is reversed, so that the file loop becomes smaller. In the tubular knitted fabric of the pile knitting, not only the stitch difference in the base yarn at the boundary but also the difference in the pile loop length is generated, so that the boundary is likely to be seen. Further, the tubular knitted fabric of pile knitting is used as a glove for coating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The coating of the rubber material or the like is performed by immersing (immersing) the coating liquid in the material liquid (material liquid), but if the interval between the stitches at the boundary is widened, the material liquid tends to penetrate into the inside. Also, if the size of the loop of the pile is different, a phenomenon occurs that the thickness to which the material liquid adheres becomes uneven.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부를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 및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knitting flat knitting machine and a tubular knitted fabric which can make the boundary portion difficult to see.

본 발명은,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편사(編絲)를 일정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도록 급사(給絲)하여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編成幅)의 시단(始端)으로부터 종단(終端)까지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하고,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의 종단으로부터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의 시단으로 니들베드 사이에서 연결하면서 통(筒) 모양으로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yarn which is provided with a pair of needle beds which face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therebetween, A knitted fabric is knitted from the starting end to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of the needle beds and the knitting yarn is knitted from one end of the one needle bed to the other end, In which a weft knitting fabric can be knitted in a tubular shape while being connected between the needle bed and the needle bed of the needle bed of the weft knitting machine,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編針)으로부터 편성폭의 시단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stitch)가 녹 오버(knock over) 되어 니들베드 갭측으로 이행(移行)하여 형성되는 구 스티치(舊 stitch)에 선단을 침입시켜서 상기 구 스티치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는 확경부재(擴徑部材)와,The stitch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starting end of the knitting width from the knitting needles that are ending in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knit over the knitting stitches to move toward the needle bed gap side A diameter-enlarging member capable of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stitch by penetrating a tip of the spherical stitch into a former stitch formed by shifting (shifting)

니들베드 갭으로 확경부재의 선단을 진출시키고 또는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키도록 전환하여,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할 때에 상기 구 스티치 에 확경부재의 선단을 침입시킬 수 있는 진퇴기구(進退機構)를(Advancing / retreating mechanism) which can advance the tip of the diameter-increasing member into the needle bed gap or advance the needle bed gap backward from the needle bed gap so as to allow the distal end of the diameter-increasing member to enter the needle stitch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이다.Wherein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with a tubular knitted fabric.

또 본 발명에서, 상기 각 니들베드에는, 편침 사이에, 선단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퇴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동(可動)의 싱커(sinker)가 구비되고,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needle beds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and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needle into the needle bed gap,

상기 확경부재는, 가동의 싱커를 치환(置換)하여 설치되고,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is provided by replacing the movable sinker,

가동의 싱커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퇴시키는 기구가 상기 진퇴기구로서, 확경부재의 선단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또는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chanism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movable sinker to and from the needle bed ga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l end of the thickened member is advanced or retracted to the needle bed gap as the advancing / retracting mechanism.

또 본 발명에서, 상기 횡편기는, 상기 편사로서, 통 모양 편성포의 기본 부분 형성에 사용되는 바탕실(base yarn)과, 상기 기본 부분의 각 스티치에 부가되어 파일(pile) 부분을 형성하는 파일사(pile yarn)를 병행(竝行)하여 급사(給絲)하면서 파일 직물(pile fabric)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고,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lat knitting machine includes, as the knitting yarn, a base yarn used for forming a basic portion of the tubular knitted fabric and a base yarn for forming a pile portion in addition to each stitch of the basic portion A pile fabric yarn is knitted while a pile yarn yarn is fed in parallel to form a tubular knitted fabric of pile fabric,

상기 가동의 싱커는, 상기 신 스티치(新 stitch)가 형성될 때에 바탕실과 파일사의 사이에 삽입되어 바탕실과 파일사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able sinker is inserted between the base yarn and the filament yarn when the new stitch is formed to separate the base yarn and the filament yarn.

또한 본 발명은,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편사를 일정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여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 편성포를 편성하고, 일방 의 니들베드의 종단으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의 시단으로 니들베드 사이에서 연결하면서 통 모양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air of needle be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the knitting yarn is fed so as to ru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knit the knitted fabric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knitting a knitted fabric in a tubular shape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needle beds from the end of one of the needle beds to the beginning of the other of the needle beds,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으로부터 구 스티치에 선단을 침입시켜서, 상기 구 스티치를 지름이 커지도록 할 수 있는 확경부재를 편성폭의 시단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하고,The diameter of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stitch can be made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needle stitch by infiltrating the leading end into the spherical stitch from the knitting needle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에 새로운 편사가 급사되어 신 스티치가 형성될 때에, 상기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가 녹 오버 되어 니들베드 갭측으로 이행하여 형성되는 구 스티치에 확경부재의 선단을 침입시켜서, 상기 구 스티치를 지름이 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When a new knitting yarn is fed to a knitting needle ending at a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a new stitch is formed, the knitted stitch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 rubs over and moves toward the needle bed gap sid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stitch is made larger.

본 발명에 의하면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는,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편사를 일정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여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 편성포를 편성하고, 니들베드 사이에서 일방의 니들베드의 종단으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의 시단으로 연결하면서 통 모양으로 편성포를 편성한다.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으로부터 편성폭의 시단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확경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에 결 합되어 있는 스티치가 녹 오버 되어 니들베드 갭측으로 이행하여 형성되는 구 스티치는, 수축(收縮)되어 편성폭의 시단측으로 위치가 어긋난다. 진퇴기구에 의하여 확경부재의 선단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시키면, 구 스티치에는 확경부재의 선단이 침입하여 일단 수축되어 있는 구 스티치를 지름이 커지게 한다. 구 스티치의 지름을 크게 한 편사는 경계부의 스티치 사이에서 인출되기 때문에, 구 스티치의 크기를 회복시켜서 경계부의 스티치 사이의 넓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경계부를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includes a pair of needle be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therebetween, and the knitting yarn is fed so as to run aroun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knitted fabric is knitted up to the end and the knitted fabric is knitted in a tubular shape while being connected between the needle beds from the end of one of the needle beds to the other end of the needle bed. And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knitting needle ending the knitting width in the direction of the start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The stitch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rusts over and moves toward the needle bed gap side, and the stitch is contracted and displaced to the leading end side of the knitting width. When the leading end of the diameter portion material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by the advancing / retracting mechanism,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stitch, which is once contracted due to the penetra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diameter- Since the yarn having a larger diameter of the stitch is pulled out between the stitches at the boundary, the size of the stitch is restored to reduce the area between the stitches at the boundary, thereby making it difficult to see the boundary.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의 싱커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퇴시키는 기구를 이용하여 종단의 편침에 의하여 결합하는 스티치가 녹 오버 된 후에 수축하여도 지름이 커지게 할 수 있다. 가동의 싱커는, 스티치를 형성할 때의 싱커 또는 형성된 편성포의 니들베드 갭으로의 하강에도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echanism for moving the movable sinker to and from the needle bed gap, the diameter of the stitch to be engaged by the knitting needle at the end can be increased even if the stitch is contracted after rusting. The movable sinker can also be used to lower the needle bed gap of the sinker or formed knitted fabric when stitches are formed.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파일 편성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경계부에서 스티치가 작아져서 스티치 사이가 넓어짐으로써 눈에 보이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ubular knitted fabric for pile knitting is knitted, the stitches are reduced at the boundary portion, and the stitches are widened, thereby reducing the problems see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경계부에서 스티치가 작아져서 스티치 사이가 넓어지는 문제를, 편침으로부터 녹 오버 되어 수축되는 스티치를 지름이 커지게 하여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녹 오버 된 스티치를 직접 지름이 커지게 함으로써, 지름이 커진 편사를 경계부의 스티치 사이에서 인출하여 넓이를 감소시켜서 경계부를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blem that the stitches become smaller at the boundary portion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stitches becomes wider can be made difficult to be seen by making the diameter of the stitches contracted to rust over from the knitting needle. By making the rusted stitch directly larger in diameter, the knitting yarn having a larger diameter can be pulled out between the stitches at the boundary to reduce the width, making it difficult to make the boundary visible.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예인 횡편기(10)의 주요부분에 대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횡편기(橫編機)(10)는 앞 니들베드(front needle bed)(11) 및 뒤 니들베드(back needle bed)(12)를 구비한다. 앞 니들베드(11) 및 뒤 니들베드(12)에는, 편침(編針)(13, 14)이 각각 다수 나란하게 설치된다. 각 편침(13, 14)의 선단(先端)에는, 훅(hook)(13a, 14a)이 형성된다. 앞 니들베드(11)의 편침(13)과 뒤 니들베드(12)의 편침(14)은, 대면(對面)하는 위치가 어긋나도록 배치된다. 통(筒) 모양 편성포(編成布)는 일정 방향으로 편사(編絲)를 주회(周回)하도록 급사(給絲)하여 편성된다. 예를 들면 시계방향의 급사에 의하여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앞 니들베드(11)의 편침(13)에는 도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의 방향으로 급사하고, 뒤 니들베드(12)의 편침(14)에는 좌측으로부터 우측의 방향으로 급사하도록 급사방향을 전환하면서 편성한다. 좌측의 단부(端部)에서는, 앞 니들베드(11)의 종단측(終端側)이 뒤 니들베드(12)의 시단측(始端側)보다 편성폭(編成幅)의 외측이 되도록 편침(13, 14)을 사용한다. 앞 니들베드(11)에서 사용하는 편침(13) 중에서 종단이 되는 편침(13)으로부터 편성폭의 시단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확경부재(擴徑部材)(15)를 배치한다. 뒤 니들베드(12)에서도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14)의 시단측으로 인접하게 확경부재(15)를 배치한다. 다만 도면에서는 편성폭의 좌측 단부만을 나타내고, 우측 단부는 생략한다. 각 편침(13, 14) 사이에 있어서, 확경부재(15)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는 가동 싱커(可動 sinker)(16)가 배치된다. 각 가동 싱커(16)는, 앞 니들베드(11) 및 뒤 니들베드(12)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측에 각각 배치되는 진퇴용(進退用)의 싱커 바닥에 장착된다. 확경부재(15)도 가동 싱커(16)의 싱커 바닥에 장착된다. 확경부재(15)는, 파일편성용 싱커(pile 編成用 sinker)(1)의 작용 암(作用 arm)(2)에 상당하는 부분의 선단이 파일편성용 싱커(1)의 작용 암(作用 arm)(2)의 선단과 다르게 되어 있어, 선단을 스티치(stitch)에 침입시키면 스티치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다. 확경부재(15)의 형상에 관한 설명은, 도3에서 후술한다.Fig.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weft knitting machine 10, which is one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ft knitting machine 10 has a front needle bed 11 and a back needle bed 12. A large number of knitting needles 13 and 14 are provided in parallel in the front needle bed 11 and the rear needle bed 12, respectively. Hooks 13a and 14a are formed at the tips of the respective knitting needles 13 and 14, respectively. The knitting needles 13 of the front needle bed 11 and the knitting needles 14 of the rear needle bed 12 are arranged so that their facing positions are shifted from each other.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yarn feeding so that the knitting yarn is circul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in the case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by clockwise yarn feeding, the yarn is fed to the knitting needle 13 of the front needle bed 11 in the direction from the right side to the left side of the drawing, The knitting needle 14 is knitted while switching the yarn feeding direction so as to be fed in the direction from the left side to the right side. The end of the front needle bed 11 is positioned outside the knitting width of the knitting needle 13 from the start end side of the back needle bed 12 at the left end, , 14) are used. A diameter-enlarging member 15 is arranged adjacent to the knitting needle 13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needle 13 used in the front needle bed 11 in the direction of the starting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the rear needle bed 12 as well, the diameter-enlarging member 1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eading end side of the knitting needle 14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However, in the drawing, only the left end of the knitting width is shown, and the right end is omitted. A movable sinker 16 is disposed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13 and 14 at a position where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is not disposed. Each movable sinker 16 is mounted on a sinker floor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disposed on the needle bed gap side of the front needle bed 11 and the rear needle bed 12, respectively.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is also mounted on the sinker floor of the movable sinker 16.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tip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acting arm 2 of the sinker 1 for pile knitting is connected to the working arm of the pile knitting sinker 1 arm 2, so that the diameter of the stitch can be increased by penetrating the tip into the stitch. A description of the shape of the diameter-increasing member 15 will be given later in Fig.

장갑이나 양말은 동일한 조건에서의 편성을 반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13, 14)을 고정할 수도 있어, 이 편침(13, 14)에 편성폭의 시단측에 인접하는 위치에만 확경부재(15)를 배치하면 좋다. 또한 확경부재(15)를 이동 가능하게 하면, 편성 도중에 편성폭이 변하여도 스티치의 지름을 크게 하는 기능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Gloves and socks repeat knitting under the same conditions to improve productivity. Therefore, the knitting needles 13 and 14, which are the ends of the knitting width, can be fixed, and the enlarged diameter members 15 can be disposed only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start end of the knitting widths of the knitting needles 13 and 14. [ Further, by making the diameter portion 15 movable, the function of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stitch can be effectively used even if the knitting width changes during knitting.

앞 니들베드(11) 및 뒤 니들베드(12) 사이에는, 중심면(中心面)(17)을 포함하는 간격이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18)으로서 형성된다. 편침(13, 14)의 훅(13a, 14a)을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시켜서 급사구(給絲口)(19)로 부터 편사(編絲)(20)를 급사 받은 후에, 훅(13a, 14a)을 앞 니들베드(11) 및 뒤 니들베드(12)로 인입(引入)하면, 신 스티치(新 stitch)(21, 22)를 형성할 수 있다. 신 스티치(21, 22)를 형성할 때에 훅(13a, 14a)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는, 훅(13a, 14a)이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함으로써 편침(13, 14)의 훅(13a, 14a)으로부터 바늘 줄기측으로 이행(移行)된다. 훅(13a, 14a)의 인입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는 녹 오버(knock over) 되어 니들베드 갭(18)측으로 이행됨으로써 구 스티치(舊 stitch)(23, 24)가 형성된다.Between the front needle bed 11 and the back needle bed 12, a gap including the center plane 17 is formed as a needle bed gap 18. The hooks 13a and 14a of the knitting needles 13 and 14 advance into the needle bed gap 18 and the knitting yarn 20 is fed from the feed mouth 19, 13a and 14a are drawn into the front needle bed 11 and the back needle bed 12 to form new stitches 21 and 22. The stitches that are coupled to the hooks 13a and 14a at the time of forming the new stitches 21 and 22 are moved by the hooks 13a and 14a into the needle bed gap 18, , 14a to the needle bar side. The stitches coupled by the hooks 13a and 14a are knocked over and transferred to the needle bed gap 18 to form old stitches 23 and 24.

편성되는 편성포는 편침(13, 14)으로부터 녹 오버 되어 니들베드 갭(18)으로 이행되면, 편침(13, 14)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보다 편성폭이 감소된다. 또한 편침(13, 14)에는 앞 니들베드(11)와 뒤 니들베드(12) 사이에 있어서 대면하는 위치의 어긋남도 있다. 따라서 편성폭 종단의 편침(13)으로부터 녹 오버 된 구 스티치(25)는, 신 스티치(21)로부터 편성폭의 내측 즉 시단측으로 어긋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내측으로 어긋나는 구 스티치(25)의 위치에 따라 확경부재(15)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면, 확경부재(15)의 선단을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시켜서 구 스티치(25)에 침입시킬 수 있다. 확경부재(15)의 선단 형상을 예를 들면 끝이 가는 모양으로 하면, 침입량(侵入量)을 크게 함으로써 구 스티치(25)를 확대할 수 있다. 따라서 급사구(19)로부터 편사(20)를 급사하는 방향을 반전시켜서 최후에 형성된 신 스티치(21)로서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도, 주회편성(周回編成) 후에 구 스티치(25)로서 니들베드 갭(18)으로 이행한 후에, 확경부재(15)의 선 단을 침입시켜서 스티치를 지름이 커지게 하여 스티치의 크기를 유지할 수 있다.The knitted fabric is knitted from the knitting needles 13 and 14 and transferred to the needle bed gap 18, the knitting width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state where the knitted fabric is bonded to the knitting needles 13 and 14. [ The knitting needles 13 and 14 also have a positional deviation between the front needle bed 11 and the back needle bed 12. Therefore, the old stitches 25 rusted from the knitting needles 13 at the knitting width end are formed at positions shifted from the new stitches 21 to the inside of the knitting width, that is, the leading end side. The distal end of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is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18 to enter the spherical stitch 25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 If the tip end shape of the diameter portion material 15 is, for example, a shape having a small tip, the ball stitch 25 can be enlarged by increasing the penetration amount (penetration amount). Therefore, even if the direction of feeding the knitting yarn 20 from the yarn feeder 19 is reversed so that the size of the new stitch 21 formed at the end becomes smaller, the needle bed gap ( 18, the diameter of the stitches can be increased by penetrating the distal end of the diameter-increasing member 15, and the size of the stitches can be maintained.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다른 형태인 횡편기(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횡편기(30)에 있어서, 도1의 횡편기(1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횡편기(30)에서는, 도6에 나타나 있는 파일편성용 싱커(1)를 사용하여 파일 편성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한다. 니들베드 갭(18)을 사이에 두고 앞 니들베드(31)와 뒤 니들베드(32)가 대향(對向)하도록 배치된다. 앞 니들베드(31) 및 뒤 니들베드(32)는, 다수의 니들 플레이트(31a, 32a)가 베이스 플레이트(3lb, 32b)에 세워서 설치됨으로써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31a, 32a) 사이에는 니들홈이 형성되어 편침(33, 34)이 수용된다. 편침(33, 34)은,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파일용 편침을 사용한다. 각 니들홈의 상부에는, 밴드(35, 36)가 설치되어 편침(33, 34)이 니들홈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33)에 대해서는, 편성폭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파일편성용 싱커(1)에 대신하여 확경부재(15)가 배치된다. 또 뒤 니들베드(32)에서도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34)에 대해서는, 편성폭의 내측에 인접하도록 파일편성용 싱커(1)에 대신하여 확경부재(15)가 배치되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Fig. 2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30,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30,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flat knitting machine 10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30, a tubular knitted fabric for pile knitting is knitted using the pile knitting machine 1 shown in Fig.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rear needle bed 32 are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with the needle bed gap 18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rear needle bed 32 are formed by mounting a plurality of needle plates 31a and 32a on the base plates 31b and 32b. A needl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needle plates 31a, 32a to receive the needles 33, 34. The knitting needles 33 and 34 use a file knitting needle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ands 35 and 36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each needle groove to prevent the needles 33 and 34 from separating from the needle groove. For the knitted fabric 33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the diameter-enlarging member 15 is arrang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knitting width in place of the sinker 1 for pile knitting. In the back needle bed 32, the diameter-increasing portion 15 is dispos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inside of the knitting width with respect to the knitting needle 34 that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stead of the sinker 1 for pile knitting. And omits it.

파일편성용 싱커(1) 및 확경부재(15)는, 앞 니들베드(31) 및 뒤 니들베드(32)의 니들베드 갭(18)측에 설치되는 싱커 바닥(37, 38)에 배치된다. 파일 사(pile yarn)는, 니들베드 갭(18)의 상방으로부터 파일사 급사구(pile yarn 給絲口)(39)에 의하여 공급된다. 싱커 바닥(37, 38)은, 앞 니들베드(31) 및 뒤 니들베드(32)의 양단에 설치되는 싱커 바닥 부착판(37a, 38a)에 의하여 양단을 지지한다.The sinker 1 for the pile knitting and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are disposed on the sinker floors 37 and 38 provided on the needle bed gap 18 side of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back needle bed 32 . A pile yarn is f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needle bed gap 18 by a pile yarn feed opening 39. The sinker bottoms 37 and 38 support both ends by the sinker bottom attachment plates 37a and 38a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back needle bed 32. [

앞 니들베드(31)의 편침(33) 및 뒤 니들베드(32)의 편침(34)은, 캠(cam)(40)을 탑재하는 캐리지(carriage)(41, 42)가 도면의 지면(紙面)과 수직의 방향으로 왕복주행(往復走行)하여 구동된다. 캐리지(41, 42)에는, 파일편성용 싱커(1) 및 확경부재(15)를 구동시키기 위한 싱커 캠(sinker cam)(43, 44)도 싱커 캠용 부착판(45, 46)을 사이에 두고 부착된다. 캐리지(41, 42)는, 지면과 수직의 방향으로 관통하는 안내축(案內軸)(47, 48)에 의하여 안내된다. 캠(40)은 니들 캠 부착판(49, 50)에 부착된다. 확경부재(15)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상태까지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시킬 수 있다.The knitting needles 33 of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knitting needles 34 of the back needle bed 32 are arranged such that the carriages 41 and 42 on which the cam 40 is mounted (Reciprocatingly runn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travel. Sinker cams 43 and 44 for driving the sinker 1 for pile fabric and the thickened member 15 are also provided on the carriages 41 and 42 with the sinker cam attachment plates 45 and 46 therebetween Respectively. The carriages 41 and 42 are guided by guiding shafts (47 and 48) penetrat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The cam 40 is attached to the needle cam attachment plates 49, 50.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can advance into the needle bed gap 18 up to the state indicated by the two-dot chain line.

도3은,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확경부재(15)의 구성을 정면의 15A와 평면의 15B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확경부재(15)는, 니들베드 갭(18)에 접하는 측에 작용 암(51)을 구비한다. 작용 암(51)의 선단은, 전체적으로 가늘고 지름의 변화가 적으며 끝이 가는 모양의 확경부(擴徑部)(52)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정면의 15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확경부(52)는 비교적 가늘고 높이의 변화 정도가 적다. 작용 암(51)은, 확경부(52)의 기단측(基端側)으로 비교적 크고 높이가 증대되는 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확경부재(15)는 선단측의 확경부(52)를 가늘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작아진 구 스티치(25)에도 침입하기 용이하며, 침입시킨 후에 서서히 지름을 크게 할 수 있다. 평면의 1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확경부재(15)의 확경부(52)에서는, 선단 부근까지는 두께가 일정하고, 선단에서 일방측(一方側)이 경사면(傾斜面)이 되도록 베벨링(bevelling) 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확경부재(15)는 구 스티치(25)의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선단을 침입시키고 있기 때문에, 두께의 우측을 베벨링 하여 선단이 구 스티치(25) 내로 침입하기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구 스티치(25)의 중앙 부근으로 침입시키는 위치관계에서는, 두께의 양측을 베벨링 하면 좋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shown in Figs. 1 and 2 by 15A on the front face and 15B on the plane.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has an acting arm 51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needle bed gap 18. The distal end of the working arm 51 is formed as a diameter-enlarged portion 52 that is thin as a whole and has a small change in diameter and a small tip. That is, as shown in 15A in the front view,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2 is relatively thin and the degree of change in height is small. The working arm 51 forms a portion that is relatively large and increases in height on the base end side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2. Since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has a thinner diameter portion 52 on the tip end side, it is easy to infiltrate even the smaller stitches 25, and the diameter can be gradually increased after intrusion. As shown in the plane 15B, in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2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the thickness is constant up to the vicinity of the tip end, and the beveling (beveling) is performed so that one side ). 1, the distal end enters the position shifted to the right side of the ball stitch 25, so that the right side of the thickness is beveled so that the leading end can easily enter the ball stitch 25 have. Both sides of the thickness may be beveled i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in which the ball stitches 25 enter the vicinity of the center.

본 실시예의 확경부(52)는, 양방(兩方)의 형상을 조합하여 구 스티치(25)로 침입하는 것과 지름을 크게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도록 되어 있지만, 일방(一方)의 형상만으로 하여도 좋다. 확경부(52)의 선단으로부터 테이퍼부(taper 部)로 이어지는 부분은 싱커부(sinker 部)(53)로서 기능을 한다. 확경부재(15)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18)으로부터 분리되는 측에는, 버트(butt)(55)가 형성된다. 작용 암(51)과 버트(55) 사이에는, 도2에 나타나 있는 싱커 캠(43, 44)이 작용한다.Though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2 of this embodiment is designed to allow both of the shapes to be inte- grated into the spherical stitches 25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nd to increase the diameter thereof, it is also possible to use only one shape . The portion extending from the tip end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2 to the tapered portion functions as a sinker portion 53. A butt 55 is formed on the side separated from the needle bed gap 18 by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Between the working arm 51 and the butt 55, the sinker cams 43 and 44 shown in Fig. 2 act.

도4는, 도2의 횡편기(30)에서의 니들베드 갭(18) 부근에서 편성을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 니들베드(31)의 편침(33)과 뒤 니들베드(32)의 편침(34)은 선단의 훅(33a, 34a)을 래치(latch)(33b, 34b)에 의하여 개폐(開閉)한다. 앞 니들베드(31)측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33)으로부터 편성폭의 내측으로 인접하게 확경부재(15)가 배치된다. 편침(33)에 인접하는 다른 위치에는 파일편성용 싱커(1)가 배치된다. 뒤 니들베드(32)에 대해서도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34)으로부터 편성폭의 내측으로 인접하게 확경부재(15)가 배치되지만,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편침(34)에 인접하는 다른 위치에는 파일편성용 싱커(1)가 배치된다.Fig. 4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knitting near the needle bed gap 18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30 of Fig. 2. Fig. The knitting needles 33 of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knitting needles 34 of the rear needle bed 32 are opened and closed by the latches 33b and 34b at the tip hooks 33a and 34a.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knitting needle 33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on the side of the front needle bed 31 inwardly of the knitting width. And the sinker 1 for pile fabric is disposed at another position adjacent to the knitting needle 33. [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needle bed 32 inwardly of the knitting width from the knitting needle 34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but the illustration is omitted. The sinker 1 for pile fabric is disposed at another position adjacent to the knitting needle 34. [

도5는, 도2에서의 캐리지(41)의 니들 캠 부착판(49)에 부착되어 편침(33)을 구동시키는 캠(40)과, 싱커 캠(43)의 관계를 동일한 위상(位相)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캐리지(42)에 의하여 편침(34)을 구동시키는 캠과 싱커 캠(44)의 관계도 동일하다.5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m 40 that is attached to the needle cam attachment plate 49 of the carriage 41 in Fig. 2 and drives the knitting needle 33 and the sinker cam 43 in the same phase Fi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m for driving the knitting needle 34 by the carriage 42 and the sinker cam 44 is also the same.

편침(33)은 니들홈으로부터 돌출되는 버트를 구비하고, 도면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캐리지(41)를 기준으로 한 좌행(左行)을 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우행(右行)하는 궤적(軌跡)(33c)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경로로 구동되어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동용의 캠(40)에는 가이드 캠(guide cam)(61), 탄성 레이징 캠(彈性 raising cam)(62), 편성시작 캠(63), 니들 레이징 캠(needle raising cam)(64), 센터 캠(center cam)(65), 브릿지 캠(bridge cam)(66), 편성시작용 출몰 캠(出沒 cam)(67), 스티치 캠(stitch cam)(68) 및 가이드 캠(69)이 포함된다. 니트(knit)의 스티치 형성에서는, 니들 레이징 캠(64)에 의하여 편침(33)을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시키고, 스티치 캠(68)에 의하여 편침(33)을 앞 니들베드(31)로 인입하고, 스티치 캠(68)의 인입량(引入量)에 의하여 스티치 결정을 한다. 편성시작용 출몰 캠(67)은 편성시작 시에 돌출시키고, 캐리지(41)가 우행하는 경우에 니들 레이징 캠(64)과 마찬가지로 편침(33)을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시킨다. 편성시작 시에는, 편성시작 캠(63)이 스티치 캠(68)과 마찬가지로 편침(33)을 앞 니들베드(31)로 인입한다.The knitting needle 33 has a butt protruding from the needle groove. When the left knee (left knee) based on the carriage 41 as shown in the drawing is used, a relatively rightward (rightward) And is driven by a path as shown by the arrow 33c to form a stitch. The driving cam 40 is provided with a guide cam 61, an elastic raising cam 62, a knitting start cam 63, a needle raising cam 64 A center cam 65, a bridge cam 66, a knocking cam 67 for stitching operation, a stitch cam 68, and a guide cam 69, . In the knitting stitch formation, the knitting needles 33 are advanced to the needle bed gap 18 by the needle raising cam 64, and the knitting needles 33 are knitted by the stitch cam 68 to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stitch cam 68 is stitched on the basis of the drawing amount (drawing amount) of the stitch cam 68. At the time of knitting, the projecting / projecting cam 67 protrudes at the start of knitting, and advances the knitting needle 33 to the needle bed gap 18 in the same manner as the needle raising cam 64 when the carriage 41 is moved rightward. At the start of knitting, the knitting start cam 63 draws the knitting needle 33 into the front needle bed 31 in the same manner as the stitch cam 68.

뒤 니들베드(32)의 캐리지(42)에서도 마찬가지로 니트의 편성 구동을 캐리지(42)를 기준으로 하는 좌행에 의하여 함으로써, 편성시작 시에는 우행에서의 스티치 형성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편성시작 시에는, 앞 니들베드(31)의 편침(33)과 뒤 니들베드(32)의 편침(34)을 동시에 사용하여 니들베드 갭(18)을 지그재그(zigzag)로 연결하도록 편사(20)를 걸치게 할 수 있다.The carriage 42 of the back needle bed 32 likewise performs the knitting knitting operation by the leftward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carriage 42 so that stitch formation in the rightward direction is possible at the start of knitting. Therefore, at the start of knitting, the knitting yarn 20 is knitted by using the knitting needle 33 of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knitting needle 34 of the back needle bed 32 simultaneously to connect the needle bed gap 18 with a zigzag ). ≪ / RTI >

싱커 캠(43)은 기본적으로 파일편성용 싱커(1)를 구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싱커 캠(43)에 부속되어 가동 캠(可動 cam)(71, 72)이 설치된다. 가동 캠(71)은 캐리지(41)의 좌행에 의하여 도면의 상태, 우행에 의해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가동 캠(72)은 캐리지(41)의 좌행에 의하여 도면과 같은 침몰(沈沒) 상태, 우행에 의해서는 돌출(突出)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가동 캠(71, 72)에 의하여 편침(33)이 센터 캠(65)과 브릿지 캠(66)의 사이로 안내되어, 훅(33a)이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하고 있을 때의 파일편성용 싱커(1)의 동작이 방향에 따라 조정된다.The sinker cam 43 is basically formed so as to drive the sinker 1 for file knitting. Movable cams (71, 72) attached to the sinker cam (43) are provided. The movable cam 71 rotates counterclockwis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drawing by the leftward movement of the carriage 41, and by the rightward movement. The movable cam 72 is in a sinking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due to the leftward movement of the carriage 41 and a state of protruding by the rightward movement. When the needle 33 is guided between the center cam 65 and the bridge cam 66 by the movable cams 71 and 72 and the hook 33a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18, The operation of the sinker 1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싱커 캠(43)에는 확경부재(15)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작용 암(51)측에 오목부(43a) 및 볼록부(43b, 43c)가 형성되고, 버트측에도 볼록부(43d)가 형성된다. 싱커 캠(43)에 의한 확경부재(15)의 작용 암(51) 및 버트(55)의 구 동궤적(驅動軌跡)을 51a, 55a로 각각 나타낸다. 편침(33)에 의하여 신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티치 결정 전에, 스티치 캠(68)에 의하여 편침(33)을 앞 니들베드(31)로 인입하고 있는 도중에 구 스티치는 녹 오버 된다. 편침(33)의 인입 시에는, 확경부재(15)도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시켜서 싱커부(53)에 의하여 싱커 루프(sinker loop)를 형성시킨다. 오목부(43a)에 도달하면, 일단 확경부재(15)의 작용 암(51)을 니들베드 갭(18)으로부터 상승시켜서 대피시키고, 볼록부(43b)에 의하여 작용 암(51)을 니들베드 갭(18)으로 진출시킨다. 이 때에는, 녹 오버 된 구 스티치가 확경부(52)의 진출할 곳에 존재하여, 확경부(52)의 끝이 가는 모양의 선단을 구 스티치에 완전히 삽입하여 구 스티치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다. 캐리지(41)가 좌행을 계속하면, 작용 암(51)은 니들베드 갭(18)으로부터 상승되고, 볼록부(43c)에 의하여 니들베드 갭(18)으로 더 진출한 상태에서 확경부재(15)는 싱커 캠(43)을 빼낸다. 캐리지(41)가 주행방향을 반전하여 우행할 때에는, 버트(55)측의 볼록부(43d)에 의하여 확경부재(15)의 작용 암(51)은 니들베드 갭(18)으로부터 상승된다. 편침(33)은 편성시작용 출몰 캠(67)이 침몰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니들베드 갭(18)으로는 진출하지 않고 앞 니들베드(31) 내에 머문다.The sinker cam 43 is provided with the concave portion 43a and the convex portions 43b and 43c on the working arm 51 side and the convex portion 43d on the butt side to drive the diameter portion 15 . And 51a and 55a denote the driving loci of the working arm 51 and the butt 55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by the sinker cam 43, respectively. The ball stitch is rusted while the stitch cam 68 is pulling the stitch needle 33 into the front needle bed 31 before stitch formation to form a stitch by the stitch needle 33. [ The sinker member 15 advances into the needle bed gap 18 to form a sinker loop by the sinker unit 53. [ The operation arm 51 of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is lifted up from the needle bed gap 18 and retracted so that the action arm 51 is retracted by the convex portion 43b to the needle bed 43. [ Thereby advancing into the gap 18. At this time, the rusted old stitch exists at the position where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2 advances, and the tip of the small-diameter end portion of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2 can be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old stitch to enlarge the diameter of the old stitch. The operation arm 51 is lifted from the needle bed gap 18 and is further advanced into the needle bed gap 18 by the convex portion 43c, The sinker cam 43 is pulled out. The operation arm 51 of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15 is raised from the needle bed gap 18 by the convex portion 43d on the butt 55 side when the carriage 41 reverses the running direction. The knitting needle 33 remains in the front needle bed 31 without advancing into the needle bed gap 18 because the knitting operation cam 63 is in the sinking state.

이상에서 설명한 확경부재(15)에서는 구 스티치(25)에 작용 암(51) 선단의 확경부(52)를 침입시키기 때문에, 싱커 바닥(37)을 설치하여 직선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횡편기의 가동 싱커로서는, 앞 니들베드(31) 및 뒤 니 들베드(32)의 선단측에 지점(支點)을 형성하는 회전에 의하여 선단을 니들베드 갭(18)으로 진퇴시키서 편성포의 하강에도 기여시키는 구성도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전변위에 의하여 확경부재(15)와 동일한 기능을 달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싱커로서의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구 스티치의 지름을 크게 하는 것만의 기능을 구비하는 확경부재를, 예를 들면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 등과 동일한 구성으로 다른 바닥에 설치할 수도 있다. 다른 바닥에서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면, 통 모양 편성포로서의 지름이 변하여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의 위치가 변하여도 작동시키는 확경부재도 변경되므로, 경계부에서 스티치가 작아지게 되는 문제를 감소시켜서 경계부가 눈에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특히 파일 편성의 통 모양 편성포이면, 고무재료 등을 코팅하는 경우에 내부로의 침투나 부착 두께가 일정하게 되지 않는 것을 해소시킬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nlarged diameter portion 15, since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52 of the distal end of the working arm 51 penetrates into the ball stitch 25, the sinker bottom 37 is provided for linear motion. As the movable sinker of the weft knitting machine, the leading en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o the needle bed gap 18 by rotation forming a fulcrum at the tip side of the front needle bed 31 and the rear needle bed 32, But also contributes to the descent. The same function as that of the diameter-increased portion 15 can be achieved by this rotational displacement. Further, 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having the function of only enlarging the diameter of the stitch without having a function as a sinker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floor with the same structure as, for example, a transfer jack. If the diameter of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changed and the diameter of the knitting needle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s changed, the diameter portion to be operated is also changed, thereby reducing the problem of the stitch becoming smaller at the boundary portion The boundary can be made difficult to see. Particularly, when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pile-knitt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penetration into the inside or the thickness of the knitted fabric does not become uniform when a rubber material or the like is coat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하나의 예인 횡편기(10)의 주요부분에 대한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weft knitting machine 10, which is one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인 횡편기(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flat knitting machine 30, which is another example of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확경부재(15)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ameter-enlarged member 15 shown in Figs. 1 and 2. Fig.

도4는 도2의 횡편기(30)에서의 니들베드 갭(18) 부근에서 편성을 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for knitting near the needle bed gap 18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30 of Fig.

도5는 도2의 캐리지(41)의 니들 캠 부착판(49)에 부착되어 편침(33)을 구동하는 캠(40)과, 싱커 캠(43)의 관계를 동일한 위상의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m 40 which is attached to the needle cam attachment plate 49 of the carriage 41 of Fig. 2 and which drives the knitting needle 33 and the sinker cam 43 in the same phase .

도6은 종래로부터의 파일편성용 싱커(1)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rior art sinker 1 for pile fabric.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30 : 횡편기 11, 31 : 앞 니들베드10, 30: Horizontal knitting machine 11, 31: Front needle bed

12, 32 : 뒤 니들베드 13, 14, 33, 34 : 편침12, 32: back needle bed 13, 14, 33, 34:

15 : 확경부재 18 : 니들베드 갭15: diameter portion material 18: needle bed gap

19 : 급사구 20 : 편사19: Feeder 20:

21, 22 : 신 스티치 23, 24, 25 : 구 스티치21, 22: new stitches 23, 24, 25: old stitches

39 : 파일사 급사구 40 : 캠39: File feeder 40: Cam

41, 42 : 캐리지 52 : 확경부41, 42: carriage 52:

Claims (4)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편사(編絲)를 일정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도록 급사(給絲)하여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編成幅)의 시단(始端)으로부터 종단(終端)까지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하고, 니들베드 사이에서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의 종단으로부터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의 시단으로 연결하면서 통(筒) 모양으로 편성포(編成布)를 편성할 수 있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橫編機)에 있어서,And a pair of needle beds which face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and feed yarns so as to rotate the knitting yar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knitted fabric is knitted from the starting end to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of the needle beds and the knitting yarn is knitted from the end of one of the needle beds between the needle beds, A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in the shape of a cylinder while being connected to a starting end of a needle bed of a tubular knitted fabric,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編針)으로부터 편성폭의 시단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stitch)가 녹 오버(knock over) 되어 니들베드 갭측으로 이행(移行)하여 형성되는 구 스티치(舊 stitch)에 선단을 침입시켜서 상기 구 스티치의 지름을 크게 할 수 있는 확경부재(擴徑部材)와,The stitches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the starting end of the knitting width from the knitting needles that are ending in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knit over the knitting stitches to move toward the needle bed gap side A diameter-enlarging member capable of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stitch by penetrating a tip of the spherical stitch into a former stitch formed by shifting (shifting) 니들베드 갭으로 확경부재의 선단을 진출시키고 또는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키도록 전환하여,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할 때에 상기 구 스티치에 확경부재의 선단을 침입시킬 수 있는 진퇴기구(進退機構)를(Advancing / retreating mechanism) which can advance the tip of the diameter-increasing member into the needle bed gap or advance the needle bed gap backward from the needle bed gap so as to allow the distal end of the diameter-increasing member to enter the needle stitch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Wherein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or wove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각 니들베드에는, 편침 사이에, 선단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퇴시키는 것이 가능한 가동(可動)의 싱커(sinker)가 구비되고,Each of the needle beds is provided with a movable sinker between the knitting needles and capable of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tip to the needle bed gap, 상기 확경부재는, 가동의 싱커를 치환(置換)하여 설치되고,The enlarged diameter portion is provided by replacing the movable sinker, 가동의 싱커를 니들베드 갭으로 진퇴시키는 기구가 상기 진퇴기구로서, 확경부재의 선단을 니들베드 갭으로 진출 또는 후퇴시키는 것을A mechanism for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movable sinker to and from the needle bed gap is a mechanism for advancing or retracting the distal end of the enlarged diameter member to the needle bed gap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Wherein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횡편기는, 상기 편사로서, 통 모양 편성포의 기본 부분 형성에 사용되는 바탕실(base yarn)과, 상기 기본 부분의 각 스티치에 부가되어 파일(pile) 부분을 형성하는 파일사(pile yarn)를 병행(竝行)하여 급사(給絲)하면서 파일 직물(pile fabric)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고,Wherein the flat knitting machine includes a base yarn used for forming a basic portion of the tubular knitted fabric and a pile yarn forming a pile portion in addition to each stitch of the basic portion, ), And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of a pile fabric while feeding yarn, 상기 가동의 싱커는,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에 새로운 편사가 급사되어 신 스티치(新 stitch)가 형성될 때에 바탕실과 파일사의 사이에 삽입되어 바탕실과 파일사를 분리하는 것을The movable sinker is inserted between the base yarn and the filament yarn to separate the base yarn and the filament yarn when a new stitch is formed on the needle on the needle bed which is to be terminated by the knitting width and a new stitch is formed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편성용 횡편기.Wherein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니들베드 갭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에서, 편사를 일정 방향으로 주회하도록 급사하여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시단으로부터 종단까지 편성포를 편성하고, 니들베드 사이에서 일방의 니들베드의 종단으로부터 타방의 니들베드의 시단으로 연결하면서 통 모양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I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air of needle beds opposed to each other with a needle bed gap interposed therebetween, the knitting yarn is fed so as to run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so as to knit a knitted fabric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In a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knitted fabric in which a knitted fabric is knitted in a tubular shape while being connected from the end of one of the needle beds to the beginning of the other of the needle beds,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으로부터 구 스티치에 선단을 침입시켜서, 상기 구 스티치를 지름이 커지도록 할 수 있는 확경부재를 편성폭의 시단측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하고,The diameter of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stitch can be made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needle stitch by infiltrating the leading end into the spherical stitch from the knitting needle which is the end of the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각 니들베드에서 편성폭의 종단이 되는 편침에 새로운 편사가 급사되어 신 스티치가 형성될 때에, 상기 편침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가 녹 오버 되어 니들베드 갭측으로 이행하여 형성되는 구 스티치에 확경부재의 선단을 침입시켜서, 상기 구 스티치를 지름이 커지도록 하는 것을When a new knitting yarn is fed to a knitting needle ending at a knitting width in each needle bed and a new stitch is formed, the knitted stitch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 rubs over and moves toward the needle bed gap side, So that the diameter of the spherical stitch is increased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Wherein the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KR1020090114961A 2008-12-29 2009-11-26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KR1015379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335783A JP5079682B2 (en) 2008-12-29 2008-12-29 Flat knitting machine for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JPJP-P-2008-335783 2008-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0359A KR20100080359A (en) 2010-07-08
KR101537935B1 true KR101537935B1 (en) 2015-07-20

Family

ID=4250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961A KR101537935B1 (en) 2008-12-29 2009-11-26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79682B2 (en)
KR (1) KR101537935B1 (en)
CN (1) CN10176882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58303A (en) * 2012-07-20 2012-10-31 浙江百翔科技有限公司 13G full-automatic computer-controlled loop glove knitting machine
CN116941859A (en) * 2017-04-21 2023-10-2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Knitted upper with double-sided and underfoot portions
JP7111509B2 (en) * 2018-05-31 2022-08-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of pile knitted fabric, sinker, and flat knitting machine
JP7271398B2 (en) 2019-11-15 2023-05-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knitting method
JP2022189540A (en) * 2021-06-11 2022-12-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formation method and cylindrical pile knitted fabric
JP2023016596A (en) * 2021-07-21 2023-02-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Pile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using flat-knitt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A (en) * 1983-09-12 1985-04-05 Fuji Photo Film Co Ltd Processing method of film image
JPH0633348A (en) * 1992-07-09 1994-02-08 Shima Seiki Mfg Ltd Sinker device in flat knitting machine
JPH0978413A (en) * 1995-09-07 1997-03-25 Ikenaga:Kk Supporting structure for sinker of knitting machine
WO2006103957A1 (en) * 2005-03-25 2006-10-05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cylindrical fabric in weft knitting machine and weft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4350A1 (en) * 2002-02-06 2003-09-02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EP1801275B1 (en) * 2005-12-20 2015-10-21 H. Stoll GmbH & Co. KG Method of making a sleeved gar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9333A (en) * 1983-09-12 1985-04-05 Fuji Photo Film Co Ltd Processing method of film image
JPH0633348A (en) * 1992-07-09 1994-02-08 Shima Seiki Mfg Ltd Sinker device in flat knitting machine
JPH0978413A (en) * 1995-09-07 1997-03-25 Ikenaga:Kk Supporting structure for sinker of knitting machine
WO2006103957A1 (en) * 2005-03-25 2006-10-05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cylindrical fabric in weft knitting machine and weft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56085A (en) 2010-07-15
JP5079682B2 (en) 2012-11-21
CN101768825B (en) 2013-10-16
CN101768825A (en) 2010-07-07
KR20100080359A (en)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935B1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of
JP4944015B2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in flat knitting machine and flat knitting machine
CN115679520A (en) Method for knitting terry knitted fabric by flat knitting machine
KR101709944B1 (en) Method for split-knitting
WO2011152361A1 (en) Knitting needle-guiding member, knitting needle, knitting method, knit fabric and gloves
KR20080003233A (en) Flat knitting machine
JP3968081B2 (en) Intarsia pattern knitting method
KR101516154B1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US6883352B2 (en) Loop presser, flatbed knitting machine having loop presser, and fabric knitting method using loop presser
JP5010588B2 (en) Knitting method and flat knitting machine for intarsia pattern knitted fabric
EP2568066A2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KR100554200B1 (en) A stitch loop retaining method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CN112813572B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loop knitting and knitting method
JP6854688B2 (en) Cam system and flat knitting machine
CN107663709B (en) Warp 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warp knitted fabric
EP1514963A1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movable sinker device
JP5414698B2 (en) Flat knitting machine and transfer method thereof
CN117098884A (en) Movable sinker of flat knitting machine
JP4965960B2 (en) Tandem knitting method and flat knitting machine
WO2022191204A1 (en) Method for knitting punch-lace knitted fabric produced by flat-knitting machine
CN115074897B (en) Method for knitting pile knit fabric knitted by flat knitting machine
KR102454066B1 (en) Flat knitting machine
JP2024034491A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formation and pile formation method
CN113950546A (en) Method and knitting device for plating on circular knitting machines equipped with compound needles
JP2023064006A (en) Flat knitting machine for pile knitting and sinker, and pile knitting method in flat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