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515B1 - 배관용 보온재 커버 - Google Patents

배관용 보온재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515B1
KR101537515B1 KR1020140158409A KR20140158409A KR101537515B1 KR 101537515 B1 KR101537515 B1 KR 101537515B1 KR 1020140158409 A KR1020140158409 A KR 1020140158409A KR 20140158409 A KR20140158409 A KR 20140158409A KR 101537515 B1 KR101537515 B1 KR 10153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stening
pipe
piping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시은
Original Assignee
박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시은 filed Critical 박시은
Priority to KR102014015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용 보온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절개부에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형성된 커버와 압박 돌기가 형성된 오링부재를 통해 배관 및 보온재를 가압하여 결착력을 높이고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배관용 보온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배관용 보온재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10)는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오목부(100)와 볼록부(2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보온재(2)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형의 터널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절개부(300a,300b)가 형성된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성형 제작되되, 상기 한 쌍의 절개부의 일측(300a)에는 커버가 배관(1) 및 보온재(2)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체결 돌기(400)와; 상기 절개부의 타측(300b)에는 상기 체결 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각각 체결되는 체결 홈(500)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커버의 오목부를 감싸며 양측 단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610)가 구비된 오링부재(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 커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온재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배관 및 보온재를 감싼 상태로 체결 돌기와 체결 홈 간의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여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의 도포가 필요없이 착탈이 용이하며 주름부가 형성된 커버와 오링부재에 의해 곡선형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배관 및 보온재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보온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보온재 커버{Cover of Thermal insulator for pipe}
본 발명은 배관용 보온재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절개부에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형성된 커버와 압박 돌기가 형성된 오링부재를 통해 배관 및 보온재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높이고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배관용 보온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혹은 파이프, pipe)은, 가정, 공장 설비, 실외에 설치되어 기체나 액체 따위를 다른 이송하기 위한 관으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되며, 동절기 동파 및 열손실 방지를 위하여 보온재를 감싸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여기서, 보온재는 보온 및 단열 성능이 우수한 발포폴리스티렌, 발포폴리에틸렌, 발포합성고무, 유리섬유, 에어로젤(aerogel)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밀도 및 내구성이 낮은 발포 또는 섬유 재질의 특성 상 종래에는 배관을 감싼 상태에서 접착테이프나 본드로 절개 부분을 마감처리하였다.
그러나, 접착테이프나 본드는 시간이 경과될수록 접착력이 떨어져 배관으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보온재의 보온 및 단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접착물질에 의해 보온재가 파손될 우려가 있어 보온재의 교체 작업과 마감처리 작업이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배관과 보온재 간의 결착 방식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보온재 관련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15335호(2000. 12. 19)에는 배관 보온재에 있어서, 배관 삽입을 위해서 절개된 부위의 양단에 수평하게 체결이 가능하도록 볼록돌기와 오목홈으로 형성된 수평체결구(3)와, 상기 수평체결구의 오목홈 내부에 2단계 걸림구가 형성되고 결합하여서 체결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체결식 2단 체결구가 부착된 배관 보온재가 제안된 바 있다(도 1의 (가) 참조).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658호(2010. 02. 02)에는 배관을 수용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배관용 단열보온재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원주 방향으로 분리되도록 절단면(13)이 형성되는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커버(10);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배관의 결합시 상기 배관에 밀착되는 에어로젤(aerogel,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보온재가 제안된 바 있다(도 1의 (나) 참조).
그러나 위 제안된 기술들은, 위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공보 제20-0215335호(2000. 12. 19)의 볼록돌기와 오목홈으로 형성된 수평체결구(3)는 보온재의 절개 부분에 별도로 접착제 등으로 부착시켜 배관이 삽입된 보온재가 볼록돌기와 오목홈에 의해 봉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시간이 경과되거나 곡선형 배관에 설치 시 수평체결구와 보온재 간의 부착력이 저하되어 수평체결구가 보온재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관과 보온재 간에 유격이 발생되어 보온재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0658호(2010. 02. 02)의 상부커버(12)와 하부커버(16)로 구성된 커버(10)는 절단면(13) 상에 외향/내향 턱을 각각 형성시켜 배관과 에어로젤을 감싼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나, 길이방향으로 두께가 동일한 상하부 커버와 절단면 상에 외향/내향 턱이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상하부 커버의 곡선 굽힘에 한계가 있어 곡선형 배관에 설치 시 위 제안된 기술의 문제점과 같이 상하부 커버가 분리되거나 배관과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절개부에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형성되며 볼록부와 오목부를 갖는 커버와 압박 돌기가 형성된 오링부재를 통해 곡선 굽힘이 가능하여 곡선형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배관 및 보온재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높이고 착탈이 용이하도록 한 배관용 보온재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배관용 보온재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의 외주면에는 커버가 곡선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주름부(110)를 갖는 오목부(100)와 볼록부(20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보온재(2)를 감싸기 위한 원형의 터널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절개부(300a,300b)가 형성된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성형 제작되되, 상기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된 볼록부의 일측(300a)에는 오링부재의 압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커버가 배관(1) 및 보온재(2)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체결 돌기(400)와 상기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된 볼록부의 타측(300b)에는 상기 다수개의 체결 돌기와 대향된 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 홈(500)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커버의 오목부를 감싸며 2중으로 용이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양측 단을 연결시키는 체결부(610)와 상기 오목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압박 돌기(620) 및 2단으로 회동되는 힌지부(630)를 갖는 오링부재(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배관용 보온재 커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한 쌍의 절개부에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형성된 커버가 구성됨으로써, 보온재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배관 및 보온재를 감싼 상태로 체결 돌기와 체결 홈 간의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여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의 도포가 필요없이 착탈이 용이하다.
2) 볼록부와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에 주름부가 형성된 커버와 커버를 2차적으로 체결 및 가압하는 오링부재가 구성됨으로써, 곡선형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배관 및 보온재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보온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의 (가), (나)는 배관용 보온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 커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 커버가 배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 커버의 오목부와 볼록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의 (가),(나),(다)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 커버의 오링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 커버가 곡선형 배관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 커버의 핵심 기술적 구성수단은, 체결 돌기(400), 체결 홈(500), 오링부재(60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체결 돌기(400)는, 커버(10)에 형성된 체결 수단으로서,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한 쌍의 절개부의 일측(300a)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 홈(500)에 체결 또는 해제됨으로써 커버가 배관(1) 및 보온재(2)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 돌기(400)는, 후술하는 오링부재(600)의 압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볼록부(200)가 형성된 한 쌍의 절개부의 일측(300a)에 형성되어지며, 이는 상기 체결 돌기(400)와 체결 홈(500)이 상기 한 쌍의 절개부(300a,300b) 중에서 볼록부가 형성된 부분에만 형성시킴으로써, 커버의 오목부(100)에 체결되는 오링부재의 압박에 의한 체결 돌기(4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체결 돌기가 형성된 커버(10)는,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오목부(100)와 볼록부(200)가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보온재(2)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형의 터널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절개부(300a,300b)가 형성된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성형 제작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PE)은 보온성과 단열성이 우수하며 보온재를 감싸서 설치됨으로써 보온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커버에 오목부(100)와 볼록부(200)를 형성시킨 이유는, 단면 두께를 다르게 제작하여 곡선형으로 외부 힘 작용 시 볼록부보다 두께가 얇은 오목부가 수축 또는 늘어나는 변형이 일어나 커버의 곡선 굽힘이 용이하도록 하고, 후술하는 오링부재(600)를 상기 오목부에 체결 시 볼록부에 의해 상기 오링부재가 오목부 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오목부(100)에는, 곡선형 배관에 적용되어 상기 커버가 곡선형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주름부(110)가 구비된다(도 4 참조).
다시 말해서, 상기 주름부(110)는, 상기 오목부 내에 요철(凹凸)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전술한 오목부와 볼록부를 형성시킨 이유와 더불어 볼록부보다 두께가 얇은 오목부 내에 주름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외부 힘에 의해 오목부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주름부(110)가 형성된 오목부(100)와, 볼록부(200)가 형성된 커버에 의해 종래의 보온재의 곡선형 배관 설치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곡선형 배관에도 보온재를 감싼 상태로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내주면은 보온재를 감쌀 수 있도록 원형의 터널 형상으로 제작됨으로써, 커버의 내주면이 보온재와 유격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 보온재의 파손을 방지하고 보온재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체결 홈(500)은, 상기 체결 돌기(400)와 함께 상기 커버(10)에 형성된 체결 수단으로서,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한 쌍의 절개부의 타측(300b)에 형성되되 상기 체결 돌기와 마주보는 위치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 돌기가 각각 체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 홈(500)은, 작업자가 누르거나 당기는 힘을 가함에 따라 상기 체결 돌기가 홈 내부에 체결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홈 입구에는 절개라인(510)이 홈 내부에는 내경이 좁아지는 돌기(520)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 돌기(400)와 체결 홈(500)은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어 성형 제작됨으로써, 커버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부분에서 각각 체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종래의 배관 보온재 및 커버에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었던 체결수단의 문제점 즉,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진 체결수단에 의해 곡선 굽힘에 한계가 있어 곡선형 배관에 설치 시 유격이 발생되거나 커버가 분리되어 버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오링부재(600)는, 상기 커버(10)의 한 쌍의 절개부를 부가적으로 체결 및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커버의 오목부(100)를 감싸며 양측 단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610)가 구비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오링부재(600)는, 상기 커버(10)가 체결 돌기(400)와 체결 홈(500)에 의해 한 쌍의 절개부(300a,300b)가 봉합되어 체결된 상태에서 부가적으로 상기 커버의 오목부에 밀착되어 체결시킴으로써, 커버의 체결강도를 높이고 특히, 곡선형 배관에 설치 시 곡선부에서의 배관과 보온재 및 커버 간의 유격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링부재의 체결부(610)는, 양측 단 간의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도록 체결 돌기(611)와 체결 홈(6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벨크로(velcro), 벨트(belt), 클립(clip) 등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링부재(600)는, 도 5의 (나)를 참조하여 상기 커버의 오목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압박 돌기(6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오목부에 밀착된 상태로 일정 부분을 압박함으로써 배관과 보온재 및 커버 간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링부재(600)는, 도 5의 (다)를 참조하여 상기 오링부재는 상기 커버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힌지부(6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오링부재를 상기 커버에 착탈 시 힌지부를 통해 양측 단의 간격을 넓힘으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착탈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배관용 보온재 커버를 곡선형 배관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배관의 길이에 맞게 재단된 보온재(2)와 커버(10)의 절개부(3,300)를 각각 벌려 배관(1)에 차례로 씌운 다음 상기 커버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 돌기를 체결 홈에 각각 체결시킨다. 그런 다음 곡선형 배관과 같이 배관과 보온재 및 커버 간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는 부분에는 오링부재(600)를 부가적으로 체결시켜 밀착력을 높이도록 하여 설치작업을 수행하며, 탈거작업은 설치작업의 역순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보온재 커버는, 한 쌍의 절개부에 체결 돌기와 체결 홈이 형성된 커버가 구성됨으로써, 보온재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배관 및 보온재를 감싼 상태로 체결 돌기와 체결 홈 간의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여 접착테이프 또는 접착제의 도포가 필요없이 착탈이 용이하며, 또한, 볼록부와 오목부를 갖고 오목부에 주름부가 형성된 커버와 커버를 부가적으로 체결 및 가압하는 오링부재가 구성됨으로써, 곡선형 배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배관 및 보온재를 가압하여 밀착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보온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배관 2: 보온재
10: 커버 100: 오목부
110: 주름부 200: 볼록부
300a,300b: 한 쌍의 절개부 400: 체결 돌기
500: 체결 홈 510: 절개라인
520: 돌기 600: 오링부재
610: 체결부 620: 압박 돌기
630: 힌지부

Claims (5)

  1. 배관용 보온재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10)의 외주면에는 커버가 곡선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주름부(110)를 갖는 오목부(100)와 볼록부(200)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보온재(2)를 감싸기 위한 원형의 터널 형상을 갖고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절개부(300a,300b)가 형성된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성형 제작되되,
    상기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된 볼록부의 일측(300a)에는 오링부재의 압박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커버가 배관(1) 및 보온재(2)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체결 돌기(400)와 상기 한 쌍의 절개부가 형성된 볼록부의 타측(300b)에는 상기 다수개의 체결 돌기와 대향된 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체결 홈(500)이 포함되며,
    또한, 상기 커버의 오목부를 감싸며 2중으로 용이하게 결속시키기 위해 양측 단을 연결시키는 체결부(610)와 상기 오목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내주면에 형성된 압박 돌기(620) 및 2단으로 회동되는 힌지부(630)를 갖는 오링부재(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보온재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58409A 2014-11-14 2014-11-14 배관용 보온재 커버 KR101537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409A KR101537515B1 (ko) 2014-11-14 2014-11-14 배관용 보온재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409A KR101537515B1 (ko) 2014-11-14 2014-11-14 배관용 보온재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515B1 true KR101537515B1 (ko) 2015-07-17

Family

ID=5387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409A KR101537515B1 (ko) 2014-11-14 2014-11-14 배관용 보온재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5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425A (ja) * 1992-08-17 1994-03-11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の保護構造とそ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装着装置
KR20060105571A (ko) * 2005-03-31 2006-10-11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배관 가열용 피복체
KR20090003443U (ko) * 2007-10-09 2009-04-14 경신공업 주식회사 배가름형 튜브
JP2010190388A (ja) * 2009-02-20 2010-09-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パイプカバ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425A (ja) * 1992-08-17 1994-03-11 Sumitomo Wiring Syst Ltd ワイヤーハーネスの保護構造とそ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装着装置
KR20060105571A (ko) * 2005-03-31 2006-10-11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배관 가열용 피복체
KR20090003443U (ko) * 2007-10-09 2009-04-14 경신공업 주식회사 배가름형 튜브
JP2010190388A (ja) * 2009-02-20 2010-09-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パイプカ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6052B2 (en) Insulated clamp
RU2012122597A (ru) Узлы оберточной кабельной муфты и способы их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9202612B2 (en) Cold shrink assembly
KR101397535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US20120279606A1 (en) Internally insulated rigid exhaust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1537515B1 (ko) 배관용 보온재 커버
WO2015186982A1 (ko) 선박용 배관의 파이프커버
KR101289778B1 (ko) 케이블 보호관 연결구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0488320Y1 (ko) 보온 외장재의 빗물 유입 방지용 커버
US20120061388A1 (en) Pipe and Pipe Joint Covering Apparatus
KR200327571Y1 (ko) 단열용 파이프
KR200481695Y1 (ko) 진공배관 연결구조
CN210034786U (zh) 一种水管的保温装置
KR200490437Y1 (ko) 배관 파이프용 보온 및 단열재 커버
JP2009030698A (ja) コーナー配管用断熱カバーおよび冷媒用配管の施工方法
KR20100077597A (ko) 보온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N219954688U (zh) 一种分体式管道保温套
KR20170057496A (ko) 배관용 덕트 시스템
JP6362667B2 (ja) 配管用ダクトシステム
KR200465230Y1 (ko) 싸개형 히터의 클램프
CN219035914U (zh) 一种三通管段组装式金属保温外罩结构
CN220306934U (zh) 一种冷缩式电缆保护罩
CN219592072U (zh) 一种设有拼接结构的玻璃纤维电缆保护管
CN216383127U (zh) 一种管道保护环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