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514B1 -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514B1
KR101537514B1 KR1020130076759A KR20130076759A KR101537514B1 KR 101537514 B1 KR101537514 B1 KR 101537514B1 KR 1020130076759 A KR1020130076759 A KR 1020130076759A KR 20130076759 A KR20130076759 A KR 20130076759A KR 101537514 B1 KR101537514 B1 KR 101537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server
rfid reader
articl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3634A (ko
Inventor
정경열
박창대
임병주
이후락
최봉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514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버PC(130)에 정비해야 할 부품을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에 필요한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고, 그 목록의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된다. 그 결과, 카트에 정비용품을 실을 때 신속하게 필요한 정비용품을 파악하고 필요한 정비용품을 빠트리지 않고 정비 현장에 가져갈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PAIR ITEMS}
본 발명은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RFID리더기로 필요한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떤 설비, 예를 들면 원자력 발전소 내에는 각종 부품들이 있고, 그 부품들은 정기적으로 또는 비정기적으로 정비한다. 이러한 정비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용품들(예를 들면, 각종 부품, 도구, 측정장치 등)이 필요한데, 각종 용품들은 일반적으로 일반 카트에 의해 운반된다. 즉 정비용품 창고에서 각종 용품들을 카트에 실어서 정비장소로 옮기고 현장에서 정비용품들을 사용한 후 다시 카트에 실어서 정비용품 창고에 옮기게 된다.
그런데 일반 카트에 의해 운반할 경우, 정비용품 창고에서 필요한 용품을 카트에 실을 때 필요한 정비용품이 무엇인지 파악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고 일부 용품을 빠트리고 가져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작업 현장에서 부품의 일부를 회수하지 못하고 놓아두고 올 수도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68444호 (공개일: 2008.07.23.)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16837호 (공개일: 2009.02.18.)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카트에 정비용품을 실을 때 신속하게 필요한 정비용품을 파악하고 필요한 정비용품을 빠트리지 않고 정비 현장에 가져갈 수 있도록 하고 정비 현장에서 정비용품을 빠트리지 않고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은, 스마트카트(100)와 다수의 RFID태그(200)를 포함하는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카트(100)는 몸체(110); 몸체(110)의 하부에 부착되는 다수의 바퀴(120); 서버PC(130); RFID리더기(140)을 포함하고, 상기 RFID태그(200)는 각각의 정비용품에 부착되고, 서버PC(130)에 정비해야 할 부품을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에 필요한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고, 그 목록의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ID리더기(140)는 스마트카트(100)의 몸체(1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은 정비대상 부품에 부착된 RFID태그(210)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RFID리더기(140)를 정비대상 부품에 부착된 RFID태그(21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해당 부품이 정비대상 부품이 맞다는 확인 메시지가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비용품 관리방법은, 몸체(110), 몸체(110)의 하부에 부착되는 다수의 바퀴(120), 서버PC(130), RFID리더기(140)을 포함하는 스마트카트(100)와 각각의 정비용품에 부착된 다수의 RFID태그(200)을 포함하는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정비용품 관리방법으로서, 정비대상 부품을 서버PC(130)에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에 필요한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목록에 해당하는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의 모든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가 RFID리더기(140)에 의해 인식되면 현장출발가능상태임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록에 해당하지 않는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서버PC(130)가 오류메시지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RFID리더기(140)를 정비대상 부품에 부착된 RFID태그(21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해당 부품이 정비대상 부품이 맞다는 확인 메시지가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장철수준비명령을 서버PC(130)에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회수해야 할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목록의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의 모든 정비용품의 RFID태그(210)가 RFID리더기(140)에 의해 인식되면 정비용품회수완료상태임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는, 카트에 정비용품을 실을 때 신속하게 필요한 정비용품을 파악하고 필요한 정비용품을 빠트리지 않고 정비 현장에 가져갈 수 있도록 하고 정비 현장에서 정비용품을 빠트리지 않고 회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비용품 관리방법의 순서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카트의 정면도이다.
스마트카트(100)의 몸체(110)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바퀴(120)가 부착되어 있으며, 몸체(110)에는 서버PC(130)와 RFID 리더기(140)가 설치되어 있다.
서버PC(130)는 기억장치, 제어장치, 입력장치 및 표시부(135)를 포함한다.
RFID 리더기(140)는 RFID 태그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스마트카트(100)의 RFID 리더기(140)는 정비용품에 부착된 RFID 태그(200)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은 스마트카트(100)와 다수의 RFID태그(20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카트(100)는 몸체(110), 몸체(110)의 하부에 부착되는 다수의 바퀴(120), 서버PC(130), RFID리더기(140)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카트(100)에는 정비용품을 실을 수 있는 적재공간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RFID태그(200)는 각각의 정비용품에 부착된다.
사용자가 서버PC(130)에 정비해야 할 정비대상 부품을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에 필요한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정비해야 할 부품으로 '모터'를 입력하면 필요한 정비용품의 목록으로 '진동센서', '모터', '소음센서', '본드'등이 표시된다.
정비대상 부품을 입력하는 방법은 정비대상 부품의 철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정비대상 부품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그 정비용품 목록의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한다.
이때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킨 정비용품이 정비용품 목록에 없는 정비용품이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서버PC(130)가 목록에 있는 정비용품이 아님을 확인하고 오류메시지를 발생시킨다. 오류메시지는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용품 목록에 없는 정비용품임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고,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하여 스피커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오류메시지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스마트카트(100)에 정비용품을 실을 때, 스마트카트(100)의 적재공간부(150)에 정비용품을 싣게 된다.
또 정비대상이 되는 부품마다 RFID태그(210)를 부착하여, RFID리더기(140)를 대상 부품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정비대상 부품에 부착된 RFID태그(210)를 인식하여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대상 부품이 맞다는 확인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비대상이 되는 부품이 공장 설비에 고장된 경우, RFID리더기(140)를 스마트카트(100)의 몸체(110)에서 분리할 수 없으면 RFID리더기(140)를 정비대상이 되는 부품에 가까이 위치시키기가 어려우므로, RFID리더기(140)는 스마트카트(100)의 몸체(110)에서 탈부착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정비용품 관리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비용품 관리방법의 순서도이다.
(S1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정비대상 부품을 서버PC(130)에 입력한다. 정비대상 부품을 입력하는 방법은 정비대상 부품의 철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정비대상 부품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중에 하나를 선택하는 방식이 될 수도 있다.
(S20)단계에서는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용품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정비용품이 저장된 창고에서 표시된 정비용품을 찾아서 스마트카트(100)에 적재할 수 있다.
(S30)단계에서는 해당 정비용품의 탑재 여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스마트카트(100)에 해당 정비용품을 싣기 전에 그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한다. 이때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킨 정비용품이 정비용품 목록에 없는 정비용품이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서버PC(130)가 목록에 있는 정비용품이 아님을 확인하고 오류메시지를 발생시킨다.
(S40)단계에서는 '현장출발가능상태'임이 표시되는 단계이다. 서버PC(130)의 표시부(135)의 정비용품 목록에 표시된 모든 정비용품이 RFID리더기(140)에 인식되면, 다시 말해서 정비용품 목록에 표시된 모든 정비용품이 스마트카트에 적재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PC(130)는 '현장출발가능상태'임을 표시한다. '현장출발가능상태'임을 표시하는 방법은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문자나 그림을 표시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고, 스피커를 통해 '현장출발가능상태'임을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하는 방법이 될 수도 있다.
그 후에 사용자는 스마트카트를 정비대상 부품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S50)단계에서는 정비대상 부품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정비대상 부품(예를 들면, 모터, 펌프, 밸브, 배관 등이 될 수 있다.)에 RFID태그(210)가 부착되어 있고, 사용자가 RFID리더기(140)를 스마트카트(100)의 몸체(110)에서 분리하여 RFID태그(210)에 가까이 이동시키면 RFID리더기(140)는 RFID태그(210)를 인식한다. 만약 그 RFID태그(210)를 인식한 결과, 정비대상 부품이 맞으면 정비대상 부품 확인 메시지가 발생되고, 정비대상 부품이 아니라면 오류 메시지가 발생된다.
정비대상 부품 확인 메시지가 발생하면, 사용자는 정비용품으로 정비대상 부품을 정비하게 된다.
(S6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현장철수준비명령'을 서버PC(130)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정비를 마친 후에 '현장철수준비명령'을 서버PC(130)에 입력한다.
(S70)단계에서는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회수해야 할 정비용품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정비작업 현장에서 목록에 있는 정비용품을 스마트카트(100)에 적재할 수 있다.
(S80)단계에서는 해당 정비용품의 탑재 여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스마트카트(100)에 해당 정비용품을 싣기 전에 그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한다. 이때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킨 정비용품이 회수해야 할 정비용품 목록에 없는 정비용품이면(예를 들어, 다른 작업자의 정비용품을 착오로 싣게 된 경우이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서버PC(130)가 목록에 있는 정비용품이 아님을 확인하고 오류메시지를 발생시킨다.
(S90)단계에서는 '정비용품회수완료상태'임이 표시되는 단계이다. 서버PC(130)의 표시부(135)의 '회수해야 할 정비용품 목록'에 표시된 모든 정비용품이 RFID리더기(140)에 인식되면, 다시 말해서 '회수해야 할 정비용품 목록'에 표시된 모든 정비용품이 스마트카트에 적재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PC(130)는 '정비용품회수완료상태'임을 표시한다.
(S100)단계에서는 사용자가 '장비반납명령'을 서버PC(130)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사용자는 스마트카트(100)를 정비용품 창고로 이동한 후 '장비반납명령'을 서버PC(130)에 입력한다.
(S110)단계에서는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반납해야 할 정비용품 목록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목록에 있는 정비용품을 스마트카트(100)에서 내려서 정비용품 창고에 보관할 수 있다.
(S120)단계에서는 해당 정비용품의 반납 여부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스마트카트(100)에서 해당 정비용품을 정비용품 창고에 내려놓기 전에 그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반납되었음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한다.
(S130)단계에서는 '작업완료상태'임이 표시되는 단계이다. 서버PC(130)의 표시부(135)의 '반납해야 할 정비용품 목록'에 표시된 모든 정비용품이 RFID리더기(140)에 인식되면, 다시 말해서 반납해야 할 정비용품 목록에 표시된 모든 정비용품을 정비용품 창고에 반납한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PC(130)는 '작업완료상태'임을 표시한다.
100: 스마트카트 110: 몸체
120: 바퀴 130: 서버PC
135: 표시부 140: RFID리더
150: 적재공간부 200, 210: RFID태그

Claims (8)

  1. 스마트카트(100)와 다수의 RFID태그(200)를 포함하는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카트(100)는
    몸체(110);
    몸체(110)의 하부에 부착되는 다수의 바퀴(120);
    서버PC(130);
    RFID리더기(140)을 포함하고,
    상기 RFID태그(200)는 각각의 정비용품에 부착되고,
    서버PC(130)에 정비해야 할 부품을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에 필요한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고, 그 목록의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되고,
    현장철수준비명령을 서버PC(130)에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회수해야 할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고, 상기 목록의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되고, 상기 목록의 모든 정비용품의 RFID태그(210)가 RFID리더기(140)에 의해 인식되면 정비용품회수완료상태임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리더기(140)는 스마트카트(100)의 몸체(11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은 정비대상 부품에 부착된 RFID태그(210)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고,
    RFID리더기(140)를 정비대상 부품에 부착된 RFID태그(21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해당 부품이 정비대상 부품이 맞다는 확인 메시지가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4. 몸체(110), 몸체(110)의 하부에 부착되는 다수의 바퀴(120), 서버PC(130), RFID리더기(140)을 포함하는 스마트카트(100)와 각각의 정비용품에 부착된 다수의 RFID태그(200)을 포함하는 정비용품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정비용품 관리방법으로서,
    정비대상 부품을 서버PC(130)에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정비에 필요한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목록에 해당하는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의 모든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가 RFID리더기(140)에 의해 인식되면 현장출발가능상태임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
    현장철수준비명령을 서버PC(130)에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회수해야 할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목록의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카트에 탑재되었음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의 모든 정비용품의 RFID태그(210)가 RFID리더기(140)에 의해 인식되면 정비용품회수완료상태임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품 관리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에 해당하지 않는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서버PC(130)가 오류메시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품 관리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D리더기(140)를 정비대상 부품에 부착된 RFID태그(21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해당 부품이 정비대상 부품이 맞다는 확인 메시지가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품 관리방법.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장비반납명령을 서버PC(130)에 입력하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반납해야 할 정비용품의 목록이 표시되는 단계;
    상기 목록의 정비용품을 RFID리더기(140)에 가까이 위치시키면 RFID리더기(140)가 그 정비용품의 RFID태그(200)를 인식하여 해당 정비용품이 반납되었음이 서버PC(130)의 표시부(135)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목록의 모든 정비용품의 RFID태그(210)가 RFID리더기(140)에 의해 인식되면 작업완료상태임이 서버PC(130)에 의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용품 관리방법.
KR1020130076759A 2013-07-01 2013-07-01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537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759A KR101537514B1 (ko) 2013-07-01 2013-07-01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759A KR101537514B1 (ko) 2013-07-01 2013-07-01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34A KR20150003634A (ko) 2015-01-09
KR101537514B1 true KR101537514B1 (ko) 2015-07-17

Family

ID=5247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759A KR101537514B1 (ko) 2013-07-01 2013-07-01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5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444A (ko) * 2007-01-19 2008-07-23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통합 정비 관리 시스템
KR20090016837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8444A (ko) * 2007-01-19 2008-07-23 대한민국(국방부 장관) 통합 정비 관리 시스템
KR20090016837A (ko) * 2007-08-13 2009-02-18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스마트 카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쇼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34A (ko) 201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2692B1 (en) Item replacement assistance
US10229385B2 (en) Free location item and storage retrieval
US9911097B2 (en) Out of stock item tracking at retail sales facilities
US10984372B2 (en) Inventory transitions
US10163149B1 (en) Providing item pick and place information to a user
US10242393B1 (en) Determine an item and user action in a materials handling facility
JP4736881B2 (ja) 棚出し管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を構成する作業者端末、棚出し管理方法、並びに棚出し管理用プログラム
EP3082018A1 (en) Holographic picking system and method for picking products utilizing a holographic picking system
KR101107008B1 (ko) 스마트 단말기와 연계한 물류창고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물류창고 관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A3046209A1 (en) Inventory management system
KR101479739B1 (ko) 제품 관리 시스템
JP2009075941A (ja) 工程管理方法、工程管理システムおよび工程管理装置
JP5669921B2 (ja) 所在管理システム
CN106251107A (zh) 一种基于rfid技术的货物扫描出入库系统
JP2006139793A (ja) 加工作業管理支援システム及び加工作業管理支援方法
JP2010018411A (ja) 入出庫管理方法、入出庫管理装置および入出庫管理システム
KR101537514B1 (ko) 정비용품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JP5239737B2 (ja) 物品取出管理装置
JP5194708B2 (ja) 生産計画評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16542596B (zh) 一种货品上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634579B2 (ja) リール部品管理システム
JP5634633B1 (ja) 接合金物の供給制御システムとその制御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KR102383678B1 (ko) 실시간 물류 정보 획득을 통한 스마트 물류 시스템
JP2018106606A (ja) 作業工程管理ラック、作業工程管理システム、作業工程管理方法
JP2020017117A (ja)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シミュ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