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250B1 - 지폐계수기 - Google Patents

지폐계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250B1
KR101537250B1 KR1020140063148A KR20140063148A KR101537250B1 KR 101537250 B1 KR101537250 B1 KR 101537250B1 KR 1020140063148 A KR1020140063148 A KR 1020140063148A KR 20140063148 A KR20140063148 A KR 20140063148A KR 101537250 B1 KR101537250 B1 KR 10153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ing
unit
lid
bill
re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우
Original Assignee
(주)티비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비엠 filed Critical (주)티비엠
Priority to KR102014006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지폐계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는, 계수된 지폐를 적재하는 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차폐하고 소정 범위 내 이동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에 상기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 및 상기 덮개부가 상기 소정 범위 이동시 상기 복원력의 제공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폐계수기{Bill counter}
본 발명은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먼지와 소음 발생을 억제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지폐계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과 같이 많은 지폐를 다루는 곳에서는 수시로 지폐를 계수하여야 한다. 예전에는 숙달된 인력이 수작업으로 지폐를 계수하여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였지만, 최근에는 자동적으로 지폐를 계수할 수 있는 지폐계수기가 개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폐계수기(1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지폐계수기(10)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지폐를 자동적으로 계수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수표와 같은 유가증권을 계수하는 데도 사용된다. 이 때, 종래의 지폐계수기(10)에서는 적재부에 적합하게 집적되지 못하고 계수된 지폐가 밖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부 전면에 투명 비닐과 같은 덮개(100)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다만, 투명 비닐과 같은 덮개(100)를 부착하는 경우 계수된 지폐가 밖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적재부의 전면을 완벽히 차폐할 수 없고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먼지와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지폐계수기의 보완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KR 2011-0043028 (2011.04.2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지폐가 계수기 밖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와 소음 발생을 억제하며,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지폐계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는, 계수된 지폐를 적재하는 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차폐하고 소정 범위 내 이동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에 상기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 및 상기 덮개부가 상기 소정 범위 이동시 상기 복원력의 제공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원부는,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된 연결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원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마찰력을 인가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복원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덮개부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상기 걸림턱은,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예각으로 형성되는 제2면을 구비하는 미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폐가 투입되기 위한 공간에 적층된 경우 상기 제공되는 복원력의 차단을 해제하는 차단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해제부는, 상기 투입되기 위한 공간에 적층된 지폐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투입되기 위한 공간에 적층된 지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단부를 회전시키는 해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해제부는, 상기 덮개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의 상기 소정 범위 이동이 감지되어 상기 개구가 완전히 노출된 경우 상기 해제부재가 작동하여 상기 차단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지폐계수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를 이용해 지폐가 계수기 밖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먼지와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반자동 내지 수동 방식으로 덮개를 개폐함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지폐계수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폐계수의 측면 커버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복원부, 차단부 및 차단해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지폐계수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폐계수의 측면 커버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20)는 투입부(200), 이송부(300), 적재부(400), 반송부(450), 덮개부(500), 복원부(600), 차단부(700) 및 차단해제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20)는 이 중 일부의 구성요소로 작동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투입부(200)는 지폐계수기(20)의 최상단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계수할 지폐를 올려 놓는 곳으로써, 계수될 지폐가 적층되는 적층부재(210) 및 상기 적층된 지폐를 투입하는 픽업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부재(210)는 계수될 지폐가 적층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픽업롤러(220)는 회전에 의해 상기 적층된 지폐를 이송부(300)로 투입한다. 다만, 계수될 지폐를 지폐계수기(2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면 적층부재(210) 및 픽업롤러(220)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이송부(300)는 1회전 당 1매의 지폐를 이송할 수 있도록 일부에 마찰력을 인가할 수 있는 러버 등이 삽입되어 있는 투입롤러(320), 지폐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여 투입롤러(320)의 회전 시 복수의 지폐가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롤러(310), 투입롤러(320)와 분리롤러(310)에 의해 걸러진 지폐를 이송하는 이송롤러(330, 340), 상기 이송되는 지폐를 계수함과 동시에 투입된 지폐의 액면을 인식하며 위조나 변조 여부를 감지하는 감별센서(360), 상기 감지된 지폐 중 위조나 변조되지 않은 정상권을 적재부(400)로 이송하고 위조나 변조된 지폐 또는 인식이 불가능한 지폐 등은 반송부(450)로 이송하는 셀렉터(350) 및 회전 날개를 통해 적재부(400)로 이송되는 지폐를 가지런히 정돈하는 휠(37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투입부(200)에서 투입된 지폐를 한장씩 이송하면서 계수하고 위조나 변조 등을 판별할 수 있다면 이송부(300)의 구성요소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재부(400)는 휠(370)에서 정돈된 지폐를 적재하며 전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계수된 지폐를 수거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계수된 지폐를 수거할 수 있으면, 적재부(400)의 형상, 크기 및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반송부(450)는 위조나 변조된 지폐 또는 인식이 불가능한 지폐가 적재되며 전면 및/또는 상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비정상권의 지폐를 수거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상기 적재된 비정상권의 지폐를 수거할 수 있다면 반송부(450)의 형상, 크기 및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 복원부, 차단부 및 차단해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덮개부(500)는 계수된 지폐를 적재하는 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차폐하며, 돌출부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외력으로 돌출부재(510)를 조작함에 따라 덮개부(500)를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소정 범위는 상기 개구내에서의 상기 덮개부(5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거리 또는 회전할 수 있는 회전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력에 의해 덮개부(50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돌출부재(510)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덮개부(500)를 통해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차폐하므로 먼지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며, 휠(370)의 날개에 삽입되어 적재부(400)에 가지런히 정돈되지 못하는 지폐가 지폐계수기(20)의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개구를 차폐하여 먼지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고, 정돈되지 못하는 지폐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덮개부(500)의 형상이나 재질 및 구성요소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복원부(600)는 회전부재(605), 결합홀(610), 연결홀(620), 돌기(632, 634), 탄성부재(640) 및 마찰부재(900)를 포함하여, 덮개부(500)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 덮개부(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회전부재(605)는 결합홀(610)을 통해 덮개부(500)와 결합되어 덮개부(500)의 상기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함에 따라 덮개부(500)의 회전축(H)을 기준으로 덮개부(5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재(605)가 덮개부(500)와 결합홀(610)을 통해 결합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가능한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회전부재(605)가 덮개부(500)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H)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면 회전부재(605)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부재(640)는 일단이 회전부재(605)에 구비된 연결홀(6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지폐계수기의 측면(22)에 연결되어, 회전부재(605)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640)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상기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한 탄성부재(640)에 따른 복원부(600)의 구동원리는 후술한다.
돌기(632, 634)는 덮개부(500)의 회전축(H)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기 위해 지지플레이트(630)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마찰부재(900)는 회전부재(605)에 회전부재(605)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마찰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 때, 회전부재(605)와 마찰부재(900)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640)에 의한 회전부재(605)의 갑작스런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605)의 갑작스런 회전으로 인해 덮개부(500)가 파손되는 것과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회전부재(605)의 갑작스런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면 마찰부재(900)와 회전부재(605)의 형상이나 크기 및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마찰부재(900)는 스프링 또는 로터리 댐퍼 등의 완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완충부재는 회전부재(605)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덮개부(500)의 갑작스런 회전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마찰부재(900)가 없는 경우, 탄성부재(640)의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하여 탄성부재(640)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을 통해 회전부재(605)를 적절한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단부(700)는 걸림턱(712), 고정홀(714) 및 연결돌기(716)포함하여, 덮개부(500)가 상기 소정 범위 이동시 상기 복원력의 제공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범위란,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가 완전히 노출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덮개부(500)가 이동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상기 소정 범위 중 임계치를 의미할 수도 있다.
걸림턱(712)은 복원부(6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632, 634)가 걸리며, 적어도 하나의 돌기(632, 634)와 걸림턱(712)은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예각으로 형성되는 제2면을 구비하는 미늘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미늘 형상은 돌기(632, 634)와 걸림턱(712)에 형성되는 제1 면과 제2 면이 예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면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 가능한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예각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회전부재(605)의 회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632, 634)가 걸림턱(712)에 걸림으로써 상기 복원력의 제공을 차단하거나 덮개부(5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걸림턱(712)과 돌기(632, 634)에 의한 자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고정홀(714)은 덮개부(500) 및/또는 지폐계수기의 측면(22)에 고정되어 차단부(700)의 일단이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차단부(700)는 고정홀(714)의 중심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차단부(70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면 고정홀(714)의 재질이나 형상 또는 고정 방법 등은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할 수 있는 모든 재질이나 형상 또는 고정 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돌기(716)는 후술하는 차단해제부(800)와 연결되어 차단부(70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다만, 차단해제부(800)와 연결될 수 있다면 연결돌기(716)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단해제부(800)는 제1 센서, 제2 센서 및 해제부재(810)를 포함한다. 이 때, 차단해제부(800)는 차단부(700)에 연결되어 상기 지폐가 투입되기 위한 공간에 적재된 경우 상기 제공되는 복원력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는 투입부(200)에 설치되어, 투입부(200) 투입되기 위한 공간인 적층부재(210)에 적층된 지폐를 감지한다.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적층부재(210)에 적층된 지폐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등의 기계장치를 포함하는 해제부재(810)가 작동하여 차단부(700)를 회전시켜 상기 제공되는 복원력의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솔레노이드란, 전원에 연결되어 기계적인 운동을 일으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의 일단(820)이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솔레노이드의 일단(820)에 연결된 차단부(700)의 연결돌기(716)를 이동시켜 차단부(7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해제부재(810)로 모터가 사용되는 경우, 차단부(700)의 연결돌기(716)를 이동시켜 차단부(7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하,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해제부재(810)로 솔레노이드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2 센서는 덮개부(5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고, 덮개부(500)의 상기 소정 범위의 이동이 감지되어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가 완전히 노출된 경우 상기 해제부재(8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센서는 덮개부(500)의 이동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고,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의 노출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회전부재(605)의 회전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덮개부(500)가 아래로 내려와 완전히 열려 상기 복원력이 차단된 상태에서만 차단해제부(800)가 구동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채용가능한 모든 감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해제부재(810)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가 구현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2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작동도이다.
도 6은 덮개부(500)가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완전히 차폐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복원부(600)의 제1 돌기(632)는 차단부(700)의 걸림턱(712)에 걸려 회전부재(60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므로 덮개부(500)가 더 이상 상부로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덮개부(500)가 반송부(450)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덮개부(500)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 중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 때, 덮개부(500)가 상기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회전부재(605)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돌기(634)가 차단부(700)에 인접하나 걸림턱(712)에는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덮개부(500)의 돌출부재(51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64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60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500)가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그러므로, 덮개부를 자주 열어야 하는 경우, 예를들어, 투입부(200)에 지폐를 올려 놓고 지폐의 계수를 시작하면서 미리 설정한 매수까지만 상기 지폐의 계수를 실행한 후 지폐계수기(20)의 계수 동작을 정지하여 적재부(400)에 적재된 지폐를 수거하고나서 다시 계수를 개시하는 배치모드와 같은 경우에 편리하다.
도 8은 덮개부(500)가 상기 소정 범위의 임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가 완전히 노출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외력에 의해 회전부재(60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돌기(634)가 걸림턱(712)의 턱을 지난 후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제2 돌기(634)가 걸림턱(712)에 걸리게 된다. 이 때, 제2 돌기(634)가 걸림턱(712)에 걸림으로써 탄성부재(640)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이 회전부재(605)에 전달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덮개부(500)는 완전히 열린 상태로 유지되어 적재부(400)에 계수되어 적재된 지폐를 수거하기에 용이하다.
도 9는 도 8과 같이 덮개부(500)가 완전히 열린 상태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투입부(200)에 계수할 지폐가 적층되는 경우 차단해제부(800)가 작동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때, 상기 제1 센서에 의해 투입부(200)에 적층된 지폐가 감지되면 상기 적층된 지폐를 계수하기에 앞서 솔레노이드를 구동하여 솔레노이드의 일단(820)이 상승함과 동시에 솔레노이드의 일단(820)이 연결된 연결돌기(716)에 의해 차단부(7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걸림턱(712)에 걸려있던 제2 돌기(634)의 걸림이 해제되어 탄성부재(640)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회전부재(60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덮개부(500)가 닫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20)는 투입부(200), 이송부(300), 적재부(400), 반송부(450), 덮개부(500), 복원부(600) 및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20)는 이 중 일부의 구성요소만으로 작동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부가하여 작동할 수도 있다.
이 때, 투입부(200), 이송부(300), 적재부(400), 반송부(450), 덮개부(500) 및 복원부(6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20)의 구성과 동일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덮개부(500)와 상기 차단부 각각은, 마그넷 등의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500)가 하부로 내려가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완전히 노출하는 경우, 덮개부(500)와 상기 차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접촉부재 통한 접촉력에 의해 복원부(600)에서 제공되는 복원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다시 외력을 가해 상기 각각의 접촉부재에 의한 접촉력을 제거하는 경우(예를 들어, 덮개부(500)의 손잡이를 상측으로 올리는 경우)에 상기 복원력의 차단을 해제하여 덮개부(500)가 상부로 올라가 상기 개구를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이 때, 복원부(600)와 상기 차단부는 각각 상기 마그넷 등의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덮개부(500)와 상기 차단부 각각에 형성된 상기 접촉부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500)와 상기 차단부 중 하나는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걸림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부(500)가 하부로 내려가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재가 스냅 핏 결합등의 방식으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복원부(600)에서 제공되는 복원력을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다시 외력을 가해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재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상기 복원력의 차단을 해제하여 덮개부(500)가 상부로 올라가 상기 개구를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이 때, 복원부(600)와 상기 차단부 중 하나가 후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가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덮개부(500)와 상기 차단부 각각에 형성된 상기 후크와 상기 걸림부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단부는 덮개부(500)의 하측과 적재부(400)의 전단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도 있고, 복원부(600)와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폐계수기(20)에 따르면 덮개부(500)에 의해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완전히 차폐함으로써 계수된 지폐가 계수기 밖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를 통해 방출되는 먼지와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모터를 통한 구동부와 제어부의 구성이 없는 반자동 내지 수동 방식의 복원부(600)와 차단부(700)를 통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및 다른 실시예에서는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가 노출되는 경우 덮개부(500)가 내려가고, 회전부재(60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적재부(400)의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가 노출되는 경우 덮개부(500)가 올라가고, 회전부재(60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종래의 지폐계수기 20: 지폐계수기
100: 비닐 200: 투입부
300: 이송부 400: 적재부
450: 반송부 500: 덮개부
600: 복원부 700: 차단부

Claims (11)

  1. 계수된 지폐를 적재하는 공간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를 차폐하고 소정 범위 내 이동시 원위치로 복귀하는 덮개부;
    상기 덮개부에 상기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 및
    상기 덮개부가 상기 소정 범위 이동시 상기 복원력의 제공을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덮개부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구비된 연결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마찰력을 인가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마찰부재는 서로 맞물리는 기어 형상인, 지폐계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복원부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는,
    상기 덮개부의 회전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지폐계수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상기 걸림턱은,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예각으로 형성되는 제2면을 구비하는 미늘 형상인, 지폐계수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고, 지폐가 투입되기 위한 공간에 적층된 경우 상기 제공되는 복원력의 차단을 해제하는 차단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해제부는,
    상기 투입되기 위한 공간에 적층된 지폐를 감지하는 제1 센서 및
    상기 투입되기 위한 공간에 적층된 지폐가 감지된 경우 상기 차단부를 회전시키는 해제부재를 포함하는, 지폐계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해제부는,
    상기 덮개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의 상기 소정 범위 이동이 감지되어 상기 개구가 완전히 노출된 경우 상기 해제부재가 작동하여 상기 차단부를 회전시키는, 지폐계수기.
KR1020140063148A 2014-05-26 2014-05-26 지폐계수기 KR10153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48A KR101537250B1 (ko) 2014-05-26 2014-05-26 지폐계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48A KR101537250B1 (ko) 2014-05-26 2014-05-26 지폐계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250B1 true KR101537250B1 (ko) 2015-07-17

Family

ID=5387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48A KR101537250B1 (ko) 2014-05-26 2014-05-26 지폐계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2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793B1 (ko) 2019-03-29 2019-10-22 주식회사 넥스빌 지폐계수기용 지폐 날림 및 먼지 비산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KR102037404B1 (ko) * 2018-04-19 2019-10-28 (주)넥스빌 지폐계수기의 덮개 개폐구조
KR20200114827A (ko) * 2019-03-29 2020-10-07 (주)넥스빌 지폐계수기의 지폐날림 및 먼지 차단장치용 커버
KR20220145066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메카트로 높이가 저감된 지폐계수기의 셔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0151Y1 (ko) * 2003-05-02 2003-07-12 주식회사 신성전자 지폐계수기
JP2003248855A (ja) * 2002-02-26 2003-09-05 Fuji Electric Co Ltd 紙葉類処理装置
JP3142441U (ja) * 2008-04-02 2008-06-1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計数機のスタッカ
KR20110128303A (ko) * 2009-02-19 2011-11-29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계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8855A (ja) * 2002-02-26 2003-09-05 Fuji Electric Co Ltd 紙葉類処理装置
KR200320151Y1 (ko) * 2003-05-02 2003-07-12 주식회사 신성전자 지폐계수기
JP3142441U (ja) * 2008-04-02 2008-06-12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計数機のスタッカ
KR20110128303A (ko) * 2009-02-19 2011-11-29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계수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404B1 (ko) * 2018-04-19 2019-10-28 (주)넥스빌 지폐계수기의 덮개 개폐구조
KR102034793B1 (ko) 2019-03-29 2019-10-22 주식회사 넥스빌 지폐계수기용 지폐 날림 및 먼지 비산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KR20200114827A (ko) * 2019-03-29 2020-10-07 (주)넥스빌 지폐계수기의 지폐날림 및 먼지 차단장치용 커버
WO2020204276A1 (ko) * 2019-03-29 2020-10-08 (주)넥스빌 지폐계수기용 지폐 날림 및 먼지 비산을 방지하는 차단장치
KR102168607B1 (ko) * 2019-03-29 2020-10-21 (주)넥스빌 지폐계수기의 지폐날림 및 먼지 차단장치용 커버
KR20220145066A (ko) * 2021-04-21 2022-10-28 주식회사 메카트로 높이가 저감된 지폐계수기의 셔터 장치
KR102501645B1 (ko) * 2021-04-21 2023-02-21 주식회사 메카트로 높이가 저감된 지폐계수기의 셔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250B1 (ko) 지폐계수기
US9070241B2 (en) Bill storage box and bill handling device
EP2772460B1 (en) Medium pick-up apparatus
JP5950839B2 (ja) 搬送制御装置
US20240029496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JP6430301B2 (ja) 紙幣取扱装置
US9514617B2 (en) Medium separating and stacking apparatus, medium storage box, and financial device
KR10125069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JP5615391B2 (ja) 紙葉還流庫
CN105321257B (zh) 具有可移动底盘的钱箱
EP3567559A1 (en) Value note cassette
KR101866992B1 (ko) 카세트 밀판 잠금장치
KR100874162B1 (ko) 지폐 걸림 및 풀 감지센서를 장착한 투포켓형 지폐계수기
KR101393160B1 (ko) 반출부 개방이 가능한 지폐계수기
KR10198805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1628204B1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200457949Y1 (ko) 지폐식별장치
JP5857080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遊技媒体貸出装置
KR102563832B1 (ko) 지폐 임시 보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 처리 장치
KR102037404B1 (ko) 지폐계수기의 덮개 개폐구조
KR101864143B1 (ko) 매체집적장치 및 금융기기
JP6749273B2 (ja) 紙葉類処理装置
CN107085887B (zh) 一种整叠出钞机的验送钞模块
KR20170033018A (ko) 지폐처리장치
JP5879371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遊技媒体貸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