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236B1 - 층류분수장치 - Google Patents

층류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236B1
KR101537236B1 KR1020150051964A KR20150051964A KR101537236B1 KR 101537236 B1 KR101537236 B1 KR 101537236B1 KR 1020150051964 A KR1020150051964 A KR 1020150051964A KR 20150051964 A KR20150051964 A KR 20150051964A KR 101537236 B1 KR101537236 B1 KR 101537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ain body
outflow
air chamb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일
장재만
장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Priority to KR1020150051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2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Landscapes

  • Nozzles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층류분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층류분수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통되어 분사를 위해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유입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된 상기 유체의 유입 경로와 연결되되 상기 유입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공기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유체 난류의 유동이 흡수되도록 하는 에어챔버; 상기 유체 유동에 의한 상기 공기의 유실을 억제하고 상기 유체의 유속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에어챔버에 비해 면적이 비좁은 유출 경로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유출관; 및, 상기 유출관과 상기 본체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출된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층류분수장치 내부로 공급되는 난류 상태의 유체를 층류 상태로 변환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분사되는 물줄기가 고르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와 차단 동작을 반복하는 분수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수격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층류분수장치의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층류분수장치{Laminar fountain equipment}
본 발명은 층류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수장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입 경로 상에 에어챔버가 마련되어 유입되는 유체의 난류를 제거함으로써, 수격 현상을 경감하고 분수장치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의 물줄기가 일정하게 분사되도록 하는 층류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수대는 저수지, 호수, 하천 및 특수한 시설의 조경을 위한 공간에 설치되어 물과 공기의 정화 그리고, 온도 조절 기능 등을 제공함과 동시에 물줄기의 유동으로 보는 이에게 시각적인 즐거움과 안식을 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나아가 분수대에 조명장치가 마련되어 상기와 같은 분수대가 제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들과 더불어 분수대에 의해 유동되는 물줄기에 조명이 조사됨으로써, 분수대가 줄 수 있는 시각적인 즐거움과 안식이 배가될 수 있는 분수대용 조명장치들이 출시되고 있다.
최근에는 분수를 여러 개 설치하고 음악에 맞추어 각각의 음성신호에 따라 각각의 분수가 개별적으로 작동되게 하는 음악 분수 등이 각광받고 있으며, 다양한 패턴의 분수를 설치하여 어린이 또는 연인들의 놀이 공간을 제공하는 등의 분수대를 이용한 위락시설로서의 다양한 기능들이 제공되고 있다.
전술한 분수대용 조명장치는 일반적으로 본체 내부에 분수를 위한 물줄기의 분사 방향으로 노즐부가 형성되며, 상기 노즐부를 따라 발광체가 마련되어 분사되는 물줄기에 광원이 조사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분수대용 조명장치는 다양한 가시효과를 연출하기 위해 물줄기에 광원을 조사할 뿐만 아니라, 분사되는 물줄기를 차단과 재분사 등의 다양한 동작을 실시한다.
그러나, 분사를 위해 공급되는 유체의 분사 동작과 차단 동작을 각각 구현할 때, 관로 내를 흐르는 유체의 갑작스런 정지와 동작으로 유체 운동 에너지의 변화가 유발되고, 그로 인해 관로에 급격한 압력의 상승과 감소가 발생한다. 상기 유체 운동상태의 급변에 의한 압력변화와 그에 따른 압력파가 음속의 속도로 상·하류로 전파되는 현상을 수격작용(water hammer)이라 하며, 이러한 관수로내 수격작용 또는 수격현상은 도수관로내의 압력이 관로현상에 따라 물의 포화증기압 이하로 떨어져 증기공동이 형성되고 결국 수주분리현상이 발생하여 가장 심각한 수충격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관로내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을 경우 관로좌굴이 일어날 수 있으며, 증기공동으로 분리되었던 수주가 재결합할 때 높은 압력이 발생되어 송수관로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더불어, 공급되어 분사되는 유체가 난류 상태에서 분사되므로써, 분수대용 물줄기가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수를 위해 공급되는 유체의 난류 현상과 수격 작용을 경감할 수 있는 층류분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체; 상기 본체와 연통되어 분사를 위해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유입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된 유체의 유입 경로와 연결되되 상기 유입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공기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유체의 난류의 유동이 흡수되도록 하는 에어챔버; 상기 유체 유동에 의한 상기 공기의 유실을 억제하고 상기 유체의 유속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에어챔버에 비해 면적이 비좁은 유출 경로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유출관; 및, 상기 유출관과 상기 본체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출된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출 경로보다 비좁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체의 유속을 높이고 상기 유체의 공급량에 비례한 유출량이 상기 노즐부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 경로는, 상기 에어챔버의 하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바닥부 측으로 하향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에어챔버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기의 유실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출관과 상기 노즐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출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유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체의 분사를 위한 유량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관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로 마련되는 유출관의 중심에 상기 분사되는 유체에 조명이 부가되도록 하는 LED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LED부는, 상기 복수개의 유출관 내부로 유동되는 상기 유체에 의해 방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챔버 및 상기 유출 경로는, 상기 유출관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유출관으로 전달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 및 압력이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의 분사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가 회동되도록 마련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관은, 상기 브라켓과 상기 본체가 결합되는 양측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유입관으로 공급되는 상기 유체의 유압에 의한 상기 본체의 회동을 경감하기 위해, 상기 양측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관이 형성된 반대방향에 보강구조가 마련된 비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층류분수장치 내부로 공급되는 난류 상태의 유체를 층류 상태로 변환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분사되는 물줄기가 고르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와 차단 동작을 반복하는 분수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수격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층류분수장치의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류분수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외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류분수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를 위한 유체의 유동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의 층류분수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층류분수장치는, 본체(100) 내부에 에어챔버(120)를 마련하여 공급되는 유체의 난류 유동을 층류 유동으로 변환하여 분사되는 물줄기가 고르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물줄기의 분사와 차단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격 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층류분수장치의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류분수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류분수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층류분수장치는 본체(100) 내부의 유체의 유동 경로에 에어챔버(120)가 마련되어 유체의 난류 유동을 억제하고 급격한 유체의 유동에 따른 충격량을 경감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 유입관(110), 에어챔버(120), 유출부(130), 분사챔버(140), 분사노즐(150), 커터부(160) 및 LED부(17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층류분수장치의 외형을 구성하여 내부 기기들을 보호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후술될 브라켓(180)과 결합되어 분수의 분사방향이 제어되도록 한다.
유입관(110)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 방향에 마련되되, 물줄기의 분사 방향과 대칭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본체(100)와 연통되는 방향은 본체(100)를 관통하는 방향으로 마련된다.
에어챔버(120)는 상기 본체(100) 내부에 마련되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본체(100)의 내주연부를 따라 형성되어 공기를 내포하며, 상기 유입관(110)이 본체(100)와 연통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상기 유입관(110)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공급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마련되도록 한다.
이는, 공급되는 유체가 공급 경로상에 마련되는 에어챔버(120)를 거치면서 난류의 유동이 에어챔버(120) 내부의 공기에 의해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공급되는 유체의 유동은 난류 유동에서 층류 유동으로 변환되게 된다.
유출부(130)는 에어챔버(120)를 거친 유체를 전술한 노즐부로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에어챔버(120) 내부에 가득차 있는 공기의 유실을 경감하고 분사되는 물줄기의 유속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유출관(131), 유출 경로(132) 및 타공판(133)을 포함한다.
유출관(131)은 가느다란 복수개의 빨대 형상으로 상기 에어챔버(120) 내부 중심에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유출 경로(132)는 일단이 에어챔버(120)와 연통되고 타단이 유출관(131)과 연결되되, 경로가 상기 본체(100)의 중앙부 측으로 굴절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에어챔버(120) 내부 공기의 유실을 경감하도록 한다. 가느다란 빨대 형상의 유출관(131)의 형성 원리와 유출 경로(132)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유체 유동의 변환 작용과 함께 다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타공판(133)은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빨대 형상의 유출관(131)과 결합되어 유출되는 유체가 유출관(131)을 통해 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정확한 형상이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개의 구멍들이 일정 간격 형성된 단순한 원판 형상으로 마련된다.
분사챔버(140)는 상기 복수개의 유출관(131)의 끝단에 마련되는 공동으로, 복수개의 유출관(131)을 통해 유출관(131)을 통과한 유체를 수용하여 분사를 위한 일정량의 유량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가느다란 빨대 형상의 유출관(131)을 통과할 때 유체는 속도가 상승하게 되며, 상승된 속도의 유체가 유출관(131)을 통과하고 나와 일정량의 유량을 형성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분사노즐(150)은 분사챔버(140)에 수용된 유체가 외부로 분사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100) 중심축 방향에서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커터부(160)는 분사노즐(150)과 분사챔버(14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분사용 유체의 분사와 차단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 커터(161), 커터커버(162) 및 서보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분사챔버(140) 상부면에 개구된 홈을 갖는 커터커버(162)가 마련되며, 상기 커터커버(162)와 축결합되어 축을 중심으로 커터커버(162)의 너비방향을 따라 커터(161)가 회동하여 상기 개구된 홈을 개폐함으로써, 분사되는 물줄기의 분사와 분사량을 조절한다.
LED부(170)는 전술한 복수개의 유출관(131)들 중심 부근에 본체(100)의 중심축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분사되는 물줄기에 조명효과를 부가하는 것으로, LED(171), 렌즈(172), 및 방열봉(173)을 포함한다.
LED(171) 및 렌즈(172)는 전기적으로 광을 생성하고 광의 조사경로 및 조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익히 공지된 기술이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방열봉(173)은 복수개의 유출관(131)들 중심에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게 마련되어 상기 LED(171) 또는 PCB회로(미도시)에서 발생하는 열이 방열되도록 한다. 상기 방열봉(173)의 내부는 공기로 채워져 열이 방사되도록 할 수 있으며, 공기와 물의 열전도도가 다름을 고려하여 방열봉(173) 내부에 공기층과 유체층을 형성하여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방열봉(173) 주변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유출관(131)들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마련되며, 층류분수장치의 가동시 유출관(131) 내부로 흐르는 고속의 유체에 의해 방열봉(173)이 냉각됨으로써, LED부(170)의 효과적인 방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정리하면, 분수장치 내부의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에어챔버(120)가 마련되되 유체의 유입 경로와 유출 경로(132)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에어챔버(120) 내의 공기의 유실을 방지하며, 분사를 위해 유입되는 유체의 불규칙한 유동이 경감되도록 함과 동시에 분사 동작시 발생되는 수격현상을 경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층류분수장치의 에어챔버(120) 및 유출관(131)의 역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를 위한 유체의 유동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류분수장치는 본체(100) 외부에서 분사를 위한 유체를 공급받아 일정 속도 및 각도로 유체를 분사하여 물줄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더불어 분사된 물줄기에 광을 조사하여 시각적 효과를 얻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층류분수장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는 고압 상태에서 고속으로 유입되며, 유체의 유동은 층류 상태보다는 난류 상태로 기기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층류분수장치는 구조 및 기능상 다양한 형태의 물줄기를 간헐적으로 분사하는 구조로 마련되며, 이에 분사될 때의 유체가 난류 상태라면 상기 간헐적으로 분사되는 물줄기가 고르게 분사되지 못하고 의도치 않게 끊어져 분사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고압 상태로 유입되는 유체가 간헐적 분사됨으로써 수격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에어챔버(120)가 유체의 유입 또는 유동 경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문제점이 경감되도록 한다. 에어챔버(120)에 대해 약식으로 설명을 하면 아래와 같다.
에어챔버란 Accumulator, Air Bottle, Air Vessel 등으로 불리며, 상부는 가압된 고기나 가스로, 하부에는 액체로 채워진 용기가 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에어챔버(120)는 관로내의 압력이 떨어져 부압이 발생될 때에는 관로에 액체를 공급해 주어 관로내에서 수주분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관로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에는 에어챔버(120)내의 공기가 관로내의 유체압력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관로의 상승압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챔버(120)를 통해 유체의 유동 경로 상에 에어챔버(120)가 마련됨으로써 유입되는 유체의 난류 유동을 흡수하고, 분사되는 물줄기의 간헐적 분사에 따른 펌프로부터 전해지는 수압에 의한 수격현상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층류분수장치는 본체의 크기가 작은 편에 속하며 내부에 형성할 수 있는 에어챔버(120)의 형성 공간 역시 일정크기를 초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에어챔버(120)로 연결되는 유입관(110)의 연결방향이 상기 에어챔버(120)와 나란하도록 하고, 에어챔버(120)를 통과한 유체의 유출 경로(132)를 본체(100)의 중앙부 측으로 굴절시키며, 빨대 형상의 유출관(131)을 마련함으로써, 고압의 공기층을 가둬둘 수 있다. 즉, 상기 유출관(131)과 유출 경로(132)의 형상 및 위치에 의해 공기층과 수면층이 형성되는 에어챔버(120)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에어챔버(120)를 거친 층류 상태의 유체를 빨대 형상의 유출관(131)을 통과시킴으로써, 분사를 위한 유속이 유출된 유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의 층류분수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류분수장치는 분사노즐(150)이 자유로이 제어되는 것이 아닌 기기전체의 회동을 통해 분사방향이 결정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본체(100)의 대칭되는 양측면에 브라켓(180)이 결합되어 분사각이 조절되도록 할 수 있으며, 브라켓(180)과 관련된 기술은 익히 공지된 기술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체(100) 일측면에 비대칭으로 마련되는 유입관(110)에서 발생하는 수압에 따른 본체(100)의 일방향 회전 또는 회동을 고려하여, 브라켓(180)의 형상은 본체(100)와 결합되는 결합축을 중심으로 일방향의 보강구조를 형성하도록 비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유입관(110)의 방향은 상기 보강구조와 반대방향으로 마련되어 전술한 유입관(110)에 발생하는 수압을 상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층류분수장치 내부로 공급되는 난류 상태의 유체를 층류 상태로 변환하여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분사되는 물줄기가 고르게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와 차단 동작을 반복하는 분수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수격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층류분수장치의 내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유입관
120 : 에어챔버 130 : 유출부
131 : 유출관 132 : 유출 경로
133 : 타공판 140 : 분사챔버
150 : 분사노즐 160 : 커터부
161 : 커터 162 : 커터커버
170 : LED부 171 : LED
172 : 렌즈 173 : 방열봉
180 : 브라켓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와 연통되어 분사를 위해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유입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공급된 상기 유체의 유입 경로와 연결되되 상기 유입 경로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수용됨으로써 상기 공기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유체 난류의 유동이 흡수되도록 하는 에어챔버; 상기 유체 유동에 의한 상기 공기의 유실을 억제하고 상기 유체의 유속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에어챔버에 비해 면적이 비좁은 유출 경로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유출관; 및, 상기 유출관과 상기 본체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유출된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록 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출관은, 상기 유출 경로보다 비좁은 면적으로 형성되되,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기 에어챔버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유체의 유속을 높이고 상기 유체의 공급량에 비례한 유출량이 상기 노즐부로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유출 경로는, 상기 에어챔버의 하부로부터 상기 본체의 바닥부 측으로 하향 연장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에어챔버 내부에 저장된 상기 공기의 유실이 억제되도록 하며,
    상기 에어챔버 및 상기 유출 경로는, 상기 유출관을 둘러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기 유체가 상기 유입 경로로 최초 유입된 후 상기 노즐부로 최종 배출됨에 있어 상승→하강→상승 이동의 순을 차례로 거치는 순회 및 경유 패턴의 흐름을 이어가도록 함을 통해, 상기 유출관으로 전달되는 상기 유체의 유량 및 압력이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류분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과 상기 노즐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유출관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유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유체의 분사를 위한 유량이 형성되도록 하는 분사챔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류분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관은,
    복수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개로 마련되는 유출관의 중심에 상기 분사되는 유체에 조명이 부가되도록 하는 LED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LED부는,
    상기 복수개의 유출관 내부로 유동되는 상기 유체에 의해 방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류분수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의 분사 경로를 기준으로 상기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양측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가 회동되도록 마련되는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류분수장치.
  8. 삭제
KR1020150051964A 2015-04-13 2015-04-13 층류분수장치 KR101537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64A KR101537236B1 (ko) 2015-04-13 2015-04-13 층류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64A KR101537236B1 (ko) 2015-04-13 2015-04-13 층류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236B1 true KR101537236B1 (ko) 2015-07-16

Family

ID=53884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964A KR101537236B1 (ko) 2015-04-13 2015-04-13 층류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2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0836A1 (en) * 2001-07-16 2003-01-16 Long Pham Laminar device for fountains
KR101011181B1 (ko) * 2010-06-21 2011-01-26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층류 분수 장치
US8042748B2 (en) * 2008-12-19 2011-10-25 Zodiac Pool Systems, Inc. Surface disruptor for laminar jet fountai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0836A1 (en) * 2001-07-16 2003-01-16 Long Pham Laminar device for fountains
US8042748B2 (en) * 2008-12-19 2011-10-25 Zodiac Pool Systems, Inc. Surface disruptor for laminar jet fountain
KR101011181B1 (ko) * 2010-06-21 2011-01-26 주식회사 서일워터플랜 층류 분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R062328A2 (es) Distribuidor para distribuir diferentes concentraciones de un concentrado quimico
ES2421582T3 (es) Boquilla reemplazable para producir un líquido espumado
DE60116287D1 (de) Düsenanordnung mit mitteln zur steuerung der tropfengrösse
RU2564278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ий распылитель кочетова
JP2016511138A5 (ko)
RU2008117344A (ru) Двойная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насадка
IL188441A0 (en) Spray device for dispensing a cooling fluid
CA2497671A1 (en) Ribbon flow waterfall for spas
FI953424A (fi) Laite höyryn lämpötilan alentamiseksi
JP6699071B2 (ja) 吐水装置
JP2017064099A (ja) 吐水装置
US20140367067A1 (en) Subsea heat exchanger
KR101537236B1 (ko) 층류분수장치
JP6656581B2 (ja) 吐水装置
US20210402421A1 (en) Fluidic oscillator for a swimming pool and spa
JP5956990B2 (ja) 渦抑制を有する緩熱器
CN205701161U (zh) 压铸用喷雾装置
US20210187149A1 (en) Distributing light in a reaction chamber
DE602004010697D1 (de) Fluidoszillator mit drei krafteinlassdüsen und einem wirbel erzeugenden hindernis
MX2022006350A (es) Sistemas y metodos relacionados con la contencion de salpicaduras de fluido.
SI1351774T1 (sl) Škropilna šoba za razdeljevanje majhnih kapljicvode
AR016393A1 (es) Un aspersor de irrigacion
KR100836735B1 (ko) 우회관이 형성된 분수
KR101011181B1 (ko) 층류 분수 장치
RU2007120259A (ru) Насадок для подачи и распыления многофазных жидкотекучих сре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