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716B1 - 마네킹 고정 스텐드 - Google Patents

마네킹 고정 스텐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716B1
KR101536716B1 KR1020130098531A KR20130098531A KR101536716B1 KR 101536716 B1 KR101536716 B1 KR 101536716B1 KR 1020130098531 A KR1020130098531 A KR 1020130098531A KR 20130098531 A KR20130098531 A KR 20130098531A KR 101536716 B1 KR101536716 B1 KR 101536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support
fixing
centr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320A (ko
Inventor
김송형
Original Assignee
김송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형 filed Critical 김송형
Priority to KR1020130098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7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5/00Dress forms; Bust forms;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네킹 고정 스텐드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 및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중심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제 마네킹의 서있는 자세, 앉아있는 자세, 앞으로 구부린 자세 등을 하나의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통해 연출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따른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네킹 고정 스텐드{Fixed mannequin stand}
본 발명은 마네킹 고정 스텐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제 마네킹의 서있는 자세, 앉아있는 자세, 앞으로 구부린 자세 등의 자세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 마네킹 고정 스텐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의복 예컨대, 양복이나 양장 또는 드레스 및 바지, 치마 등을 선전광고하는 경우 의류를 인체의 몸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마네킹에 입혀 진열하고 있다.
일 예로, 상반신 토루소 형태의 마네킹은 베이스플레이트에 직립된 지주에 분해/조립 가능하게 조립되어 지면에 대해 일정 높이로 세워진다.
그리고 도시된 도 1 및 2는 종래의 마네킹과 지주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도 1은 마네킹과 이 마네킹을 지지하는 지주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2는 마네킹과 지주의 조립구조에 적용된 지주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네킹(1)의 저부에는 지주 장착홈(1a)이 형성되며, 이 지주 장착홈(1a)에는 지주(3)를 고정하는 지주 고정부재(4)가 볼트(5) 등을 매개로 하여 삽입 고정된다. 이때, 지주 고정부재(4)가 외부로 노출되면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지주 고정부재(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 고정부재(4)는 지주(3)의 형상에 맞춰 대개 파이프형으로 이루어지며, 대략 중앙부 외주면에 수평부(4a)가 확장형성되고, 이 수평부(4a)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측에는 마네킹(1)의 저부에 삽입되는 마네킹 삽입부(4b)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중공의 지주 삽입부(4c)가 구비되고, 지주 삽입부(4c)의 일측에 지주 삽입부(4c)에 삽입된 지주(3)를 조여 고정하는 조임볼트(6)가 체결된다.
즉 상기 지주 고정부재(4)는 수평부(4a)의 상면이 마네킹(1)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마네킹 삽입부(4b)가 마네킹(1)의 저부에 삽입되면서 그 수평부(4a)가 마네킹(1)에 볼트(5) 체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마네킹과 지주의 조립구조에 따른 마네킹과 지주의 조립/분해 작업은 다음과 같다.
마네킹(1)에 지주(3)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은, 지주 고정부재(4)의 지주 삽입부(4c)에 지주(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주 고정부재(4)의 조임볼트(6)가 지주 삽입부(4c)의 중공부를 점유하지 않도록 느슨하게 체결하고, 지주(3)의 상단부를 지주 삽입부(4c)에 삽입하며, 조임볼트(6)를 조여 지주(3)를 지주 삽입부(4c)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반대로, 마네킹(1)과 지주(3)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조임볼트(6)를 풀어 지주(3)의 구속력을 해제한 후 분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조임볼트(6)가 마네킹(1)의 지주 장착홈(1a)의 안쪽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임볼트(6)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손 전체를 지주 장착홈(1a)에 넣고 손을 오므려서 조임볼트(6)를 잡고 돌려야 하는데, 이 지주 장착홈(1a)의 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불편하고 어려울 뿐 아니라 조임볼트(6)의 조작시 손이 마네킹(1)에 부딪쳐 찰과상을 입을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지주(3)가 마네킹(1)의 정중앙에 배치되어 이 마네킹(1)에 바지를 진열할 수 없으며, 따라서, 바지를 진열하기 위한 마네킹을 구입하여야 하므로 구입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1325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62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봉제 마네킹의 서있는 자세, 앉아있는 자세, 앞으로 구부린 자세 등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마네킹 고정 스텐드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 및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중심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는 바닥 중심 수평부 및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는 중앙 수직 연결구와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중앙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 지지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 지지 연결관과,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바닥 지지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 하 연결 파이프와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의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용 소켓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의 상부에는 마네킹 본체의 높이와 방향조절 및 몸체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 관과 상기 상부 지지부 관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와 상부 지지부의 사이에는 마네킹 몸체 방향을 조절하는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전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 T "형상의 마네킹 허리 받침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부와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의 사이에는 마네킹 허리 곡선 유지 및 방향 조절을 위한 하부 지지부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하부 지지부는 하부 연결관과 상기 하부 연결관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가 결합되는 바닥부의 양측에는 동작 구현 스텐드가 더 장착된다.
또한 상기 동작 구현 스텐드는 한 쌍의 동작 구현 바닥부와 상기 동작 구현 바닥부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측면 고정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동작 구현 바닥부는 바닥 중심 수평부와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는 중앙 수직 연결구와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중앙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부의 상부에는 수평 지지부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수평 지지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연결관 연결구 및 상기 연결관과 측면 지지부의 연결하는 측면 연결구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의 전면에는 마네킹 고정 벨트가 더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제 마네킹의 서있는 자세, 앉아있는 자세, 앞으로 구부린 자세 등을 하나의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통해 연출할 수 있으므로 제품에 따른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네킹 고정 스텐드의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므로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마네킹과 지주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마네킹과 지주의 조립구조에 적용된 지주 고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구성하는 상부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구성하는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구성하는 하부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9의 측면 지지부가 장착되는 동작 구현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내지 1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9의 동작구현을 나타낸 개략도면.
도 16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구성하는 마네킹 고정 벨트를 나타낸 사진.
도 20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9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원발명인 마네킹 고정 스텐드(10)는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20)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20)와 결합되는 중심부(30)와, 상기 중심부(3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지지부(40)와, 상기 중심부(30)와 상부 지지부(40)의 사이에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와, 상기 상부 지지부(40)와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의 사이에 장착되는 하부 지지부(6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닥부(20)는 마네킹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 지지되고, 바닥 중심 수평부(21)와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2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부(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닥 중심 수평부(21)의 양측에 측면 지지부(22)를 장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21)는 전면에 장착되는 마네킹을 고려하여 후방으로 편심되어 상기 측면 지지부(22)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21)는 중앙 수직 연결구(21a)와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21a)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중앙 연결 파이프(21b) 및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21b)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구(21c)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21)는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수직 연결구(21a)의 양측에 중앙 연결 파이프(21b)를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21b)에 측면 고정구(21c)를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21a)와 측면 고정구(21c)는 " T "형상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21a)와 중앙 연결 파이프(21b) 및 측면 고정구(21c)는 나선 고정결합되고,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21a)와 중앙 연결 파이프(21b) 및 측면 고정구(21c)의 연결 부분에는 고정 및 지지를 위하여 용접 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21)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측면 지지부(2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 지지 연결관(22a)과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22a)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바닥 지지구(22b)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21)를 구성하는 측면 고정구(21c)의 내부에 바닥 지지 연결관(22a)을 삽입장착한 후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22a)의 끝단으로 바닥 지지구(22b)를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 지지구(22b)는 엘보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22a)과 바닥 지지구(22b)의 연결 부분은 고정을 위하여 용접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바닥부(20)와 결합되는 중심부(3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 하 연결 파이프(31, 32)와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31, 32)의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용 소켓(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원발명에서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31, 3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즉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31, 32)는 결합과 각각의 구성을 통해 봉제 마네킹의 자세를 잡아주게 된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31, 32)는 봉제 마네킹의 다리 굽힘 자세 및 상체를 앞으로 구부린 자세 등을 유지시켜주는 상 연결 파이프(31)와, 앉은 자세를 유지해주는 하 연결 파이프(32)와,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31, 32)를 결합하여 봉제 마네킹의 선 자세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상기 중심부(30)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지지부(40)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10)의 가장 상부에 위치하면서 마네킹 본체의 높이와 방향 조절 및 몸체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지지부(4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 관(41)과, 상기 상부 지지부 관(41)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와, 상기 상부 지지부 관(4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네킹 걸이(43)와, 상기 상부 지지부 관(41)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와이어 고리(44)와 높이 조절 고리(4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 상부 지지부(40)는 상부 지지부 관(41)에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와, 마네킹 걸이(43)와, 와이어 고리(44) 및 높이 조절 고리(45)가 나선 결합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상부 지지부(40)는 마네킹의 연출시 전체적인 높이를 조절하면서도 아이볼트로 구성되는 와이어 고리(44)와 높이 조절 고리(45)를 통해 사용자가 별다른 공구 없이 맨손으로 조정하면서도 각종 연출 보조 와이어 등을 취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중심부(30)와 상부 지지부(40)의 사이에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는 마네킹의 각종 연출 작업시 허리 부분이 앞쪽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허리를 좌, 우 방향으로 돌려 여러 가지 표현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는 연결관(51)과, 상기 연결관(51)의 전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 T "형상의 마네킹 허리 받침대(52)와, 상기 연결관(51)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53)와, 상기 연결관(51)의 배면에는 높이 조절 고리(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51)에 장착되는 허리 받침대(52)와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53)와 높이 조절 고리(54)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나선 결합식으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는 중심부(30)를 따라 상, 하로 자유롭게 움직이며 허리를 돋보이게 돌출시키기도 하면서도 허리 받침대(52)를 빼면 상부 지지부(4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 고리(54)는 다수개수가 연결관(51)에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높이 조절 고리(54)는 아이볼트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별다른 공구 없이 맨손으로 조정하면서도 각종 연출 보조 와이어 등을 취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상부 지지부(40)와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의 사이에 장착되는 하부 지지부(60)는 마네킹의 상하좌우를 자유롭게 이동하여 마네킹의 몸체지지와 좌우 방향 고정 등의 보조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하부 지지부(60)는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에서 허리 받침대(52)를 뺀 구조로서 상부 지지부(40)를 보조하여 상하좌우 자유롭게 이동하며 마네킹 몸체지지와 좌우 방향 고정 등의 보조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부(60)는 하부 연결관(61)과, 상기 하부 연결관(61)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62)와, 상기 하부 연결관(61)의 배면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 고리(6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높이 조절 고리(63)는 다수개수가 하부 연결관(61)에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높이 조절 고리(63)는 아이볼트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별다른 공구 없이 맨손으로 조정하면서도 각종 연출 보조 와이어 등을 취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인 마네킹 고정 스텐드(10)는 도시된 도 9 내지 15와 같이 상기 중심부(30)가 결합되는 바닥부(20)의 양측에 동작 구현 스텐드(70)가 장착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마네킹 고정 스텐드(10)의 양측 및 상부에 동작 구현 스텐드(70)를 장착하여 상기 마네킹 고정 스텐드(10) 단독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응용동작을 위해 카메라 앵글 밖이나 매장 디스플레이 창 배경의 일부처럼 숨겨져 운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동작 구현 스텐드(70)는 도 11 내지 15과 같이 마네킹과 마네킹 고정 스텐드(10)의 연출을 평면도상 본체의 X 축 중심부에 두고 다양한 각도에서 와이어를 취부하도록 하여, 수직과 수평면, 대각선 연출을 지원하거나, 평면도상 본체의 Y축 중심부에 두고 Y축의 상, 하로 이동하여 수직과 수평 및 대각선 연출하며, 기타 응용으로 스텐트의 수량과 배치 각도의 다양성으로 더욱 다양한 연출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작 구현 스텐드(70)는 한 쌍의 동작 구현 바닥부(80)와, 상기 동작 구현 바닥부(80)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부(90)와, 상기 측면 고정부(90)와 측면 고정부(90)의 끝단을 연결하는 수평 지지부(1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동작 구현 바닥부(80)는 마네킹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에 지지되고, 바닥 중심 수평부(81)와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81)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82)로 구성된다.
즉 상기 동작 구현 바닥부(8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닥 중심 수평부(81)의 양측에 측면 지지부(82)를 장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81)는 중앙 수직 연결구(81a)와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81a)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중앙 연결 파이프(81b) 및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81b)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구(81c)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81)는 중앙에 형성되는 중앙 수직 연결구(81a)의 양측에 중앙 연결 파이프(81b)를 각각 장착한 후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81b)에 측면 고정구(81c)를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81a)와 측면 고정구(81c)는 " T "형상의 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원발명에서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81a)와 중앙 연결 파이프(81b) 및 측면 고정구(81c)는 나선 고정결합되고,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81a)와 중앙 연결 파이프(81b) 및 측면 고정구(81c)의 연결 부분에는 고정 및 지지를 위하여 용접 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81)에 각각 고정결합되는 측면 지지부(82)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 지지 연결관(82a)과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82a)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바닥 지지구(82b)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81)를 구성하는 측면 고정구(81c)의 내부에 바닥 지지 연결관(82a)을 삽입장착한 후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82a)의 끝단으로 바닥 지지구(82b)를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바닥 지지구(82b)는 엘보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82a)과 바닥 지지구(82b)의 연결 부분은 고정을 위하여 용접결합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 동작 구현 바닥부(80)와 결합되는 측면 고정부(90)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단일 또는 분할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 고정부(90)의 내면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 고리(9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 고정부(90)는 동작 구현 바닥부(80)에 각각 장착되면서 고정 고리(91)에 장착되는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측면 고정부(90)와 측면 고정부(90)의 끝단을 연결하는 수평 지지부(1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관(101)과 상기 연결관(101)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연결관 연결구(102) 및 상기 연결관(101)과 측면 고정부(90)를 연결하는 측면 연결구(10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평 지지부(100)는 연결관(101)의 사이에 연결관 연결구(102)를 장착하여 고정하고 끝단에는 측면 연결구(103)를 장착하여 측면 고정부(90)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측면 연결구(103)는 엘보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101)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고리(104)가 장착된다.
다음으로 본원발명인 마네킹 고정 스텐드(10)는 도시된 도 19 내지 23과 같이, 상기 중심부(30)의 전면에 마네킹 고정 벨트(110)를 더 장착하여 마네킹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네킹 고정 벨트(11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고정 벨트부(111)와, 상기 고정 벨트부에 결합되는 허리 받침대 끈 조임부(112)와, 상기 고정 벨트부의 끝단에 장착되는 마네킹 걸이 조절부(113)와, 상기 고정 벨트부(111)의 도중에 장착되는 허리 조임부(114) 및 가슴 밑 조임부(115)로 구성된다.
즉 상기 마네킹 고정 벨트(11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고정 벨트부(111)의 상부에 고리(113a)가 구비되는 마네킹 걸이 조절부(113)를 장착하고, 하부에는 허리 받침대 끈 조임부(112)를 장착하며, 상기 허리 받침대 끈 조임부(112)와 마네킹 걸이 조절부(113)의 사이에는 허리 조임부(114)와 가슴 밑 조임부(115)를 장착한 것이다.
이때 상기 마네킹 고정 벨트(11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끝단에는 길이 조절이 용이하도록 버클, 똑딱이, 벨크로 테이프 등이 장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허리 받침대 끈 조임부(112)는 하체를 지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알파벳 " T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의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앙 수직 연결구(21a)와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21a)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중앙 연결 파이프(21b) 및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21b)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구(21c)로 구성되는 바닥 중심 수평부(2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21)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 지지 연결관(22a)과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22a)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바닥 지지구(22b)로 구성되는 측면 지지부(22)를 결합한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21)를 구성하는 중앙 수직 연결구(21a)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 하 연결 파이프(31, 32)와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31, 32)의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용 소켓(33)으로 구성되는 중심부(3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중심부(30)의 상부에 연결관(51)과, 상기 연결관(51)의 전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 T "형상의 마네킹 허리 받침대(52)와, 상기 연결관(51)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53)와, 상기 연결관(51)의 배면에는 높이 조절 고리(54)로 구성되는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50)의 상부에 하부 연결관(61)과, 상기 하부 연결관(61)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62)와, 상기 하부 연결관(61)의 배면에 장착되는 높이 조절 고리(63)로 구성되는 하부 지지부(6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지지부(60)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 관(41)과, 상기 상부 지지부 관(41)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와, 상기 상부 지지부 관(41)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네킹 걸이(43)와, 상기 상부 지지부 관(41)의 배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와이어 고리(44)와 높이 조절 고리(45)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부 지지부(40)를 장착하면 마네킹 고정 스텐드(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마네킹 고정 스텐드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마네킹 고정 스텐드(10)를 이용하여 서있는 자세를 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 지지부(40)를 구성하는 마네킹 걸이(43)에 마네킹의 스텐드 고리를 꽂아 고정시킨다.
그리고 마네킹의 연출 특성(예를 들어, 힐이나 운동화와 같이 신발에 의해 마네킹의 신장이 늘거나, 무릎을 구부리는 자세 등의 낮은 자세 연출 등)에 따라 마네킹 본체의 높이와 방향 조절 및 몸체 지지부 등 각 지지부의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 53)와 높이 조절 고리(45, 54, 63)를 풀어 높이와 좌우 방향을 조절한 후 상기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 53)와 높이 조절 고리(45, 54, 63)를 단단히 고정시켜 고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네킹 고정 스텐드(10)를 이용하여 앉은 자세를 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마네킹 고정 스텐드(10)를 구성하는 중심부(30)의 구성중 하 연결 파이프(32)를 제외한다.
그리고 마네킹 본체의 높이와 방향 조절 및 몸체 지지부 등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 53)와 높이 조절 고리(45, 54, 63)를 풀어 높이와 좌우 방향을 조절한 후 상기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 53)와 높이 조절 고리(45, 54, 63)를 단단히 고정시켜 고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마네킹 고정 스텐드(10)를 이용하여 앞으로 구부린 자세 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마네킹 고정 스텐드(10)를 구성하는 중심부(30)의 구성중 상 연결 파이프(31)를 제외한 후, 상기 하 연결 파이프(32)에 마네킹 걸이(42)를 장착한다.
그리고 마네킹 본체의 높이와 방향 조절 및 몸체 지지부 등의 높이를 조절한 후 상기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 53)와 높이 조절 고리(45, 54, 63)를 풀어 높이와 좌우 방향을 조절한 후 상기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42, 53)와 높이 조절 고리(45, 54, 63)를 단단히 고정시켜 고정하면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마네킹 고정 스텐드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마네킹 고정 스텐드, 20 : 바닥부,
21 : 바닥 중심 수평부, 22 : 측면 지지부,
30 : 중심부, 31 : 상 연결 파이프,
32 : 하 연결 파이프, 33 : 연결용 소켓,
40 : 상부 지지부, 41 : 상부 지지부 관,
42 :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 43 : 마네킹 걸이,
44 : 와이어 고리, 45 : 높이 조절 고리,
50 :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
51 : 연결관, 52 : 허리 받침대,
53 :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 60 : 하부 지지부,
61 : 하부 연결관, 62 :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
63 : 높이 조절 고리, 70 : 동작 구현 스텐드,
80 : 동작 구현 바닥부, 90 : 측면 고정부,
100 : 수평 지지부, 110 : 마네킹 고정 벨트.

Claims (35)

  1.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부; 및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의 전면에는 마네킹 고정 벨트가 더 장착되며,
    상기 마네킹 고정 벨트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고정 벨트부와 상기 고정 벨트부에 결합되는 허리 받침대 끈 조임부 및 상기 고정 벨트부의 끝단에 장착되는 마네킹 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바닥 중심 수평부 및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는 중앙 수직 연결구와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중앙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구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와 측면 고정구는 " T "형상의 관으로 형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와 중앙 연결 파이프 및 측면 고정구는 나선 고정결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 지지 연결관과,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바닥 지지구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지지구는 엘보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 하 연결 파이프와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의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용 소켓으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 연결 파이프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상부에는 마네킹 본체의 높이와 방향조절 및 몸체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상부 지지부 관과 상기 상부 지지부 관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 관의 상부에는 마네킹 걸이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 관의 배면에는 와이어 고리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 관의 배면에는 높이 조절 고리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와 상부 지지부의 사이에는 마네킹 몸체 방향을 조절하는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전면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 T "형상의 마네킹 허리 받침대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의 배면에는 높이 조절 고리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와 마네킹 몸체 방향 조절 지지부의 사이에는 마네킹 허리 곡선 유지 및 방향 조절을 위한 하부 지지부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하부 연결관과 상기 하부 연결관의 전면에 간격을 두고 경사지게 장착되는 마네킹 몸체 고정 다리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관의 배면에는 높이 조절 고리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가 결합되는 바닥부의 양측에는 동작 구현 스텐드가 더 장착되고,
    상기 동작 구현 스텐드는,
    한 쌍의 동작 구현 바닥부,
    상기 한 쌍의 동작 구현 바닥부의 상부에 각각 장착되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측면 고정부,
    상기 측면 고정부의 상부와 상기 측면 고정부의 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 지지부를 포함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23. 삭제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구현 바닥부는 바닥 중심 수평부와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지지부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중심 수평부는 중앙 수직 연결구와 상기 중앙 수직 연결구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중앙 연결 파이프 및 상기 중앙 연결 파이프의 양측에 각각 장착되는 측면 고정구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바닥 지지 연결관과 상기 바닥 지지 연결관의 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바닥 지지구로 마네킹 고정 스텐드.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고정부의 내부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고리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28. 삭제
  29.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부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연결부분에 장착되는 연결관 연결구 및 상기 연결관과 측면 지지부의 연결하는 측면 연결구로 구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고리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연결구는 엘보관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32. 삭제
  33. 삭제
  3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벨트부에는 허리 조임부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3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벨트부에는 가슴 밑 조임부가 장착되는 마네킹 고정 스텐드.
KR1020130098531A 2013-08-20 2013-08-20 마네킹 고정 스텐드 KR101536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531A KR101536716B1 (ko) 2013-08-20 2013-08-20 마네킹 고정 스텐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531A KR101536716B1 (ko) 2013-08-20 2013-08-20 마네킹 고정 스텐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320A KR20150021320A (ko) 2015-03-02
KR101536716B1 true KR101536716B1 (ko) 2015-07-14

Family

ID=53019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531A KR101536716B1 (ko) 2013-08-20 2013-08-20 마네킹 고정 스텐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976B1 (ko) * 2017-09-21 2019-09-11 오형진 학습용 모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7060U (ko) * 1979-01-22 1980-07-26
JPH0359747U (ko) * 1989-10-16 1991-06-12
JP3059747B2 (ja) 1990-07-26 2000-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3158728B2 (ja) 1992-09-24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ッチ回路
CA2808024A1 (en) * 2013-03-05 2013-05-16 Target Brands, Inc. Display system with suspended merchandise suppo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07060U (ko) * 1979-01-22 1980-07-26
JPH0359747U (ko) * 1989-10-16 1991-06-12
JP3059747B2 (ja) 1990-07-26 2000-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JP3158728B2 (ja) 1992-09-24 2001-04-23 ソニー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ッチ回路
CA2808024A1 (en) * 2013-03-05 2013-05-16 Target Brands, Inc. Display system with suspended merchandis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320A (ko)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53659A (ja) フレーム式ブース状家具
US7581343B1 (en) Quilt display frame
US20160106200A1 (en) Portable Hammock Frame Shiftable Between Multiple Stable Positions
US20070051858A1 (en) Hanging chair stand
US20170215604A1 (en) Display clip
KR101536716B1 (ko) 마네킹 고정 스텐드
TWM357552U (en) Mounting bracket mechanism for fixing a monitor
CN109674189B (zh) 一种便携式背负装置
KR101596208B1 (ko) 마네킹 지지 구조
CA1152952A (en) Garment display rack
KR20190000488U (ko) 낚시받침틀
KR101502573B1 (ko) 휴대용 의자 및 테이블
JP5900999B1 (ja) 椅子
JP5615641B2 (ja) 椅子
KR20170000067U (ko) 낚시좌대 겸용 지게
CN218304318U (zh) 一种尺寸可调节的人体模型
JP3245938U (ja) タープポールを利用した組立型多機能システム
JP3189161U (ja) ハンモックセット
CN203493156U (zh) 看台椅结构
TWM581409U (zh) Detachable group of bookshelf
JP3197397U (ja) ハンモック装置
CN219460680U (zh) 组合式吊椅支架及具有它的吊椅
TWI231748B (en) Display stand
CN207838160U (zh) 一种高跷
TWM512403U (zh) 摺疊式之道具件設置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30

Year of fee payment: 4